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멜표류기』에 의한 관광문화산업의 허와 실

        이영란 ( Lee Youngr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본고는 1653년 제주도에 난파하여 조선 13년간을 머물렀던 핸드릭 하멜 일행을 기념하는 전시관인 제주하멜상선전시관, 강진하멜기념관, 여수하멜전시관 및 하멜등대 등 총 3곳의 운영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하멜표류기』에만 의존한 전시관의 현주소에 대해 고민함과 동시에 보완대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시관은 하멜과 일행들의 생활과 17세기의 조선 사회 모습을 연계하여 담아 내지 못한 미완성 전시관으로서의 아쉬움을 갖게 한다. 특히 제주와 하멜일행이 머물렀던 지역과의 연계를 통해 하멜의 조선생활을 그려낼 필요성이 있다. 3개 지역의 하멜전시관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한다면, 첫째는 용어의 통일, 둘째는 전문 인력의 배치, 셋째는 전시관 도록 및 연구 책자 발행, 다섯째는 디지털 자료의 지속적 업그레이드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역과 연계한 역사적 사료를 담은 전시관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각 지역에 있는 하멜전시관은 조선에서 하멜 일행의 생활을 단순한 지자체의 사업이나 네덜란드와의 교류의 장을 넘어서 17세기 조선에서 그들의 생활과 당시 조선 사회 안에서 읽어 낼 수 있도록 그 역할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나아가 하멜 일행이 여러 지역에서 생활한 내용을 토대로 각 지역마다 관광문화산업에 알맹이가 있는 유용한 자료를 관광객에게 제공하는 전시관으로 체계화, 내실화해야 할 것이다. There are a total of three places to honor Hendrik Hamel who was cast away in Jejudo in 1653 and stayed in Joseon for 13 years: Jeju Hamel Museum, Gangjin Hamel Museum and Yeosu Hamel Museum. we should think about the present status of museums only depending on 『Hamel's Castaway Diary』. In this situation to overcome the problem, we have to search for solutions. It is sorry in that the museums do not connect life of Hamel and his party to social aspects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This study proposed a few strategies for three Hamel Museums: First, terms should be unified; Second, professionals should be employed; Third, museum catalogues and academic texts should be published; Fourth, digital data should keep being upgraded and fifth, historical facts that are connected to local areas should be realized for active management of the museums. The museums should be improv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ir life in Joseon of the 17th century beyond simple business of local government and exchanges with the Netherlands. Furthermore, the museums should be organized and improved to provide useful data for tourism culture industry based on the record on living of Hamel and his party in many places of Joseon.

      • KCI등재

        ‘하멜 보고서’에 기록된 타자화의 패러독스

        김성희 전북사학회 2022 전북사학 Vol.- No.64

        Hamel’s Report is a document that summarizes Hendrick Hamel's 13 years of stay in Joseon, who drifted on Jeju Island in 1653. This report was originally written for the purpose of claiming unpaid wages during his stay in Joseon, but since it was published in the Netherlands in 1668, it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as the first book to inform Westerners of Joseon. The report has great historical value in that it is a record of a Westerner who has lived as a member of Joseon society for a long time summarizing his views on politics, economy, diplomacy, society, and culture in the 17th century. However,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re is a risk of distortion and misunderstanding between the lines of compressed records written in simple strokes. This is because if one reads this record without considering the intention and characteristics of writing it in a practical report, one may have a false perception of Joseon. It is widely known that errors and distortions in lowering Hamel's experience to the level of fantasy travel stories occurred several times during centuries of publishing and translation, adversely affecting readers' perception of Joseon. Even though one does not find any modernist disparaging and prejudice against Joseon society from Hamel's view, the 'exotic' country of Joseon became the subject of serious otherization by many later generations who appropriated Hamel’s records and memories. However, the fact that such otherization were made not only in Western countries but also in Joseon is also significant. While Joseon's records of Hamel's drift generally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facts, some records show strong traces of otherization and disparagement of unfamiliar Westerners. It was also the same in Joseon that there were arbitrary variations and distortions about Hamel's memory. As such,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there is a risk of distortion and misunderstanding between the lines of the text when meeting objects that we have not experienced in person through specific records. Modern Korean readers are also not free from the mistake of reading Hamel’s Report without clearly recognizing that Joseon in the past and modern Korea are essentially very different objects. Rather than judging events hundreds of years ago from a modern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read carefully and crit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the records of the past. ‘하멜 보고서’는 1653년 제주도에 표착한 헨드릭 하멜이 약 13년간의 조선 체류 실상 및 관련 기록을 정리한 난파 경위서이다. 이 보고서는 원래 조선 체류 기간의 체불 임금 청구를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었지만 1668년 네덜란드에서 출간된 이래 프랑스·영국·독일 등 많은 나라에서 번역‧간행되면서, 서양인들에게 조선을 알리는 최초의 저서로서 심대한 관심을 받아 왔다. ‘하멜 보고서’는 오랜 세월 동안 조선 사회의 일원으로 생활하였던 한 서양인이 17세기 조선의 정치‧경제‧외교‧사회‧문화에 관한 견문을 손수 정리한 기록이라는 점에서 매우 큰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간명한 필치로 작성한 압축적인 기록의 행간에 왜곡과 오해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국적인 견문기가 아닌 실용적인 보고서로 작성된 이 기록의 집필 의도와 특성을 염두에 두지 않은 채 책장을 펼칠 경우 조선이라는 나라에 대한 그릇된 이해를 갖게 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수 세기 동안 거듭된 출판과 번역 과정에서 ‘하멜 보고서’ 원본에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던 악어와 코끼리의 삽화가 포함된 것을 필두로 하여, 하멜의 견문을 공상적 여행담의 수준으로 격하시키는 오류와 왜곡이 여러 차례 발생함으로써 독자들의 조선 인식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하멜의 기록에는 조선 사회에 대한 근대주의적 비하와 타자화의 편견이 발견되지 않음에도, 그의 기록과 기억을 전유한 후세의 많은 사람들에 의해 조선이라는 ‘이국적인’ 나라는 심각한 타자화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타자화가 비단 서양 국가들에서 뿐만 아니라, 하멜이 다녀간 조선에서, 하멜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는 사실 또한 눈길이 가는 대목이다. 하멜의 표착에 대한 조선 측의 기록은 대체로 사건의 시말에 관해 여실히 기술하고 있는 반면, 일부 기록에서는 하멜 일행을 ‘서양 괴물’과 같이 왜곡된 모습으로 묘사하는 등 낯선 서양인에 대한 타자화와 비하의 흔적이 진하게 묻어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멜에 대한 기억이 후대로 전승되면서 임의의 변주와 왜곡이 이루어졌던 것은 조선에서도 역시 마찬가지였던 것이다. 이처럼 우리는 직접 경험하지 않은 대상을 특정한 기록을 통해 만날 때 그 문자의 행간에 왜곡과 오해의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과거의 조선과 현대의 한국이 본질적으로 매우 다른 대상이라는 점을 명확히 인지하지 않은 채 ‘하멜 보고서’를 독해하는 잘못에서 현대 한국의 독자들 역시 자유롭지 않다. 수백 년 전의 사건을 현대의 관점으로 재단하기보다는 과거의 시공간적 맥락과 기록의 근원적 한계를 감안하여 신중하고 비판적인 독서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하멜 표류기』의 한국어 교육학적 분석

        조희영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0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하멜 표류기』를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는 크게 세 가지이다. 먼저, 한국어 교원으로서 박연에 대한탐구이다. 박연은 하멜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가르친 네덜란드 출신의 귀화인으로 하멜과 하멜 일행에게 한국어 교원의 역할을 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학습자로서 하멜을 이해해 보려고 한다. 하멜은 13년 동안 조선에 살면서 한국의 말과 문화를 익힌 한국어 학습자이다. 현대의 관점에 따라 하멜의 학습자 분류와 그에 따른 언어 능력, 학습 동기, 한국어 수준을 파악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하멜 표류기』에 나타난 요청 화행의 실행 양상을살펴보는 것이다. 『하멜 표류기』에는 하멜과 그 일행이 조선에 머무는 동안 마주한 여러문제 상황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요청 화행 양상이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당시의 요청 화행 실행 양상에 대해 추측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17세기 조선에 도착한 네덜란드인 하멜

        이민식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4 No.-

        The Dutch sailors arrived at Batavia from Texel in January 10, 1653. They received an order from East India Company which had to make a voyage to Tiwan by Sparrow Hawk. A sailor, Hendrick Hamel was the secretary of Sparrow Hawk belonging to East India Company. The sailors including Hendrick Hamel arrived at the vicinity of Mosŭlpo through the Taiwan Strait, because of victim of a terrible typhoon on the southern coast of Cheju Island in August 16, 1853. Among 64 sailors, many of the thirty-six survivors were seriously injured. They arrived at Taejŏng, and went to Mokkwan in August 21, 1853. Afterward they lived in the vicinity for 9 months which King Kwanghae was sent in the exile on Cheju Island. The sailors all had lived in Cheju Island for 10 months. They reached at Seoul in July 26, 1654. In so far as their circumstances permitted, they were able to lead normal lives on all occasions but one, and that was when a Manchu embassy was in Seoul. They desperately tried to explain to the embassy in order to escape from Korea. So Korean government decided upon the excile to Cholla Do because of the Manchu Envoy Incident. Hendrick Hamel was sent to Cholla Pyongyong with his friends. In that time, The surgeon, Mathew Eibokken or Matheus Ibocken said that there was some crews who had married Korean girls. In Cholla Pyongyong, they divided into 3 parties, and Hendrick Hamel was gone to Chwasuyŏng. Hendrick Hamel escaped from Chwassuyŏng with his Dutch friends in Yŏ녀 and 3 in Sunchŏn in September 4, 1866. At last they reached at the opposite of the Island of Deshima. The questions was asked by the Governor of Nagasaki on their arrival. They reached at his country in July 20, 1668. Hendrick Hamel published An Account of the Shipwreck of a Dutch Vessel on the Coast of the Isle of Quelpaert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Kingdom of Corea to report his chief. It was written to the exile life for 13 years in Korea by him. I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Chuchil in 1704. It is the first book which was introduced to Korea. So the westerners could recognize existence of Korea through it. Similarly Americans recognized Korea through Hamel's book. 하멜은 1653년 1월 10일 텍셀을 출발하여 바타비아에 왔다. 동인도회사가 대만으로 가라는 명령을 받고 1853년 1월 14일 스페로우호크 호를 승선하여 8월 16일 대만해협을 빠져 나와 64명의 선원중 36명이 풍랑을 만나 모슬포 부근에 표착하였다. 하멜 일행은 1653년 8월 21일 대정에 도착하여 목관에 수용되었다. 그뒤 그들은 광해군 귀양지 부근에서 9개월을 살았다. 선원들은 제주도에서 10개월 정도 살았던 것이다. 1654년 7월 26일 그들은 서울에 도착하였다. 그들은 청나라 사신과 접촉하여 조선을 탈출하려고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래서 조선정부는 하멜 일행을 전라도로 유배보내기로 결정하였다. 하멜 일행은 전라 병영에 끌려갔다. 일행 중 외과의사 아이복켄은 일행 중에는 조선 여자와 결혼하여 아이를 낳은 사람도 있다고 하였다. 전라 병영에서 3개 집단으로 분산 수용되었는데 하멜은 1663〜66년간 내래포(여수) 좌수영에 수용되었다. 하멜은 1866년 9월 4일 좌수영에 있었던 하멜 등 5명과 순천에 있었던 3명 도합 8명이 배를 매입하여 조선을 탈출하여 9월 13일 데시마도 반대편에 정박하고, 10월 25일 나가사키 당국의 심문을 받았다. 1668년 7월 20일 네덜란드에 도착하였다. 그해(1668) 그는 『하멜표류기 및 조선국기』를 출간하였다. 윗 사람에게 알리기 위하여 이 책을 저술하였다. 13년간의 억류생활에 대하여 70페이지 정도의 분량을 쓴 것이다. 내용의 절반 정도가 조난 사실, 나머지(조선국기)는 조선의 국토와 백성에 대하여 쓴 것이다. 『하멜 표류기 및 조선국기』는 1704년 처칠이 영어로 번역하였다. 이 책은 서양인에게 조선에 대한 정보를 봉급하여 주는 유일한 책이었다. 미국인들에게도 이 책의 가치는 마찬가지였다.

      • KCI등재

        『하멜보고서』를 활용한 한국 법문화교육의 의미와 그 효용성

        문형진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2 역사문화연구 Vol.43 No.-

        본고는 헨드릭 하멜이 작성한 『하멜보고서』를 활용한 한국 법문화교육의 의미와 그 효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Ⅱ장 ‘하멜보고서의 교재적 가치와 그 의미’ 부분에서는 하멜보고서가 교육 자료로서 지니고 있는 가치를 분석함과 동시에 그 속에 담긴 의미에 주목하였다. 하멜보고서에서는 혼례풍속에 대해 ‘남자가 여자를 데려가서 자신의 집에서 식을 올리고 생활한다’.고 기록하고 있어 일반 백성들 사이에 시집가는 풍속이 정착됐음을 입증해주고 있고 상·장례 또한 고려의 불교식장례가 유교식 상복례와 시묘살이 그리고 조상숭배를 강조한 형태로 정착되었음을 드러내주고 있다. 즉 전통문화의 변천과 정착 그리고 현대문화와의 상관성을 두루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훌륭한 교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Ⅲ장 ‘하멜보고서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 방안’에서는 형벌과 관련된 내용이 많은 점에 착안하여 먼저 법문화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 법문화 속에 한국 전통문화의 본디가 담겨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법문화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였고, 『하멜보고서』가 기록문화라는 점에 착안하여 기록문화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언어와 글 자체를 활용한 언어와 문화 병행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value and exploitation of project in Hamel's Report. It is as in the following. In the chapter 2, 'the value of Hamel's report', has the original form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value of specimen which foreigners suffer and overcome cultural and linguistic shoke. It also has high quality of value considering that it is recorded people's life on the foreigner's sight. In the chapter 3, 'variety of methods which utilized Hamel's Report', educational methods which applicated legalization and recorded culture. It also examined educational methods which juggled language and culture. Hamel’s report has high value considering that it is the Korean culture which was wrote by European and it shows cultural shoking situation foreigners could be suffered.

      • KCI등재

        『하멜보고서』의 법 민속사적 검토

        문형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1

        This study examined the legal folklore of Koreansfrom Hamel's report through complete series of law and diverse materials. Hamel understood the legal systems of the Chosun dynasty and discriminating orders of Confucianism well in his own way. Also, his documents became more valuable in use because he wrote the writing time of the recording documents. Even he interpreted the culture and social system of Chosun from his viewpoint, his understanding level for the law of the Chosun times was very high. In the chapter 2, ‘the Hamel’s understanding for the law of the Chosun times’,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Hamel’s understanding for the law of the Chosun times. Hamel understood the different application of punishment based onthe relationship between assailant and sufferer even those were same crime. This study comparatively researched the provisions of Demyungryul(大明律) for assault murder,criminal assault, larceny in order to study cased which he presented in his report. In the chapter 3, ‘the documentary study for punishment’, this study verified the meanings and actual facts of punishment and implements of punishment. In the Chosun times, implements of punishment were used for punishment as well as law. Also, there were provisions for prohibition of abusing in punishment. This study could research the hided side of punishment through the actual executions of sentences in the Chosun times. In the chapter 4, this study researched that wedding ceremony and funeral rites based on the ways of Confucianism were coexisted in Chosun times. The Chinyungre(親迎禮), the rite that the bridegroom go bride’ house to get married to bride, came to stay in the society of normal people in the 17 centuries. Also, funeral rites based on the ways of Confucianism were coexisted with the ways of shamanist custom and Buddhist ritual. From this study, Hamel’s report was coincided with facts in the Chosun times. Hamel’s report was the documental recoding from his staying periods for 13 years and 28days. Even his staying periods might be hard for him, his report was became precious documental materials for legal folklore of the Chosun times. 본고는『하멜보고서』에서 나타난 법속을 민속사적 측면에서 검토해 보기위해 작성하였다. 사실 규명을 위해 여러 법률서와『조선왕조실록』의 사례들을 활용하였다. 2장 ‘하멜의 조선법 이해’ 부분에서는 하멜이 파악한 조선법의 정도를 가늠해 보았다. 하멜은 같은 범죄라 하더라도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에 따라 다른 형량이 부과됨을 알고 있었다. 그가 제시한 사례의 타당성을 규명하기 위해 『대명률』의 구타 살인죄, 강간죄, 절도죄의 조문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3장 ‘형벌에 대한 기록을 검토’한 부분에서는 형벌과 형구가 지니고 있는 의미와 그 사실성을 검증해 보았다. 법 이외의 형구들이 사용되고 있었고, 남형(濫刑) 또한 상존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사실적인 행형 실태를 통해 조선시대 감추어진 형벌의 이면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유교식 혼·상례와 전통의 풍속이 함께 공존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17세기 시집살이가 백성들 사이에 행해지고 있었고, 유교식 상례와 무·불식 상례가 더불어 행해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한편, 그의 기록들이 대부분 사실에 부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멜보고서』는 하멜이 머문 13년 28일간의 기록이다. 그에게는 고통이었지만 조선의 법민속을 규명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표류’에 대한 서사적 기억과 문학적 의미 –한문 서사와 『하멜 표류기』를 중심으로

        김수연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9 No.-

        이 글의 목적은 17세기에 발생한 ‘남만인의 조선 표착’이라는 특별한 경험에 대한 기억의 궤적을 살피고 그것의 문학적 의미를 전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항해 시대 조선이 유럽에 대한 구체적 이미지를 갖게 된 사건으로서, 남만인 박연과 하멜의 표착 과정과 그것에 대한 기억과 소문들을 고찰하였다. 그런 후 그들의 기억 속에서 발견되는 표착지 조선의 모습을 발견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특정한 사건에 대한 기억과 소문이 ‘실사와 허구’의 경계 영역에 속하면서 새로운 문학적 상상력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추적할 수 있었다. 또한 우연히 만나게 되는 ‘해양 시대의 조선인들’에 대한 흔적을 확인하고, 그들에 대한 소문이 만들어낸 서사와 캐릭터를 통해 ‘내륙으로 축소되는 상상력에서 바다로 뻗어나가는 상상력으로의 일대 전환’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하멜표류기』와 한문 서사에 나타난 유럽 남만인 박연과 하멜에 대한 기록을 통시적으로 고찰했다. 17세기 하멜이 기억하는 박연과 조선, 그리고 하멜 이후 조선에서 기억하는 박연과 하멜에 대한 기록이 그것이다. 또한 하멜이 호남지방에서 만났던 ‘나가사키를 자주 왕래한 자’에 대한 기억을 중심으로, 조선을 출발점으로 삼은 표류 서사의 모습과 전망에 대해 고찰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rajectory of the memory of the special experience of “southern barbarians’ being cast on Choson” and its literary meaning. First of all, I reviewed the process of drifting and memories and rumors about two southern barbarians: Park Yeon and Hendrick Hamel. This was the case when the Choson Dynasty had a concrete image of Europe. After that, I would like to discover the image of Choson, as the destination found in their memory. I consider the process by which the memories and rumors of a particular event go from the boundary of nonfiction and fiction to a new literary imagination. In addition, I have looked into traces of “Koreans in the maritime era” and encountered by chance a big transition of the imagination from facing inland to looking out to sea, through the narratives and characters created by the rumors about them. Specifically, I reviewed the records of Park Yeon and Hendrick Hamel in Hamel’s Journal and Chinese historical narratives. This is the record of Park Yeon and Choson remembered by Hamel in the 17th century, and Park Yeon and Hamel remembered by Choson after Hamel. In addition, I considered the drift narrative and gave a view of it centered on the memory of the person Hamel met, who was a frequent visitor to Nagasaki, Japan.

      • 하멜의 조선표류와 강진 생활이 함축하는 의미

        보데왼왈라번(Boudewijn Walrave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7 다산과현대 Vol.10 No.-

        17세기 중엽, 난파 사건으로 인해 조선과 서양의 해국(海國)인 네덜란드간의 접촉이 있었다. 그 이후 지속적인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조선과 네덜란드의 접촉은 큰 의미가 없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지만 이는 조선에 대한 정보가 서양에 널리 보급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조선에 대한 자세한 보고서를 포함한, 헨드릭 하멜(1630-1692)이 저술한 책이 불어와 독어, 그리고 영어로 번역되어 17~19세기에 수 차례 출판되었다.(유감스럽게도 그 번역본에는 오류가 적지 않았다.)  『하멜의 보고서』에 기록된 서로 이질문화에 속했던 조선인들과 네덜란드인들의 만남에 21세기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도 시사할만한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낯선 문화를 대면하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특히 『하멜의 보고서』에 실린 네덜란드 사람들의 강진 생활에 대한 대목을 보면 17세기 조선에 인종차별이 없는 화목한 다문화 사회의 맹아가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유럽은 18세기가 되어서야 (유사)과학적인 인종의 개념이 생겼는데, 『하멜의 보고서』는 17세기 조선 땅에서도 그런 개념이 없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The stranding of Dutch sailors on the coast of Jeju Island in 1653 may be thought of as a dramatic incident of little historical importance, as it did not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lasting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he Netherlands. But knowledge about Korea in Europe was greatly advanced thanks to the publication of Hendrik Hamel (1630-1692)’s report about his adventures with its account of the geographical and political conditions and culture of Korea, which was soon translated into English, French and German. These translations remained constantly in print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Unfortunately, they contained quite a few errors, bu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original report was highly accurate. A careful reading of the report of the Dutchmen’s thirteen-year experiences in Korea is also of interest from acurrent point of view, now that Korea is developing into a multicultural nation. It suggests that at the time the concept of race, which became popular in Europe only in the eighteenth century, played no role, not on the Korean side and not on the Dutch side, and that the presence of the Dutchmen may have led to an early, though necessarily limited, form of a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하멜표류기』의 번역 양상과 ‘표류 체험’의 서사·이문화 교섭의 의미

        김경남 ( Kim Kyung-na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1 탐라문화 Vol.- No.68

        이 글은 『하멜표류기』의 출현 과정과 가치, 번역 양상 및 서사적 의미와 이문화 교섭에 따른 문명 담론이 갖는 특징을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고 출발했다. 이 표류기는 1653년 제주도에 표착하여 13년간의 조선 생활을 거쳐, 일본으로 탈출한 하멜 일행의 여행기이다. 항해와 표류, 조선 생활과 탈출을 기록한 「일기」와 그들이 견문한 보고서인 「조선국기」로 구성된 이 표류기는 1668년 처음 발표될 때부터 유럽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다수의 네덜란드 판 본이나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로 번역된 판본이 존재하는 것은, 이 표류기가 발표되었을 당시 ‘항해의 시대’, ‘식민 개척의 시대’로 불리던 그 당시 유럽의 시대상황을 잘 보여준다. 이 표류기는 1913년 『태평양잡지』 의 번역본이 등장한 이래 『청춘』 제14호의 전재본, 『진단학보』 제1호-제3호 이병도 번역본이 등장하여, 학계에도 널리 알려졌다. 이 세 가지 판본은 번역 대상이나 번역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순국문의 「하멜 일기」와 국한문으로 전재한 「헨드릭 하멜의 조선일기」는 문체 이외의 차이는 없으나, 이병도 번역본은 불역본과 영역본을 대조하여 고증적으로 번역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특히 이 번역본에서는 앞선 두 번역본과 달리 「조선국기」를 번역하여 17세기 조선 사정을 연구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하멜표류기』는 17세기 시대상황과 문화 접촉을 보여주는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항해문학이자 모험소설로서의 가치를 내포한다. 즉 문학적 차원에서 ‘일기’의 각 장은 네덜란드의 항해시대 동방에 대한 관심과 식민 개척의 욕망, 출항과 표착, 체류와 도피 과정에 나타나는 서사 장면, 귀환과 미귀의 극적 요소 등이 종합된 서사물인 셈이다. 이 표류기는 그 당시의 문화 접촉 양상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뿐 아니라, 조선인과 하멜 일행의 세계관을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을 주며, 종교 관념이나 문화적 차이, 서구의 기독교적 문명 담론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세종의 번역본에 나타나는 어휘나 번역 방식의 차이는 번역자의 태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This article started with the goal of examining the process and value of the appearance of the Hamel Drifting, the translation aspect, the narrativ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according to cross-cultural negotiations. This is the travelogue of Hamel and his party who landed on Jeju Island in 1653 and escaped to Japan after living in Joseon for 13 years. Composed of a 'diary' that records voyages, drifts, life and escapes from Joseon, and 'JOSEONGUKGI(朝鮮國記)', a report they had experienced, this drifter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Europeans since it was first published in 1668. The existence of numerous Dutch and German, French, and English translations shows the situation in Europe at that time, which was called the 'age of voyages' and 'the era of colonization' when this drifter was published. Since the translated version of the Pacific Magazine(태평양잡지) appeared in 1913, the reprint of the CHYEONGCHUN(靑春) No. 14 and the translated version of the JINDANHAKBO(震檀學報) No. 1 - No. 3 by Lee Byung-do appeared in this journal, and it became widely known in academia. The work contains not only its value as a historical data showing the situation and cultural contact of the 17th century, but also its value as a navigational literature and adventure novel of that era. In other words, from a literary point of view, each chapter of the 'diary' is a narrative that combines the Dutch interest in the East during the age of sailing, the desire for colonization, the epic scenes in the process of departure and landing, stay and escape, and the dramatic elements of return and return. This drift record is not only a valuable resource for understanding the aspects of cultural contact at that time, but also helps us understand the world view of Koreans and Hamel's party, and it also helps us to understand religious ideas, cultural differen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 Christian civilization. In addition, differences in vocabulary or translation methods appearing in the three translations can b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the translator's attitude.

      • KCI등재

        장소성에 입각한 하멜의 문화콘텐츠 자원화

        최석(Souk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4

        지역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개발 정책으로서 차별화된 장소 이미지 정립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이 소유하고 있는 문화적ㆍ역사적으로 차별화된 장소를 활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은 그 지역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지역개발전략의 일환으로 매우 가치가 크다. 장소 이미지가 차별화된 브랜드로 구축되기 위해서는 그 장소와 지역에 가장 적합한 장소이미지 포지셔닝이 수립 되여야 하고 더불어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종합적인 마케팅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장소와 장소마케팅 관련 이론과 논의들을 토대로 하멜이 표류한 후 체류했던 역사적ㆍ문화적 배경과 장소자산을 가지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문화적 활동 공간으로서의 가능성과 보다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사례 조사를 통하여 역사적ㆍ문화적 배경을 고찰하고 브랜드화 및 장소 이미지 판촉과 관련한 제안, 그리고 종합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모색과 자원화의 가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iated place image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a cultural tourism development policy in order to secure regional identity and boost regional economy. Place marketing strategies using culturally and historically differentiated regional places is very valuable as part of a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to strengthen regional competitiveness. To construct place image as a differentiated brand, place image positioning suitable for a specific place and region needs to be established and comprehensive marketing strategies are required to generate various synergy effects. Based on existing theories and discussions regarding place and place marketing, this study is aimed at seeking for possibility as a cultural activity space and its more efficient use plans by selecting a region which has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assets about Hamel's drift and stay.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investigated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rough a case study and made suggestions about brand making and place image promotion.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fficient plans and utilization possibility for comprehensive image 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