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송대 학습준비 진단도구 및 학습안내 프로그램 개발

        주형선, 최효선, 연은경, 남나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6 정책과제 Vol.2016 No.-

        방송대 학생들은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성인학습자로서 다양한 삶의 과업을 해결하면서 학업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학생 개개인의 학습동기와 진로계획뿐만 아니라 직장과 가족의 사회적 지원, 대학의 학습자지원 서비스 등 다양한 요소가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학습자 스스로 학습시간과 공간, 진도를 조절해야 하는 원격교육 환경에서 학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자율적으로 학습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대학 당국은 방송대 학생들이 학업을 지속하는데 있어 입학 초기 적응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방송대 생활알기’와 같은 동영상 자료와와 ‘대학생활 안내’ 및 ‘방송대 학습 길라잡이’ 등과 같은 책자를 통해 학생들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원격대학교육의 이해’라는 안내 강좌를 개설하여 신 편입생을 대상으로 수강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신 편입생의 초기 적응을 위해 학교에서 제공하는 이들 서비스는 방송대의 학사운영과 수업, 평가제도, 학습자 지원서비스에 대한 일방향적인 정보 제공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학습해야 관련 정보를 습득할 수 있고, 학습자에 따라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좀 더 효과적으로 신 편입생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본격적인 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방송대 학생들의 대학생활에 대한 준비도를 측정하고 진단결과에 따라 학습을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신 편입 입학생들이 대학생활 및 학업에 대한 준비도를 스스로 점검해 볼 수 있는 ‘방송대 학습준비도 진단도구(안)’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이러닝 준비도, 이러닝 학습전략, 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권성연(Kwon Soung 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환경에서 이러닝 준비도, 이러닝 학습전략, 이러닝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자기주도학습법’ 온라인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원격대학원 재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시스템을 통해 이러닝 준비도, 학습전략,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약 2주간 이루어졌으며 설문에 응한 학생은 총 172명 이었다. 자료수집 후,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통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이러닝 학습전략 수준은 양호하였으나, 이러닝 준비도에서 ‘정보공유 및 관리’, 이러닝 학습전략으로 ‘과부하통제’와 ‘비동시성 통제전략’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이러닝 준비도, 학습전략, 만족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이러닝 준비도와 이러닝 학습전략의 하위요인들이 이러닝 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정보처리전략, 사회적 상호작용, 다중토론전략 순으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이러닝 준비도와 이러닝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이러닝 학습전략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volved in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 and outcome in e-learning environment of adult learners. For this study, the survey of e-learning readiness, e-learning strategy, and student satisfaction were conducted to a cyber graduat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learning readiness and e-learning strategy was generally high, however, ‘information sharing and managing’(from e-learning readiness), and ‘overload management strategy’, ‘asynchronous management strategy’(from e-learning strategy) were relatively low.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three variables(e-learning readiness, e-learning strategy, and satisfaction) and their sub factors were positive. Third, information-processing strategy, social interaction, group discussion strategy had a main effect on students’ satisfaction in order. Fourth, e-learning strategy had a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readiness and student’s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교원의 강의준비태도와 학습자의 학습태도와의 관계분석

        유정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titude of university professors to prepare for lectures and the attitude of students to attend lecture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iness of university professors to prepare for lectures and the attitude of students to lear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m. For this purpose, 112 university professors in A university were asked about the attitude of preparing for the lecture, and 3,177 learners who took their lectures were asked about the attitude of learn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adiness of the university professors (the setting of the lecture goal, the preparation level of the lecture contents, the expected understanding of the lecture, and the difficulty recognition) were closely related to the learning attitude (the learning goal recogni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ontents, the learning participation, the learning interest, the learning time, the teacher's passion recognition, the class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nd discussed the importance of university professors' attitude toward lecture preparation and the necessity of teaching method training for university professors. 이 연구는 대학교원의 강의준비태도와 그 강의를 수강하는 학습자들의 학습태도를 조사하여 대학교원의 강의준비태도와 학습자의 학습태도와의 관계를 밝히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A대학의 대학교원 112명에게는 강의준비태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들의 강의를 수강하는 학습자 3,177명에게는 학습태도를 묻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교원의 강의준비태도(강의목표설정(유형), 강의내용 준비수준(난이도), 기대되는 강의이해도(학생수, 강의내용), 강의의 문제점인식(유무, 종류))는 학습자들의 학습태도(학습목표 인지도, 학습내용 이해도, 학습 참여도, 학습 흥미도, 학습시간, 교수자의 열정 인식정도, 수업추천의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원이 설정하는 강의목표 중 가장 많은 것은 지식전달로 나타난 반면, 대학교원이 강의목표를 문제해결력 및 의사결정능력 개발로 설정하면, 학습자들의 학습내용 이해도, 학습 참여도, 학습 흥미도, 학습시간, 교수자의 열정 인식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교원이 준비하는 강의내용의 준비수준(난이도)과 기대되는 강의이해도는 실제로 학습자들의 학습내용 이해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원이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기대감이 높으면, 실제로 학습자들의 학습내용 이해도가 높아졌고,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기대감이 낮으면, 실제로 학습자들의 학습내용 이해도는 낮아졌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대학교원의 강의준비태도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조직구성원들의 학습접근방식이 조직변화준비도에 미치는 영향과 LMX, TMX의 조절효과

        주세용,홍아정,박진희 한국인력개발학회 2019 HRD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ployees’ learning approaches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LMX and TMX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 self-reporting survey were conducted for team members who were not in charge of team leadership in domestic A company.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ep learning approach and the surface–rational learning approach had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and the surface–disorganized learning approach negatively impacted.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ep learning approach and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LMX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rd, when the deep learning approach and the surface-rational learning approach had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TMX showed a static strengthening effect. This study has focused on approaches to learning in the individual dimension as a leading factor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and it is meaningful to study the integration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 as the control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research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depth research on other variables promoting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at various levels such as individual, team, and organization, and widening the horiz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is required. 본 연구는 일터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학습접근방식이 조직변화준비도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인 사이의 관계에서 LMX와 TMX의 조절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A기업의 사무직 팀원 2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3과 AMOS 23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 학습접근방식, 피상-합리 학습접근방식은 조직변화준비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피상-무질서 학습접근방식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심층 학습접근방식과 조직변화준비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LMX는 두 변인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반면 두 독립변인인 피상-합리 학습접근방식과 피상-무질서 학습접근방식은 종속변인 조직변화준비도와의 관계에서 모두 LMX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심층 학습접근방식 및 피상-합리 학습접근방식이 조직변화준비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때 TMX는 정적인 강화효과를 보였다. TMX의 질이 높을수록 조직변화준비도의 수준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피상-무질서 학습접근방식과 조직변화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TMX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조직변화준비도를 높이는 선행요인으로써 개인차원에서는 학습접근방식에 주목하였고, 조직 내 사회적 교환관계를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여 개인과 조직의 통합적 관점으로 연구한 것이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개인, 팀, 조직 등 다양한 수준에서 조직변화준비도를 촉진하는 다른 요인들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로 이론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인적자원개발 연구의 지평을 넓혀가는 것이 요구된다.

      • KCI등재

        비대면 상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 이러닝 준비도,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안정민(Jeong Min Ahn),이경옥(Kyung Ok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 상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 이러닝 준비도,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성과를 살펴보고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열정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에서 이러닝 준비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토하였다. 방법 서울, 경기도, 충청북도에 소재한 7개 대학의 유아교육과 재학생 42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신입생인 1학년의 이러닝 준비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학습성과와 교직열정 하위요인, 이러닝 준비도 하위요인, 자기조절학습능력 하위요인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교직열정과 이러닝 준비도에서 학습성과에 이르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결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닝 준비도는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력보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로 한 설명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직열정은 학습성과에 이르는 직접효과와 더불어 이러닝 준비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로 한 간접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상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학습성과에 있어 교직열정, 이러닝 준비도,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ssion for teaching, e-learning readines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outcomes in untact situations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if their e-learning readines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outcome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Methods Data collected from 421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seve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buk-do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eshmen s e-learning readiness and self-study ability were significantly low. Second, all the sub-factors of the learning outcomes of preservic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assion for teaching, e-learning readines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ssion for teaching and e-learning readiness with learning outcom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was found. E-learning readiness showed indirect effects throug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ather than direct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Passion for teaching showed indirect effects throug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direc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which show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Under the untact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long with passion for teaching and e-learning readiness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outcomes of pre-service teachers at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이러닝준비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종선 ( Jong Sun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이러닝준비도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 자기주도학습, 온라인 관계형성, 온라인 읽기, 동영상 학습콘텐츠,팀 프로젝트, 수업성공을 위한 요소 등의 7개 영역, 38문항으로 구성된 이러닝준비도 조사도구를 사용하였다. A사이버대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러닝준비도 설문을 실시하여 1,375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고,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사이버대학교 학습자들의 7개 영역에 걸친 이러닝준비도 조사결과는 평균 3.91로 나타나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보통 수준 이상의 역량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둘째로, 이들의 이러닝준비도 요인이 학업성취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주도학습, 수업성 공요소, 온라인 읽기 변인이 학업성취와 상호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이러닝준비도 요소가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 요인과 수업성공요소가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의 이러닝학습을 위한 준비도 특성을 파악하고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실증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수자들은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그들의 학습대상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에게 적합한 수업활동을 지원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relationships with e-learning readi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n adult learners of cyber university. To do this, e-learning readiness consisting of seven areas and 38 questions such as techniques, self-directed learning, online relationships, online reading, video learning content, team projects, and success factors for teaching were used to investigate tool. In this study, e-learning readiness survey response data were analyzed for 1,375 student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Pearson was conducted.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arning readiness survey results across the seven areas of cyber university student recognized an average 3.91 and the majority of learners have a more normal level competence. Second, the results of e-learning readiness factor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have some relationship to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classroom success factors, team projects, online reading had a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that e-learning readiness factors of cyber university learners does th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and teaching success factors was found on a small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nature of e-learning readiness for the cyber university students and may be used as empirical data to understand what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nstructors will determine the nature of their learning targets by taking advantag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be able to take to support classroom activities for them.

      • KCI등재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업적응지원을 위한 원격학습준비도 진단도구 개발

        최효선(Hyoseon Choi),연은경(Eunkyoung Yeon),남나라(Nara Nam),주형선(Hyungson Ju)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3

        국내외 원격대학에서는 성인학습자의 학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준비도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대학생활 준비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학습방법을 안내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습준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학습준비도 진단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문헌 및 사례 분석,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습준비도 진단도구의 영역, 요인 및 문항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는 전문가, 대학 실무담당자, 원격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쳐 타당화하였다. 그 결과,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습준비도 진단도구를 ‘성인학습자로서의 준비’, ‘원격학습자 역량’, ‘대학생활 알아보기’ 등 3개 영역 총 8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원격학습준비도 진단도구의 타당성 분석 결과, 진단도구는 신뢰롭고 타당하여 진단도구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단도구에 대한 학습자 반응 역시 대체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습준비도 진단도구는 원격대학 학업적응을 지원함으로써 여러 학습자의 학업지속 동기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a distance learning, it is gradually getting attention to measure the distance learning readiness of distance learners by using learning readiness tools as a way to support learner’s distance learn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diagnostic tool that can measure the distance learning readiness of the distance learners. Th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analysis of learner’s learning process wer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readiness tool. As a result, the area of the learning readiness tool of the distance learners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preparation as an adult learner’, ‘competencies of a distance learner’, and ‘learning students’ life’. The results of the three-phase validations for experts, college practitioners, and distance learners showed that the developed learning readiness tool was reliable and valid enough to be used as a learner support tool. It is expected that the distance learning readiness tool for distance learners can improve learning competencies by supporting distance learning adaptation.

      • KCI등재

        성인의 학습준비도와 청소년기 학습흥미도 간의 관계 국제 비교: PIAAC과 PISA의 활용

        전하람(Haram Jeon),이경양(Kyoungyang Lee),임은희(Eunhee Lim),윤민주(Minju Yu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평생교육 참여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태도인 성인의 학습준비도(Readiness to Learn; RtL)를 결정하는데 있어 청소년기 학습흥미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 성인역량평가(The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에서는 한국 성인 학습자들이 다른 참여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습준비도가 낮음을 보고한 바 있다. 성인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 및 국가 수준의 변인 중, 본 연구에서는 국가 아비투스(National habitus)의 개념을 적용하여 청소년 시기의 학습흥미도가 성인이 되었을 때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PIAAC 2011년 조사에 참여한 9개국(노르웨이, 덴마크, 미국, 스웨덴, 아일랜드, 이탈리아, 체코, 핀란드, 한국)의 25~34세 7,742명을 대상으로 PISA 2000에서 수집된 15세 청소년기 읽기 및 수학 흥미도 국가 평균점수가 성인의 학습준비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다층모형(Multi-level regression model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 및 국가 수준의 통제변수를 고려한 후에도 청소년기의 국가 평균 읽기 및 수학 흥미도가 성인 개인의 학습준비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이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제비교 분석에서 꾸준히 제기되어 온 한국 청소년의 낮은 학습흥미도가 성인의 학습준비도 저하 등 평생학습 참여 활성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o observe whether the adolescent learning intere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termining adult learning readiness (RtL), which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attitude to promote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The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reports that Korean adult learners are relatively less prepared to learn than the equivalents in the participating countries. Among the variables at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that can determine the level of RtL, this study applied the concept of national habitus to examine the long-lasting effect of adolescents’ learning interests on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vel of RtL in adulthood.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national average of reading and math interest in adolescents aged 15 collected in the PISA 2000 on their RtL of 7,742 people aged 25 to 34 from 9 countries who participated in the 2011 survey, employing multi-level regression model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ven after considering the control variables at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the national average reading and math interest in adolesc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arning readiness of adult individual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ointed out that the low learning interest of Korean adolescents, which has been steadily noticed in comparative studies in education, had a negatively effect on RtL and consequently the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learning among adults. As conclusion, relevant theore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민첩성과 경력준비행동의 관계 : 대구ㆍ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정홍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변인 간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지역 대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경력준비행동, 학습민첩성 척도를 사 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분석은 SPSS 26.0과 AMOS 21.0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학습민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대학생활적응은 경력준비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학습민첩성은 경력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 막으로 학습민첩성은 대학생활적응과 경력준비행동 사이를 완전 매개함으로써 경력준 비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민첩성이 대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적응과 경력준비행동을 연결짓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 을 시사한다. 즉, 대학생의 경력준비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학습민첩성 수준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습민첩성을 높이기 위해서 교수자는 참여형 학 습환경을 조성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하고 학습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대학차원에서 재학생의 경력준비행동이 실제로 발현될 수 있도록 진로설계와 관련된 교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선정하여 자신의 진로를 성찰하고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대학생활적응이 경력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학습민첩성이 매개할 경우에만 경력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은 두 변인 간의 관계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 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using the student adaptation to university questionnai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learning agility scales. 163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1.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t is expected to b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tools and it was targeted at Daegu and Gyeongsangbuk-do. Seco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agility. Third, learning ag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nally, learning agility completely mediated betwee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is, even if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s high, it may not tak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college students with high learning agility can reinfor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is suggests that learning agility plays a key role in linking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other words, to enha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level of learning agility. Therefore, to increase learning agility, educators should create an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freely express their opinions and share their learning experiences. Furthermore, at the institutional level, university should makes career planning courses mandatory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reflect on and prepare for their career path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esen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교수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 대구·경북권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홍인(Jeong Hongin),우성미(Woo Sungm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환경과 COVID 19 로 대학생들의 진로준비에는 많은 혼란이 초래되었고, 대학과 교수의 역할에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시급히 규명하여 취업시장 한파를 돌파할 수 있는 준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교수지지의 역할과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수지지, 진로준비행동, 학습민첩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변인 간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권 내 4년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165명의 데이터는 SPSS와 AMOS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지지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지지가 높을수록 학습민첩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민첩성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수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 학습민첩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수지지와 학습민첩성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며, 교수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학습민첩성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과 교수는 학생이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준비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사회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새로운 것을 학습할 수 있는 역량으로 학습민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학생의 학습민첩성과 진로준비행동에 교수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밝혀진 만큼, 교수 본연의 역할인 학습과 진로지도 역량을 제고하고 학교 또한 교수의 역량 제고를 위해 필요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상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COVID 19 have caused a lot of confusion in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professors is also required.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rofessor suppor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learning agility were reviewed, and the model between variables was established based on this. For the practical verification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nd 165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1.0 program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ofess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rofessor support, the more sensitive it was to learning ag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arning agility, the more significant it had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nally, it was found that learning agility between professo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rtially mediat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rofessor support and learning ag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at learning agility must be sensitively expressed in order for professo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be connected.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universities and professors should pay attention to help students prepare for a career that suits them, and improve learning agility with the ability to flexibly respond to social changes and learn new things. In addition, as it has been found to be a prerequisite for students learning ag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original role of professors, learning and career guidance capabilities, and schools should also actively provide necessary support to enhance professors capabiliti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