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합레진 표면의 연마방법에 따른 표면조도

        민정범,조공철,조영곤 대한치과보존학회 2007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2 No.2

        본 연구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 복합레진 연마 후 레진전색제의 적용이 복합레진의 표면조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복합레진의 표면조도 측정과 FE-SEM 관찰을 통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미세입자형과 nanofill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8×3×2 mm의 시편을 각각 100개씩 제작하였고, 연마방법과 레진전색제의 적용 유무에 따라 20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Micronew를 사용한 군은 M군, Filtek Supreme을 사용한 군은 S군으로 분류한 후, 연마방법에 따라 M1군과 S1군은 polyester strip만을 사용한 군, M2군 와 S2군은 Sof-Lex disc를 사용한 군, M3군과 S3군은 Enhance disc와 polishing paste를 사용한 군, M4군과 S4군은 Astropol disc를 사용한 군, M5군과 S5군은 carbide finishing bur를 사용한 군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또한 연마 후 Biscover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군은 연마방법에 따른 각 군에 B를 추가하여 M1B군-M5B군 및 S1B군-S5B군으로 분류하였다. 제작된 모든 시편은 표면조도의 측정과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을 시행하기 전에 실온의 증류수에서 24시간 동안 보관 하였다. 표면조도측정기를 사용하여 각 시편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서 각각 5회씩 측정하여 평균 표면조도 값을 산출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군에서 대표적인 시편 1개를 선택하여 FE-SEM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합레진의 표면조도 값은 polyester strip에 의해 형성된 모든 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S군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군에서 finishing bur로 연마한 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 < 0.05). FE-SEM 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의 표면은 polyester strip을 사용한 M1군과 S1군이 가장 평활한 표면을 나타냈고, finishing bur를 사용한 M5군과 S5군은 필러의 탈락에 의해 형성된 여러 개의 기포와 함께 울퉁불퉁한 표면을 보였다. 2.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른 표면조도는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에는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에는 Micronew가 Filtek Supreme보다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p < 0.05). 3. 레진전색제를 적용하기 전에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에 따른 표면조도 간에 상호 연관성이 있었으나,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에는 복합레진의 종류와 연마방법 간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FE-SEM 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의 표면은 모든 군에서 대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4. 동일한 복합레진과 연마방법으로 처리된 군에서 레진전색제 적용 전과 후의 표면조도 값은 M1B군이 M1군보다, S1B군이 S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4B군과 M5B군은 각각 M4군과 M5군 보다, 그리고 S5B군은 S5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 < 0.05).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표면조도의 순서는 다르게 나타났고, polyester strip 하에서 복합레진이 중합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조도 값과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였으며 전반적으로 finishing bur는 가장 높은 Ra 값과 거친 표면을 제공하였다. Enhance, Astropol, carbide finishing bur로 연마한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었지만, polyester strip과 Sof-Lex disc로 얻어진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표면조도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surface roughness of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composite resin type, polishing methods, and use of resin sealant. Two hundred rectangular specimens, sized 8 × 3 × 2 mm, were made of Micro-new (Bisco, Inc., Schaumburg, IL, U.S.A) and Filtek Supreme (3M ESPE Dental Products, St. Paul, MN, U.S.A.), and divided into two groups; Micronew-M group, Filtek Supreme-S group. Specimens for each composite group were subdivided into five groups by finishing and polishing instruments used; M1 & S1 (polyester strip), M2 & S2 (Sof-Lex disc), M3 & S3 (Enhance disc and polishing paste), M4 & S4 (Astropol), and M5 & S5 (finishing bur). Polished groups were added letter B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urface sealant (Biscover), eg, M1B and S1B. After specimens were stored with distilled water for 24 hr, average surface roughness (Ra) was taken using a surface roughness tester. Representative specimens of each group were examined by FE-SEM (S-4700: Hitachi High Technologies Co., Tokyo, Japan).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paired t-test, ANOVA and Duncan's tests at the 0.05 probability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owest Ra was achieved in all groups using polyester strip and the highest Ra was achieved in M5, S5 and M5B groups using finishing bur. On FE-SEM, M1 and S1 groups provided the smoothest surfaces, M5 and S5 groups were presented the roughest surfaces and voids by debonding of filler on the polished specimens.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a between Micronew and Filtek Supreme before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but Micronew was smoother than Filek Supreme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3. There was significant corelation between Ra of type of composite resin and polishing methods before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p = 0.000), but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m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On FE-SEM, most of composite resin surfaces were smooth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on the polished specimens. 4. Compared with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in group treated in the same composite and polishing methods, Ra of M4B and M5B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M4 and M5, and S5B was lower than that of S5, respectively (p < 0.05). In conclusion, surface roughness by polishing instrument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composite resin. Overall, polyester strip produced the smoothest surface, but finishing bur produced the roughest surface. Application of resin sealant provided the smooth surfaces in specimens polished with Enhance, Astropol and finishing bur, but not provided them in specimens polished with Sof-Lex disc.

      • 3 차원 입방형 표면조도가 난류경계층에 미치는 영향

        이재화(Jae Hwa Lee),성형진(Hyung Jin Sung)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4

        3 차원 표변조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된 3 차원의 입방형 표면조도를 갖는 난류경계층을 직접수치모사하였다. 표면조도는 주 유동방향과 횡 방향으로 각각 8k과 2k의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었으며 표면조도의 크기 (k)는 입구 모멘텀 두께(θ<SUB>in</SUB>)의 1.5 배이다. 주 유동 방향을 따라 공간 발달하는 3 차원 표면조도 위의 난류특성을 2 차원의 막대형표면조도에서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2 차원 표면조도와 마찬가지로 3 차원 표면조도의 경우에도 조도저층 뿐만 아니라 바깥영역에서 표면조도의 영향이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주 유동 방향의 표면조도의 주기와 사각형의 면에 의한 막음현상이 2 차원의 표면조도와 마찬가지로 크게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Direct numerical simulation of a spatially developing turbulent boundary layer with regularly arrayed cubical roughnes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e-dimensional surface elements. The staggered cubes along the downstream were periodically arranged in the streamwise and span wise directions with pitches of p<SUB>x</SUB>/k=8 and p<SUB>z</SUB>/k=2, where p<SUB>x</SUB>, and p<SUB>z</SUB> are streamwise and spanwise spacing of the cubes and the roughness height (k) was k=1.5θ<SUB>in</SUB>, where θ<SUB>in</SUB> is the momentum thickness at the inlet. Spatially developing characteristics over the 3-D cubical roughness were compared with the data from the DNS over the two-dimensional rod rough and smooth walls. Introduction of the cubical roughness on the TBL also affected the turbulent Reynolds stresses not only in the roughness sub layer but also in the outer layer, consistent with those over the 2-D rough wall.

      • KCI등재

        3 차원 입방형 표면조도가 난류경계층에 미치는 영향

        이재화(Jae Hwa Lee),성형진(Hyung Jin Sung) 대한기계학회 2010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4 No.10

        3 차원 표면조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된 3 차원의 입방형 표면조도를 갖는 난류경계층을 직접수치모사하였다. 표면조도는 주 유동방향과 횡 방향으로 각각 8k 과 2k 의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었으며 표면조도의 크기 (k)는 입구 운동량 두께(θin)의 1.5 배이다. 주 유동 방향을 따라 공간 발달하는 3 차원 표면조도 위의 난류특성을 2 차원의 막대형표면조도에서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2 차원 표면조도와 마찬가지로 3 차원 표면조도의 경우에도 조도저층 뿐만 아니라 바깥영역에서 표면조도의 영향이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주 유동 방향의 표면조도의 주기와 사각형의 면에 의한 막음현상이 2 차원의 표면조도와 마찬가지로 크게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Direct numerical simulation (DNS) of a spatially developing turbulent boundary layer (TBL) with regularly arrayed cubical roughness element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e-dimensional (3D) surface elements. The staggered cubes downstream were periodically arranged in the streamwise and spanwise directions with pitches of px/k=8 and pz/k=2, where px and pz are the streamwise and spanwise spacings of the cubes; the roughness height (k) was k=1.5θin, where θin is the momentum thickness at the inlet. Spatially developing characteristics over the 3D cubical roughness were compared with the data obtained from the DNS over the two-dimensional (2D) rod roughened wall and smooth wall. Introduction of the cubical roughness on the TBL affected the turbulent Reynolds stresses not only in the roughness sublayer but also in the outer layer; and these effects are consistent with those observed over the 2D rough wall.

      • KCI등재

        표면조도 변화에 따른 판유리의 가시광선 반사율 및 투과율 특성 분석

        한동훈,오근숙,정근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4

        고층 건물의 설계에서 고정하중 경감, 에너지 절약, 미려한 외관을 위하여 설계자들은 반사도가 높은 로이유리로 구성된 커튼월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매끄러운 커튼월 판유리 표면은 연중 주간 동안 인근지역에 경면반사를 일으키는데, 이는 불능현휘, 열적 불쾌적과 같은 빛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판유리의 표면을 거칠게 한다면 확산반사를 유도하여 경면반사를 줄 일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투과율도 함께 낮출 수 있어서 냉방부하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물리광학분야에서는 유리의 표면조도를 조절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본 연구팀은 표면조도와 경면반사의 상호관계를 반사율, 투과율, 이방성반사율분포함수(BRDF), 이방성투과율분포함수(BTDF)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표면조도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샌드블라스팅을 선정하였으며, 이는 표면조도를 조절하는 많은 방법들 중 거친유리를 얻을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커튼월 유리의 표면거칠기로부터 경면반사에 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For the reduction in structural dead load, aesthetic exterior view and energy saving, designer might have to use the curtain wall with low-emissive glass in high-rise building. Smooth surface of plate glass in high-rise building often causes specular reflection during the daytime throughout a year. Such phenomenon brings disability glare and thermal discomfort in the neighborhood area, thus considered as a serious light environmental problem. As we made rough plate glass that can be an option to reduce specular reflection from the scattering of sun light. Such countermeasure also reduces the transmittance of sun light at the same time, and contributes to a cooling load reduction of the building. Controlling the surface roughness of glass has been researching consistently in physical optics area. We figure out the interrelation between roughness and specular reflection of glass through reflectance, transmittance, bidirectional reflectance distribution function(BRDF), and bidirectional transmittance distribution function(BTDF). As controlling the surface roughness, we select the sand blasting. It is simple way for getting a rough plate glass among the many method for controlling glass roughness. Therefore our research aim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specular reflection from surface roughness of glass in curtain wall.

      • KCI등재후보

        광섬유센서에 의한 간이 비접촉 표면조도 측정기의 개발

        홍준희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andy non-contact measurement device of the surface roughness by using the optical fiber sensor. The advantages of fiber optic sensors are high-speed responsibility, non-effect of the magnetic, convenience of the product and high precision. The measurement theory for surface roughness of optical fiber sensor is one to 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eflected light intensity based o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object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previously known for surface roughness. The reflected light intensity was determined using the distance to the surface from the sensor probe and the limit reflection angle based on the surface roughnes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ensor probe was produced for determining the value of surface roughness only using the limit reflection angle based on the surface roughness with the fixed distance from the surface. A prototype measurement system was composed of a transmitting part, a receiving part and a signal processing circuit. The materials of standard measurement which wa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SM45C, STS303 and Al6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roximation surface roughness formulas which was deduced from the correlation of between the standard surface roughness and the sensing output were verified that they were effect against the surface roughness measurement value of the option sample. And handy optical fiber surface roughness measurement device which was produced by an order was verified that it was effect for measuring of the precision surface roughness. 본 연구는 광섬유센서를 이용하여 표면조도의 간이 비접촉 측정기를 개발하 는데 목적이 있다. 광섬유 센서의 장점은 우수한 고속 응답성, 자기의 무영향, 제작의 편이성 이다. 광섬유센서 표면조도 측정 원리는 측정물의 표면조도에 따라 반사되는 광의 세기와 기지의 표면조도 값을 일대일 대응시키는 것이다. 반사광의 세기는 센 서 프로브로부터 표면까지의 거리와 표면조도에 따른 반사한계각에 따라 결정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표면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하여 표면조도에 따른 반 사한계각만을 가지고 표면조도가 결정되도록 측정 프로브를 제작하였다. 측정 시스템은 발광부, 수광부과 신호처리부로 구성되었다. 이 실험에서 사 용된 표준 측정 재료는 SM45C, STS303과 Al60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재료에 따른 표면조도와 센서출력의 상관관계로부터 근사표 면조도식을 도출하고 임의 가공된 시료의 표면조도 측정을 통해 근사표면조도 식이 유효함을 입증하였다. 둘째, 실제 제작한 간이 광섬유센서 표면조도 측정 기가 유용함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표면 조도를 고려한 난류 천이 모델의 항공기 결빙 해석자에 대한 적용 연구

        민승인(Seungin Min),이관중(Kwanjung Yee) 한국항공우주학회 2020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8 No.1

        본 연구에서는 표면 조도 분포가 항공기 결빙 수치 해석에 미치는 영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항공기 결빙 해석 연구에서는 표면 조도의 크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며, 표면조도의 효과 측면에서는 완전 난류 가정을 적용하여 난류 천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 표면 조도가 천이 과정에 미치는 영향이 선험적인 수식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기법은 항공기 결빙 해석의 정확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면 조도가 난류 천이 및 열 경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모두 고려할 수 있도록, 2-방정식 난류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난류 천이 모델을 적용하였다. 표면 조도의 효과를 고려할 수 있도록 표면 조도 증폭 파라미터를 수송 방정식 형태로 적용하였으며, 물리적인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표면 조도 분포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차원 익형의 표면 조도, 대류 열전달 계수 및 결빙 형상을 획득하였으며, 실험 결과와 기존 기법들을 사용한 수치 해석 연구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앞전에서의 열전달 계수의 과도한 예측과 그에 따른 익형 아랫면에서의 얼음뿔 형상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urface roughness distribu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inflight icing code was investigated. Previous numerical studies focused on the magnitude of surface roughness, and the effects were only addressed in terms of changes in thermal boundary layers with fully turbulent assumption. In addition, the empirical formula was used to take account the turbulent transition due to surface roughness, which was regarded as reducing the accuracy of ice shape predi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urbulent transition model based on the two-equation turbulence model was applied to consider the effects of surface roughness. In order to consider the effect of surface roughness, the transport equation for roughness amplification parameter was applied, and the surface roughness distribution model was implemented to consider the physical properties. For validation, the surface roughness,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ice shape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other numerical methodolog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cessive prediction of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at the leading edge and the ice horn shape at the bottom of the airfoil were improved accordingly.

      • 레저선박의 표면조도 간격변화에 따른 유동해석에 관한 연구

        오우준(Woo-Jun Oh),조대환(Dea-Hwan Cho),이동섭(Dong-Sub Lee),손창배(Chang-Bae Shon),이경우(Gyoung-Woo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추계

        선박의 표면은 소형선박에서부터 대형까지 매끄럽지 않고 어느 정도의 표면조도(surface roughness)를 가지고 있다. 표면조도는 표면저항과 열전달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선박의 설계시 고려해야 될 중요한 설계인자 중 하나이다. 때문에 표면조도에 따른 주위유동에 관한 연구와 조도변화에 따른 유동 및 난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선박의 표면조도는 선박에서 뿐만 아니라 기계나 항공까지 광범위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가용 분야 또한 매우 넓다. 본 연구에서는 레저선박의 표면조도 간격변화에 따른 표면유동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며 표면조도 영역에 따른 경계층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From large to small vessels of the surface is not smooth. and The surface roughness. Because surface roughness increases the surface resistance and heat transfer,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 ship that is an important design factor. Due to surface roughness study on flow around and due to changes in flow and turbulence intensity for the ongoing research is conducted. Roughness of the surface ships from the ship by air as well as machines can be widely applied. In this study,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leisure marine interval, any change will affect the surface flow, area due to surface roughness for boundary-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 KCI등재

        알루미늄 거푸집 표면코팅재가 콘크리트 표면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천구,박재순 한국건축시공학회 2010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0 No.3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luminum form surface coating material on surface quality of concrete. When observing the surface quality of concrete affected by the change of aluminum form surface coating material,in general, as the number of use of the coating material increased, the surface quality of concrete decreased and good surface quality was shown in plywood (hereinafter PW). For epoxy (hereinafter EP) resin, when applying form remover, good surface quality was shown. For the surface roughness of concrete by the application form oil of form remover and the number of use of the coating material, as the number of use increased, highest surface roughness value was shown which meant the leveling was bad, but the surface roughness value in EP and PW was the lowest. Just for EP, when applying form remover, surface roughness value was low. For the number of void for concrete by the application of form remover and the number of use of the coating material, In general, the number of void which was generated when applying form oil the remover decreased. 본 연구는 알루미늄 거푸집 표면코팅재가 콘크리트 표면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콘크리트 표면형상에미치는 알루미늄 거푸집 표면코팅재 변화의 영향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의 육안관찰시 전반적으로 전용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표면품질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장합판(Plywood이하: PW)이 우수한 표면품질을 나타내었다. 에폭시(Epoxy :이하 EP)수지의 경우는 박리제를 도포하였을 시 표면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리제 도포여부 및 전용횟수에 따른 콘크리트의표면조도는 전용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장 높은 표면조도 값을 나타내어 평활성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EP와 PW의 표면조도 값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EP의 경우는 박리제를 도포할 경우 표면조도 값이 낮게 나타났다. 박리제 도포여부 및 전용횟수에 따른 콘크리트의 공극갯수는 전반적으로 박리제를 도포할시 저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SCOPUSSCIEKCI등재

        치간 법랑질 삭제방법에 따른 치아표면 거칠기에 관한 비교연구

        노준,전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4

        다양한 부정교합의 원인 중에서 치아의 형태적 이상이나 크기의 부조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치간 법랑질 삭제(interdental enamel stripping)가 임상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런 치간 법랑질 삭제술식은 특히 상하악의 전치부위에서 적은 량의 치아 밀집을 해결하거나, 교정치료 말기에 상하악 치아 크기의 부조화에 의한 견치 또는 구치의 바람직하지 못한 교합관계를 개선하는데 유용하지만 치아삭제가 비가역적인 술식이며, 삭제 후 남게 되는 거친 법랑질 표면으로 인한 치주적 부작용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법랑질 삭제 후 표면에 남게 되는 거칠기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치과용 마모기구를 이용한 방법들이 소개되었지만 그 결과에 대한 해석은 주사현미경(SEM)상에서 관찰되는 표면소견을 통한 비교분석에 국한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법랑질 삭제방법들의 결과를 주사현미경적 소견과 함께 표면조도측정기를 이용하여 표면의 거칠기를 정량화하므로서 좀 더 구체적인 임상적 결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함이다. 치간 법랑질 삭제방법은 기계적 방법 및 기계화학적인 방법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기계적 방법은 회전기계삭제와 치과용 마모지를 이용한 삭제로 구분하고, 기계화학적 방법을 위해 37% 인산이 사용되었다. 교정목적으로 발거된소구치의 인접면을 이용하여 기계적 및 기계화학적인 법랑질 삭제방법에 따른 표면 거칠기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회전기계 및 치과용 마모지를 이용한 기계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의 법랑질 표면이 다른군들에 비해 거칠게 나타났다. 2. 산 부식을 이용한 기계화학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이 기계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에 비해 양호한 표면을 보였다. 3. 기계적으로 1차 및 2차 삭제한 군의 표면은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로 표면이 양호하였다. 4. 표면 활택 목적으로 사용된 미세 연마제는 표면 거칠기나 표면의 연마 또는 가공정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Interdental enamel stripping is an usual method for correction of abnormal tooth shape and tooth size discrepancy which is one of the etiologic factors of malocclusion. Clinically it is useful to correct the minor crowding in anterior teeth and posterior occlusion during finishing stage of orthodontic treatment. But this procedure has risks such as irreversible tooth reduction and remaining roughness of enamel surface can accumulate plaque which can evoke periodontal problem. Even if various methods were introduced to minimize the enamel surface roughness, their evaluation was limited in morphologic differences by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S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arious interdental enamel stripping method by SEM and to quantify the difference of surface roughness by use of Surfcorder SEF-30D(Kosaka Lab, Ltd.) which can measure the roughness of surface. The stripping methods were divided into mechanical and mechanical-chemical method. Air-rotor stripping and separating strip were used for mechanical stripping and 37% phosphoric acid was used for chemical stripping. The enamel surface roughness after mechanical or mechanical-chemical stripping of interproximal surfaces of premolars which were extracted for orthodontic purpose were measured and compared by means of SEM and Surfcord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namel surface of primary treated by coarse diamond bur and separating strip groups showed highest value of roughness. 2. To compare the primary treated groups between mechanical and mechanical-chemical method, the latter group showed lower value of roughness remarkably. 3. Mechanical stripping groups which were treated both coarse and fine instrument showed lower value of roughness as much as non treated group. 4. The use of pumice for final polishing did not show significantly smoothening the stripped enamel surface any more.

      • KCI등재

        브라켓과 탄선 간의 마찰 전후 표면 변화 분석 : 원자현미경을 이용한 예비연구

        이태희,박기호,전지윤,김수정,박헌국,박영국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3

        브라켓과 호선 간에 발생하는 마찰은 치아 이동의 효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마찰력에 기여하는 요소 중 특히 브라켓과 호선의 표면조도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브라켓과 탄선을 실험적으로 마찰시킨 후, 원자현미경 (atomic force microscope, AFM)을 사용하여 브라켓 슬롯과 교정용 탄선의 표면 조도 변화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비교 평가하여 브라켓과 호선 간의 마찰이 각각의 표면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스테인리스 스틸 브라켓과 세라믹 브라켓에 각각 스테인리스 스틸 탄선과 TMA 탄선을 실험적으로 활주마찰시킨 후 각각을 원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브라켓보다는 교정용 탄선에서 활주마찰 후에 더 많은 표면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활주마찰 후에 스테인리스 스틸 브라켓은 표면 조도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세라믹 브라켓은 표면 조도가 감소하였다. 그리고 교정용 탄선은 모두 활주마찰 후에 표면 조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표면 변화는 스테인리스 스틸 브라켓보다 세라믹 브라켓과의 활주마찰 후에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실험으로 원자현미경은 브라켓 슬롯과 탄선의 표면 조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에 유용한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e surface roughness of orthodontic materials is an essential factor that determine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tooth move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rface roughness change of the brackets and wires after experimental sliding quantitatively. Methods: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sliding tests, the surface roughness of stainless steel brackets, ceramic brackets, stainless steel wires, and beta-titanium (TMA) wire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AFM). Results: After sliding tests, changes in the surface of the wire were greater than changes in the bracket slot surfac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tainless steel bracket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liding test, whereas the roughness of ceramic brackets was decreased. Both the surface roughness of stainless steel and TMA wires were increased after sliding test. More changes were observed on the ceramic bracket than the stainless steel bracket. Conclusions: AFM is a valuable research tool when analyz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brackets and wires quantit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