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개념 및 범주, 이론적 기반, 그리고 교육의 방향

        박휴용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transitions of the forms and natures of literacy, in the context of sheer ICT (Information-Computer-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This study ventures to discuss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to support the rationale and the validity of the new term, posthuman literacy: First, what are the trajectories of the concepts of literacy an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posthuman literacy?; Second, what areas of study and practice fall into the category of posthuman literacy?; Third, what is the theoretical basis of posthuman literacy?; Fourth, what are the major fields of interest in posthuman literacy research and the directions of posthuman literacy education? The main points of argument can be epitomized as follows: first, posthuman literacy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flat ontology and equal relationship among all creatures in the universe; second, posthuman literacy accepts and enjoys multimodal, critical, virtual/hybrid styles of literacy; third, posthuman literacy firmly stands on the four theoretical positions of new materialism, actor-network theory, non-representative theory, and post-phenomenology; and fourth, posthuman literacy aims to investigate the issues of affection, materiality, and virtuality of literacy practices. 본고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나타난 리터러시의 성격과 형 태의 변화를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란 용어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본고 의 논의는 네 가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리터러시의 발달 과정과 포스트휴먼 리터러시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범주는 어디까지인가? 셋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이론적 기반은 무엇인가?, 그리 고 넷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대안적 연구 주제와 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본고 에서 논의한 주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일원 론적 철학과 탈인본주의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세상 속 모든 존재들 간의 평등한 관계 성을 기반으로 한 소통과 상호작용에 목표를 두고 있다. 둘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는 양식성(디지털 리터러시), 핵심적 관점(탈인본주의 리터러시), 방향성(비판적 리터러시), 그리고 성격(혼성적 리터러시)에 따라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논의되고 있다. 셋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핵심원리들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네 가지 주요 이론인 신물질 주의, 행위자-망이론, 비대표성이론, 그리고 포스트현상학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넷 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기존의 리터러시 이론에서 등한시되었던 정서의 재발견, 담론의 물질성, 그것을 가상적 정체성의 문제에 더 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아울 러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교육이 학교 교육의 범주와 포스트휴먼적 존재성을 확장하 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급 속히 발달하는 정보통신기술 환경 속에서 리터러시 연구와 실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주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데이터 사회의 포스트휴먼을 위한 교육

        이은경(Eun Kyoung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8 신학사상 Vol.0 No.183

        소위 포스트휴먼 시대, 인공지능 시대 혹은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는 소식이 우리 주변에 범람하고 있다. ‘포스트-휴먼’시대란 ‘인간-이후’의 시대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기서 ‘포스트-’(post-)라는 접두어는 생물학적 인간의 ‘종말’이라기보다는 생물학적 기제에 기반한 인간이 인공지능과 네트워크 그리고 가상현실 증강 기술 등의 도움으로 새로운 디지털적 존재로 변모하고 있다는 자각을 의미한다. 이런 시대에 생물학적 개체로서의 인간 이해에 근거한 교육 과정, 그리고 그것에 근거한 지금의 교육 체계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인간을 규정해 왔던 정의와 개념들이 ‘기계와 공생’하며, ‘연장된 정신’(extended mind)의 형태로 살아가는 포스트휴먼 시대에는 더 이상 인간에 대한 적절한 정의가 아닐 때, 우리의 교육은 총체적인 위기에 빠져들게 된다. 따라서 다가오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가장 긴급하고 혁신적인 과제는 교육 혁명이 될 것이다. 근대적 주체의 해체 및 종말과 함께 등장한 포스트휴머니즘이 인간 중심적, 계몽주의적 휴머니즘 전통을 극복하려는 시도 중 하나라면,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은 무엇이며, 어떤 존재가 될 것인가? 우리가 여전히 인간이라고 말할 수 있는 인간의 조건은 무엇일까? 포스트휴머니즘이 ‘휴먼의 종말’이 아니라, ‘특정한 휴먼 개념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포스트휴먼 시대에 새롭게 주목받게 될 휴먼 개념은 무엇일까? 이러한 문제 제기와 함께 본 논문에서는 근대적 휴머니즘을 넘어선 포스트휴먼의 현상들 속에서 주체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며, ‘타자(他者)의 주체성’과 ‘혼종성’을 계몽주의적 이원론과 자유주의적 휴머니즘을 넘어서는 포스트휴먼의 새로운 인간 조건으로서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이어서 디지털 데이터 사회에서 포스트휴먼을 위한 교육과 그 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하면서,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와 ‘역설계’(reverse engineering)를 제안하고자 한다. 포스트휴먼에게 필요한 것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생성되고 공유되는 데이터를 적절하게 활용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과 생체리듬을 과도하게 폭로하지 않을 수 있는 능력, 한 마디로 ‘데이터 리터러시’를 기르고, 동시에 이 데이터 리터러시를 바탕으로 주어진 기술을 자신에게 맞게 ‘역설계 The news has been overflowing around us that the so-called the posthuman age,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oming near. The posthuman age literally points to an age ‘after’ human beings. Here, one should be careful to recognize that the prefix ’post-‘ does not refer to the end of biological human being but to the radical transition of the biological mechanism of human being into a new digital being through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ing and augmentation of virtual reality. Along with these state-of-art technologies, which now are changing human nature itself, one can predict that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s, which have derived from the modern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s a biological organization of individual, will not be effective any longer, given that our definition and concept of human being as individual cannot be applied to the posthuman being who live as part of symbiotic life community with machines and whose mind is extended over physical and digital material. In this context, the issue of education is brought into relief, for this transition of human nature means the crisis of education, given that the human nature, which has been the targeted goal of the modern education system, will be drastically changed. It is the most prominent and imminent task in the coming posthuman age that is the issue of educational revolution, unless education would collapse into a total break-down due to the change. Who will be the new being in the posthuman age or what kind of being will human being become in such a age, if the posthumanism has been an attempt to overcome the Enlightenment anthropocentric tradition of humanism along with the end and dissolution of the modern subject? What will be the human condition if we human beings still want to be human in such posthuman future? If the posthumanism does not mean the end of beinghuman but the end of the modern specific for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의 교양교과에 적용한 포용적 튜터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윤혜경,김용하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0 사고와표현 Vol.13 No.2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교양교과에 적용한 포용적 튜터링의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주요 설계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포스트휴먼 학습은 탈근대주의를 표방하면서 포스트휴먼이라는 타자를 포용하는 과정에서 휴먼의 근원성을 재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포용적 튜터링은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를 구현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일환이다. <포스트휴먼의 이해>와 <융복합적 사고와 실천> 교양과목에 포용적 튜터링을 접목해 실시한 교양교육튜터링의 체계, 내용, 운영 양상을 살펴보았다. 해당 교과목들은 포스트휴먼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포용적 사고를 표방한다. 교양교육튜터링 학습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의사소통을 위한 여러 요소들을 비롯하여 학습자와 교수자간의 상호작용이 실시간 일어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프로그램 내용으로서의 콘텐츠 구성이 필요하다. 교양교육튜터링은 교양교육튜터링에 대한 학습자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포용적 튜터링 프로그램의 실학적 교양교과의 지평을 확장시킬 수 있다. This study seeks to address a main design contents for program operation of inclusive tutoring applied to liberal arts subjects in the post-human era. Post-Human learning, while advocating post-moderdernism, offers an opportunity to reexplore human origin in the process of embracing the other called Post-Human. Inclusive tutoring is a part of the curriculum to realize the post-human literacy. We looked at the system, content, and operation aspects of liberal education tutoring conducted by grafting inclusive tutoring into the liberal arts subjects of <Understanding of the Post-Human>and <The Convergence Mindset and Practical Actions>. These subjects advocate inclusive thinking of professors and learners to prepare for the post-human era.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liberal arts tutoring learning program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can occur in real time, including various elements for communication, and content composition as program content. Liberal education tutoring not only satisfies learners’ needs for liberal arts tutoring, but can also expand the horizons of practical liberal arts subjects of inclusive tutoring programs

      • KCI등재

        기술 발전에 따른 리터러시 변화 연구

        이유미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용봉인문논총 Vol.- No.5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changes in the research of literacy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t's to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teracy theory and the New Literacy theory.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after the birth of letters was essential to access information. Learning letters was the first thing to learn as a social competence. This was an essential means of understanding society beyond access to information. However, as technology developed, the means of producing and understanding information began to develop into various media as well as text.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y technology gave birth to visual literacy, and the invention of television has led to media literacy, with the advent of various digital media such as computers and smartphones, digital literacy has emerged. In modern times,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 began to study post-human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literacy has changed not just to read and write letters, but to have the ability of critical social reading to understand society. As such, studying the history of literacy has a need and meaning as a basic task of exploring the purpose and object of " literacy" in the new era.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발전에 따른 리터러시의 대상과 목적의 변화를 확인할 뿐 아니라 리터러시에서 뉴리터러시로의 발전을 통한 리터러시 목적의 변화를 확인하는 데 있다. 문자 탄생 이후 문자를 이해하는 것은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역량이었다. 이에 문자를 배우는 것은 사회적 역량으로서 첫 번째로 학습해야 하는 대상이었다. 이는 정보의 접근을 넘어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 수단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술이 발전하면서 정보를 생산하고 이해하는 수단이 문자뿐 아니라 다양한 매체로 발전해 가기 시작하였다. 사진 기술의 발전은 비주어 리터러시를 탄생시켰고, 텔레비전의 발명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컴퓨터, 스마트 폰 등의 다양한 디지털 매체의 등장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생각하게 하였다. 현대에는 인공지능의 발달과 함께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리터러시의 목적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사회적 기초 역량으로 글자를 이해하는 것에서 사회를 이해하는 비판적 사회 읽기의 능력을 배양하는 것으로 변화함을 통해 단순히 매체 활용이 아닌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까지가 ‘리터러시’의 목적이 되었다. 본고를 통해 리터러시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새로운 시대의 ‘리터러시’ 목적과 대상을 탐구하는 기초적 작업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AI 시대 교양기초교육의 교수학적 재음미

        손승남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dactically review the direction, contents, and methods of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German ‘Bildung’. This concept aims for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human abilities’ based on the premise of both self-understanding and world-understanding. For the question of how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subjects in the current accelerated globally changing world i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faced today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order to detect global changes, Mega Trends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set as key issues. Moreover, AI was closely looked at as a driving force that will play a crucial role in leading the world of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AI, along with the rosy prospect of liberating humans from work and thus enriching their lives, has in fact caused many to take a negative view regarding suchcuttin g-edge science and technology. For sucha radical advancement may actually bring humanity itself to the brink of a crisis. Indeed, perhaps the most feared prospect is that AI might accelerate the rise of what is being called a “post-human” world. In relation to such a post-human era, the issues of human existence, the end of labor, and the inevitable gap arising between AI and humanity, were discussed. In the age of AI,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actively intervene in the achievements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ransform our perception and values of machines. For that purpose, it is necessary to instill the values of coexistence, symbiosis, and coevolution with non-human beings (animals, plants, ecosystems, nature, things, and the universe itself). In terms of contents, it is also necessary for us to improve the standard draft of the Korean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so that it might better fit a post-human era. Given the influence of AI, we need to redesign the future of human beings who will be living with machines, and to provide a liberal arts program suitable for such a world. In this way, learner-centered education, design thinking, project-based instruction, and liberal learning should be enthusiastically supported. However, whether the era of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 comes or not, the future of mankind will ultimately depend on human choice. The accountability of future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found in raising the discernment, morality, and ethical awareness of learners, and to develop their faculty of judgment so that one may distinguish good from evil, right from wrong and beauty from ugliness. Digital literacy and ‘post-human literacy’ will obviously serve as fundamental skills in the future. 이 연구는 독일어 ‘빌둥’의 개념에 기초하여 교양기초교육의 방향, 내용, 방법을 교수학적으로 재음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빌둥은 자기 이해와 세계 이해를 전제로 ‘인간 능력의 조화로운 발달’을지향한다. 우리가 사는 가속화된 세계 변화 속에서 주체의 역량을 어떻게 강화해 나가느냐의 문제가오늘날 빌둥이 직면한 당면과제이다. 세계변화를 탐지하고자 시대의 핵심문제로 메가트렌드, 4차 산업혁명을 설정하고, 미래 지능정보사회를 선도해 나갈 동력으로 AI에 주목하였다. AI와 로봇의 발달은 인간을 노동에서 해방시켜 삶을 풍요롭게 해 줄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과 함께, 최첨단의 과학기술로 인해 인간의 일자리와 인간성 자체마저위기에 처할지 모른다는 부정적 전망을 낳고 있다. 가장 우려가 되는 부분은 AI의 비약적 발전이트랜스휴먼, 나아가 포스트휴먼의 도래를 앞당길 수 있다는 점이다. 인간을 넘어선 인간, 즉 포스트휴먼시대와 관련하여 연구자는 인간의 존재 물음, 노동의 종말, AI 격차 등을 논의하였다. AI 시대의 교양기초교육은 첨단 과학 기술의 성과, 기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가치관 형성에 적극개입해야 한다. 그 목적을 위해서 인간 외적 존재들(동물, 식물, 생태계, 자연, 물질, 우주)과 더불어살아가는 공존, 공생, 공진화의 가치관을 미래 세대에게 심어줄 필요가 있다. 내용 면에서도 모던 시대의교기원 「표준안」을 새 시대에 맞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AI 영향력을 감안한다면 기계와 함께 하는인간의 미래를 새롭게 설계하고, 그에 적합한 교양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그 방법에서도학습자 중심교육, 디자인 씽킹, 프로젝트 기반 수업, 자유학습이 실제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AI가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범용 인공 지능(AGI) 시대가 온다 해도 인류의 미래는 결국 인간의사고와 선택에 달려 있다. 미래 교양기초교육의 책무성을 우리는 AI 세상을 살아갈 세대에게 선악시비(善惡是非)와 미추(美醜)를 구분할 수 있는 분별력, 도덕성과 윤리의식, 판단력을 길러 주는 일에서찾아야 할 것이다. 그 기초로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포스트휴먼 리터러시’가 요청되는 것은 재론의여지가 없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