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어 학습을 통한 학습자 자율성과 정체성 고찰

        박윤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1 통합인문학연구 Vol.3 No.1

        This paper introduces research on the concepts of learner autonomy,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identity and explores the major perspectives and key positions concerning these issues. Within a recent decade a great deal of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1 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around world. The number of scholarly works is compatible with the ever-increas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learning populations, the desire for self-esteem, and the birth of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late 1970's, CLT has tried to provide learners with the value of their own responsibilities in learning and teaching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it is necessary to define learner autonomy,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identity. Second, the learning strategies toward implementation of learner autonomy in class are described. Then the positive value of social identity and its effects on learner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s discussed. 최근 영어교육 특히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교육환경에서는효과적인 외국어습득을 위해서 무엇보다 학습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에 많은 연구자들이 공감하고 있다. 외국어 학습, 특히 영어 학습을 제한된 학습 장소와 부족한 노출시간에도 성공적으로 성취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학습의 목표를 찾고, 이를 위한 노력을 자기 스스로 감독하는 학습자 자율성이 중요하며 (learner autonomy)의 이의 가치가 계속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학습자 자율성이 영어교육에 등장한 상황과 학습자 자율성의 중요성, 학습자 자율성을 실제 학습 상황에서 적용하기 위한 학습 전략 (learner strategy)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 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과 사회와의 관련속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깨닫는 사회적 정체성 (social identity) 역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에서 고려 되야 하는 것으로 사료됨에 따라, 이에 대한 개념과 학습 상황과의 관련도 살펴본다

      • 사이버 영어학습과 영어 학습자 자율성

        오마리아 全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21 初等敎育硏究 Vol.32 No.2

        학습자 자율성에 관한 외국어교육학계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특히 코 로나사태로 대면 수업이 힘들어지고 비대면 외국어수업이 많아지면서 교사의 통제를 벗어난 사이버 외국어 학습이 많아지고 있다. 이런 최근의 특이 상황에 맞추어서, 테 크놀로지 활용 사이버 외국어 학습 방법이나 채널이 다양해지면서 교사의 통제 없 이 언제 어디서나 학생 스스로 통제하고 경험하는 외국어 학습 기회가 많아졌고, 학습자 자율성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최근의 변화에 따라 본 연 구에서는 한국 초등학생 대상 사이버 영어학습과 학습자 자율성에 대한 선행연구분 석을 시도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초등 고학년 대상 연구와 질적 연구 가 많고, 활용되는 테크놀로지가 한정적이며, 학습자 자율성 및 자기 주도성이라는 두 개념이 특별하게 구분되지 않고 혼용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런 연구 결과에 따 라 초등 전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연구와, 관련 주제에 대한 양적 연구 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연구와, 학습자 자율성 과 자기 주도성이라는 두 개념 정립을 시도하는 연구도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학습에 관한 학습신념 - 블로그를 이용하는 학습자를 중심으로 -

        서유리 한국일본학회 2019 日本學報 Vol.0 No.121

        In research related to Japanese studies an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identify is learners' individuality. To this end, the learning belief of the learners has been investigated primarily for learners attending classe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s the development of smart phones and tablets provides the learners with more time to access Japanese language outside the clas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ir learning beliefs in addition to their learning habit in classroom environment. A survey was done among the Korean Japanese learners using blogs to see what they believe to continue their learning. Results showed that the learners were strongly convinced that the way they studied was efficient with certain goals or objectives, and they believe that they could speak Japanese well on their own. In addition, the learners themselves prefer to challenge themselves and solve problems, but the shift to a passive attitude about how to learn has been a notable result. This means that the learners themselves were not aware of specific ways of learning that would help them improve their learning in Japanese depending on their efforts. As a growing number of learners use content, including blog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learners' propensity and learning beliefs in the future and propose more specific and diverse learning methods or strategies to suit them. 학습자의 개별성을 파악하기 위한 요인 중 하나인 학습신념(ビリーフ)은 일본어학 및 일본어교육과 관련한 연구에서 주로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발달로 수업 시간 외에 학습자가 일본어를 접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교실 환경 외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습신념 연구 또한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블로그를 이용하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속적으로 학습을 유지하는 데 어떠한 학습신념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들이 확실한 목표나 목적을 갖고 공부하는 방법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신념이 강했으며, 스스로 일본어를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 학습자들의 성향 자체는 스스로 도전하고 문제를 해결하기를 선호하나, 학습방법에 관하여 소극적인 태도로 바뀌는 점이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학습자 스스로 노력 여하에 따라 일본어 학습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고 생각하는 것에 비해, 그렇다면 어떠한 학습방법이 학습자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지 구체적인 학습방법에 대해서는 자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블로그를 포함한 콘텐츠를 이용하는 학습자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이러한 학습자들의 성향과 학습신념을 인지하여 이들에게 어울리는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학습방법이나 전략, 학습콘텐츠를 제안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교실영어 관련 피드백 활용에서 드러난 초등 예비교사들의 영어 학습자 자율성 연구

        오마리아 ( Maria 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어 수업을 맡아서 가르치게 될 초등 예비교사들이 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교실영어 연습을 하는 동안 드러나는 학습자 자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2014년 봄 학기 동안일주 일회 조별 모임에서 교실영어를 연습하고 연습과정을 녹음/녹취하고, 마이크로티칭을 두 번 실시하고, 주마다 영어모국어화자 강사를 만나 교실영어 녹취록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이 피드백을 개인별로 자신의 교실영어 실력 발달을 위해 활용하였다. 영어모국어화자 강사의 피드백 활용에 대해 77명의 예비교사들을 면담조사한 후, 자율성 정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드러난 연구결과는 (1) 자율성이 높은 예비교사는 열악한 영어학습 환경에서도 피드백을 구두어로 습득하기 위해 다양하게 노력하였고; (2) 중간 정도의 학습자 자율성을 나타낸 예비교사들은 피드백이 대부분문법 수정이어서 도움이 한정적이었고, 차주 교실영어 연습 조별 모임을 위한 대본 글을 쓸 때만피드백을 활용하여, 피드백 활용에 소극적이었고; (3) 학습자 자율성이 낮은 예비교사는 동료압박등의 다양한 이유로 인해 피드백 활용이 힘들었다고 인식했다; (4) 많은 연구 참여자들은 영어모국어화자 강사 피드백이 교실영어 실력 향상에 도움 되는 정도가 다른 원인은 학생 개인의 “의욕”이나 영어회화실력이지, 영어모국어화자 강사가 원인은 아니라고 말하여 영어학습에서 학습자 자율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예비 초등교사 대상 교실영어 교육에서 자율적으로 교실영어를 연습하는 동료 예비교사의 학습 예를 소개하고 그 활용을 격려하는등 동료 학습자끼리 서로 도울 수 있는 자율성 기반 교실영어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interview study is to scrutinize primary pre-service teachers`` leaner autonomy which was revealed when they made use of English native-speaking teachers`` feedback on classroom English practice. The participants were 77 primary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English Teaching Methodology`` in Spring 2014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a mid-size city. In early June, two to three participants met at the researcher``s office for sixty to ninety minutes to describe what and how they did to practice classroom English for one semester. The interview data was collected, saved, transcribed and analyzed by the researcher according to the interview research study tradition. Four study findings emerged: (1) 5 participants`` learner autonomy level was high and they tried to make best use of English native-speaking teachers`` feedback on their classroom English; (2) many participants`` learner autonomy level was medium and they made an effort to make use of English native-speaking teachers`` feedback when they wrote class scripts, but not when they practiced speaking classroom English; (3) quite a lot of participants`` learner autonomy level was low and they did not make an effort to make use of English-native speaking teachers`` feedback. They perceived that neither weekly classroom-English practice meeting nor English-native-speaking teachers`` feedback was really helpful for their classroom English skills development; (4) Almost all of the informants agreed that English-speaking teachers`` feedback on classroom English could be useful only if the informants were motivated with good English to make use of the feedback, so the level of usefulness of the feedback was decided not by the English-speaking teachers, but by the informants. The current study findings shed light on the participa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learner autonomy in learning classroom English and the possibility of elevating their autonomy in classroom English practice. Based on the study findings, some suggestions are made to develop primary pre-service teachers`` learner autonomy in classroom English practice. (317 words)

      • KCI등재후보

        Lernstrategien fu¨r Selbstlernen der Grammatik im interaktiven Fremdsprachunterricht : Relativpronomen und Relativsa¨tze

        Kwan, Yeong-Sook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2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10 No.-

        외국어의 언어소통능력은 목적어의 규칙을 익히거나 단순히 따라하기를 반복함으로써 습득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외국어 수업에서 많은 교사들은 문법위주의 수업과 말하기 듣기 위주의 수업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지곤 하였다. 그러나 요즘의 외국어 수업은 글로벌화 시대를 맞이하여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문법위주의 수업보다 말하기 듣기 위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또한 교사들이 일방적으로 문법규칙을 설명하고 학습자는 문법규칙을 단순 암기하는 방식의 문법위주의 수업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팽배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은 문법위주의 수업에 대한 의미의 퇴색이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문법교육 방법론 개발에 대한 도전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 논문의 목적은, 학습자간의 자율적인 상호작용 수업방식을 통해서 학습자들이 스스로 문법규칙을 발견하여 습득하도록 하며, 습득한 문법을 실제 상황에서 자유로이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문법 교육 방법론과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 논문은 학습자가 수업시간에 언어습득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언어적 지식이 교사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설명되어지는 전통적인 교사위주의 수업에서 벗어서 학습자가 교사의 역할을 맡도록 하며, 교사는 시나리오 작가나 연출자의 역할을 맡도록 하는 역할조정을 통해서 수업을 도입, 전개 그리고 활용의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문법적 규칙을 발견하고 습득해 가는 과정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일방적인 암기식 문법교육과 단순 따라 하기식의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학습방식을 통해서 학습자 스스로가 문법을 발견하고 습득해가는 과정을 체계화시킴으로써 외국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학습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 논문의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교사협력 학교풍토와 학습자 자율성 촉진 교수:

        구하라(Ku, Hara),함승환(Ham, Seung-Hwan),차윤경(Cha, Yun-Kyung),양예슬(Yang, Yese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교사가 어떠한 학교환경에서 학습자의 자율성을 촉진하는 방식의 교수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교사 간 협력을 교수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주는 기제로 해석하는 관점에서, 학교의 교사협 력 풍토 수준이 교사의 학습자 자율성 촉진 교수활동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OECD 주관의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08 데이터 가운데 아시아 태평양 국가인 한국, 호주, 말레이시아 사례를 각각 분석하였고, 중학교 479곳의 교사 7,716명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학교 및 교사 수준 변인을 동시에 고려한 위계적 선형 모형 분석 결과, 사회·문화적으로 상이한 세 국가 모두에서 일관성 있게 교사협력 학교풍토 수준이 높을수록 소속 학교 교사가 학습자의 자율성을 촉진하는 방식의 교수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교육개혁 흐름에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학습자 자율성 촉진 교수활동을 격려하기 위한 학교환경 조건으로서 협 력적인 학교풍토의 형성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As a systematic effort to empirically examine how school teachers’ use of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 is influenced by school climate, this study conducted a serie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es based on a multi-level sample of 7,716 teachers across 479 middle schools in Australia, Malaysia and South Korea. Data for the study were from the OECD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08.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lend credence to the hypothesis that teachers who work in a collegial climate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integrate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oster learner autonomy into their classroom teaching. This sheds light on the possibility that teachers may find themselves more successful in their effort to manage instructional uncertainty when working in a collegial climate. This result is very suggestive, considering that the effect of the collegial climate on teachers’ use of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 appears quite consistent across all three countries analyzed despite the fact that the three countries exhibit quite different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평화통일교육의 정치적 목적과 실천방안의 재정립 : 학습자의 정치적 자율성과 주체성 강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윤철기 북한연구학회 2023 北韓硏究學會報 Vol.27 No.2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평화통일교육의 정치적 목적과 실천방안을 새롭게 재정립하는 데에 있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은 정치의 주체이다. 따라서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주체 역시시민이 되어야 한다. 새로운 평화통일교육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과정에서 평화와 인권을 실현하기 위한 윤리적-정치적 실천을 고민하는 시민을 양성하는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먼저 학습자의 정치적 자율성과 주체성을 존중되어야 한다. 서독(독일)의 정치교육은 1976년 ‘보이텔스바흐 합의’를통해 학습자의 자율성과 주체성을 존중하고 대신에 정치적 양극화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었다. 새로운 평화통일교육역시 정치와 교육의 관계를 재설정함으로써 학습자(시민)의 자율성과 주체성을보장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정치와 교육의 관계는 위계적인 관계가 아니라 수평적인 관계로 전환되게 된다. 또 교육현장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관한 다양한 이슈들을 논의하는 ‘공론장’이 될 수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정치적 자율성과 주체성을 실현하기 위해 평화통일교육은 크게 세 가지 변화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포용적 교육이 되어야한다. 평화통일교육은 한반도의 평화와통일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에 대해서 다양한 생각이 존재한다는 점을 인정하고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평화통일교육은 한반도의 분단이라는 특수한 맥락을 고려하면서 동시에 평화와 인권이라는 인류 보편의 가치를 지향하는 평화교육과 인권교육이 되어야 한다. 셋째, 평화통일교육은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이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사회와 세계시민들과 함께 연대하고 협력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라는 점을 인식하는세계시민교육이 되어야 한다. The final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newly restablish the political objectives and practical methods of peaceful reunification education. In a democratic society, citizens are the subjectivity of politics, so that they must also subjectivity on the process of peace and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 new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aims to cultivate citizens who contemplate ethical-political practices for realizing peace and human rights throughout the process of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o achieve this, it is essential to prioritize and respect learners’ political autonomy and subjectivity. Political education in West Germany(Germany) was able to free itself from political polarization by respecting learners’ autonomy and subjectivity through the “Beutelsbach Consensus” in 1976. Therefore, the new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ensure learners’ autonomy and subjectivity by re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education. If that is the case, the relation between politicss and education will transform from hierarchial to horizontal. Addtionaly, the education fields can become a ‘public sphere’ for discussing various issues relatied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wants to propose three major directions for achieving learners’ political autonomy and subjectivity through peace unification education. Firstly, the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come inclusive education. It should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diverse perspectives on various issues related to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be able to embrace these differences. Second, the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aim to be both peace educ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considering the unique context of the Korean Peninsula’s division while upholding the universal values of peace and human rights. Third, peac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understanding that the issues of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re not solely the problems of North and South Korea but challeng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th the interntional community and global citizens.

      • KCI등재

        Réflexions didactiques sur l'orthographe et l'emploi d'un journal d'erreurs dans l'enseignement-apprentissage d'une langue étrangère : le cas des apprenants français de coréen

        윤소영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9 프랑스어문교육 Vol.31 No.-

        본 연구는 외국어 교육분야, 특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분야에서 철자법 교수-학습의 의의와 중요성을 재조명해 보고, 프랑스인 학습자들이 실제 쓰기에서 발생시킨 표기오류양상의 관찰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철자표기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서론에 이은 제2장에서는 현 외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분야에서 철자법 교육이 상대적으로 미미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원인과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모든 외국어 교육에서 철자표기교육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까닭을 짚어본다. 제3장에서는 프랑스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쓰기 시 발생시키는 철자표기오류들을 음절머리 자음, 음절말 자음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모음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각각 분류하여, 오류발생 위치별로 대치, 삭제, 첨가 오류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가장 발생 빈도수 높은 오류와 학습자들 오류유형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추세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기술해 본다. 제4장에서는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철자표기실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서, 이들의 표기오류양상 관찰결과를 십분 반영한 철자표기오류일지의 사용을 제안하면서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 오류일지의 한 예를 제시한다. 철자오류일지는 학습자로 하여금 교수자의 피드백을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확인,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우며,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에 상관없이 진정한 학습자 중심의, 학습자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한 교구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논의를 펼치며 간략한 결론으로 마친다

      • KCI등재

        생애필자를 육성하는 쓰기 학습자원의 개발

        박수자 ( Soo Jah Park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이 논문은 학습자 중심의 쓰기 수업이 학습자를 능동적이고 개성 있는 생애 필자로 양성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쓰기 수업에서 자율성을 체험하고 자신의 개성에 주목하는 학습자여야만이 장기적으로 유능한 성인 필자로 성장하리라 예측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적 행위로서 필자의 역할을 인식하고 자연스럽게 독자를 배려하는 쓰기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에 쓰기 지도를 위한 학습자원으로서, 자율성에 주목한 쓰기 계획 관련 활동과 필자의 개성에 주목한 문체 개발 학습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 생애필자의 핵심 요인을 자율성이라 보고, 학습자 스스로 쓰기 계획 활동을 수행하도록 안내한다. 다음으로, 현대 사회에서 필자의 고유한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문자 표현 능력은 필수적이다. 전문 작가로서 요구되는 문체 능력이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개성으로 요구되는 자심만의 문체를 개발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학습자 생각의 표현과 표현된 원고를 더욱 정교화 시키는 문체 관련 학습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생애 필자로서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이 연구는 지나온 쓰기 지도 연구나 현황에 비추어 앞으로 필요한 쓰기 학습 활동 유형을 예측하고 기존에 다루지 못했던 학습자원을 발굴하여, 미래형 쓰기 교과서 제작에 아이디어와 활용 자원을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ntended to review recent writing instructions based on writing process and strategies, and design the learner oriented syllabus of writing activities, which are focused on writer`s self-regulation in writing planning and self-expression opportunities. For cultivating the life-term writers living in 22nd century, writing instruction programs should be modernized and developed in the view point of learner oriented education : giving more choices to students on a writing planning step, encouraging students` self-regulations on their whole writing process, and cultivating their own written styles. Therefore, this paper supposed several writing instruction sources, focusing on supporting students` writing planning and elaborating their own styles. They will be important suggestions on making new textbooks for 2007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성인 학습자의 자율성 좌절, 꾸물거림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

        이수란,박종선,전광호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6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성인 학습자가 경험하는 학업관련 어려움 중 하나인 꾸물거림 행동에 대해 경험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꾸물거림은 성인학습자 대다수가 경험하는 어려움임에도 불구하고, 꾸물거림의 선행요인이나 꾸물거림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탐색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하여 자율성 좌절이 꾸물거림 행동을 증가시키고 이것이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꾸물거림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시킬 수 있는 기제로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원격대학에서 계절학기 수업을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234명의 설문 응답 자료와 실제 학업성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율성 좌절을 독립변수로, 꾸물거림 행동을 매개변수로, 학업성취를 종속변수로 투입한 매개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꾸물거림 행동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이 관계는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따라 그 양상이 달라졌다. 구체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평균 수준이거나 그 이상일 때는 꾸물거리는 행동이 많고 적음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 수준의 학업성취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을 때는 꾸물거림 행동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꾸물거림 행동의 선행변수와 결과를 확인하고, 그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 변인을 밝힘으로써 꾸물거림 행동에 대한 이해를 확장함과 동시에 성인 학습자가 더 높은 학업성취를 얻기 위해 어떠한 개입이 필요한지 제안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n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on procrastination behavior, one of the academic difficulties experienced by most adult learners. Despite procrastination is a common difficulty experienced by the majority of adult learners, the exploration of its antecedent factors and strategies to mitigate its impact has been relatively lacking. Specifically,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we examined whether frustration of autonomy increases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how this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negatively. Additionally, we explored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s a mechanism to buffer the impact of procrastin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learners at the cyber university (n=234).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ediation model, with frustration of autonomy as the independent variable, procrastination behavior as the mediator, and academic achievement as the dependent variable, was significant. Furthermore, procrastin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but this relationship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Specifically, wh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were low, the impact of procrastination behavior was more pronounced.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highlight variables that can moderate its impact, thereby extending our understanding of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suggesting interventions necessary for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mong adult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