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교생의 진로발달, 학교생활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와 구조적 관계

        조명희,이혜연,이현우 한국진로교육학회 2013 진로교육연구 Vol.26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ausal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velopment,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lso identify the impact of the longitudinal change such as career development on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the achievement.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btained from 685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 first grade in 2008 for three years, which is part of the Youth Panel(YP2007) data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three years had increased significantly; 2)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career develop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achievement, but only the initial value of school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hievement; 3) career development had a direct impact on the achievement as well as an indirect impact through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examined the impact of career development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a longitudinal approach.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발달과 학교생활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인과적인 구조관계를 규명하고, 진로발달이라는 종단적 변화가 학습자의 학교생활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학년의 변화에 따른 진로발달과 학교생활만족도의 변화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YP2007)데이터 중 2008년 고등학교 1학년이었던 685명의 데이터를 3년간 추적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진로발달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개별잠재성장모형과 이러한 변화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3년 동안 고등학생의 진로발달 및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진로발달 초기치와 변화율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학교생활만족도는 초기치만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진로발달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교생활만족도를 통해 간접접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만족도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잘 이루어진 진로발달은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교생활만족도를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발달이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검증하고, 학교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교폭력 사안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에 관한 법적 쟁점 분석

        박주형 ( Ju Hyoung Park ),정제영 ( Jae Young Chung ),이주연 ( Joo Youn Lee ) 대한교육법학회 2013 敎育 法學 硏究 Vol.25 No.1

        본 연구는 2012년 2월 6일 국무총리 주관으로 발표된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으로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를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하는 방안에 대해 법적인 쟁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경기도 교육감이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대상으로 가해학생 조치의 학교생활기록부 기록을 강제하는 것은 법적 근거가 부족하며 학생의 기본권을 과도하게 침해하므로 위법이라는 취지로 대법원에 소를 제기한 상태이다. 먼저 학교폭력 사안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의 근거인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 침」(교육과학기술부 훈령)의 법규성 여부를 살펴보고, 학교생활기록부의 성격이 교육감 의 자치사무인지 중앙행정청으로부터 위임받은 사무인지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가해학생에 대한 조치를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하는 것이 가해학생 기본권 침해의 제한원 칙인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는「초·중등교육법」과 교육과학기술 부령인「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 규칙」에 의해 위임받은 훈령을 근거로 한 것으로 상위법령의 위임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은 합법적인 행정행위로 판단된다. 또한 비록 지 방자치의 실질적 시행과 교육의 자율화가 진행됨으로써 많은 부분이 지방자치단체(교육 감)의 자치사무로 인식될 수 있으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는 국가가 위임한 위임사무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가해학생 조치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를 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적합성, 피해의 최소성 및 법익의 균형성 측면에서 판단해 볼 때 비록 가해학생의 학교 폭력 행위에 대한 조치를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는 것이 가해학생의 기본권을 제한하지만 달성해야 할 공익과 비추어볼 때 그 정당성이 인정된다고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gal issues of filing out the school violence on student`s cumulative records based on "A Comprehensive Plan for Eradicating School Violence" in Feb.6th. 2012. In present,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 Gyeonggi-do sued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by urging that filing out the school violence on student`s cumulative records is not legitimate because it is not based on law and is violating basic human rights of bull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whether drawing guideline for filing out the school violence on student`s cumulative records has legal character and examined thecharacteristics of filing out the school violence on student`s cumulative records in terms of local autonomy. Then, we investigated whether filing out the school violence violated the principle of the prohibition of excessive restriction. As a result of analysis, we concluded that filing out the school violence on student`s cumulative records is legitimate because applicable provisions are legally authorized by law and administrative rule. Also, though due to the localization and liberalization, many parts of educational issues are regarded as local issues, still filing out the school violence on student`s cumulative records is a work which is delegated by central government. Finally, when examining filing out the school violence on student`s cumulative records in terms of justification of purpose, appropriateness of instrument, and balance of benefit of the law, filing out the school violence on student`s cumulative records seems to be justified because of balance of legal interests.

      • 학교생활'의 초등교육적 의미

        정혜영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3 敎育論叢 Vol.50 No.2

        초등학교에서 교육적인 역할이 약화되어가고 있는 현실에서 초등학교 본연의 교육적 과제를 되찾기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 가장 기본적인 측면에서 초등학교를 보는 관점의 전환, 즉 초등학교를 수업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어린이들 의 생활공간으로 보는 관점이 요구되며, 여기서 ‘학교생활’에 주목하게 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학교생활’이 어떤 교육적 의미를 지니는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학교생활’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하였 다. 다음으로 ‘학교생활’에 대한 개념을 일반적인 규정과 대항적인 규정, 그리고 수업과의 관련성에 중점을 두어 파악하였고, ‘학교생활’의 내용적 이해를 위하여 ‘학교생활’의 현상 형태를 몇 가지 차원으로 분석?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기초 아래, 초 등학교에서 ‘학교생활’을 통한 교육적 과제 수행의 가능성을 수업 내적인 측면과 수업 외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결 론적으로 초등학교에서 ‘학교생활’은 교육적 과제 수행의 기반이 되는 것으로서 반드시 그 의미가 회복되어야 할 것으로 규명 되었다.

      • KCI등재

        학대경험이 초등학생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의 매개효과와 성차검증을 중심으로

        정은희,김혜미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3 학교사회복지 Vol.- No.26

        Abused children are known to exhibit a number of behavior problems though individual variations have also been reported. School life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children's adjustment and development, potentially protecting children exposed to stressful life events such as abuse. While the topic of school life has widely been examined in literature, studies examining its role as a potential mediator for children under stress are quite limited. By using the Supplemental Survey on Children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is study examines the dynamic of experiences of abuse, school life, and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Findings show that children's experiences of abuse ar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behavior problems, and that their school life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 of abuse on development of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Furthermore, multi-group analyses by gender also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varied between boys and girls. Based on such findings, clin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학대경험과 같은 부정적인 아동기의 양육환경은 아동의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모든 학대피해아동이 부정적인 발달을 보이는 것은 아니므로 아동의 성공적인 발달을 위한 보호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학대경험과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아동의 주요한 외부지지체계인 학교에서의 생활이 학대피해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보호기능을 할 수 있는지와 아동의 학교생활 향상을 위한 개입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조사 1차년도 아동부가조사 자료에 포함된 총 747명의 초등학교 4-6학년학생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SPSS 20과 Amos 20으로 기술통계와 t-test, 구조방정정식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의 학대경험은 외현화 문제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이러한 관계를 학교생활이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다중집단분석으로 통해 확인한 결과 학교생활의 간접효과에 차이를 보였다. 남학생의 경우 아동학대 경험이 낮을수록 긍정적인 학교생활 수준이 높아지며 긍정적인 학교생활은 외현화 문제행동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으나 여학생의 경우 아동학대와 긍정적 학교생활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 영향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학교생활의 매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학대와 외현화 문제행동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학대피해 아동에 대한 지원을 가족과 개인에게 집중되기보다는 학교와 교사 등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학교환경의 보호체계기능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생활 적응의 증진방안에 대한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생활체육참여 정도 관련변인과 학교폭력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유광욱 ( Kwang Uk Uu ),원유병 ( Yoo Byeong Wo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생활체육참여 정도관련 변인과 학교폭력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에 속해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 남학생 504명을 최종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생활체육참여 인원은 279명, 비 참여 인원은 225명이였다. 통계적 기범은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Freouency analysis),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생활체육참여 유무가 학교폭력 행동과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 참가집단과 비 참가 집단에 차이가 나타났고, 생활체육참여 정도관련변인과 학교폭력 행동 및 학교생활적응 관계는 여러 참여 정도관련변인들과 부정적 또는 긍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생활체육참여가 비참여자 보다 학교폭력은 부정적 관계가 있고 화교생활적응은 긍정적 관계가 있으며, 생활체육을 간협적이라도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은 학교생활폭력과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직·간접적으로 부정적 또는 긍정적인 관계를 미치므로 스포츠센터에서의 규칙적인 생활체육참여가 아니라도 학생들에게 시간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는 교내의 점심시간, 방과 후 신체활동, 공휴일, 수업이 없는 2,4주의 토요일 그리고 일요일에 신체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도록 권고하고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 of variance occurred through participation in all of sports and school violence/adaptation.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504 students from a liberal arts high school, with those participating in all of sports numbering 279 and those not participating in all of sports number 225. The tools that were used to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MANOVA, one-way ANOVA, correlation, multiple-regression analysis. Here are the following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those who participated in all of sports we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school violence and better adapted to school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all of sports. The school violence factor of alienation had an relationship on the all of sports participation factors. In conclus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school violence/adaptation and all of sports participation and also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in the variance,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that occur during sports participation. Therefore,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during, vacations, weekends, holidays, free Saturdays, lunchtimes and other free times, students must participate actively in all of sports.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위험요인의 영향에서보호요인인 또래요인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검증

        백소영,이준우,임수정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isks to hinder adolescents from adjusting to school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peer relationship in the relation between risk factors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panel data of the 7th grade teenagers in the 6th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collected in 2015 was used for this study. In terms of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n risks affecting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first, the personal factor and family belonging to risk factors had a negative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risk factor prevented adolescents from adjusting to school. The stronger the peer relationship was, the better teenagers adapted to school. Moreover, the personal factor as one of risk factors having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decreased as communication and trust between peers increas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er relationship was verified.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f family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by the level of communication and trust of peers. Third, as for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rotective factor, the risk factor curbe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direct effect of the personal factor on adolescents' school was significant (p<.001) but that of family was not. Statistically, individual and peer had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family and peer statistically indirectly influence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at is, it was found that peer had a partly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ffecting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but peer played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family impacting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방해하는 위험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청소년의 또래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의 보호요인으로서 갖는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중1 패널 6차년도(2015년)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검증주제인 위험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검증결과, 위험요인인 개인요인(심리․정서적 상태)과 가정요인(부모의 양육방식과 방임, 학대)은 학교생활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위험요인은 학교생활 적응을 떨어뜨리고, 보호요인인 또래관계의 조절효과 검증에서 또래관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요인인 개인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부적인 효과가 또래요인 즉, 또래에 대한 의사소통과 신뢰가 증가할수록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또래관계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가정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는 또래에 대한 의사소통 및 신뢰의 수준에 의하여 달라지지 않았다. 셋째, 보호요인의 매개효과검증결과, 위험요인은 학교생활 적응을 떨어뜨리고, 개인요인이 학교적응에 갖는 직접효과는 p<.001로유의하였으나 가정요인이 학교적응에 갖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개인요인->또래요인->학교적응의 간접효과와 가정요인->또래요인->학교적응의 간접효과는 둘 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또래요인은 개인요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가정요인이 학교적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의 학교생활적응 및 자기조절능력 향상의 효과 검증

        이현주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maladjusted adolescents. The study subjects are 14 maladjusted adolescents who referred from their teachers at OO vocational high school in Chungbuk. The study was performed through the total 10 sessions in 5 weeks, twice a week, and 100 minutes for each session. To verify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e- and post test scores of school life adjust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are analyzed by the Wilcoxon Signed-Rank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adjusting behavior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maladjusted adolescents in school life.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can be a useful program to help maladjusted adolescents in school social work practice. 본 연구는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의 학교생활적응 및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충북 소재 OO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학교생활부적응 행동특성을 보여 교내 상담부로 의뢰된 1, 2학년 남, 여 학생 14명이다.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 5주간 회기당 100분씩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학교생활적응척도와 자기조절능력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학교생활적응과 자기조절능력의 평가가 실시되었으며,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으로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는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유용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저소득층 중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차이 분석

        정성희,박수정,장현숙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저소득층 중학생을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지역주민센터 자료를 근거로 저소득층 확정을 받은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가정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5년 7월 3일부터 2015년 7월 17일까지 2주간에 걸쳐서 조사하였으며, 조사대상 인원은 총 440명이었다. 비만도 평가는 대한 비만학회의 규정에 따라 BMI<18.5은 저체중, 18.5≤BMI≤22.9은 정상, 23.0≤BMI≤24.9은 과체중, BMI≥25.0은 비만으로 분류하였다. 스트레스 조사는 가정환경, 친구, 학업, 교사/학교 등 4가지 하위 영역별로 구분하여, 총 27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1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조사지의 신뢰도 값은 Cronbach α=.967이었다.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은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5개 영역은 교사관계적응, 교우관계적응, 학교수업적응, 학교생활적응, 학교환경적응 등 이며, 각 영역은 4문항으로 총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만군에서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정상체중군은 스트레스 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비만군에서 학교생활 적응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정상체중군은 학교생활 적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만군에서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고, 정상체중군은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만도는 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p<0.01), 비만도와 학교생활적응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p<0.001),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p<0.01).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1), 학교생활적응은 자아존중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저소득층 학생은 비만군의 분포가 가장 높고, 비만군일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높으며, 학교생활 적응이 낮고,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tress, school life adaptation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obe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low income clas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selected among students from low income class, confirmed as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nd classified as lower income group, based on community service center data. As for measurement tools, BMI was calculated, which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ir obesity. For stress, the four-point Likert scale on daily stress was used, which was developed for Korean adolescents by Han (2011). For school life adaptation, the five-point Likert scale by Choi (2010)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self-esteem, the four-point Likert scale by Lee (2013)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the students from the low income class belonged to the obese group.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low income class of the Daegu area, the obese group had lower scores in all five domains of school life adaptation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school class, school life, school environment), while the normal weight group had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low income class of the Daegu area, the obese group had lower self-esteem, while the normal weight group had higher self-esteem.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학교생활만족도와 동적학교생활화 반응특성의 관련성 연구 - 일반초등학교와 분교를 중심으로 -

        최외선,김유경,김미향,정수미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美術治療硏究 Vol.17 No.1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satisfaction degree in school life and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KSD according to a general elementary school, its branch school and background variations such as sex distinction, school grades, school type. The study subject is 238 school children in 3th․4th․5th․6th grade, who attend in 1 elementary school, and 6 branch schools in Jeju city. For them, the questionnaire method is carried out. Among the whole questionnaires returned by the children, except of 7 questionnaires which are not filled in fully, 231 questionnaires are analyzed. The research work is carried out from April 23, 2009 to May 22, 2009. One researcher who is in Ph.D. course of Department of Art Therapy carries out questionnaire method on satisfaction degree in school life and KSD test. The data materials are analyzed by SPSS(ver 14.0 for Windows). And by the program t-test and ANOVA are carried out, and Scheffé test is carried out as a post-hoc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atisfaction degree perceived by school children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and branch school is more than the average level. Secondly, 'School·Class surroundings', 'Study activity', 'School·Class ev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Satisfaction degree in school life' of girl students are higher than those of boy students. Thirdly, in case of reaction characteristics of KSD, boy students have more aggression, interest on sexual matters, school problems than girl students. And Support/Acceptance of girl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boy students. Fourthly, the higher school·class surroundings, relationship with teachers, satisfaction degree in school life are, the lower the interest on sexual matters is. This study gives a suggestion that KSD is a device to diagnose satisfaction degree in school life. 본 연구는 일반교와 분교, 배경변인(성별, 학년, 학교형태)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와 동적학교생활화 반응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도내 일반초등학교 1개교와 분교 6개교에 재학 중인 3ㆍ4ㆍ5ㆍ6학년 아동 238명에게 실시하였으며, 이들 자료 중 기재가 미비한 7부를 제외한 231부만을 분석하였다. 검사 날짜는 2009년 4월 23일부터 5월 22일까지이며, 미술치료학과 박사수료생 1인이 학교생활만족도 설문조사와 동적학교생활화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4.0을 사용하여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사후검증으로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교와 분교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학교생활만족도는 보통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교·학급환경’, ‘학습활동’, ‘학교·학급행사’, ‘교사와의 관계’, ‘학교생활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동적학교생활화 반응특성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공격성, 성적인 관심, 학교문제가 더 많고, 지지/수용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학교․학급환경, 교사와의 관계,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적인 관심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적학교생활화가 학교생활만족도를 진단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 국민생활위기에서의 학교생활안전사고 개선방안 : 충북 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의 인식에 대한 실증분석

        곽은숙(郭恩淑),이재은(李在恩)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2009 국가위기관리연구 Vol.3 No.2

        이 연구에서는 국민생활위기관리에서의 학교생활안전사고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지역 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인식을 조사하였다. 학교생활안전사고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안전문화 정착방법에 대하여 교사와 학생 모두 학교의 자체 안전 연수 실시 및 언론을 통한 지속적 홍보가 학교생활안전을 정착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생활안전 안내 자료를 배부하는 것은 교사와 학생 모두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반면에 교직원들이 외부 기관에서 실시하는 안전교육을 듣는 것에 대해서는 다소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 모두 학부모 안전문화 연수 실시 및 교사의 설명 위주 교육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교육에 대하여는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교사와 학생 모두 외부 강사 초빙에 대하여 보통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는데 이것으로 보아 학교생활안전 교육에 있어 교사가 직접 실시하든 외부 강사를 초빙하여 실시하든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의시설물 또는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안전 교육을 각각 따로 실시하거나, 모의시설물을 통한 체험교육과 시청각 자료 교육을 병행하여 생활안전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학교생활안전사고 개선을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