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손미 ( Mi Shon ),하정문 ( Jung Moon Ha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메타분석법을 적용하여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습효과(인지영역, 정의적 영역)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연구된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의 효과를 검증한 석·박사 학위논문 49편을 대상으로 총 93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효과크기에 대한 변인 간 차이는 ANOVA검정을 적용하였으며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습 효과의 향상에 미치는 평균 효과크기는 .81로 큰 편이었고, U3값이 79.16%를 나타내어,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29.16%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은 사회, 과학, 실과 등 비교적 전 교과영역에서 학습효과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 중등, 고등, 성인 교육에서 비교적 전반적으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면대면 학습환경 뿐만아니라 웹기반, 불랜디드 학습환경에서도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대상 인원과 관련하여 문제중심학습은 학습대상의 인원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중심학습의 종속변인에 대한 평균효과크기는 인지적 효과가 .69, 정의적 효과가 1.10로 나타나 문제중심학습은 인지적 학습효과 및 정의적 학습효과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의 양적연구만을 대상으로 분석되었지만 보다 명확한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문제중심학습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질적 자료에 대한 메타분석이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of teaching-learning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using meta-analysis method. Forty nine MA and Ph.D degree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07 were analyzed and 93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verifications of the differences among variables were carried out with F-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learning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turned out to be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effect. The total mean effect size was as big as .8819 and the value of U3 was 79.16%. The teaching-learning group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increased learning effect by 29.16%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cognitive domain was .69 and all each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of cognitive domain showed medium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Thir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affective domain was 1.10 and all each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of cognitive domain showed high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Forth, in terms of subjects,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s for social studies, science, home economics, and others. Also, it was prov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 for elementary, secondary, and university students with medium effect size of over .68. Fifth, in terms of learning environments,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s to be used for all face-to-face, computer-mediated,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with the effect size of over .6591. Also, it was prov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 regardless of the treatment duration with the effect size of over .74.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과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간호학 수업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양승희(Yang Seung-Hee),이정은(Lee J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대학 간호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과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2018년 6월 23~30일 동안 자료를 수집하여 문제중심학습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물 37편과 팀 기반 학습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물 27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문제중심학습의 전체 효과크기는 0.438로 중간 크기였으며, 팀 기반 학습의 전체 효과크기는 0.830으로 큰 크기로 나타났다. 문제중심학습은 학습자의 임상수행 능력에 큰 효과를 보이며, 전 공 지식, 창의성, 학습태도, 학습만족도, 문제해결력의 순으로 중간 크기의 효과가 있었다. 팀 기반 학습은 학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 지식의 세 종속변수에서 거대 효과가 있었으며, 문제해결력에 큰 효과, 효능감과 대인관계, 자기주도적 학습에 중간 효과가 있었다. 또한 두 가지 학습방법 모두 전공능력 영역에서 가장 큰 효과가 나타났으며, 개인역량과 학습태도에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 영역에서 문제중심학습과 팀 기반 학습을 더욱 적극적으로 수업에 활 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blem-based learning(PBL) and the team-based learning(TBL) in the field of nursing education.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during 2018. 6. 23~30. For this meta-analysis, 37 studies related to PBL and 27 studies related to TBL were u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overall effect size of PBL was 0.438, indicating medium size and that of TBL was 0.830, indicating large size. In the PBL, clinical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and medium effect was found in order of knowledge, creativity, learning attitude, learning satisfaction, and problem solving. In the TBL, there was huge effect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clinical performance, and knowledge, and there was large effect on the problem solving. In addition, both of the PBL and TBL showed the greatest effect in the area of nursing competence and also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individual competence and learning attitu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that PBL and TBL should be used more actively in the field of nursing.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전략 효과성 인지, 선호 및 활용

        안다휘(Dahwi Ahn),이희승(Hee Seung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3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이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얼마나 잘 알고 있고, 선호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7개 중요 학습전략(정보양식효과, 정적매체학습, 매력적인 군더더기 부재학습, 시험, 분산학습, 교차학습, 생성학습)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효과성 인지, 선호, 활용을 묻는 시나리오 기반 설문을 구성하였다. 이와 함께 학점과 메타인지적 자기조절을 측정하여 어떤 학생들이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잘 알고, 선호하고, 활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4개 전략(정보양식효과, 매력적인 군더더기 부재학습, 정적매체학습, 교차학습)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학생이 학습전략의 효과성을 잘 모르고 있었으며 2개 전략(시험, 생성학습)에 대해서도 절반가량의 학생만이 그 효과성을 제대로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국내 대학생은 효과적인 학습전략에 대해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학점은 학습전략에 대한 효과성 인지 및 선호와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활용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메타인지적 자기조절은 일부 학습전략에 한하여 효과성 인지, 선호 및 활용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에게 효과적인 학습전략에 대한 교수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학습전략에 대한 효과성 인지와 선호를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두 변인이 서로 다른 구인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metacognitive awareness and preference of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To achieve this goal, a scenario-based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metacognitive awareness, preference, and use of seven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modality effect, static-media presentations, absence of extraneous details, testing, distributed learning, interleaved learning, generation) that were empirically supported. This study also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de point average (GPA),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and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to investigate which students know about, prefer, and us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The majority of students were unknowledgeable about four of the seven strategies (modality effect, static-media presentations, absence of extraneous details, interleaved learning). Only half of the students were correctly aware of effectiveness of the two strategies (testing, generation). Moreover, students showed low preference for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GPA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etacognitive awareness and preference of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however, i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use of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Only for a few learning strategies, metacognitive self-regul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tacognitive awareness, preference, and/or their us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teach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to undergraduates with a specific direction of instr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distinguishes metacognitive awareness from preference, suggesting that these two may reflect different constructs.

      • KCI등재

        중등 영어 학습부진 학생 교수⋅학습 처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민채령(Chaeryeong Min),민찬규(Chan Kyoo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교 영어 교과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교수⋅학습 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2년 2월까지 발표된 중등 영어 학습부진 지도 관련 연구 중 연구 적격성 기준을 통과한 실험 연구 68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개별 연구 세부 요인별 개별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연구별 평균 효과 크기, 중등 영어 학습부진 학생 교수⋅학습 처치의 전체 효과를 순차적으로 산출하였다. 아울러 종속변인별 효과(영어 능력, 정의적 영역), 조절변인별 효과(연구 설계 유형, 지역, 학교급, 편성 인원, 처치 기간 및 차시), 독립변인별 효과(교수⋅학습 처치 방안 10개 유형)를 세분화하여 효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중등 영어 학습부진 교수⋅학습 처치의 전체 효과는 0.741로 중간 효과 크기를 나타냈으며, 영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0.787,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0.949이었다. 다양한 지도 방안(게임 및 노래, 읽기 자료 활용, 기능중심 교수, 언어요소 교수 등)과 교수 처치와 관련된 각종 요인(처치 기간 및 시간 등)이 중등 영어 학습부진 교수⋅학습 처치의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결론 중등 영어 학습부진 교수⋅학습 처치는 학습부진 학생의 영어 능력 신장과 정의적 영역 개선에 효과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중, 고등학교 현장에서 영어 학습부진 지도 방향 설정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ify the effects of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for underachievers in secondary schools through a quantative meta-analysis. Methods 68 experimental stud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dependent variables (English proficiency, affective domain), controlled variables (research type, region, school type, group size, instructional period and duration), and independent variables (10 types of instructional methods and approaches). Results The result of the meta-analysis was tha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741. The effect size of English proficiency was .787, and the effect size of affective domain was .949. Some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some subcategories of each variable. Conclusions Almost all teaching types and methodologies were effective to some extent in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for underachievers in secondary schools, however the effect siz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variables.

      • KCI등재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2000년 이후에 발간된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구병두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in cooperative learning using the meta-analysi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8 academic journal, published from 2001 to August 2012 were analyzed and 54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questions to be answered. Problem 1: How large is the grand mean effect siz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cooperative learning selected in this study?Problem 2: How large are the mean effect sizes of the each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selected in this study?Problem 3: How large are the mean effect size of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sex, age(grade), curriculum area, publication year selected in this study?Problem 4: How large are the mean effect sizes of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academic ability of students?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The grand mean effect siz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cooperative learning selected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44. 2. The mean effect sizes of the each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selected in this study, structural cooperative learning model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its effect size being .91. The second highest one is Jigsaw whose effect size is .72. On the other hand,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was proved to have the lowest effect size in this study. 3. Cooperative learning is effective for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ighschool students. Cooperative learning is most effective in fine arts subject but less effective in mathematic. 4. Cooperative learning is effective for academic achievement of low learning ability students.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01년도부터 2012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논문 48편 가운데 54개의 효과크기 수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협동학습 각 모형들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협동학습 실시 대상의 성별, 학교급별, 실시 교과목에 따라 협동학습의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넷째, 학생들의 학습능력 정도(상위, 중위, 하위)에 따라 협동학습의 학업성취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협동학습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44(r=.21)로 나타나 실험집단의 효과는 67.00퍼센타일로 17퍼센타일 만큼의 증가를 보였다. 둘째, 협동학습의 모형들 중 학업성취에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모형은 구조중심 협동학습과 Jigsaw로, 타 모형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효과가 큰 모형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협동학습의 실시 대상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 효과는 남녀혼합집단이, 실시 대상에 따른 학업성취 효과크기는 초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실시교과목에 따라서는 예체능과 과학 교과의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협동학습에 있어서 학생들의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 효과는 하위집단, 중위집단, 상위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습조직화,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유정(Yu jung LEE),임규연(Kyu Yon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본 연구는 학습조직화,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 계를 확인하고,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학교조직효과성의 초점을 교사에게 두고 교사의 핵심역량인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효능감과 학습조직화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교사 개인차의 이해와 조 직차원의 학습조직 수준을 모두 고려하여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분 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81명을 대상 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모형 및 구조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 결과, 학습조직화,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 사이에 의미 있는 구조적 관계 가 성립하였다. 둘째, 모형에 포함된 변수들의 직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조직화 가 교사효능감에, 학습조직화가 수업전문성에, 학습조직화는 학교조직효과성에, 교 사효능감이 수업전문성에, 교사효능감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수업전문성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모형에 포함된 변 수들 간의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사효능감은 학습조직화, 수업전문성 간에, 수 업전문성과 교사효능감은 학습조직화, 학교조직효과성 간에, 수업전문성은 교사효 능감, 학교조직효과성 간에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teacher efficacy, teaching competencies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effective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281 teachers in middle school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 was found among learning organization, teacher efficacy, teaching competencies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verification on appropriateness of the measuring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Second, results of analysis on direct effect of the variables in the model show significant direct effect 1) of learning organization on teacher efficacy, 2) of learning organization on teaching competencies, 3) of learning organization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4) of teacher efficacy on teaching competencies, 5) of teacher efficacy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6) of teaching competencie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results of analysis on indirect effect of the variables in the model show significant indirect effect 1) of learning organization on teaching competencies through teacher efficacy, 2) of learning organization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eaching competencies, 3) of learning organization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eacher efficacy and 4) of teacher efficacy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eaching competencies.

      • KCI등재

        개념 및 범주 학습에서 수행 피드백과 메타인지적 활동이 학습전략 효과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

        김세진,이희승 한국교육심리학회 2022 敎育心理硏究 Vol.36 No.1

        Learners need to us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in order to efficiently achieve their learning goal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formance feedback and metacognitive activity on the evaluation of learning strategy effectivenes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Korean undergraduates (N=236). Participants studied painting styles of various artists with interleaving and blocking strategies, completed a transfer test, and then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strategies. The provision of performance feedback and metacognitive activity was manipulated between the testing and evaluation phase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ata from 210 participants; performance feedback and metacognitive activities were includ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valuation of learning strategy effectiveness w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performance feedback helped increase awareness of the interleaving effect. The larger the interleaving effect was, the more likely the learner was to recognize the interleaving benefit. The effect of metacognitive activity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 learning goal was provided. Although the effect of metacognitiv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when participants had to identify learning goals on their own (Experiment 1), when participants were given specific learning goals (Experiment 2) they were able to recognize that interleaving was more effective than blocking through metacognitive activity, even without the performance feedback.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for students to appropriately evaluate learning strategy effectiveness on their own, they should first be provided with clear learning goals and specific performance feedback. 학습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는 먼저 어떤 학습전략이 효과적인지 아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전략별 수행 피드백과 학습전략에 대한 메타인지적 활동이 학습전략 효과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생(N=236)을 대상으로 두 개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은 개념 및 범주 학습에서 효과성이 높은 교차학습전략과 효과성이 낮은 묶음학습전략을 활용하여 화풍을 학습하고 전이시험을 본 뒤 두 학습전략 중 어떤 학습전략이 더 효과적인지 판단하였다. 이때, 시험과 효과성 판단 사이에 수행 피드백과 학습전략에 대한 메타인지적 활동 여부를 조작하였다. 총 210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행 피드백과 메타인지적 활동 여부를 독립변인으로, 학습전략 효과성 판단을 종속변인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수행 피드백은 학습전략 효과성 판단에 도움이 되었으며, 수행 피드백의 효과는 학습자가 경험한 교차효과가 클수록, 즉 교차학습 점수가 높고 묶음학습 점수는 낮아 두 학습전략간 점수 차이가 클수록 커졌다. 반면, 메타인지적 활동의 효과는 학습목표 제공 여부에 따라 달라졌다. 학습목표를 참가자 스스로 파악한 경우(실험1)에 메타인지적 활동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참가자가 학습목표를 명시적으로 안내받고 메타인지적 활동을 수행한 경우(실험2)에는 수행 피드백을 보지 않아도 학습전략 효과성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전략의 효과성 판단에 있어 구체적이고 명확한 학습목표와 학습전략에 따른 수행 피드백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환경과 학습동기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영주(Moon Young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이 연구는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환경과 학습동기가 학습효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학습몰입을 통해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같은 이러닝 교과목을 수강하는 3개 대학의 수강생 6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최종 수집된 506명의 자료로 구조방정식모형의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분석을 시행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여 매개 효과 분석을 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환경은 학습효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을 위한 운영지원, 이러닝 시스템, 학습내용,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뛰어날수록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 지속의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학습동기는 학습효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자의 내적동기와 자기조절학습동기가 높다고 해서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 지속의향이 높아지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환경과 학습효과, 그리고 학습동기와 학습효과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러닝 학습환경이 잘 조성되고 학습자의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몰입도를 높여 결과적으로 학습효과를 높이는 데 이바지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효과분해 결과,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학습환경의 직접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수학습개발센터의 적극적인 운영지원, 정보전산원의 시스템 보강, 교수자의 충실한 교과내용 구성 및 학습자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learning environment and motivation have a direct effect on the learning effect of e-learning students through learning flow.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600 students at three universities who had been taking the same e-learning course. The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 analyses of the SEM were conducted for the final data of 506 survey respon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using bootstrapping. Results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directly affected the learning effect. In other words, the better the operational support for learning, the e-learning system,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instructor, the higher th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class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continue. On the other hand, learning motivation did not show a direct effect on the learning effect, indicating that a high-level internal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of learners do not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 class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continue.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effect, and between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effect,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w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a well-created e-learning environment and a high learning motivation lead to an increase in the learning flow, resulting i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effect. In particular, the effect decomposition revealed that a learning environment has the greatest direc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learning effect. Conclusions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active operational support from the CTL, the reinforcement of the systems at centers for information and computing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smooth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essential.

      • KCI등재

        조직학습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의 조절효과: 중국 공기업 사무직 종사자를 중심으로

        Li XuNing,박윤희(Park, Yoon-Hee) 한국비서학회 202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0 No.2

        많은 조직에서 치열한 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학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 공기업은 국가 재정의 주요 수입원 역할을 하는 동시에 많은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는 중국 공기업 사무직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조직학습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조직학습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산동성의 4개 도시의 공기업에 재직하는 사무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50명의 응답결과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학습의 하위요인인 적응적 학습과 생성적 학습은 모두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학습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는 부분적으로 조절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열의의 하위요인인 활력은 적응적 학습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정적인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생성적 학습과 조직몰입,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부적인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헌신은 적응적 학습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정적 조절효과를 나타냈지만, 생성적 학습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부적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두는 적응적 학습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나, 생성적 학습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부적인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중국 공기업의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learning perceived by office workers of state-owned enterprises (SOEs) in China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ample of the study was incumbent office workers of SOEs in four cities in Shandong Province, China. A total of 250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adaptive learning and generative learning,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learning,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job engagement partial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은행영업점단위 학습조직에서 지점장의 학습지원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은덕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에서는 은행의 영업점 단위 학습조직에서 지점장의 학습지원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학습지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학습조직의 구성요소 중 주요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효율적인 학습조직운영방안을 제시하고 궁긍적으로 은행영업점의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을 통해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먼저, 조직효과성에 대한 학습지원리더십과 학습지향성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변인들의 관계에서 정적 영향과 부적영향을 주는 하위요인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본 결과 학습지원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학습지향성을 고려할 때 개인학습지향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습조직 내에서 개인학습지향성이 큰 구성원은 자발적으로 조직효과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지점장은 은행영업점 학습조직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개인학습 지향성에 대한 사전 분석을 선행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학습지원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학습지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가 제시한 단계에 따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단계별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학습지원리더십은 학습지향성에 영향을 주고, 학습지향성은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주며, 학습지원리더십은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지원리더십이 학습지향성을 매개로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은행영업점의 학습조직 운영이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학습조직리더십과 학습지향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금융기관 중 은행영업점의 학습조직 운영 형태를 살펴봄으로써 구성원들의 학습활동을 촉진시키고 조직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