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중고등학교 CPTED 개선 성과에 관한 기초 연구 - 서울지역 초중고등학교의 CPTED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

        유용흠(Jin-Wook Kim),김진욱(Soon-Sin Lee) 한국셉테드학회 2017 한국셉테드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의 CPTED 개선 사업이 실제 학교의 폭력 등의 범죄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2013년에 실시된 CPTED 환경 개선 사업의 결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서울지역 7개 CPTED 환경 개선 학교와 7개 일반학교의 학교폭력실태조사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CPTED 개선사업이 시행된 학교들의 환경개선 요소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CPTED개선 영역을 5가지 CPTED전략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7개의 학교는 5개 전략영역에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활동성 지원에는 6개교가 개선사업을 수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교폭력 실태조사와 CPTED사업의 연관성을 위한 분석 결과는 CPTED사 업이 진행된 학교의 폭력 감소율이 일반학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그 중에서도 특히 폭행, 갈취 등 강력 폭력의 감소율이 일반학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폭력 장소의 감소율 측면에서는 교실이나 운동장의 폭력 감소율 보다는 화장실, 복도, 학교 내 다른 장소의 폭력 감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공용공간의 환경개선에 집중된 CPTED개선의 효과가 유효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시간대별 폭력 감소율 관점에서는 쉬는 시간, 점심시간, 수업시간의 주간 시간의 감소율이 CPTED사업 시행학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하교, 방과 후 시간에서는 유효한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아 물리적 환경과 폭력감소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PTED improvement project of K-12 school on crime prevention such as violence in school. In order to measure the results of the CPTED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conducted in 2013, the results of surveys of school violence by 7 CPTED environment improvement schools and 7 general schools in Seoul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factors of schools, CPTED improvement area was analyzed based on 5 CPTED strategies. As a result, 7 schools performed various projects in 5 strategic areas. Especially, 6 schools performed improvement projects for activity suppor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chool violence survey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PTED projects showed that the rate of violence reduction in schools where CPTED projects were conducted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chools. Especially, the decrease rate of violence such as assault and extortion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chools. In terms of the reduction rate of violent places, violence reduction rates in the restrooms, corridors, and other places in the school are higher than the rate of violence reduction in classrooms and playground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PTED improveme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public space environment is working effectively.

      • KCI등재

        민간주도형 학교개선사업의 특징 및 시사점 :

        권순형(Kwon soon h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이 글은 민간이 주도해 나가는 학교개선사업의 특징 및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주 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개선사업의 대상학교 담당 교 원들과 사업 담당자와 면담을 통하여 주된 자료가 수집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하이 원리조트 측의 해피스쿨 사업 홍보 자료 및 운영 사이트에 제시된 사업 내용과 대조 하여 사업 운영과정의 특징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개선사업의 준비과정에서는 ‘철저한 준비’, ‘공정한 심사’, ‘학교 간 경쟁적 풍토’, 학교개선사업 추진과정에서는 ‘새로운 일감의 등장’, ‘미니 교육청의 관심과 통제’, 학교개선사업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는 ‘성취감 vs 좌절감’, ‘프로그 램의 동형화’, 학교개선사업 성과공유와 확산 과정에서는 ‘학교 간 경쟁(競爭)의 장 vs 학교 간 경연(競演)의 장’, ‘학교개선 vs 사업홍보’ 등 총 9개의 주요 주제어가 제 시되었다. 이상의 주요 주제어를 토대로 관주도형 학교개선사업의 특징과 비교를 통 해 민간주도형 학교개선사업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school improvement project led by the private secto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interviews with school principal, teachers and the staffs responsible for school improvement project has been performed, collected the data through interviews of ‘High One Happy School Proj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total of nine major keywords are presented such as ‘thorough preparation’, ‘fair review’, ‘inter-school competitive climate’, ‘the emergence of new works’, ‘attention and control of the Mini-Department’. ‘fulfillment vs frustration,’ ‘isomorphism of the program,’ ‘chapter of the chapter vs Interscholastic Contest of competition between school’, ‘school improvement vs marketing’. In conclusion, Private leading school improvement program was discussed the main features through ‘Blue-elementary school’ case.

      • KCI등재

        오바마정부의 학교개선지원금 정책 분석

        최준렬(Choi, Joon Yul)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교의 학업성취도를 개선하려는 오바마 정부의 학교개선지원금 정책(School Improvement Grant)을 분석하여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교의 문제를 개선하는데 시사를 얻기 위해 추진되었다. 오바마정부는 학업성취수준이 최저인 ‘재구조화학교’가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을 심각하게 생각하여 2009년 기업회생지원금으로 확보한 예산을 활용하여 최저학업성취도학교의 문제를 단기간 내에 해결하고자 학교개선지원금 정책을 추진하였다. 오바마 정부에서 시행된 학교개선지원금 정책을 기획, 집행, 평가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기획단계에서는 필요성과 의사결정 과정을 분석하였는데, 필요성은 인정되지만, 정책을 결절하는 과정에서 연구소의 독단적 이론, 기업회생에서 사용하였던 검증되지 않은 이론을 적용하고, 교육적 이론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은 점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집행단계에서는 법령제정, 추진기관의 기능, 일정, 모델, 교원·학생·지역사회의 배려 등을 분석하였는데,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법령을 정비하고, 기관의 기능을 고려하여 집행하였으나, 정책을 집행하는 기간이 교육효과를 발휘하기에는 짧고, 모델이 교육현장과 부합되지 않으며, 추진의 중심 역할을 담당해야 할 교원·학생·지역사회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였다. 평가에서는 성과와 지속 가능성을 분석하였는데 분석 방법에 따라 성과의 유무가 달랐으나, 단기적으로 추진된 정책의 문제점은 공통적으로 지적되는 문제였다. 교육은 장기적인 과제이고 교원·학생·지역사회와 함께 추진해야 성공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학교개선지원금 사업은 성공하지 못한 정책이다. 우리도 이명박정부 시절 교육부가 주도하여 기초학력 미달 학생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였으나 많은 비판과 저항으로 교육청에 이관하여 시행하고 있다. 학력문제가 시급할지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교육적 이론을 바탕으로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하여야 성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해 준 정책이다. This study aimed at getting implications from Obama’s school improvement grants(SIGs) through analyzing the policy which pursued improving persistently lowest achievement schools using economic stimulus package of 3.55 billion. To achieve the goal US Department of Education(DOE) adapted the turnaround technique using in the business field to overcome the severe situation shortly and rapidly. The 1,400 schools of 850,000students were granted from 2010-11 to 2012-13 school year. To get the grant the school should select one of 4 models such as the turnaround, the restart, the closure, and the transformation models based on the turnaround technique. The policy of SIGs was analyzed through the plan, the do, and the see steps. At the first step the plan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necessity and the decision making. The necessity of SIGs was valid. As the lowest achievement students caused lots of social problems the government had tried these problems since 1965. In spite of lots of efforts the problem had been worse. Solving these problems was very important. Even though it was valid the decision making was not proper for educational situation. DOE did not consider the educational contingency seriously. At the second step the doing process was analyzed in terms of law, institutional functions, model, period, and role of teachers, students, and community. The law was well regulated and the institutions such as state education agency and local education agency functioned well. But models were not fit for education and period was too short. The teachers, students, and community’s role which were playing a major part of education were not considered thoroughly. At the third step the seeing process was analyzed based on the performance and continuity. The effectiveness of SIGs depended on the reporters: DOE reported effective, while Dragoset, et al.(2017) was not effective. The policy was not sustainable because of short period and grants limited. As the education needs long period, the educational policy should consider the educational perspective instead of using business technique. Cooperating with teachers, students, and community is major factors fulfilling educational policy based on the educational theory.

      • KCI등재

        농어촌 소규모 통합운영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사례 분석 및 개선 방안

        민용성(Yong-seong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통합운영학교로 운영되는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 3개 사례 분석을 통해 이들 학교에서 교육과정이 어떻게 편성·운영되고 있고,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쟁점이나 어려운 점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이에 따른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통합운영학교를 운영하는 3개의 중학교 교원(총 1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에 초점화하여 통합운영학교를 운영하는 데 어려운 점과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실시한 면담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쟁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쟁점 또는 문제점으로 ‘일부 방과후 활동에 제한된 학교급 간 연계 운영의 한계’, ‘학교급 간 인적·물적 자원의 차이 극복의 어려움’ 등으로 통합운영학교가 매우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학교급 간 연계를 위한 학교교육과정연계협의회 구성 및 운영’, ‘겸임교원 운영의 내실화’, ‘통합운영학교 경영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예산 편성 및 집행의 유연화’ 등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러한 개선 방안이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시행해야 할 정책으로 ‘교원의 겸임 및 교류 활성화를 위한 통합운영학교 관련 규정 개선’, ‘통합운영학교의 학교회계 단일화 설치 및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ree cases of small middle schools located in rural areas operated as integrated schools and examines how the curriculum of these schools are organized and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issues or difficulties exist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of these school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Method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teachers working at integrated middle schools, and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difficulties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school curriculum were presented, and ways to improve them were suggeste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ssues or problems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were there is a limit to linking and implementing between school levels when conducting after-school activities. 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overcoming the difference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etween school level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ntegrated schools were operated in a very formal way. In an effort to improve this problem, four things were suggested. That is,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school curriculum linkage coun-cil for linkage between school levels’, ‘enhancing the operation of adjunct teachers’, ‘developing and distributing management manuals for integrated schools’, and ‘flexibility of budgeting and execution’.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licies to b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are as follows. First, the regulations related to integrated schools need to be improved so that teachers can hold con-current positions. Second, the accounting of integrated schools has to be unified and operated.

      • KCI등재

        학교기업 커피전문점 설치․운영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지영(Kim Ji Young),이진용(Lee Jin Young) 한국식공간학회 2017 식공간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기업 커피전문점 ‘카페 하이유’를 설치․운영하고 있는 서울 소재 H여자대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학교기업의 실질적인 운영방법 제시 및 발전적인 경영성공을 위한 실무적 운영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학교기업 설치과정을 조사하고, 첫째, 학교기업 커피전문점의 운영에 대해 분석하고, 둘째, 커피전문점에 대한 만족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2017년 6월 8일∼10일까지(3일간) 고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교기업의 설치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결과로 첫째, 학교기업 ‘카페 하이유’의 운영 분석을 자원 및 인력관리, 마케팅 및 홍보 관리, 메뉴관리 및 운영분석을 제시하였다. 둘째, 심층면접 실시 결과 학교기업 ‘카페 하이유’의 만족 요인은 서비스 만족, 커피 품질 신뢰의 2가지요인, 교외 커피전문점과 비교분석은 저렴한 가격, 접근성 용이, 고급스러운 분위기, 다양한 메뉴 제공의 4가지 요인, 개선방안으로는 학교 학생 혜택 확대, 레시피 표준화 및 신규 음료 개발, 홍보 확대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학교기업 설립과정을 제시하고 실제적인 운영분석 및 개선방안을 토대로 향후 학교기업 관련 사업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the case of “Cafe HWYU” in a women’s university in Seoul, thus providing practical guidelines on operation of a School Based Enterprise (SBE) and showcasing business practices for successful, forward-looking management. With this in mind, we investigat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BE before analysing the operation of the coffee shop as SBE. Seco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a sample of ten customers during the three days from June 8th to 10th in 2017 so as to identify how to draw and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at the coffee shop. Based on that analysis, a model of the SBE establishment could be proposed. As a result, the operation of Cafe HYWU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human and other resource management, marketing and promotion management, menu management and operation analysis. Second, the result of the interview shows that the satisfaction factors of the cafe are service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the coffee and it is outpacing other coffee shops outside the campus in affordable prices, accessibility, upscale ambience and a variety of menus. It also recommends that the SBE may improve by adding more benefits to the students, standardizing recipe coupled with developing new beverages and carrying out more promotional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BE and practical operation analysis followed by recommendations shown in this study would benefit the businesses related with the SBE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국에서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교사의 인식 연구

        지미영(Miyoung Ji),소애진(Aijin Xiao),책리하(Lixia ZHAI),서희(XI XU),윤희정(Heejung 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이 연구는 2025년 한국 고교학점제의 전면적 실행을 앞두고 점차 증가하는 교사들의 우려를 해소할 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자들은 한국과 문화적 동질성이 강하며, 20년 전부터 이미 고교학점제를 실행하고 있는 중국에 주목하여, 중국의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교사의 고교학점제의 이해 정도와 운영 성과에 관한 인식조사를 하였다. 이 중 운영 성과가 미흡하다고 판정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중국 고교학점제의 문제점의 원인과 개선 방안을 살펴봄으로써 고교학점제를 준비하는 한국의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2020년에 고교학점제 실행 방안을 재수립한 중국 후난성(湖南省)의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247명의 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그들이 경험한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제도의 이해, 운영에 대한 평가, 문제점의 원인 및 양상, 제도의 개선안의 영역에 대해 수집된 양적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 빈도분석, ANOVA 분석하였다. 제도의 개선안에 대한 질적 자료는 주제어 분석과 축 코딩을 이용한 내용분석하였다. 결과 중국 교사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도와 근무 학교의 고교학점제 운영 성과 모두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응답 결과는 반 학생 수, 나이, 교직 경력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중국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운영에 있어 주저해 요인으로 교사의 고교학점제에 적합한 교수 역량 및 운영의 전문성 부족, 고교학점제 교육과정과 대입과의 연계성 부족 등으로 인식하였다. 그들이 제안하는 개선안으로 졸업학점 축소, 제도 간소화 및 자율화, 상주 전문교사 배치, 학부모 인식 개선, 교사의 전문성 교육 강화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중국은 지난 20년 동안 고교학점제를 실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국적인 안정화를 가져오지 못했고, 이는 이 연구의 결과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중국의 사례가 전면적인 도입을 앞둔 한국 고교학점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결론지으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한국의 고교학점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교육공동체에 적극적인 고교학점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과목 선택 지도와 진로 교육에 전문성을 가진 전담 교사의 배치가 필요하다. 교사 연수 프로그램 기획 시 교사의 나이 및 요구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고교학점제의 졸업 이수 학점을 줄이고 학교별 또는 지역별 자율성을 강화해야 한다. 학적 관리제도에 대한 정비와 합의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ays to address the growing concerns of teachers ahead of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This study focused on China, which has a strong cultural homogeneity with Korea and has already been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20 years,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operation performance of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data to Korean high school teachers preparing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amining the causes and improvements of the problems of the Chines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eachers who judged that their operational performance was insufficient.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47 teachers working at high schools in Hunan Province, China, who re-established a plan to implemen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0, to analyze their percep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or the understanding, evaluation of the operation, cause and pattern of problems, and areas of the system improvement plan were analyzed by basic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using SPSS 25.0. Qualitative data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system were analyzed using the main word analysis and axis coding. Results Both Chines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performanc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of working schools were found to be moderate. The results of this respon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number of class students, age, and teaching career. Chinese teachers perceived the lack of teaching competence and expertise suitable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 factor of hesitation in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urriculum and college entrance. The improvements they proposed were able to achieve results such as reducing graduation credits, simplifying and liberalizing the system, deploying resident professional teachers, improving parental awareness, and strengthening teachers' professional education. Conclusions Despite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e past 20 years, China still has not brought about national stabilization,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earchers conclude that these Chinese cases have great implications for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is about to be fully introduced, and suggest as follows.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Korea,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ducate and promot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deploy a dedicated teacher with expertise in students' subject selection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The age and requirements of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ning a teacher training program. It is necessary to reduce credits for graduation from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strengthen autonomy by school or reg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agree on the academic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미술중점학교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경기지역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지선(Jeesun LEE),강윤정(Yoonjung K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7

        미술교육의 사교육비 절감과 공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교육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11년부터 미술중점학교 제도를 실행,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운영의 규모를 확대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미술중점학교 제도의 첫 시행 이후 수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미술중점학교의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미술중점학교를 비롯한 학교예술교육 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지역 3곳의 미술중점고등학교 재학생 210명에 대한 설문조사와 Y고등학교 재학생 5명 및 교·강사 3명의 인터뷰, 정규·방과 후 수업 관찰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중점학교의 교육 과정과 교사의 전문성, 교사와의 친밀도는 학교 및 학생들에게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홍보에 대한 지원 및 시스템의 부재, 교사의 수업 외 업무 부담, 낮은 학교만족도, 대입에 치중된 진로 교육 등은 현 미술중점학교 운영의 한계점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른 개선방안은 미술중점학교의 전문성 확보, 지역·환경 적 특성의 활용, 제도·정책적 차원의 개선으로 도출되었다. 교사의 업무부담 완화와 다양한 진로교육 개발을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경기 지역의 예술가 및 박물관·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개발과 일반 교과 및 다른 예술 전공과의 융·복합적 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학생모집 및 원활한 운영을 위해 입학 전형 변경과 홍보 지원, 포털 구축, 예산편성의 자율화 등의 제도·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Art oriented schools were started with the aim of reducing private education costs and promoting public education and are gradually expanding their oper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on and find ways to improve so as to develop the art education. To that end, a survey of 210 students at 3 art oriented high schools in Gyeonggi, an interview with 5 students·3 teachers at Y High School, observations of regular·after-school classes were put into effect.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curriculum,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and the intimacy with the teacher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limits are a lack of public relations support·system, the teacher s burden of extra work, low school satisfaction, career path education focusing on college entrance. The improvement plan is to secure expertise, utilize regi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mprove institution·policy.

      • KCI등재

        초등학교 돌봄 목적 사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탐색연구

        유재봉(Yoo, Jae-Bong),강문숙(Kang, Mun-Suk)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돌봄 목적 사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돌봄 목적 사교육의 실태 파악은 교육부과 통계청 사교육 데이터를 통해 사교육비와 참여율, 참여목적을 지역과 부모 경제활동, 가구소득 수준으로 구분하여 문헌분석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사교육비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돌봄 관련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사교육 목적에 따른 교과별 사교육 참여율은 교과의 특성에 따라서 사교육 목적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돌봄 목적 사교육 개선방안은 ‘초등학교 저학년 하교시간 연장: 학부모와 교사의 한 목소리’, ‘초등돌봄교실 내실화: 프로그램 운영방식 변화에 대한 목소리’, ‘돌봄 서비스 컨트롤타워 구축: 시급성에 대한 목소리’로 도출되었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하교시간 연장에 대해, 학부모와 교사들은 반대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초등돌봄교실의 내실화와 관련하여, 초등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초등돌봄교실 운영방식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각 부처별 돌봄 서비스는 시행시기, 지원법, 지원대상, 운영형태, 자비부담 여부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각 부처별 돌봄 서비스에 대한 실효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돌봄공간 환경, 그리고 적합한 돌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처별 지원 사항을 조율하는 컨트롤타워 구축이 요청된다. 결론 및 제언: 초등학생 보육 목적 사교육은 다른 목적의 사교육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돌봄 사교육 개선을 위한 방안과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private tutoring for the purpose of caring for elementary school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it. Metho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private tutoring in elementary school care, the trend of private tutoring expenses and participation rate was examined using the private tutoring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2017 to 2019. The literature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it into economic activity and household income level. In addition, FGI (Focus Group Interview) of 6 experts related to care was conducted in order to derive a policy to reduce private tutoring expenses in elementary school. Results: The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rate by subj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rivate tutoring in elementary school diffe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shadow education was generally high in the order of supplementary education for school classes, the purpose of prior learning, and the purpose of childcare. In addition, measures to reduce private tutoring for primary school care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of the dismissal time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parents generally agreed, but the teachers overwhelmingly presented the opposite opinion. Second, in relation to the substantialization of elementary school care classes,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 operating method of elementary school car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ird,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are service control tower, sinc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mplementation period, support law, support target, operation type, and whether or not the care service was self-pay for each department, the effectiveness of care services for each department was checked and various programs were developed. It is requested to build a control tower that coordinates support for each department to provide appropriate care services, and environment for care space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of private tutoring for primary school care were as follow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ivate tutoring for childcare was relatively higher than private tutoring for other purpos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olicy to reduce private tutoring in elementary schools, and more specifically, policy measures for the reduction of private tutoring for primary school care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학교통일교육과정 개선방안 탐색

        이병호(Lee Byung-Ho) 한국통일교육학회 2020 통일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의 출범과 변화된 통일 환경 시대에 학교통일교육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고, 학교통일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와 통일부가 발표한 2019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결과를 재분석하였다. 아울러, 고교 통일교육 4개 교과목의 11개 교과서와 교육과정, 교과서 집필기준, 통일교육지침서, 통일교육지원법을 검토하였다. 주요연구결과로 첫째, 현행 학교통일교육은 남북평화와 통일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가치에 비해 매우 미흡하다. 둘째, 고교 ‘한국사’, ‘통합사회’, ‘한국지리’ 교과서의 통일교육내용은 대체로 양호하나,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의 특정 교과서의 내용은 매우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고교 ‘한국사’ 과목을 제외하고는 박근혜 정부와 비교할 때 변한 것이 거의 없다. 학교통일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으로 첫째, 북한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남북의 평화와 공영에 대해 올바른 가치관과 태도 형성을 저해하는 교과서, 교과서 집필기준, 통일교육지침서(현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등의 내용은 즉시 수정되어야 한다. 둘째, 통일부의 구 통일교육지침서(현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를 대체할 수 있는 교육부의 국가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개선 연구가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President Moon Jae-In took the office,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inter-Korea relations as well as over-all environment to promote unification of two Koreas. Through this study, I aimed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education on national unification, so as to come up with a promotion strategy to achieve more progress in this front. To this end, I began by studying the results of the 2019 Survey on the Status Quo of School Educa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jointl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ddition, I analyzed eleven different textbooks on four school subjects included in the current high-school education curriculum for national unification. Through this research, I came up with some important points to note: 1.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inter-Korea peace and unification of two Koreas, our schools invest too little time on the subject. 2. Despite all the changes in inter-Korea relations and the landscape to promote unification of two Koreas, what we have is an obsolete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standards designed during the precedent (and less pro-unification) administration. 3. According to my analysis on existing high-school textbooks for national unification, a part of the content in the subject Life and Ethics needs an urgent revision. 4. We need to revise the general outline of national curriculum to include more content on ‘human characteristics desired in peaceful unification of two Koreas’ and ‘core competences to promote peace and integrity’, launching new subjects related to peaceful national unification with improved organizational standards and time allocation for each subject.

      • KCI등재

        대한체육회 통합에 따른 학교 클럽스포츠와 엘리트체육의 개선방안

        제성준,손천택 한국초등체육학회 2018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4 No.1

        이 연구는 대한체육회의 통합에 따른 학교체육, 구체적으로 학교 클럽스포츠와 엘리트체육의 개선 방안을 새롭게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 체육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관련 선행 연구, 정책 자료 등을 분석하고, 현장 체육지도자와의 반구조화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반구조화 심층 면담은 학교체육의 운영 주체라고 할 수 있는 체 육교사(3명), 스포츠강사(4명), 코치(3명)와 생활체육정책 담당자(2명)를 상대로 이루어졌다. 정과 회 체육의 주요 영향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학교체육 운영 구조, 학교체육 시설, 학교체육 프로그램, 학교체육 지도자 등에 대한 반구조화 심층 면담 내용과 관련 정책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리그제를 도입하 고, 학교스포츠클럽과 학교운동부를 1부 리그로 통합 운영해야 한다. 둘째, 학교체육 시설 기준을 강화하는 동시에 학교와 지역 사회의 연계 종합체육시설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올림픽 스포츠의 비중을 늘려 학생들이 다양한 스 포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엘리트 선수 고갈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넷째, 전문성을 갖춘 체육 지도 자를 선발, 배치하여 학교스포츠클럽의 질적 향상을 꾀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more specifically school sports club and elite sports following integration of Korea Sports Council(KSC) and Korea Council of Sports for All(KOCOSA). To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integration of two big sport organization of KSC and KOCOSA such data as previous researches and policy data were analyzed,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made wi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3), coaches(3), sports instructors(4), and persons in charge of sport administration(2).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were related with school physical education managing system, school sport facility, school sport instructor, and school sport program. Analysis of related preceding researches and collected data came to the conclusions that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KSOC) should support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from four dimensions by reconstructing managing structure of sports. First, school sport teams and school sport clubs have to be integrated on ‘League Division I.’ Second, school sport facility standard should be strengthened and school sport facilities and local community sport facilities should be affiliated to secure sport complex to share. Third, KSOC should actively support olympic sports, so that students enjoy various sports including new sports popular to students. Such efforts might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of recruit student athletes. Fourth, KSOC should take accountability for selecting and educating expert sport instructors and dispatch them to each school to provide students with high quality of teaching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