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폭력 방관자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정혜원 ( Jung Hye-won ) 한국소년정책학회 2017 少年保護硏究 Vol.30 No.2

        이 연구는 학교폭력 방관자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이 무엇인지를 성별에 따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여학생의 경우는 학교폭력을 목격했을 때 ‘모른척 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남학생들의 경우에는 ‘직접 말림’이 가장 높게 나타나 여학생들과 남학생들은 학교폭력을 목격했을 때 하는 행동에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여학생들의 경우 학교폭력을 목격했을 때 모르척 한 이유로는 어떻게 할 수 몰라서 모른 척 했다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남학생들이 모른척하는 이유는 관심이 없어서가 높게 나왔다. 둘째, 방관자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살펴보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주요하게 연령, 부모애착, 학교생활만족도가 방관자 역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부모애착이 낮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을 수록 방관자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를 성별로 분리하여 살펴보면, 여학생들의 경우 연령, 부모애착이 방관자 역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부모애착이 낮을수록 방관자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반면 남학생들의 경우에는 부모애착만이 방관자 역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이 낮을수록 방관자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처럼 성별에 따라 학교폭력 목격경험과 대응행동 그리고 방관자 역할에 미치는 요인들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학교폭력 대응정책은 성별을 고려하여 구성하고 있지 못하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차이를 반영한 학교폭력 대응정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aiming at figuring out key factors affecting roles of bystanders to school violence by gender. According to the study, the largest number of female students showed indifference when they witnessed cases of school violence. In comparison, the largest portion of male students tried to stop violence, indicating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about campus violence. Whereas many female students pretended not to see campus violence because they didn't know what to do, male students did so because they were interested in it. Second, preceding studie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factors affecting roles of bystanders. It was found that age, parents'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had significant effects on roles of bystanders statistically. In other words, older students, students under parents with weaker attachment and students who were less satisfied with campus life were more likely to become bystanders to school violence. By gender, female students' age and attachment of their par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bystanders' roles statistically. Older students and those under parents with weaker attachment were more likely to become bystanders. On the other hand, regarding male students, parents'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bystanders' roles statistically. It means that students under parents with weaker attachment were more likely to become bystanders. Like this,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their experience in witnessing school violence, their responses and bystanders' roles, but policy for school violence hasn't considered gender.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a suggestion was made about policy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in response to school violence.

      • KCI등재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이 학교폭력에 방관적인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임정란,오오현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empathic ability on schoolchildren who are indifferent to school violence,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will the empathic abilities of the test group is carried out improve more than the empathic abilities of the control group? Secondly, will the indifferent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of the test group is carried out decrease more than the indifferent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of the control group? A preliminary examination was conducted, setting 12 male & female, 4 - 6 graders from 3 schools of A region community child center of S city in Jeonnam as the test group and 15 male & female, 4 - 6 graders from 6 schools of B region community child center of S city as the control group. To the test group,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s carried out twice a week for a month, 8 times in total, and the changes of the empathic abilities and the indifferent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are compared. In the empathy test, an empathy test tool adapted and revised by Ahn Joo yeon (1999) for the easy understanding of schoolchildren based on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of Davis (1980) is used, and in the indifferent attitude test, the tool Kim Hyun Joo (2003) invented for the bystander distinction in her study on bullying typology is used as it is. The differences of average between the two groups are calculated from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17 program.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eaningful difference is made to the level of p<.01 regarding total empathy level and total indifferent attitud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verifying that improvement of the empathic ability of the schoolchildren who have indifferent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the vast majority of all students, is effective in preventing school violence.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학교폭력에 방관적 태도를 가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공감능력이 통제집단의 공감능력보다 증가할 것인가? 둘째,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교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가 통제집단의 학교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보다 감소할 것인가? 전남 소재 S시 A지역아동센터의 3개 학교 남녀 초등학생 4 - 6학년 12명을 실험집단으로, S시 B지역아동센터의 6개 학교 남녀 초등학생 4 - 6학년 15명은 통제집단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한 달에 걸쳐 주 2회씩 총 8회기 동안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감능력과 학교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 변화를 비교하였다. 공감검사는 Davis(1980)의 대인관계 반응척도(IRI)를 기초로 하여 안주연(1999)이 초등학생이 이해하기 쉽게 번안․수정한 공감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방관적 태도 검사는 김현주(2003)가 집단따돌림 유형화 연구에서 방관자 변별을 위해 개발한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 프로그램으로 두 집단 간 평균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총 공감능력과 총 방관태도에 있어서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전체 학생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학교폭력에 대해 방관적 태도를 가진 초등학생에게 공감능력 향상이 학교폭력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 예측모형 연구

        배미희,최중진,김청송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8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about offender, victim, and bystander on school violence and to construct a discriminant prediction model that includes both protective and risk factors among adolescents. RSES, STAI-K, CES-D, IRI, Self Control Scale, gender stereotypes scal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MAS, Peer Relationship Scale, School Bystander Scale. school grade, depressive tendency and self defense act on offender variable were administered to 21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High ego centered attitude and low bystander attitude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cases of victim adolescents. Middle school period and female were significant variables on bystander adolescents.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of developing tailored intervention for youth at risk. Therefore, in spite of these risk factors still exist, it may mean that empathy and perspective convert training can bumpers on risk behavior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 narrow focus on psychological variables. Therefore social and sub-cultur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사실에 주목하고,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의 가해와 피해 및 방관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을 확인하고, 그 변인들의 상호작용 모형을 구조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에 거주하는 남녀 중·고등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의 가해와 피해 및 방관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이 무엇인지를 예측해 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 정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학교급과 우울경향, 자기방어경향성이었다. 학교폭력 피해 정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분노조절, 자아존중감, 자기중심성, 사회적 성 고정관념 등의 요인이었고, 학교급과 성, 분노조절, 불안, 학교폭력 가해정도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방관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방관 정도는 중학생인 청소년 전기에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여학생에게서 더 두드러졌다. 본 연구의 성과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학교폭력 가해-피해-방관의 패턴을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모형화한 것으로서, 특히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해 요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자-방관자, 피해자-방관자 전환 예측모형

        배미희,최중진,김청송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about offender-bystander and victim-bystander on school violence to construct a discriminant prediction model that includes both protective and risk factors among adolescents. RSES, STAI-K, CES-D, IRI, Self Control Scale, gender stereotypes scal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MAS, Peer Relationship Scale, School Bystander Scale. school grade, depressive tendency and self defense act on offender variable were administered to 21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s results, in offender-bystander model, school grade, physical health, anger management, and defensive posture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In contrast, variables such as age, sex, and satisfaction of the appearance related to personal traits rather than psycho-social were significant in predicting the victim-bystander model.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of developing tailored intervention for bystanders who were victims. In spite of these risk factors still exist, it may mean that empathy and perspective convert training can bumpers on risk behavior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 narrow focus on psychological variables. Therefore social and sub-cultur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복잡한 양상을 띠는 청소년 학교폭력의 현황을 설명하기 위해 가해경험을 가진 청소년이 방관자로 변하는 경우와 피해를 받은 학생이 방관자로 변하는 현상에 대한 설명모형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에 거주하는 남녀 중고등학생 216명(남학생 128명, 여학생 87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의 가해-방관, 피해-방관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이 무엇인지를 예측해 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해-방관 모형에서는 학교성적과 신체적 건강, 분노조절, 방어적 특성이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가해-방관 정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인데 비해, 피해-방관 모형에서는 나이, 성, 외모 만족도 등 청소년의 고정된 개인적 특성이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이었다. 피해-방관 모형에서 심리-사회적인 변인보다는 성, 나이, 그리고 외모 등의 고정된 개인적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끼친 것은 사회적인 대처기술이 아직 미숙하기 때문일 수 있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해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방관-피해, 방관-가해의 과도기적 속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청소년의 학교폭력을 해결하기 위해 청소년의 발달적인 특성 및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들을 고려한 맞춤식 중재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된 추후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사회 규범적 접근

        손경원(kyungwon S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6

        본 연구는 역동적인 관계 구조 관점에서 학교폭력 예방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청소년기는 교우관계를 통해 자신을 확장하고 정체성을 형성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집단적 사고에 민감할 수 있다. 이러한 청소년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교폭력 문제를 집단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학교폭력 문제는 가해자와 피해자의 인성적 특징이외에도 또래들의 반응, 학급의 분위기와 같은 집단적 영향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학교폭력을 지켜보는 방관자 집단의 역할에 주목하는 대응방안과 학교폭력 예방에 힘쓰는 집단적 분위기 형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세 조건을 제안했다. 첫째,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 인식전환 및 폭력문제 해결을 위한 관심과 의지가 필요하다. 둘째, 모든 학교구성원들이 학교폭력으로부터 안전한 학교의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목표를 공유하고, 학급의 규칙을 제정하여 서로를 규율하는 교실 내 규범을 확립해야 한다. 이렇듯 규칙의 제정이 필수적이지만 규칙의 권위를 높이고, 규칙을 자발적으로 준수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도덕과 교육과의 연계를 통해 학교폭력에 대한 집단적 교육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도는 규칙의 제정과 준수의 동기화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 the methods of preventing bullying which is based on the social interactional relationship. Students in the adolescent are susceptible to peer groups as peers may be a part of another identity. We need to deal with the bullying in terms of group process. There is a peer's response of the social systems like peer groups which give an effects of the behaviors of the bully. Ii is important to be the role of Bystander to prevent bullying. This study suggests three conditions of preventing bullying such as rule-making, group invention wi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of teacher 's care to anti-bullying.

      • KCI등재

        학교폭력에서 여자 청소년의 방관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혜정 ( Lee Hyeijung ),송병국 ( Song Byeongku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9 청소년복지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학교폭력을 방관하는 여자 청소년의 실존을 해명하기 위하여 여자 청소년 5명과의 심층면접에서 얻은 경험 자료 분석함으로써 학교폭력에서 여자 청소년의 방관 경험이 가진 의미를 van Manen의 현상학적 체험연구 접근으로 탐색하였다. 자료에 대한 주제 분석을 실시하여 21개의 의미단위를 추출하고 8개의 하위구성요소와 3개의 구성요소로 범주화하였다. ‘가만히 있기’, ‘폭력 상황에서 벗어나기’, ‘내 친구 나 자신에게만 관심 갖기’와 같은 하위구성요소에서 <생존전략>이라는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생존전략>이라는 범주를 도출시킨 의미단위는 학교폭력을 목격한 여자 청소년의 즉각적이고 구체적 대응양식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방관도 죄일까?>와 <방관의 위치 : 피해와 가해 사이>라는 하위구성요소로부터 <도덕적 갈등과 회의감>을 정식화하였으며 이것은 자신의 의식에 비추어진 방관자의 모습으로, 여자청소년은 학교폭력 방관경험에서 죄책감과 가해자로 오해받을 수 있다는 두려움을 느끼지만 결국 가해자 되지 않기라는 실존적 결단에 이르게 된다. 방관자 입장의 여자 청소년은 질투와 분노에서 시작된 학교폭력을 목격하며 학교폭력에 대한 어떤 해결책도 상상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으므로 가해자가 떠나더라도 폭력이 제거되지 현실을 <폭력의 논리>로 정식화하였다. 이것은 <출구가 없음>, <제거되지 않는 폭력>, <질투와 분노의 화성>이라는 하위구성요소 도출된 것이다. 이러한 범주화와 추상화 과정을 거쳐 도출된 본질적 주제는 <자기검열, 그리고 침묵>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outsiders’ experience among female adolescents, who went through school violence, by using an analytical phenomenological approach designed by van Manen. For doing this, data from the in-depth interview with 5 female adolescents were analyzed. 21 meaning units from subject analysis found were categorized into 8 sub-categories and 3 components. ‘Survival strategy’ was drawn from components consisting of ‘remaining still,’ ‘getting out of violence,’ and ‘paying attention only to myself and my friends,’ It implies that survival strategy represents female adolescents’ prompt and specific response to school violence. ‘Moral conflict and Skepticism’ was formalized from sub-components which were composed of ‘Is being an crime?,’ and ‘the position of a outsider between offenders and victims.’ It was a outsider who was reflected in the female adolescents’ consciousness. It draws the conclusion that female adolescents presumably have fear that they might be regarded as being offenders because they have once become outsiders at the scene of school violence. However, consequently they decided not to be offenders. Outsiders who were female adolescents witnessed school violence initiated by jealousy and rage were put in the unsolved situation. Therefore, they formalized reality as the logic of violence even if offenders left at school. There were ‘no exit,’ ‘unremoved violence,’ and ‘the combination of jealousy and rage’ as sub-components of the logic of violence. It was identified that essential themes were ‘Self-censorship, and silence’ through the process of categorizing and abstracting.

      • KCI등재

        학교폭력 예측 및 예방 관련 연구에 관한 동향분석(1998-2013)

        김영환,임유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rends in existing research studies conducted on school violence prediction and prevention published from 1998 to 2013 in Korea. This study targets 163 articles, general features, interdisciplinary and co-work, subject, method, and contents. This study found that the total number of research studies on the theme increased from 1 in 1998 to 52 in 2013. Most research studies were conducted by those who majored in law. Regarding the research subject, middle schools took the first ranking, however there were not many studies done on assailant or victim. In contents, it was a changing trend from research on type 1 to type 2. There were many studies on forecast factors and prevention methods in the area of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uggestion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or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programs, and research subjects should be expanded to assailant, victim and bystander. In addition, with collaboration between practitioners in the field and experts in various areas, there needs to be more research focus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methods. Lastly, considering the changing trends with the use of technology, research on smart-based individual devices can be considered a worthwhile research topic on the theme.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3년까지 학교폭력 예측 및 예방에 관련된 국내 학술지 163편의 연구동향을 연구의 일반적 특징과 학제성 및 협업성,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998년 1편이던 연구가 2013년에서 52편으로 증가하였으며 법학 전공자에 의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교수 중심의 단독연구가 월등히 높았고, 연구자간 협업이나 현장 실무자의 연구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중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연구는 매우 활발한 반면 방관자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저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활용된 통계기법은 기초부터 고급까지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었다. 연구내용별 분석에서는 제2유형의 폭력에 관한 연구에서 제1유형에 관한 연구로 방향의 전환이 있었고, 학교폭력 유발의 요인으로 가장 높은 것은 학교였고, 예방관련 연구도 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예측요인과 예방대책별 연구 모두 교육학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추후 학교폭력 예측 및 예방관련 연구에서는 현장 적용 가능한 실제적인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하며 가해자와 피해자 뿐만 아니라 방관자에 대한 연구 및 저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현장 실무자 및 다양한 전공자들간의 협업을 통해 학교폭력의 발생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시대적 흐름에 따라 개인매체 및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학교폭력 예측 및 예방에 대한 연구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 학교폭력 방관자 연구 동향 분석

        이필주 ( Lee Pil-ju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18 인성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방관자 관련 연구를 개관하고 연구동향을 분석함 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로 게재된 논문 중 ‘학교폭력 방관자’로 검색 가능한 박사학위 논문 4편과 석사학위 논문 42편, 학술지 18편 총 64편을 출판연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분석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방관자에 관한 연구는 2013년도에 12편으로 급격히 증가하였고 2014년도 이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가 그 이후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연구가 21편, 33%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3편, 5%로 다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주제는 학교폭력 방관자 변인 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이었으며, 다음으로 개입방안 순이었다. 넷째, 연구방법 분석 결과 양적 연구는 56편, 질적연구는 8편으로 양적연구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방관자의 관련 변인은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 모두 영향을 받으며 특히 또래, 학급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학교폭력 방관자에 대한 연구는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모두 중요하지만 청소년기 특성 상 또래,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바람직한 학급문화 조성, 예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opening the school violence bystander study and analyzing research trends. To this end, from 2000 to 2017, 4 doctoral and 42 master's thesis papers, 18 research papers, a total of 64 academic journals were found as “school violence bystander.” The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school violence bystander rapidly increased to 12 in 2013 and has shown a slight decrease in 2014 and a steady increase since then. Second, the most common objects of the study was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21(33 percent). Least common was high school students. 3(5 percent). Third, the most studied research topic was the variation of the school violence bystanders, second was the method of intervention. Fourth, the results of the study method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56 quantitative studies and 8 qualitative studies. Fifth, we found that the related variation of the bystander was influenced by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especially peers and class culture. To sum up the above, Both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but as it is influenced by age and environment due to adolescent characteristics. It is important to provide desirable class culture as well as prevention. In addition, it is more effective to analyze the internal processes of the bystander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prepare measure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than quantitative alone.

      • KCI등재

        학교폭력에 대한 청소년의 방관적 태도가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지연 ( Ji Yeon Lee ),조아미 ( A Mi Ch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학교폭력을 목격한 청소년의 방관적 태도가 일반적 또는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의 행동수행에 대한 판단으로써의 자기효능감과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학교폭력의 목격경험이 있는 남·녀 중학생 245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방관적 태도(자기방어, 무관심)는 일반적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방관적 태도 중 자기방어는 대인관계 중 의사소통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폭력을 목격한 청소년의 방관적 태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방관자 집단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과 방관자의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measured the bystander`s attitud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ving witnessed school violence, and explored what effects bystanders` attitude have on self-efficacy as a judgement to their performance of conduct in general or social circumstances, and on youth`s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study took up samples of 245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of experiencing witness of school violence. And for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conducted technological statistics,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s. First,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effects on bystanders` attitude to school violence of the subjects on self-efficacy showed that bystanders` attitude of the subjects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effects on bystander`s attitude to school viol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ed that self-defence of bystanders` attitude of the subject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youth bystanders` attitude to school viol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intervention in bystanders` group, a plan to improve the bystander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학교폭력과 주변인 역할에 관한 연구

        최지훈,남영옥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7 복지상담교육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n bystanders role in school violence on the premise that not only the role of aggressor and victim who are directly involved in school violence but the role of bystander is important as well.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760 male․female adolescents who are enrolled in 4 middle schools and 4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used data of 721 students excluding unreliable response in final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bystanders role in school violence of adolescents by classifying into the roles of bystander, defender, and follower, the influencing factors on bystanders role were gender, level of school, empathy for victims, permissive attitude for violence, rearing attitude of parents, peer support, and school atmosphere. For influence of major variables on the role of defender, it was identified that gender, empathy for victims, peer support, and school atmosphere make effect. Lastly, influencing factors on follower’s role were sexual, sympathy for victims, permissive attitude for violence, rearing attitude of parents, and school atmosphere.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뿐만 아니라 주변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중학교 4개교와 인문계고등학교 2개교, 특성화고등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721명의 남․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방관자 역할에는 성별, 학교급, 피해자에 대한 공감, 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지지, 학교 분위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방어자 역할에는 성별, 피해자에 대한 공감, 또래지지, 학교 분위기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고, 동조자 역할에는 성적, 피해자에 대한 공감, 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 분위기로 나타났다. 또한 각 역할에 대한 주요 변인의 영향력은 방관자 역할과 방어자 역할은 피해자에 대한 공감이, 동조자 역할에는 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주변인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 등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