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구국ㆍ독립운동사 관련 내용 분석

        한철호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논총 Vol.32 No.-

        본고는 검인정 『고등학교 한국근ㆍ현대사』 교과서 6종의 구국ㆍ독립운동사 관련 내용을 검토ㆍ 분석하고 그 대안을 모색해보았다. 기존의 교과서 연구는 역사학계의 최근 성과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건ㆍ인물에 대한 사실과 용어 등의 오류를 지적하고 그 의의와 관점의 상이성을 밝히거나 중요 내용의 서술 여부를 비교ㆍ분석하는 데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는 교과서가 한국근현대사에 해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역사 인식을 배양하며 이해력ㆍ판단력을 배양한다는 역사 교육의 본질에 얼마나 부합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교과서 저자들이 집필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준거안과 교육과정을 더욱 신중하게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교과서의 집필은 검정제도 하에서 자율성이 주어지지만, 실제로는 준거안과 교육과정이 크게 제약을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준거안과 교육과정은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집필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주는 쪽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준거안과 교육과정은 단원 편성과 관련해서 좀더 합리적인 체계를 제시하고, 학계의 성과를 가능한 한 최대로 반영하여 ‘을사조약’ 등 몇몇 역사적 사건이나 용어를 정립해주어야 한다. 다음, 한국근현대사 교과서는 구국ㆍ독립운동에 관련된 인물ㆍ단체들과 그 활동을 정확하고도 자세하게 서술하는 측면도 중요하지만, 그 경우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현실적으로 교과서의 내용은 시험 혹은 입시와도 직결되어 있는 만큼, 과중한 내용은 오히려 암기 부담을 가중시킴으로써 역사교육의 본질을 훼손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중요한 독립운동가나 단체를 신중하게 선택하여 그 의미를 올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서술하는 편이 좋을 듯하다. 마지막으로 한국근현대사 교과서는 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역사 인식을 배양하며 이해력ㆍ판단력을 키운다는 역사 교육의 본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서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역사적 사실을 단순하게 전달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그 사실이 지니는 의미 혹은 학습의 필요성을 학생 스스로 생각하거나 자연스럽게 깨달을 수 있도록 교과서의 체제를 혁신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한국근현대사 과목은 사실을 암기하는 것이라는 그릇된 인식에서 벗어나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근현대사의 전개과정을 다양한 관점에 입각해서 이해함과 동시에 그 성격과 의의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나아가 현재의 상황을 구조적ㆍ입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집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각 단원 앞에 준거안과 교육과정을 형식적으로 요약ㆍ정리해서 학습목표로 설정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본문의 도입부에서 학생들이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주제의식과 인식 방향을 쉽고도 흥미롭게 서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싶다. 그 경우 본문의 내용을 보조하는 차원에서 단순히 원사료와 사진을 싣기보다 이를 주제와 관련시켜 쉽게 풀어 설명하면서 학습목표를 제시하거나 역사적 사실을 현재의 상황과 연상토록 서술하여 이해력과 판단력을 높이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기억의 충돌과 역사 교과서 : -「대안 교과서 한국 근·현대사」의 대안성-

        하경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2

        A new textbook on Korean history was published by the Korean Textbook Forum in March, 2008, A Substitute Textbook o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This has aroused a great deal of controversies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nd the textbook on it. In the field of history it is believed that the epistemological conversation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re the pivotal basis of the construct of history. It implies that anyone may write history in his own way after pursuing the epistemological conversation. However, history differs from history education in its purpose and function, which naturally results in the difference between an academic book on history and a textbook on it. The major purpose of an academic history book is to help us look into and understand what the lives of human beings in the past were like. On the other hand, a history textbook aims to educate learners of history about attitudes toward history, historical perspectives, and practices. The contemporary learners of history are the very agents of history making responsible for leaving footprints on which future generations can carry on their own conversations with the past. Therefore, history education and textbooks should not emphasize only the historical facts and memori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and left by others because the learners require far more than simple understanding of historical facts or epistemological, academic views of history. They are supposed to be not only active practitioners who can make history without any fear or hesitation, but also challenging learners who try to figure out how to leave a trace of their own beings in history. This suggests that publication and evaluation of textbooks on history should be based on the nature and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and textbooks. <교과서포럼>은 2008년 3월에 「대안 교과서 한국 근·현대사」를 발간하였다. 포럼은 현행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가 대한민국이 잘못 태어났고 성장에 장애를 겪고 있는 국가라고 가르치는 자학사관에 물들어 있다고 비난하며, 잘못된 역사쓰기는 바로 세워야 한다는 사명감에서 대안 교과서를 발간했다고 밝히고 있다. 우리나라 근현대사 교육의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교과서로 눈을 돌리는 움직임이 처음 있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포럼의 경우는 기존 교과서에 담겨있는 역사의식 자체를 부정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포럼은 현행 근현대사 교과서에서 구성의 균형성과 내용의 객관성을 문제 삼으며, 실사구시를 교과서 철학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잘못된 역사쓰기에 대한 문제제기는 역사학의 쟁점이 될 수는 있어도, 역사교육의 존재이유는 아니다. 실증주의도 역사연구의 기본전제이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 역사교육의 목표가 달성되는 것이 아니다. 기존의 교과서가 부족하여 실사구시의 입장에서 다시 썼다는 것으로 새로운 교과서에 정당성이 부여되는 것도 아니다. 포럼이 제기하는 자학사관 청산론은 식민사관과 일본 교과서 문제처럼 외부의 자극이 아닌 자국민의 자기반성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에서 남다른 의미가 있다. 그러나 대안 교과서에서 ‘당신들의 역사’가 아니라 ‘우리들의 역사’를 쓰겠다는 포럼의 역사인식 속에는 역사 교과서와 역사책을 같은 것으로 이해하는 시각이 배어있다. 또한 계승과 청산의 경계선이 뚜렷한 포럼의 주장과 논리 속에 교과서 권력에 대한 강한 의지가 엿보인다는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역사가의 역사서술은 현재의 역사인식을 통해 과거의 역사를 소비하기 위한 것이지만, 역사교육은 살아있는 인간이 역사행위를 통해 미래의 역사를 생산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과거의 역사를 소비하기 위한 역사책과 미래의 역사를 생산하게 하려는 역사 교과서는 쓰는 목적과 방식에서 같을 수가 없는 것이다. 역사 교과서의 제작과 그에 대한 평가도 역사교육의 본질적 목적과 그에 따른 교과서의 기능과 관련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민족문화수호운동’ 서술에 대한 검토

        한규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0

        In the wake of the latest regime change, controversies over the textbook, Korean Modern History, have been intensely discussed and they still remain unresolved. Such phenomenon confirms that writing textbooks for school students in an objective and neutral manner is a highly difficult task. Nonetheless there is a consensus that a textbook should not include dubious nor false content. It is not a matter of ‘perspective’ nor ‘emphasis,’ but a matter of accuracy and clar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Movement for National Culture Preservation’ in chapter five of the textbook Korean Modern History of which six versions are currently in circulation. The contents were reviewed by each category as follows: ‘system’, ‘terminology’, ‘transcription’, ‘error’, ‘evaluation’ and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ubstantial problems were detected even within one section of the textbook comprising five chapters with 17 sections. Not to mention the category of ‘system’ which is inevitably problematic, there were the lack of coherence and appropriateness in ‘terminology’ and ‘transcription,’ inaccurate description deviating from the historical facts, dubious ‘evaluation’ uncritically repeating existing misinformation, and presentation of inaccurate ‘data’ with no precise citation of the source. However values of the Korean Modern History textbook and hard work of its authors should not be discarded on a wholesale. Perfection should be encouraged but it is rarely possible in reality. Thus, not only the authors but also interested individual researchers and academic conference participants should pay attention on this issue.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also contain debatable and controversial points. However it can be a reference material for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current Korean Modern History, as well as in authoring a new history textbook in the future. 새 정부에 들어와 『한국근현대사』 교과서를 둘러싼 논쟁이 뜨거웠고, 그 불씨는 아직도 꺼지지 않고 있다. 이 모습을 지켜보면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과서』를 객관적ㆍ중립적 입장에서 쓰기가 참 어렵다는 것을 새삼 깨닫는다. 하지만 『교과서』에 의미가 분명치 않거나 사실과 다른 부분이 없어야 한다는 점에는 누구나 동의할 것이다. 즉 ‘시각’이나 ‘비중’의 문제를 떠나 『교과서』의 내용은 분명하고 정확해야 한다. 이 논문은 이같은 매우 기초적인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이를 위해 기존에 나와 있는 6종의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제5장 ‘민족문화수호운동’ 내용의 ‘체제’ㆍ‘용어’ㆍ‘표기’ㆍ‘오류’ㆍ‘평가’ㆍ‘자료’ 등 분야로 나누어 검토했다. 그 결과, 총 5장 17절로 이루어진 교과서의 한 절인 이 부분에서만도 적지 않은 문제가 보인다. ‘체제’는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용어ㆍ표기의 일관성ㆍ적합성 결여, 역사적 사실과 다른 오류, 종래의 통설을 답습한 모호한 평가, 출처가 분명치 않거나 잘못 제시된 자료 등이 그러하다. 검인정인 만큼 특정 인물ㆍ사건에 대한 평가나 서술의 비중이 교과서에 따라 다를 수는 있다. 하지만 적어도 사실에 입각한 정확한 서술 객관적 평가, 출처가 분명한 자료의 제시 등은 이론의 여지가 없는 당위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기존 『교과서』들은 이 점에서 약간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학생들에게 교과서는 거의 ‘경전’과 같은 권위를 갖는다. 역사학을 전공한 교과서 저자들에게는 학생들에게 역사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시각을 알려주는 것이 물론 중요하겠지만, 그들이 수험생임을 고려한다면 논쟁의 여지가 적은 명확한 사실과 공정한 평가를 교과서에 담아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이같은 점을 염두에 두지 않는 저자는 없을 것이다. 기존 6종의 『교과서』 역시 오랜 시간 동안 신중에 신중을 더한 집필과 검토를 거쳐 이루어진 소중한 성과물들이다. 이런저런 문제들이 없을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교과서』의 가치나 여기에 쏟은 저자들의 노고는 결코 폄하될 수 없다. 완벽을 지향해야 하는 것은 당위지만 현실은 그리 쉽지 않다. 그래서 저자들 이외의 관련 연구자들이나 학회 차원의 관심과 격려가 필요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에 서술된 일제강점기 기독교 내용 분석

        김보림 한국일본교육학회 2008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2 No.2

        본 논문은 제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선택과목인 한국근현대사 6종 검정 교과서에 서술된 일 제 강점기의 기독교 관련 내용을 질적, 양적으로 분석하고 각 교과서의 특징과 문제점, 그리고 전 체적인 서술 방식의 대안을 고찰하였다. 교과서의 중립성으로 인한 기독교 관련 내용에 대한 소홀은 가장 큰 문제점으로 보다 적극적인 방안으로서 서술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때이다. 특히 한국근현대사에서 기독교가 미친 영향을 생각 할 때, 학교 현장에서 가르쳐지는 내용에 대해 고찰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교과서 서술에서 기독교의 개항기와 일제강점기의 단절문제, 신사참배거부운동과 같은 신앙과 민족운동의 서술상 이분화 문제, 다양한 관점의 부재 문제등에 대한 극복은 ‘제7차 교육과정 개정’ 에 따라 집필되어지는 교과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5·18민주화운동에 관한 고교 역사교과서의 서술과 학생의 인식

        이연선 ( Lee Yeon-sun )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0 인문학술 Vol.5 No.-

        5·18 민주화 운동은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갖고 살아가는 국가와 민족의 지표가 되고 있다. 이런 5·18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가치는 세계적으로 인정되어 지난 2011년 우리나라 현대사 중 처음으로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에 필자는 우리 학생들에게 5·18 민주화 운동에 관한 올바르고 폭넓은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이를 위해 현재까지 5.18 민주화 운동에 관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5·18 민주화 운동에 관한 연구는 5·18 민주화 운동 관련 단체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진행되어 당시 기록과 사진 등 자료수집부터 인권·평화 영역까지 확대되었다. 나아가 연구는 트라우마와 치유의 문제, 기억에 관한 문제, 세대 계승에 관한 문제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반면, 5·18 민주화 운동 교육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5·18 민주화 운동이 교수·학습법을 모색하는 주제로 이용되는 경우,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6종과 대안교과서의 5·18 민주화 운동 서술을 출판사별로 비교 분석한 연구가 있었을 뿐이다. 더하여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구조를 살핀 연구는 찾아 볼 수 없다. 이처럼 5·18 민주화 운동 교육의 연구는 양적, 질적인 연구가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5·18 민주화 운동 교육 연구의 초석을 다지는 작업으로 5·18 민주화 운동 교육 내용과 학생들의 인식을 고찰해 보았다. 교육 내용을 고찰해보기 위해 5·18 민주화 운동 서술이 처음 등장한 5차 교육과정부터 현재 7차 교육과정까지의 국·검정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 작업으로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서술의 내용 및 방향의 변화, 분량, 자료 사용 등을 살펴 현행 교과서의 5·18 민주화 운동 서술의 현재와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피기 위해 교육과정에 5·18 민주화 운동이 포함되어있는 학년의 중고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결과를 정리하였다. 중학생의 인식을 살피고 후 고등학생의 인식 살핌으로써, 우리나라 중등교육이 5.18 민주화 운동 교육에 끼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또한,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지역적 인식 차이가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고 판단되어 설문 결과를 학생들의 인식을 사건이 발생한 광주광역시와 광주광역시 외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공교육 교과서 내에서 5·18 민주화 운동의 서술은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점진적으로 양적·질적 증대가 이루어졌다. 5·18 민주화 운동 서술 관점은 전두환의 정권 획득 과정이라는 것에서 우리나라 민주화의 큰 흐름이라는 것으로 변화되었고, 점차 서술의 내용 및 범위, 관련 자료가 풍부해졌다. 설문을 통해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중고생의 인식이 발생지인 광주광역시와 그 외 지역으로 나뉘어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지역별 교육 기회와 교수·학습법의 차이가 원인이었다. 고등학생이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지식의 폭, 가치 인식의 긍정성 등이 중학생보다 높았는데, 이는 고등학교 역사 교육의 효과일 것이다. 학생들은 지역과 무관하게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학습의 욕구가 높았고, 다양한 부문에 의문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비해 공교육 내에서의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교육의 기회, 다양한 교수·학습법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교과서 또한 교육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검인정제가 채택되었지만,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의 교과서 선정기준에 맞춰 모두 5·18 민주화 운동의 서술 범위가 비슷하며 한정적이다. 5·18 민주화 운동은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요한 사건이고, 그 가치가 더 크게 인정받아 가는 만큼 공교육 주도의 5·18 민주화 운동에 관한 균형적이고 정확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교과서 서술이 다양한 관점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술 범위 또한 인물, 희생자 문제, 현대 사회에서의 역할과 의미 등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교수·학습법과 생동감을 주는 자료를 개발하여 학생들이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해 올바른 가치관과 계승 의지를 갖도록 해야 한다. 5·18 민주화 운동은 학생들이 세계시민으로 나아가는데, 바람직한 역사관과 세계관을 제공하는 우리나라 민주화의 자랑스러운 유산이다. 학생들이 5·18 민주화 운동의 가치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시도와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 출발점으로 5·18 민주화 운동 교육의 현재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이제 본고 외에도 교육계와 현장에서 5·18 민주화 운동에 관한 관심을 더욱 높여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인식, 교수·학습의 실제, 교과서 서술 방향, 효과적 학생을 위한 자료 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has been an indicator for the people and the nation of Korea that have been having aspirations of democracy. Since this historic value of the Movement has been recognized worldwide,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was designated as a UNESCO Memory of the World in 2011, which was extremely rare for a piece of modern Korean history. As the uprising received a huge credit for its historical value, it was necessary for Korean students to be informed with proper and extensive education. Therefore, this dissertation discusses how The May 18 Uprising has been taught in history classes and lessons at secondary schools. Since the study of the movement has been continued among the 518 Movement activist group, research varied from the collection of pictures and documents to human rights. The study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the areas of traumatic experiences, the problem of memory, and the problem of generational succession On one hand,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the May 18 movement is hard to find. But the movement as a topic of learning and teaching is only discussed for six different high schools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 and “Alternative Textbook”, which compares and analyzes the descriptions of the movement in different textbooks. Furthermore, it is hard to find any study on structure of recognition of students regarding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tudies on this topic are quite insufficient. This dissertation examined research on how students are educated on the May 18 Movement and how the students view the uprising by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f education on the movement. The textbook description was analyzed from the Period of 5th Educational Course which was the first time for the democracy to be mentioned up until the Period of 7th Educational Course. Also included in the research were the recent awareness and problems presen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n current textbooks based on the statements of the Uprising and directions of changes, quantity and the use of documents. In order to examine the awareness of Korean students of the Movement, a survey of the secondary students who studied the Movement in their curriculum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organized. The impact of Korean secondary education on the education of the Democratic Movement was studied from middle school students to highschool students. Also becuase the regionally different awareness of the Uprising could be the reason for the education, the result of the survey is divided into two groups; Gwang-ju and outside of Gwang-ju. The description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n public education textbooks has been gradually improved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The perspective of the description of the Movement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process of protests against Chun Do-hwan’s military regime to a huge wave of South Korean democracy. Also the description has been rich in quality. Through survey, the difference of perspective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examined based on the regional deviation; Gwang-ju and outside of Gwang-ju. The results were organized by the level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teaching-learning style. The group of high school students had more knowledge of the Movement and thought of it more positively than the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a result of studying history in high school. Regardless of their regions, students had high interest and desire to learn about the Movement and had questions in a variety of areas. On the other hand, public education did not offer enough opportunities or variable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current public education textbooks could not solve the questions students had due to the limited and generally similar descriptions of the Uprising. Since the May 18 Movement is a critical historic event and is still being recognized gradually, it is necessary for public education to provide a balanced and accurate education about the Movement. In order to do so, it needs to have diversified views on how to describe the Uprising and the description should be extended to the historic figures, the issues of victims and the meanings in modern society. Also, various authentic teaching-learning methods need to be studied to imbue a right sense of value and succession to students.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s a part of the proud legacy of Korean democracy for students to be global citizens and offer a valuable view of history and the world. There should continue to be educational trials and studies of the event for students to inherit and develop the spirit of the Movement. This dissertation goes through the current state of teaching the Movement and points out the problems. There is the hope that the secondary curriculum also focuses more on the Democratic Movement and helps to bring greater awareness of the Movement,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correct description of the issue in textbooks and developing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for students.

      • KCI등재후보

        친일지식인에대한 고등학생의역사인식

        이해영 한국역사교육학회 2010 역사교육연구 Vol.- No.11

        In history textbook, Pro-Japanese group was described national assignment to get rid of. It dosen't seem that "Banmin- law" which presented in textbook is a principle to choose Pro-Japanese group. According to Banmin- law, pro-Japanese group included a lot of soldiers, policemen and government workers. But in history textbook, they are less shown than writers and artists. There are not a clear reason to present writers and artists more then soldiers, policemen and high-ranking officials in history textbook. Maybe, I thought the textbook writers referred to the men such as Lee Kwang Su and Lee Wan Yong because they were extensively known to the public. Especially, most textbook covered Lee Kwang Su. The central figure in essay test which students made was Lee Kwang Su too. All the students criticized Lee Wan Yong entirely, on the other hand as for Lee Kwang Su it is still controversial. Many students criticized the behavior of Lee, but a few supported him and felt sympathetic. Some few students expressed their anger or sympathy about him without condition. and others made their opinion logically. Students criticized him for forgetting his role as a intellectual and for pursuing his individual secular interest. Some of them supported his masterpiece that will go down in literary history. Simultaneously, supporters after Lee expressed sadness that Lee can't but make pro-Japanese remarks in that period.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속 친일파는 어떻게 서술되었는지, 그리고 학생들은 친일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근현대사 교과서 속 친일파는 청산해야 할 민족의 과제로 서술되었다. 그러나 교과서에 제시된 반민법은 친일파 선정기준은 아닌 듯하다. 반민법에서 제시한 친일파는 군과 경찰에 관련된 관계자가 가장 많고 일제 강점기 관료를 거친 사람은 당연범으로 분류될 정도로 확연한 범죄를 저지른 인물인데도 교과서에서는 문인들의 비중이 높았다. 어떤 선정기준으로 이들이 교과서에 들어갔는지 명확하지 않다. 이광수와 같은 친일지식인, 한일합방의 주범인 을사오적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교과서에 수록한 듯하다. 특히, 대부분 친일파에 대한 서술은 이승만 정권의 반민특위활동 부분에 잠시 언급되지만 이광수는 3개의 교과서에 등장하면서도 2개의 단원에 걸쳐 활동이 나온다. 학생들이 작성한 논술 쓰기에서 친일파로 선정한 인물 또한 이완용과 이광수가 가장 많았다. 교과서의 영향이기도 하겠지만 이들이 친일파라는 사실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인물들이라는 점도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완용에 대한 평가는 비판이 대부분이었으나 이광수에 대해서는 소수이긴 하지만 옹호하고자 하는 학생이 있었다. 무조건적 분노나 동정도 있었지만 주로 이광수의 문학 활동에 대해서는 비교적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전개하였다. 이광수를 비판한 학생들은 문학 활동은 지극히 개인적인 일인데, 이런 개인적인 욕심을 위해 민족을 저버리고, 사회적 지식인이라는 역할을 버린 채 대중을 선동해 일제의 정책에 동조하도록 하였다고 주장했다. 반면, 이광수를 옹호하는 학생은 당시 일제의 정책에 동조하지 않았다면 문인으로서 위치를 잃게 되고 오늘날 이광수의 작품을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학생들은 이광수를 평가하면서 정서를 직접 보이기도 했다. 이광수를 비판하는 학생들은 주로 부끄러운 감정을 느낀 반면, 옹호하는 학생은 그 시대에 태어난 사람으로 어쩔 수 없었을 것이라는 안타까움을 표현했다. 이광수의 행적 중에서 평가의 논란이 되는 문학 활동에 대해서 학생들이 제대로 된 평가를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광수의 작품을 본문이 아니더라도 보충 설명 란에라도 직접 보여주어야 한다. 이미 누군가가 해 놓은 작품의 의의나 해석이 아니라, 그의 작품을 학생에게 보여줌으로써 당시 시대적 분위기를 파악하고 친일적인 요소를 찾아보게 하는 수업도 효과적일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역사교육과정의 변천과 근현대사의 비중

        신유아 전북사학회 2019 전북사학 Vol.0 No.55

        Until now, Korea's history curriculum has been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national and social needs. In particular, education in Korean history coincides with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and has become a political issue not only in terms of its content but also the publishing system. Through this series of situations, it would be meaningful to summarize the discussions that have been made around the textbook publishing system and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erms of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look at this, changes in the history curriculum, including the revision of the history curriculum and the compilation of history lessons, need to be addressed as well. In this article, we will take a brief look at the changes in the publishing system of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the compilation of history lessons among history curricula since the end of the Gwangbok period, and examine how the content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ve changed. At any time, history education in any country is difficult to achieve regardless of political and social realities. However, boundaries will still be necessary for history to be used too much for the present. 지금까지 한국의 역사 교육과정은 국가적․사회적 요구의 영향을 받으며 변천되어 왔다. 특히 ‘한국사’ 교육과정은 정치적 상황의 변화와 맞물리며 그 내용 구성은 물론 발행체제에 이르기까지 대중들의 관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었다고 말하기 어렵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해 보았을 때 교과서 발행제도를 둘러싼 그 동안의 논의를 정리해 보고, 교육과정의 내용구성 측면에서 가장 핵심이 되고 있는 문제인 근현대사의 비중에 관한 논의를 정면에서 다루어보는 것도 나름대로의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역사 교육과정의 개정 과정과 역사 교과의 과목 편제 등의 변화 역시 함께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광복 이후 지금까지 역사 교육과정 가운데 고등학교 ‘한국사’(舊 ‘국사’) 교과서의 발행체제 및 역사 교과의 과목 편제의 변천 과정을 대략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학생들이 배우는 내용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달라져 갔는지를 근현대사의 비중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어느 시대, 어느 국가의 역사 교육도 정치․사회적 현실과 무관하게 이루어지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러나 역사가 지나치게 현재를 위해 활용되는 현상에 대한 경계는 여전히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 근ㆍ현대사』 교과서에 실린 사료의 비교 분석과 제시 방안

        朴振東(Park Jin-Dong) 역사교육연구회 2008 역사교육 Vol.108 No.-

        There are six types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s in the current seventh curriculum. Within these textbooks, their spaciality is that they contain what is called historical material. The numbers and types are different between the textbooks. This study consists of sixteen different types of reading materials which are listed on the six textbooks mentioned. I have found the important materials has been included in textbooks after the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quotations from them.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emphasizing the quotations and the selections of the materials within the different textbooks and there are some unnatural contents expressed in them. Also there is a lack of consistency even though clarifying the titles and indicating the source in presenting the materials. When the textbooks are used by the teachers, they should complement if there are insufficiency. In the future of making textbooks we have the needs to treat the needed contents, and the system is needed in order for one to be able to use the precise and appropriate information.

      • 역사 교과서 서술에서 사실과 관점 :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수정 지시 파동을 중심으로

        양정현 부산대학교 효원사학회 2009 역사와 세계 Vol.- No.35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facts and standpoints in Highschool history textbook, especially 『Modem History of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rder of amendment at 『Highschool Modern History of Korea』 Textbook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08, Minister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ed that 『highschool Modem History of Korea』 was described ideologically prejudiced tone, and ordered amendment. This study conclude that items of amendment is the other way ideologically prejudiced conservatism. Authors and teachers protested the order. They emphasized that the oder of amendments were violation of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by joint consideration and research of historians and history teachers. There are many points of views and interpretation in History. In history classroom, Students should deal with many interpretation and points of views.

      • KCI등재후보

        한국사 교과서의 내용구성과 전근대·근현대사의 비중 문제

        신유아(YouA Shin)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7 한국교육논총 Vol.38 No.1

        현재 세계의 거의 모든 국가들은 자국사를 학교 교육과정 속에 편성하고, 이를 가르치고 있다. 과목의 편제 방식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겠으나, 자국사 교육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누구나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이는 국사가 국어와 함께 자기 정체성의 핵심이고, 통합의 중 추가 된다는 사실에 모두가 공감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국사과목은 일시적으로 교육 과정상 선택과목에 편제되었던 적도 있었고, 최근까지 수능에서 선택과목으로 편제되어 사실상 학생들이 관심을 갖지 않았던 시기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국사교육에 대한 홀대가 상당기간 지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정서는 언제나 국사를 소홀히 다뤄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고, 이러한 범국민적 공감대의 형성이 결국 한국사 수능 필수화 조치로 나타나게 되었다. 국사 교육의 필요성이 이처럼 강조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국사 교육은 언제나 ‘위기 , ‘난항 이라는 단어와 함께 언급되었다. 이는 물론 수능에서 굳이 선택하지 않아도 되는 국사를 학생들이 공부할 이유가 없다는 현실이 근본적인 배경이었지만, 국사 교과서의 방대한 분량과 그 내용 구성이 적절하지 않다는 점에도 원인이 있었다. 이 글에서는 한국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구성상의 핵심 쟁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Nearly every country in the world now has the education of its own history in school curriculum.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nationality of each country, each has a common perception that history education is important. This is because everyone agrees that the nation s national identity is the core of its identity, and that it forms the backbone of national unity. In Korea, history textbooks were temporarily organized in selective courses and until recently were chosen as subjects of choice in the CSAT. However, despite the repeated neglect of national history education, the national sentiment should not always be neglected, and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consensus will eventually prove to be a necessity for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s CSAT. Despite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Korean history, education has always been mentioned in conjunction with the word crisis and stalemate . This article looks at the key issues in the history of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history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