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풍수지리원리에 의한 주거입지의 선정과 주택리모델링에 대한 연구

        박준모(Jun-Mo Park)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2010 부동산 도시연구 Vol.2 No.2

        풍수지리설은 땅을 유기체나 생명체로 파악하고 자연과의 조화를 바탕으로 발달된 주거입지론이다. 따라서 자연과 조화 등 환경 친화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오늘날에 있어서 풍수지리를 기존의 주거입지론과 밀접하게 접목하여 적용시키면 갈수록 심각해지는 자연파괴와 환경오염을 저지할 수 있고 친환경적인 새로운 주거입지론으로 인간과 자연과 건축이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풍수지리의 이론은 전통적으로 음양오행의 원리에 기초하고 경험축적에 의하여 오랜 세월동안 그 이론의 타당성이 실증된 학문이다. 이러한 풍수지리의 원리는 현대에 있어서는 그 원리의 과학적인 타당성까지도 어느 정도 규명되고 있는 실정이다. 풍수지리원리에 의하여 주거입지인 택지 또는 주택을 선정하거나 기존의 주택을 리모델링함에는 풍수지리에 대한 신뢰와 이해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그리고 풍수지리의 관점에서 주택을 리모델링하는 목적은 주거의 성능개선과 경제적 가치의 증대라는 리모델링 본래적 목적을 넘어 향후 인생의 안녕과 성공을 기원하고 건강하고 안정된 생활을 염원하고 이루려고 하는 보다 고차원적인 인생목표를 추구하고 있다. 즉, 풍수지리의 관점에서 주거입지를 선정하고 주택을 리모델링한다는 것은 풍수지리의 원리를 기준으로 하여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의 운이 악화되는 주택인 흉택을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의 운이 좋아지는 주택인 길택으로 재설계하여 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그 주택에 살고 있는 사람에게 정서적인 면에서 미래지향적인 꿈을 가지고 적극적인 인생을 설계하면서 살아가게 하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 풍수지리의 관점에서 주거입지를 선정하고 주택을 리모델링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풍수지리의 일반론과 양택론의 입지론을 중심으로 하여 주택이 위치하고 있는 터의 입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우선 주택이 있는 터의 주위를 살펴 사신사(四神砂)와 래용(來龍) 및 결혈(結穴)여부 그리고 4국론(四局論)에 따른 용(龍)ㆍ수(水)ㆍ향(向)의 길흉 및 88향법(八十八向法)에 의하여 그 길흉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입지론의 입장에서 검토가 끝나면 양택론을 중심으로 하여 기존주택에 대하여 길흉을 검토하고, 기존주택의 결함에 대하여 풍수지리의 원리에 맞게 보완하여 재설계를 하여야 한다. 우선 기존주택이 동사택과 서사택의 어디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그 주택의 길흉 여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양택3요(陽宅三要)인 문ㆍ주ㆍ조(門ㆍ主ㆍ灶)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문ㆍ주ㆍ조(門ㆍ主ㆍ灶)에 대한 검토가 완료되면 내부구조와 주변사항에 대하여 풍수의 원리에 적합한지 검토한다. 그 후 기존주택의 결함을 보완하여 새로이 리모델링할 주택의 구조를 설계한다. 주택소유자가 풍수지리원리에 의하여 주거입지인 택지와 주택을 선정하고 기존주택을 리모델링하고자 함에는 풍수지리원리에 의하여 주택을 리모델링하는 의미를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풍수지리원리를 적용하는 자가 풍수지리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현장적용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주거입지의 선정과 주택리모델링에 대한 본 연구결과가 앞으로 풍수지리원리에 의하여 주거입지인 택지와 주택을 선정하고 기존주택을 리모델링함에 있어서 하나의 모범적인 시안이 되길 기대하며, 향후 풍수지리의 관점에서 주택을 구입ㆍ신축하거나 주택을 리모델링함에 있어서 참고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e principles of Fengshui-jiri based on the theory of the location for residential areas recognize the earth as an organism harmonizing with nature. As the need for eco-friendly environment is recently increasing, the principles of Fengshui-jiriin combination with the theory of the location for residential areas will help not only protect nature from being severely polluted and harshly destroyed, but also for human beings stand with nature in harmony with technology and advances. The principles of Fengshui-jiri are experimented, inspected and verified study traditionally based on Yin-Yang and five-element theory which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modern times the principles of Fengshui-jiri are even being tested for scientific validity. When purchasing a new house or remodeling an old house based on the principles of Fengshui-jiri, it is absolutely necessary that they should be executed with firm belief about the principles of Fengshui-jiri.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s of Fengshui-jiri the purpose of the housing-remodeling is rather beyond the physical improvement or value enhancement of the house, yet it is for much higher goal of well-being of human life and success. In this case, people living in a remodeled house based on the principles of Fengshui-jiri, they take initiatives in life and take action with future-oriented positive mind and vision. As for the choice of residential location and housing-remodeling, it is the site for residential houses that should be given proper consideration based on both the general theory and the Yangtaeg(양택). First of all, we should investigate the surroundings of the site checking out Sashinsa, Yong, and Hyeol, and Yong, Su, Hyang of Sakukron and Gil-Hung by 88 Hyangbeob. Second of all, after considering the general overview of the site based on the general theory, we should examine the Gil-Hung of the original house based on the Yangtaeg and have to redesign and take complement measures for the defects of the house. We need to verify whether the original house belongs to East-site or West-site and scrutinize its Gil-Hung. The 3 standards of Yangtaeg, Mun, Ju, Jo, should be meticulously examined and verified, then interior design, inner structure, and other details be properly taken care of by the principles of Fengshui-jiri. Finally, they should be taken complementary measures and redesigned for housing-remodeling. As mentioned above, when purchasing a new house or remodeling an old house based on the principles of Fengshui-jiri, we should have firm belief about the principles of Fengshui-jiri. In addition, the experts of the principles of Fengshui-jiri should have not only expertise of their own area but the ability to apply them into each case in reality. This study discussed the essential facts about both the general theory and the Yangtaeg of Fengshui-jiri when applying them into reality and tried to organize a new system to classify them. When applying the principles of Fengshui-jiri at work for building, purchasing, or remodeling houses, this study could be used astentative plans or standards and be a useful guiding reference.

      • KCI등재

        풍수지리(風水地理)를 활용한 사찰(암자)의 입지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에 관한 연구

        문종덕,이주연,금상수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23 부동산경영 Vol.28 No.-

        풍수지리(風水地理)는 불교와 승려인 도선국사에 의해 많은 발전과 계승을 통하여 현재 까지도 사찰(암자)을 창건 및 리모델링 등의 행위를 하고자 할 때는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한다. 이 연구는 전문가들 자문을 받아 선행연구의 근거로 관측변수를 구성 하였다. 분석결과, 측정변수 (1) 비보 풍수지리의 관측변수 3-3, 3-2는 건축(전각)물로 입지 위에 불상, 탑, 건축물 등을 짓고 입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고치는 방법으로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측정변수 (2) 풍수지리의 관측변수 1-1은 풍수지리 와 조망을 통해 사찰 본연의 수행과 심리적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측정변수 (3) 건축(전각)의 관측변수 1-4는 땅의 형상으로 전각의 배치에 중요한 역할을 한 다. 또 한 4-7은 비보 풍수지리의 도로에 신설을 통해 입지의 안정과 기(氣) 에너지 흐름을 조절하여 사찰(암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측정변수 (4) 입지는 지리적 인 환경과 지기, 수맥,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며 풍수지리의 원리를 통해 사찰 전각의 배치 및 방향을 결정한다. 이를 통해 풍수지리, 건축(전각), 비보 풍수지리의 요인을 고려하여 입 지 선정과 입지의 보완 및 공간배치를 고려할 수 있다. Feng shui geography should be considered first when attempting to build and remodel a temple (hermitage) to this da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succession of Buddhism and Buddhist monk Doseon State Temple. This study was consulted by experts and composed observation variables as the basis for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bservation variables 3-3 and 3-2 of Vivo Feng Shui Geography can be interpreted as affecting the location by artificially fixing Buddha statues, towers, and buildings on the location as architectural (pavilions). Measurement variable (2) Observation variable 1-1 of feng shui geography can be interpreted as affecting the temple's natural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feng shui and views. Measurement variable (3) The observed variables 1-4 of the building (pavilions) are the shape of the ground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rrangement of the pavilions. In addition, 4-7 can be interpreted as affecting temples (hermites) by controlling the stability of the location and the flow of energ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new road in Bibo Feng Shui. Measurement variables (4) The location takes into account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land, water vei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nd determines the arrangement and direction of the temple hall through the principle of feng shui.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selection of locations, supplementation of locations, and spatial arrangement in consideration of factors such as feng shui, architecture (pavilions), and non-feng shui.

      • KCI등재

        고려시대 風水地理思想의 이해 방향

        박종덕(Park, Jong-Deok)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5 No.-

        기존의 고려시대 풍수지리사상 연구는 논설이 분분하지만 크게 두 가지 점에서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첫째 풍수지리와 도참의 구분이 모호하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풍수지리사상을 고려왕조의 변혁논리 또는 재건논리로 활용되고 있지만, 그 이론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가 전무하다는 점이다. 풍수지리는 음양론과 오행설을 기반으로 땅에 관한 이치, 즉 지리를 체계화한 전통적 논리구조이며, 도참사상은 앞으로 일어날 사건의 징후·암시를 뜻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다면 풍수지리와 도참은 근본논리에서부터 동일시할 수 없다. 한편 이러한 풍수지리사상은 지기地氣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또한 이것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기가 완성되어 나가는 것을 밝히는 것이기 때문에 국왕의 통치술로 활용되고 있다. 이를 잘 볼 수 있는 것이 『예기』의 월령편의 휼령이다. 다음은 풍수지리사상에 대한 연구경향 가운데 이병도의 업적에 대해 몇 가지를 지적하였다. 이병도는 인간생활의 길흉화복과 성쇠득실을 추구하는 측면에서 풍수와 도참을 동일시하고 미신적으로 치부하였다. 그러나 고려 태조 왕건의 신성성을 나타내는 것이나 용손의식을 볼 때 풍수지리를 직접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삼소론에 대한 것이다. 이병도는 명종대에 처음 삼소가 제기된 것은 바로 도참가들의 주청에 의한 것이며, 이는 왕실의 쇠미, 재이 발생이 잦음에서 찾고 있다. 그러나 삼소는 기본적으로 수도인 개경의 부족한 부분을 비보적으로 보완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므로 고려초부터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마지막으로 『지리신법』의 사용여부이다. 『지리신법』은 이기파적 풍수지리서이다. 이병도를 비롯한 연구자들은 고려시대에는 형세론에 입각한 풍수지리만 사용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리신서』가 고려초기에 국왕의 강력한 요구에 의해 수입되었다는 점, 국왕과 관료들의 장례날짜를 택일하는 방법 등에서 살펴보면 고려중기 이후에는 『지리신서』가 어느 정도 활용되었으리라 본다. Although the existing Feng Shui Jiri ideology of Thought Studies is divided into two parts, it can be pointed out two limitations. First, the distinction between Feng shui and Docham is vague. The second is the use of Feng Shui Jiri ideology as the logic of the transformation or reconstruction of the Goryeo dynasty, but there is no fundamental research on the theory. Fengshui is a traditional logic structure that organizes geographical facts based on the Yin-Yang theory and the O-hang theory of the five-line theory, and the subconscious idea is the sign and implication of future events. From the above, it can not be identified from the basic logic. On the other hand, such Feng shui geography is closely related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The idea of Feng Shui Jiri is used as the king "s sovereignty because it reveals that the harmonious period of man and nature is completed. This is a good example of the Hulrung at the Wulrung of Yegi. In the following, I pointed out some of Lee"s accomplishments in the study trend of Feng Shui Jiri ideology. In the following, I pointed out some of Lee "s accomplishments in the study trend of Feng Shui Jiri ideology.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use of Feng Shui is directly used when it shows the sacredness of Goryeo Taejo. The following is about Samsonron. Lee Byung-do is the first to be raised in the Jongjong Daejeon by the municipal authorities of the militia, and it is looking for the dwindling of the royal family and frequent occurrence of ashes. However,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Samso has been installed since the beginning of Goryeo because it was basically installed to complement the deficient portion of the capital city "s openings. Finally, it is the use of geographical new law. The geography new law is a selfish wisdom. Lee Byeong-do and other researchers said that only Feng Shui-ji based on the model theory was used in the Goryeo period. However, the geography book was imported by the King"s strong demand at the beginning of Goryeo, and how to choose the funeral date of the King and the bureaucrats.

      • KCI등재

        唐代主要风水文献和重点理论

        김혜정 한국중국문화학회 2012 中國學論叢 Vol.37 No.-

        풍수지리의 다양한 전문 저서 가운데, 당대(唐代)의 『청오경』과 『장서』는 가장 중요한 음택 풍수지리 문헌이자 경전으로 간주된다. 『청오경』과 『장서』는 늦어도 당대말기에 저술된 문헌으로서, 기존의 전통적인 상지 내용을 전문저서화 한 것인데, 조선시대 음양과 배강 과시과목이었다. 『장서』는 한국에서 『금낭경』으로더 알려져 있으며 『청오경』을 계승한 문헌으로 인식되고 있다. 두 문헌 모두 풍수지리 형세론과 이기론, 선택론을 중시한 것은 당대의 또 다른 주요 풍수문헌인 『설심부』,『영성정의』와 같은 맥락이다. 당대의 양택 풍수지리 문헌으로는 『택경』이 꼽히며, 음양의 기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양택의 형세, 방위와 길일 등에 대한 양택 풍수지리 이론, 즉 음택 풍수지리와 마찬가지로 형기론, 이기론, 선택론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송대에는 호순신의 『지리신법』, 채원정의 『발미론』, 주자의 『산릉의장』등이 주요 풍수지리 저술로 꼽히며, 청대의 『지리오결』은 당대의 삼가이론을 계승한 외에, 풍수지리 이기론을 심도 깊게 연구하고 종합한 수작으로 꼽힌다. 『청오경』,『장서』,『설심부』,『영성정의』,『택경』등의 주요 풍수문헌이 당대의 문헌이고, 모두 형기론, 이기론, 선택론을 담고 있으며, 청대의 『지리오결』도 위 문헌들과 동일한 맥락을 견지하고, 『지리오결』의 이기론은 당대에 기본적 내용이 나타나며, 현재도 풍수학자들이 그 내용을 중시, 활용하고 있는 상황을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된다. 즉 비록 시대가 다르고, 각종 풍수지리 문헌 또한 다양하지만 당대에 이미 정형화된 음택, 양택 풍수지리의 삼대 이론이 상호 조화롭게 융합, 활용된 역사는 유구하며, 지금도 그 원형을 유지한 채 풍수지리 주축 이론과 맥락으로서 한국, 중국, 일본 등의 풍수학자들 사이에 여전히 계승되고 연구되고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풍수지리사상(風水地理思想)의 생활풍수(生活風水) 적용 인식에 관한 고찰(考察)

        양동주 ( Yang Dong-ju ),홍상욱 ( Hong Sang-uk ) 택민국학연구원 2018 국학연구론총 Vol.0 No.21

        인간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물[水]과 양식[食]을 쉽게 얻을 수 있어야 하고, 자연의 위험으로 부터 보호 받을 수 있는 안전한 곳이면서 외부의 침입을 방어하기 유리한 장소를 선택하여 거주하였다. 이에 풍수지리 사상이 생겨나게 되었으며 풍수지리는 오래전부터 이어온 우리의 傳統思想과 맥을 같이하여 생활 속에 깊이 인식되어 온 傳統哲學으로써, 生活科學이며, 自然科學으로 인식되어 많은 연구와 함께 생활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이 風水地理思想을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生活風水로 적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認識정도를 살펴봄으로써,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생활 속에 풍수지리 사상이 傳統哲學으로서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택환경에 따른 生活風水에 대한 인식의 차이검증을 통해 生活風水로서의 風水地理思想의 인식과 적용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인간으로서 가족은 1차적 集團으로서 각 개인의 상호 간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일체감을 갖는다. 그 관계는 對面的이고 친밀하며,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구성원은 하나의 공통된 전체 속에 융합되어 ‘우리’라는 강한 一體感을 유지한다.1) 따라서 인간은 가족을 구성하고 있는 최소한의 공간에서 외부의 침입이나 자연의 다양한 변화에 따라 걱정 없이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있는 생활환경을 만드는 것이 必須的이다. 風水地理 학문은 이러한 다양한 자연 환경변화에 따라 학문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환경에도 적용하여 현대인에게 도시 주거공간 구성에서부터 개인의 주택에 이르기까지 적용됨으로써 거시적 관점에서 볼 때 생명을 영유하기 위해 먹는 것, 외부로부터 신체를 보온하기 위한 입는 것, 일정한 구역에서 생활하는 주거공간을 확보하는 것, 즉 食衣住의 종합 生活福祉 영역에서 적용을 담당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D시 40대∼70대의 남녀를 대상으로 한 生活風水로서의 風水地理思想에 대한 인식은 5점 리커트 척도에서 3.10으로 나타나 평균점수 3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生活風水에 대한 인식은 연령, 학력, 종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주거환경에 따른 生活風水에 대한 인식은 거주 년 수와 주택방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양사상에서 근원적 주체이며 풍수지리사상에서 根本으로 삼는 하늘[天]ㆍ땅[地]ㆍ사람[人] 즉, 天은 때[天時], 地는 地理, 人은 人和가 인간으로써 기본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한 天氣·地氣·大氣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것이 인간이 영위하는 衣食住이며, 이를 토대로 인간은 가족을 구성하여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風水地理思想이 본 조사를 통해 현대인의 생활 속에서 生活風水로서 적용되고 있고,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生活風水에 대한 바른 인식과 적용이 필요하며, 風水地理가 生活福祉영역에서 과학적이고 합리적 실천학문으로서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Human beings should be able to easily obtain water and food to maintain the life. That is why they chose a safe place to be protected from dangerous natural disasters and an advantageous place to defend against external invasions. Therefore, Feng Shui came into being. It has been applied to life with the recognition of it as a traditional philosophy, a living science, and a natural science that has been in harmony with the traditional thoughts for gen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Feng Shui thought is settled as a traditional philosophy in our modern life by examining whether modern folks are aware that Feng Shui thought is being applied as a living Feng Shui in everyday life. It is also to examine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Feng Shui thought as a living Feng Shui and its application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living Feng Shui. That is, as a human being, a family as a primary group has a sense of unity while maintaining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 relationship is face-to-face, intimate, long-lasting, and the members are fused into one common whole, maintaining a strong sense of unity of 'w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reate a living environment in which humans can live comfortably without worrying about external invasion or various changes of nature in a minimum space for family. Feng Shui study is applied not only to the academic area but also to the soci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se various changes of natural environment, and it is applied to modern people from the composition of the urban residential space to the individual houses. Therefore, from a macro perspective, it is applied to comprehensive welfare areas, the necessities of life including to eat food to sustain life, to wear to keep the body warm from the outside, and to secure the residential space to live in a certai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Feng Shui thought as a living Feng Shui for men and women in their 40s to 70s was 3.10 on the 5-point Likert scale,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Second, the perception of life Feng Shui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age, education, and religion. The perception of living Feng Shui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years of residence and the direction of housing. What is regarded as the fundamental subject in oriental thought and the origin in Feng Shui idea are the heaven, the earth, and the person that means respectively the time of providence, the geography of the earth, and the harmony among men. This is based on the heaven, earth, and atmosphere to enable people to live their basic life as human beings. This is food, clothing and shelter that human beings lead on and based on which humans are living together as a family. This survey revealed that this Feng Shui thought is applied as a living Feng Shui in modern people's life and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our life. Therefore,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the living Feng Shui is necessary to those who live in modern lif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Feng Shui can be applied as scientific and rational practical science in the realm of life welfare.

      • KCI등재

        자계서원의 풍수지리학적 특성과 공간구성에 관한 고찰

        양동주 ( Yang¸ Dong-ju ) 택민국학연구원 2020 국학연구론총 Vol.0 No.26

        조선 초기의 교육제도는 지방의 향교, 중앙의 사부학당, 성균관으로 이루어지는 관학이 중심이었다. 그러나 고려 말부터 대두하기 시작한 소규모 서재의 사학도 인정되었으며 국가에서 그러한 사학을 장려하기도 했다. 2019년 7월 '한국의 서원(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이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유네스코에 등재된 서원은 9곳이며 紹修書院(경북 영주), 玉山書院(경북 경주), 陶山書院(경북 안동), 屛山書院(경북 안동), 道東書院(대구 달성), 灆溪書院(경남 함양), 武城書院(전북 정읍), 筆巖書院(전남 장성), 遯巖書院(충남 논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것이다. 이로서 우리나라는 14개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되었다. 유네스코는 한국 성리학의 문화적 역사적 증거로서 서원이 지닌 탁월하고 보편적 가치를 인정한 것이다.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탁영 김일손 생가로 알려진 자계서원을 중심으로 지리적 특성과 서원의 공간구성을 분석하였다. 자계서원은 대원군 때 훼철되었으나 탁영선생의 학풍을 이어가고자 인근 지역의 유림과 후학들의 노력으로 서원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조선 유학의 정통을 계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자계서원은 입지와 경관, 그리고 건축에서 한국서원을 대표하는 서원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 서원을 대표한다는 의미는 서원의 지리적 입지나 서원의 공간구성 및 건축양식에서의 전형성뿐만 아니라 그 내용적 섬세함도 포함된다. 풍수지리사상은 기본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한 天氣 · 地氣 · 大氣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풍수지리학은 사람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근원적 주체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정주공간(堂)에 좋은 에너지(氣)를 받고 地氣가 전달되어 좋은 양기가 모이는 곳이다. 따라서 陽宅의 입지로는 물과 먹거리를 쉽게 얻을 수 있고 자연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안전한 ‘藏風得水’지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탁영선생의 생애와 자계서원을 風水地理學的으로 분석함으로써陽宅의 입지와 정주공간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자계서원이 있는 뒤 주산(구릉지)은 낮으면서도 서원을 감싸 안은 형국을하고 있어서 외부로부터 삭풍을 잘 막아주고 있다. 또한 앞에는 청도천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고 뒤에는 산이 잘 감싸고 있어서 풍수지리학적으로 배산임수 터다. 자계서원을 지리적 특성으로 분석해 보면, 조종산으로부터 주산에 이르기까지 龍脈의 연결이 좋고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어지는 脈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案山의 照應과 水勢도 합당하여 풍수지리 조건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서원 건물의 배치와 구조적 공간구성은 주 건물인 보인당이 主山이 되고 동재(운계정사)가 靑龍, 서재가 白虎, 영귀루가 案山이 된다. 따라서 풍수적으로 四神砂의 특성이 잘 적용된 건물로 주산격인 보인당이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고, 동재와 서재가 조금 낮은 곳에서 보인당을 보필하고 있으며, 안산격인 영귀루가 보인당을 마주보는 앞쪽에서 배치되어 있다. 서원 공간의 中央에 보인당을 배치함으로써 건물구조, 즉 家狀에 의한 主山 案山 靑龍 白虎가 風水地理 이론에 맞게 설계하여 건축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風水地理的으로 자계서원의 입지와 정주공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서원의 입지 선택이나 각 전각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볼 때, 보인당을 중심으로 기운이 집중되도록 설계한 면에서 풍수지리학이 철저하게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자계서원의 風水地理學的 분석을 통하여 현대에도 생활학문으로서 풍수지리학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적용이 필요하며, 風水地理學이 실천과학이며 합리적으로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centered on the government of the local Hyanggyo, the Central Sabuhakdang, and Sungkyunkwan. However, private schools in small-scale studies, which began to emerge from the end of Goryeo, were also recognized, and such private schools were encouraged by the state. In July 2019,'Seowon of Korea(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wa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There are 9 seowons listed in UNESCO. 紹修書院(Yeongju, Gyeongbuk), 玉山書院(Gyeongju, Gyeongbuk), 陶山書院(Andong, Gyeongbuk), 屛山書院 (Andong, Gyeongsangbuk-do), 道東書院(Daegu, Dalseong), 灆溪書院 (Hamyang, Gyeongsangnam-do) Jeongeup), 筆巖書院(Jangseong, Jeonnam), and 遯巖書院(Nonsan, Chungnam) have been registered as world heritage sites. Korea has 14 World Heritage Sites. UNESCO recognized the outstanding and universal value of Seowon as cultural and historical evidence of Korean Sung Confucianism.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Seowon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Jagye Seowon, known as the birthplace of Takyoung Kim Il-son, located in Cheongdo-gun, Gyeongsangbuk-do. Jagye Seowon was destroyed during the time of the Daewon-gun, but the fact that it was able to maintain the library, through the efforts of Yurim andhis later students to continue Tak Young's academic tradition in the surrounding area, can be seen in the inherited tradition of studying in Joseon. Today, Jagye Seowon is evaluat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books of Korea in its location, landscape, and architecture. The meaning of representing Korea's Seowon includes not only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Seowon, its spatial composition, and its architectural style, but also its details. The idea of Feng-shui geography is based on the 天氣, 地氣, and 大氣 that enabled us to live a basic life. Therefore, Feng-shui geography can be said to be the fundamental study subject for maintaining human life. This is a place where good energy is received in the settlement space, and the energy of the land is transmitted and good energy gathers. Therefore, the location of a house means a safe “藏風得水” where water and food can be easily obtained, and where it is protected from natural dang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location of the house and the residential space by analyzing Tak Young's life and Jagye Seowon geographically. First, the hills after the Jagye Seowon are low, but they are surrounded by the Seowon, which prevents the wind from coming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heongdo river flows from west to east in front, and mountains in the back are well covered. Geographically, there is a mountain in the back and water in front. Analyzing Jagye Seowon by geographic characteristics, it is seen that the connection of the ridge line from the mountain origin to the Jusan mountain was good, and the bridge from the high place to the lower place was good. It was analyzed that the conditions of Pungsu geography were good because the response of Ansan and the energy of the water were reasonable. Second, in terms of the arrangement and structural spatial composition of the building in Seowon, the main building, Boindang, becomes the main mountain, Dongjae becomes the blue dragon, the Seojae becomes the Baekho, and the Yeongwiru becomes the Ansan. Therefore, it is a building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Sajinsa are well applied in terms of Feng-shui, and the main mountain, Boindang, is located in the highest place. Boindang is supplemented by the lower part of the Dongjae and the library, and Yeongwiru is located in front of the Boindang. By arranging Boindang in the middle of the Seowon space, it can be seen that the mountain on the left and the mountain on the right in front of the main mountain by the building struc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house were designed and built according to the theory of Feng-shui geography. Therefore, in terms of designing, energy is concentrated around Boindang in terms of the selection of the location of the Seow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and settlement space of Jagye Seowon geographically,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hall, the Feng-shui geography was thoroughly applied. In this regard, through the analysis of Feng-shui geography of Jaggyeseowon, correct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Pungshui geography as a daily life study is required, and Feng-shui geography is a practical science, and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reasonably.

      • KCI등재

        고대 풍수지리학에 대한 도가사상 고찰

        김규순(Kim, Kyoo-S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60 No.-

        전통지리학은 서양지리학이 도입되기 전에 동아시아에서 널리 적용된 지리학이었다. 전통지리학의 중에서 풍수지리학은 서양지리학과는 다른 동양적 사유체계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삼국시대와 고려,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도읍지 건설이나 건축행위를 함에 있어서 풍수지리학이 응용학문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이 논문에서 풍수지리학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연구는 전통지리학의 지리관이 어디서 출발하는지 살피는데 의의를 가진다. 풍수지리학이 비록 사변적이기는 하나 최초의 풍수서적을 분석하면 도교사상의 증거를 다수 발견할 수 있다. 고대 동양사상 중에서 유가는 정치방법론에 치중하였고, 도가가 무위자연을 표방한 탁월한 자연관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도가적 관점은 풍수지리학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풍수지리학의 원리에서 동기감응은 자연과 사물, 땅과 사물, 하늘과 사람, 땅과 사람, 사람과 사물, 조상과 후손 간에 다양하게 작용하고 있다. 동기감응은 조선시대 조상숭배사상과 관련하여 풍수신앙적인 면까지 보여주었다. 우리의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오늘날 풍수지리학의 재해석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Traditional Geography was widely used the geography before the introduction of modern geography from the West to the East_Asia, It has a different thinking system from Pungsu geography, that is a field of Traditional Geography, to modern geography. It was the expanding use of Pungsu geography to construct the seat of government or to build of buildings during the ancient period, the Koryo Dynasty, the Josun Dynersty with a applied science. It is mean to know the traditional geographic perspective, that was influenced by which thought, to study on the background of thought in Pungsu geography. Although Pungsu geography(風水地理學) is speculative but we get to know the basis of it is Taoism to analysis the first Pungsu book. Confusianism focused on the methodology of politics, Taoism had a unique view of nature with nature itself remained intact(無爲自然). We are supposed to this Taoism perspective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Pungsu geography. Sympathized Relation(同氣感應) is one of principle of Pungsu geography(風水地理學), to interact variously between the nature and the thing, between the earth and the thing, between the heaven and the person, between the earth and the person, between the person and the thing, between the ancestor and the descendant. Sympathized Relation(同氣感應) worked to people by pungsu belief in Josun Dynasty. We need to study to reinterpret Pungsu to understanding our culture and history.

      • KCI등재

        퇴계선생 胎室과 老松亭에 대한 風水地理學的 고찰

        양동주,홍상욱 택민국학연구원 2018 국학연구론총 Vol.0 No.22

        The heaven, the ground and the person, which are the basis of Feng-Shui's idea, mean heavenly time, geography and harmony among men respectively. They are based on the heavenly energy, earthly energy, and atmospheric energy that enable us to live a basic life as a human being. Therefore, Feng-Shui can be said to be a fundamental subject science for maintaining human life. This means that men can be supplied with living necessaries at a space of settlement where positive energy is received, earthly energy is delivered, and good spirit is gathered. Based on this, human beings try to form a family and live. Therefore, the location of Yangtaek refers to a Jangpungdeuksu location, a safe place where water and food can be easily obtained, and protection is secured from natural dangers. Humans instinctively have a primordial nature to have many descendant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men want to secure a place of settlement for the family, and to have healthy, good people born into a living environment where a family can live a comfortable life without worrying about invading outsiders or natural disas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Yangtaek's location and settlement place by analyzing the Toegye's Taesil (Delivery room) at Nosongjeong where Toegye Lee, Hwang was conceived and born, and to examine how to apply it to modern life. In addition, it examines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Feng-Shui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s and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time; from the macro view centered on the Nosongjeong, and a micro view centered on the Toegye Taesi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osongjeong based on the Taesil, where master Toegye was conceived and born, show the good connection of the Yongmaek from Mt. Jojong to Mt. Jusan, and the positive energy of the Maek on a continuum from the high to the low. The condition of Feng-Shui was analyzed to be good due to Ansan's good correspondence and the force of water surrounding it. Second, analysis of the building structure of the inner house with Taesil, the location of the Taesil, the overall architectural structure and the interior of the Taesil showed that most of the traditional houses are in the shape of ‘—, ‘⊓’, or ‘□’. The inner house of Nosongjeong with Toegye Taesil is built in the shape of ‘▣’ showing a significant variety with the general traditional houses. Even consider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time, the settlement space of the Toegye Taesil,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room in the general traditional house. Therefore, the location and settlement space of Nosongjeong and Toegye Taesil is analyzed in terms of Feng-Shui. The choice of location of Nosongjeong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ouse suggest that Feng-Shui is thoroughly applied so that energy is converged to the Toegye Taesil. The application of Feng-Shui as such became the foundation of production of a good figure like master Toegye. Therefore, proper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Feng-Shui is needed in modern societ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Feng-Shui is applied as a practical science and rational life science. 風水地理思想에서 根本으로 삼는 하늘(天)ㆍ땅(地)ㆍ사람(人) 즉, 天은 때(天時), 地는 地理, 人은 人和를 뜻한다. 이는 인간으로써 기본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한 天氣 ·地氣·大氣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풍수지리학은 사람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근원적 주체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이는 定住空間(堂)에 좋은 에너지(氣)를 받고 地氣가 전달되어 좋은 양기가 모이는 곳에서 인간이 衣食住를 해결할 수 있음을 뜻하며, 인간은 이를 토대로 가정을 이루고 가족을 구성하여 살아가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陽宅의 입지로는 물(水)과 먹거리(食)를 쉽게 얻을 수 있고 자연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안전한 곳, 즉 ‘藏風得水’地를 말한다. 또한 인간은 본능적으로 후손을 많이 두고자 하는 원초적 성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가족이 살아갈 수 있는 定住空間의 확보와 외부의 침입이나 자연의 재해로부터 걱정 없이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있는 생활환경에서 건강하고 훌륭한 인물이 태어나기를 바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퇴계 이황선생이 잉태되고 출생한 老松亭古宅과 退溪胎室을 風水地理學的으로 분석함으로써 陽宅의 立地와 定住空間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현대의 생활 속에서 어떻게 生活風水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老松亭古宅을 중심으로 한 거시적 관점과 退溪胎室을 중심으로 한 미시적 관점으로 당시의 시대적 가옥의 특성과 주택환경을 분석함으로써, 風水地理學에 대한 인식과 적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퇴계선생이 잉태되고 탄생한 태실을 중심으로 한 老松亭을 지리적 특성으로 분석해 보면, 祖宗山으로부터 主山에 이르기까지 龍脈의 연결이 좋고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어지는 脈의 기운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案山의 照應과 水勢도 감싸고 있어서 風水地理學的 조건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胎室이 있는 안채의 건물구성과 胎室의 위치, 전체적인 건축구조와 胎室내부를 분석해 보면, 일반적 한옥의 고택은 대부분 ‘—,형 혹은 ‘⊓’, ‘□’형 대부분이다. 退溪胎室이 있는 노송정의 안채는 ‘▣’형으로 건축되어 일반적 한옥과 많은 차이가 있다. 당시의 생활환경을 고려하더라도 주거환경에 따른 退溪胎室의 定住空間이 일반적인 한옥에서 안방을 배치한 것과는 완전히 다른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風水地理學的으로 老松亭과 退溪胎室의 입지와 定住空間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노송정의 입지 선택이나 가옥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볼 때 退溪胎室에 기운이 집중되도록 설계한 면에서 風水地理學的 이론이 철저하게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風水地理의 적용이 퇴계선생과 같은 훌륭한 인물이 배출되는 근간이 되었다는 점에서 현대 사회에서도 風水地理學에 대한 바른 인식과 적용이 필요하며, 風水地理가 실천과학이며 합리적 생활학문으로서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풍수지리와 천문관, 그리고 농업

        최경현,손용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4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fengshui is mostly considered a mere superstition. Although it may seem superstitious because it has religious and philosophical aspects, fengshui, which has impacted Korean society in many ways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cannot be entirely supersti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at fengshui started from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based on its similarity with oriental astronom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hree hypotheses: (1) Fengshui and oriental astronomy have a close connection; (2) Oriental astronomy originated from agriculture; and (3) Fengshui and agriculture also have a close connection. In order to clarify their relations, it was proven that fengshui originated from housing fengshui rather than grave site fengshui based on the fact that housing fengshui could better explain why water, wind, and mountains are important in fengshui.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fengshui and oriental astronomy can be found in their perspectives on “the perfect spot” and Polaris, Three Enclosures, and their counterparts on the land, Twenty-Eight Mansions and four mythical creatures, and the nine division of land and constellations. It can also be found in 24 bearings on land and 24 seasons of a year. Oriental astronomy developed from the effort to observe the timeliness from nature to aid with agriculture. This can be found in 24 seasons, timely decree, and astronomical research. The connection between agriculture and fengshui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perfect spot” in fengshui is also the location that is advantageous to agriculture and the keyword that binds these three perspectives is ‘fortune’. 현대 한국 사회에서 풍수지리는 한낱 미신으로 치부되는 것이 현실이다. 풍수지리의 일면은 종교적, 철학적 색채가 짙어 그 전체가 미신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한민족의 역사에서 정치·경제·문화 등 다양한 방면으로 큰 영향을 미친 풍수지리의 모든 면이 미신은 아닐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풍수지리가 동양 천문학과의유사성을 바탕으로 농업 활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들 풍수지리, 천문학, 농업 세 가지가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는 것을 토대로 귀추법을 통해 추론해보았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가설을 세우고 입증하였다. (1) 풍수지리와 동양 천문학 간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동양 천문학은농업에서 발전하였다. (3) 풍수지리와 농업 간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들 관계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대전제로서 풍수에서 물, 바람, 산을 중요시하는 것은 음택풍수보다 양택풍수 기원설을 뒷받침한다는 점을통해 양택풍수 기원설을 타당한 것으로 보았다. 풍수지리와 동양 천문학의 철학적 연관성은 혈과 북극성, 삼원과 땅에 대응되는 자리, 28수와 사신사의 관계, 그리고 땅을 구주로, 하늘을 구야로 구별하는 등 별자리의 분류와 땅의 분류 간의 유사성에서 알아볼 수 있다. 이 밖에도 24방위와 24절기 간의 관계에서도 풍수지리와 동양천문학의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 동양 천문학은 농사를 잘 짓기 위해 천시를 살피고자 하는 노력에서 발전했으며, 이런 부분은 24절기와 시령, 천문학 연구 등에서 살펴볼 수 있다. 농업과 풍수의 연관성은 길지의 조건과 농업에 유리한 조건이 일치하는 부분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런 세 가지 관점을 묶어주는 키워드는 ‘길흉’임을 인식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道詵의 생애와 唯心論的 禪思想

        한태일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논총 Vol.30 No.-

        This is a study on idealistic zen thought of Doseon who was a zen master of Dongnisanmun(桐裏山門) in the late Silla related to his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Doseon studied zen buddhism being under Hyecheol(慧徹)'s instruction. After receiving the commandments of buddhism, he established many temples making an extensive tour of here and there. However, his activities of the establishment got changed the whole appearance before and after domiciling himself at Oknyongsa(玉龍寺). He had showed activities under Hyecheol's influence before the time, but he would set up a zen buddhist school(禪門) by himself with Hyecheol's death. Doseon settled down at Oknyongsa and then founded Woonamsa(雲岩寺) after the death of his master. A chain of activities like this were accomplished with influence expansion of the temple power of Doseon group centering around Oknyongsa. As a result, they extended their power in Gwangyang, Gurye and even Damyang during Doseon's lifetime. Doseon's philosophy was Dharmalaksana school in zen. His thought showed under a bias towards idealism, and also it would be related to the morale of Dongnisanmun.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was the main thought of Doseon, and it was possible for his philosophy that attached importance to Dharmalaksana school. Also, idealistic zen thought of Doseon was moved on interest in topography naturally, consequently, he could be a man of broad view and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On the one hand, Doseon brought up Bibo(裨補) as a rational management way of a whole country. After Bibo, his theory had been changed in quality into Docham(圖讖). Idealistic zen thought made much of Dharmalaksana school so that it could set up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but there were some obvious contradictions between zen buddhism and Dharmalaksana school. The theory of Doseon got deteriorated Docham from Bibo eventually because it was not abl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like that. 이 글에서는 신라 하대 桐裏山門의 禪僧인 道詵의 선사상을 그의 풍수지리사상과 관련지어 검토하였다. 그럼으로써 그의 사상경향을 밝혀 풍수지리사상을 형성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피려고 하였다. 도선은 출가하여 처음에 화엄을 배우다가 동리산문의 慧徹에게 나아가 다시 선종불교를 익혔다. 受戒 후 그는 각처를 유력하면서 다수의 사찰을 창건하였다. 그런데 도선의 사찰 창건활동은 옥룡사에 주석하는 시기를 전후하여 양상을 달리하였다. 그 이전까지는 혜철의 영향 아래에서 활동하였다면, 혜철의 입적을 계기로 스스로 禪門을 세우려 하였다. 혜철의 입적 후 도선은 옥룡사에 주석하고 다시 운암사를 창건하였는데, 이러한 일련의 활동은 옥룡사를 중심으로 한 도선계 세력의 확대과정에서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도선의 생존시에 도선계는 광양과 구례지역뿐 아니라 담양지역에까지 그 세력을 확대하였다. 도선의 사상경향은 ‘眞空不空’으로 나타났는데, 그것은 禪的인 유식사상이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그의 선사상은 선종사상 안에 유식, 즉 법상종을 포용하는 唯心論的인 경향으로 성립되었으며, 이는 유식사상을 중시하는 동리산문의 선풍과 무관하지 않다. 풍수지리설이 도선의 핵심사상으로 성립할 수 있었음은 유식사상을 중시하는 그의 사상경향을 바탕으로 가능하였다. 도선의 풍수지리설은 전국 山水의 順逆형세를 살펴 정해진 明堂을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것이다. 유식을 중시하는 유심론적인 선사상은 자연스럽게 지세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도선은 풍수지리에 해박한 식견을 갖추었다. 한편 도선은 국토의 합리적인 운영방안으로 裨補를 내세웠다. 그의 풍수지리설은 비보를 내세우기까지 합리적으로 발전하였지만, 비보 이후 그것은 圖讖으로 변질되어 더 이상의 발전을 이루지 못하였다. 유심론적인 선사상은 유식사상을 중시했기 때문에 풍수지리설을 형성시킬 수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선종과 유식사상은 서로 입장이 모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모순을 극복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도선의 풍수지리설은 비보에서 도참으로 흐르고 말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