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0세 이상 성인에서 악력, 폐쇄성수면무호흡증(STOP-bang score)과 폐 기능의 연관성: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9)

        서화니,여요환,조정진,엄유진,조아랑 대한가정의학회 2024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4 No.2

        연구배경: 악력은 호흡근 강도 감소 및 폐 기능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전체 근육량 감소를 반영한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 또한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여 근육 이화 및 폐 손상을 유발한다. 본 연구는 악력과 폐 기능 감소 패턴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폐쇄성수면무호흡증 등 악력과 폐 기능 감소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40세 이상 성인 3,2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악력과 폐 기능의 연관성을 Spearman 상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성별과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위험도로 층화하여 악력 그룹에 따른 폐 기능(폐쇄성 또는 제한적 패턴)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교차비 및 95% 신뢰구간을 비교하였다. 결과: 남성 1,264명, 여성 1,479명이 정상악력이었다. 남성은 낮은악력군이 정상악력군보다 FVC (L), FVC (%, predicted), FEV1 (L), FEV1 (%, predicted), FEV1/FVC가 유의하게 낮았다. 제한적패턴의 위험도는 악력이 낮은 남성에서 더 유의하게 높았다(aOR, 2.773; 95% CI, 1.220–6.300). 낮은악력과 폐 기능 감소 사이 연관성은 남성에서 더 두드러졌다(P-interaction of sex; 0.002 [폐쇄성], 0.008 [제한성]). 그러나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위험도에 의한 유의미한 영향은 없었다. 결론: 낮은악력을 가진 남성은 제한적 폐 기능 감소 위험이 더 높다. Background: Decreased handgrip strength (HGS) reflects overall muscle mass reduction, which can reduce 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impair lung function. Obstructive sleep apnea (OSA) has also been reported to cause muscle catabolism and lung damag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GS and lung function by exploring the effect modifiers, including OSA. Methods: Data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used in this study. A total of 3,207 adults aged >40 years were included. The association between HGS and lung function was determin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calculated using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lung function (restrictive or obstructive pattern) according to HGS groups stratified by sex and OSA risk. Results: In total, 1,264 males and 1,479 females had normal HGS. In males, the low HGS group had lower forced vital capacity (FVC, L), FVC (%, predicted), forced explo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FEV1 (%, predicted), and FEV1/FVC, than the normal HGS group. The risk of having restrictive pattern of lung function was higher in males with low HGS (adjusted OR, 2.77; 95% CI, 1.22–6.30). The association between low HGS and decreased lung function was stronger in males (P interaction of sex: 0.022 for obstructive pattern and 0.008 for restrictive patter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modification by OSA risk. Conclusion: Males with a low HGS showed a higher risk of restrictive pattern of decreased pulmonary function.

      • KCI등재

        12주 운동이 만성폐쇄성 폐질환자의 심폐기능과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문정화,옥정석,안근옥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1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ffects of 12 weeks exercise on cardiopulmonary and muscular function in chronic obstructed pulmonary disease(COPD) patients. [METHOD] Subjec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31 chronic obstructed pulmonary disease patients men aged in the range of 40-80 years old. They were assigned to the mild group(=17) and the severe group(=14) to disease severity(FEV1). All subjects were carried out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programs for 40 to 60 minutes a day, five times per week in the period of 12weeks. The aerobic exercise was carried out walking exercise and its intensity was increased step by step in the range of 60-70%VO2max. The resistance exercise was carried out elastic-band exercise and weight-bearing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intensity was increased step by step to the muscular function test result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paired t-tests within group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o compare means between two groups. [RESUL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VO2max of two groups between pre and post test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of exercise effect between groups in ANCOVA. Significant lower values of HRmax(p=.029) of severe group and dyspnea scale(p=.044) of mild group between pre and post tests were founded,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dyspnea scale(p=.013) only between groups. Improvement of leg fatigue scale(p=.010) in the severe group between pre and post tests but no difference between groups(p=.013). Treadmill walking endurance of two groups(p=.000) were enhanced and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p=.025). Upper limbs muscular function(mild group; p=.004, severe group; p=.005) and lower limbs muscular function(mild group: p=.001, severe group: p=.010) were all enhanced in two groups. There was a marked improvement of the lower limbs muscular function of mild group(p=.046) in between groups comparison.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exercise training is effective to COPD patients and it is suggested that it is possibile its effect is different to disease severity(FEV1) i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muscular function. [서론]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 운동이 만성폐쇄성 폐질환자의 심폐기능과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 대상은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진단 받은 40-80세 남성 31명으로서 이들을 COPD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경증집단(n=17)과 중증집단(n=14)으로 구분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60-70%VO2max 강도의 걷기운동과 근력운동을 병행하여 하루 40-60분, 주 5회,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운동 프로그램 적용 직전 및 12주 운동 후에 심폐기능과 근기능을 측정하였다. 심폐기능은 운동부하검사(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호흡곤란정도, 다리피로정도)와 오래걷기검사를 측정하였고, 근기능은 아령들기와 앉았다가일어서기를 검사를 실시하였다.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차 검증을 위하여 대응 t-검정을 실시하였고, 집단간 12주 운동효과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최대산소섭취량은 집단별 사전사후검사결과의 차이는 없었으나 공변량분석결과 집단간 운동효과의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사후검사결과 최대심박수는 중증집단에서, 호흡곤란척도는 경증집단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집단간 차이는 호흡곤란척도만 나타났다. 다리피로척도는 사전사후거사결과 중증집단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집단간 차이는 없었다. 오래걷기시간은 경증집단과 중증집단 모두 사전사후검사결과의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집단간 차이도 있었다. 아령들기와 앉았다가일어서기 모두 사전사후검사결과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앉았다가일어서기에서만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결론] 운동은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심폐기능과 근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고, 이 연구에서 적용한 운동 프로그램의 경우 심폐기능이 경증집단보다는 중증집단에서 더 좋은 향상을 가져왔으나 근기능에서는 경증집단에서 더 나은 효과를 보임으로써 향후 만성폐쇄성 폐질환자의 운동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질환의 중증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폐절제술 후 우심실의 혈역학적 변화에 따른 BNP의 변화

        나명훈,한종희,강민웅,유재현,임승평,이영,최재성,윤석화,최시완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9

        배경: 폐절제술이 우심실 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BNP (brain natriuretic peptide)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폐절제술 후 변화하는 혈역학적 수치와 우심부전의 보상기전으로서 증가하는 BNP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BNP가 폐절제술 후의 우심부전의 지표가 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폐암으로 폐엽절제술과 전폐절제술을 시행한 12명의 환자에서 면역화학적 방법(Elecsys 1010, Roche, Germany)을 이용하여 수술 전후의 NT-proBNP 수준을 측정하고, Swan-Ganz 카테터로 수술 전후에 혈역학적 지표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수술 전후에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우심실 및 좌심실압 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version 11.5)를 이용한 Wilcoxon rank sum test와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NT-proBNP 수준은 수술 전과 비교하여 수술 후 6시간, 수술 후 1일과 2일, 3일, 7일째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3, 0.002, 0.002, 0.006, 0.004). Swan-Ganz 카테터를 통한 혈역학적 변수 중에서는 평균 폐동맥압이 수술 전과 비교하여 수술 직후와 수술 후 6시간, 수술 후 1일, 2일, 3일째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2, 0.002, 0.006, 0.007, 0.008), 평균 우심실압력은 수술 직후와 수술 후 6시간, 수술 후 1일과 3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6, 0.009, 0.044, 0.032). 폐혈관저항지수[폐혈관저항지수=(평균폐동맥압평균폐동맥쐐기압)/심박출계수]는 수술 후 6시간, 수술 후 2일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08, 0.028). 평균폐동맥압의 수술 후 변화와 NT-proBNP 변화를 회기분석하였을 때 수술 후 6시간에서 유의성이 있었으며(r=0.602, p=0.038) 이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심초음파 결과는 수술 전후를 비교하여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폐절제술 후 6시간의 폐동맥압의 변화와 NT-proBNP의 변화가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폐절제술 후 NT-proBNP의 변화는 폐절제술 후 우심실의 조기 혈역학적 변화를 반영하는 척도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소아청소년 환자에서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한 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에 따른 환자의 폐기능 변화

        배우리,김경훈,윤종서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목적: 소아청소년 환자에서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한 폐쇄성폐질환은 환자의 삶의 질 뿐만 아니라 사망률에도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폐쇄성 폐질환의 중증도에 따른 환자의 폐기능 변화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저자들은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2009년 4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19세 미만의 환자 중에서 이식 후 3개월 이후에 폐쇄성폐질환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중증의 폐쇄성폐질환 환자는 이 질환 때문에 사망하였거나, 생존했으나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호흡곤란중증도≥2이거나 FEV1<60%, 또는 HRCT에서 폐쇄성폐질환 소견이 악화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환자의 기록은 후향적으로 차트 리뷰를 하였다. 결과: 총 46명의 환자 중에서 중증과 경증 폐쇄성폐질환은 각각 23 (50%)명씩이었다. 두 군의 나이 (134개월 vs. 134개월; p=0.391)와 성별 (70% vs. 52%; p=0.227)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식 전 PFT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식 후 폐쇄성폐질환 진단까지의 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382일 vs. 372일; p=0.818), 폐쇄성폐질환 진단 시 시행한 PFT에서 중증군의 FVC (p=0.006), FEV1 (p=0.001), FEV1/FVC (p=0.001), FEF25-75 (p=0.001), PEF (p=0.003)가 유의하게 낮았고 RV (p=0.017)이 유의하게 높았다. 폐쇄성폐 질환 진단 시부터 2년 후까지 PFT의 변화량에서 중증군의 FVC (p=0.011), FEV1 (p=0.002), FEV1/FVC (p=0.025), FEF25-75 (p=0.019), PEF (p=0.005)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RV (p=0.037)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후 발병하는 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는 진단 초기에 결정된다. 중증 폐쇄성폐질환이 발병한 환자가 경증 환자에 비하 여 진단 이후 폐기능이 유의하게 악화된다.

      • KCI등재

        표준기록관리시스템 평가·폐기 기능 평가

        이보람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8

        Legislative stability of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and the enhancement of infrastructure have reached significant levels through relentless efforts of academic and public institutions in the field. In addition, appraisal and disposal of records also have to be done by retention periods, business functions, administrational and historical values, and certain procedures. The law specifies that public institutions must assign record managers. The underlying reason is for record managers to arbitrate the review process when records are to be evaluated and discarded and to prevent unauthorized disuses. It is also for just evaluations with the professionalism. Evaluation and discard of records have significant meanings in record management. Thus, these processes need to be handled properly in the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should be proceeded by the law enacted under the task functional and social agreement. Since, the record discard is decided through the technical and logical process, the support for evaluation and discard works are important above all things. In this paper, I deducted functional requirements of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 by analyzing methods including the analysis of legislation and standard related to electronic records and the examination of the user’s manual of record management system. I researched through the interviews of the record managers in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this research, I deducted the implications for the evaluation of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the estimation of functional requirements for discard. I also discussed future directions of improvements and follow-up studies. 오늘날 공공기관의 기록물 생산 및 관리는 법제적 안정을 이루었고 인프라 고도화를 통해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철저한 전자적 행정기록의 생산·관리를 법률로 규정하고 있으며 보존기간, 업무기능에 따라 행정 및 역사적 가치가 매겨지고 일정한 절차에 의해 평가·폐기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각급 공공기관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배치하도록 명시하고 있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평가·폐기 시 심의과정 중재와 무단폐기 방지 등의 역할을 감당하고 전문성을 통해 올바른 평가가 가능하게 하려는 것이다. 평가·폐기가 기록관리 업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만큼,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은 업무를 기능적으로 적절히 구현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를 지원해주어야 한다. 기록물 폐기 결정은 시스템의 기술적·논리적 프로세스를 거쳐 수행되므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평가·폐기 기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공공기록물 관련 법제 및 전자기록 관련 표준을 분석하고 기록관리시스템 사용자설명서를 검토하여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기능요건을 도출한다. 또한 공공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평가·폐기 업무를 평가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며 향후 개선방향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정상 성인의 신체조성과 폐 기능의 연관성

        김현승,조성현 대한통합의학회 2020 대한통합의학회지 Vol.8 No.2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lung function in healthy adults. Method: This study included 204 healthy adults in whom all measurements were obtained once, an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oftware for Windows, version 22.0.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represented by the total body water, protein mass, soft lean mass, mineral mass, basal metabolic rate, fat-free mass, skeletal muscle mass, and body fat percentage) and lung function (represented by the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the FEV1/FVC ratio, maximum voluntary ventilation [MVV], maximum expiratory pressure [MEP], and th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IP]). All measurements were obtained by two investigators to improve reliability. A significance level of α=.05 was us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Among the lung function measurements obtained in both men and women, the FVC, FEV1, MVV, and MI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body water, protein mass, soft lean mass, mineral mass, basal metabolic rate, fat-free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in men (p<.05). The FEV1/FVC ratio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body water, soft lean mass, mineral mass, basal metabolic rate, fat-free mass and the body fat percentage (p<.05). Notably, the FVC, FEV1, and MVV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body water, protein mass, soft lean mass, mineral mass, basal metabolic rate, fat-free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in women (p<.05).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lung function in healthy adults. In combination with future studies on lung function, our results can provide objective evid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of lung disease, and our data can be utilized in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목적: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의 신체조성과 폐 기능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정상 성인으로 204명을 대상으로 단일측정하였고, 자료 분석은 Windows SPSS Versio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신체조성(체수분, 단백질, 근육량, 무기질, 기초대사량, 제지방량, 골격근량, 체지방률)과 폐 기능(FVC, FEV1, FEV1/FVC, MVV, MEP, MIP)의 종속변인들 간에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모든 측정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2명의 측정자로 측정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유의수준 α=.05로 설정하였다. 결과: 남성과 여성의 폐 기능 측정 중 남성에서 FVC, FEV1, MVV 그리고 MIP은 체수분, 단백질, 근육량, 무기질, 기초대사량, 제지방량, 골격근량 사이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FEV1/FVC은 체수분, 근육량, 무기질, 기초대사량, 제지방량, 체지방률 사이에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여성에서는 FVC, FEV1, MVV은 체수분, 단백질, 근육량, 무기질, 기초대사량, 제지방량, 골격근량 사이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결론: 정상 성인의 신체적 특성인 체수분, 단백질, 근육량, 무기질, 기초대사량, 제지방량, 골격근량, 체지방률과 폐 기능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폐 기능에 관련된 많은 연구를 하여 폐 질환 예방의 기초자료에 도움 될 수 있으며, 호흡기계 질환의 재활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체중 및 체질량지수 차이에 따른 폐 기능과의 연관성

        김태영,우정현,이우현,조선경,전혜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9 No.2

        Background: Obesity and deterioration of pulmonary function are known to increase all-cause mortality and morbidity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s. Obesity is a known risk factor for decreasing pulmonary function; however, studies on the effect of changes in body weight or body mass index (BMI) on pulmonary function are ra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in body weight or BMI and the pulmonary function test (PFT) in Koreans who underwent consecutive screening at a health promotion center. Methods: We enrolled 5,032 patients who underwent consecutive screening health check-ups at a health promotion center in 2015 and 2017. The BMI was calculated as the body weight (kg) divided by the square of the height (m2) in 2015 and 2017. We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ange in body weight or BMI and PFT. Results: In males, PFT and changes in body weight were associated with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but not with changes in BMI. In females, FEV1/forced vital capacity and forced expiratory flow between 25-75% of vital capacity (FEF25-75%)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body weight and BMI.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ody weight and BMI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EF25-75% in males. In females, FEV1/FVC and FEF25-75% were negatively correlated. Conclusions: We observed that the increase in body weight and BMI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ulmonary func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careful monitoring of body weight and BMI may aid in maintaining proper pulmonary function, thereby, reducing mortality and morbidity. 연구배경: 비만과 폐 기능의 저하는 만성 질환 이환율과사망률 증가와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체중이나 체질량지수(BMI)의 변화가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없어 본 연구는 건강증진센터에서연속적인 검진을 받은 한국인 수검자를 대상으로 체중이나BMI 변화가 폐 기능 검사(PFT)의 인자들에 미치는 영향에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5년과 2017년에 일개 건강증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연속적으로 받은 사람 중 신체계측과 PFT를 모두 시행한 5,032명을 대상으로 체중과 BMI의 변화와 PFT와 연관성을 상관분석 및 t-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체중과 BMI 변화에 따른 PFT 인자들과의 관련성에있어서 남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고 다만체중이 증가한 그룹에서 FEV1이 체중이 감소한 그룹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성에서는 체중과 BMI가증가한 그룹에서 FEV1/FVC와 FEF25-75%가 체중이 감소한그룹에 비해 더 낮았고, 체중과 BMI 변화에 따른 PFT 인자들과의 관련성에서 FEV1/FVC와 FEF25-75%가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비만도의 증가에 따라 FEV1/FVC와 FEF25-75%가낮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비만도의 변화에 따라 PFT의 인자들의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비만의 적절한 관리가 폐 기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대규모 다기관 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비만의 관리가 폐 기능 및 폐질환에 미치는 영향에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폐 기능 이상

        이승환(Seung-Hwan Lee),최윤선(Youn Seon Choi),고성범(Seong-Beom Koh)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1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2 No.2

        연구배경: 파킨슨병의 운동계 증상은 잘 알려져 있으나, 운동계 증상 이외에 다른 여러 증상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파킨슨병의 환자에서 폐 기능 이상 여부를 알아보며, 폐기능 이상과 파킨슨병의 주된 운동계 증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76명의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군을 떨림이 주증상인 군(33명)과 자세불안정 및 강직이 주증상인 군(43명)으로 나누어 폐 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파킨슨병의 임상 정도는 호엔-야병기와 통합파킨슨척도검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떨림 주증상군과 자세불안정 및 강직 주증상군 사이에 폐 기능검사상 차이는 없었다. 파킨슨병의 임상 척도가 나쁠수록 강제폐활량(FVC)과 강제폐활량 검사 중 처음 1초 동안 호기량(FEV1)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FEV1/FVC비는 통합파킨슨척도 검사 결과 및 호엔야병기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FVC와 FEV1은 파킨슨병 환자에서 주된 운동계 증상의 종류와 무관하게 병의 심한 정도를 반영하는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폐 기능검사 결과가 파킨슨병의 운동기능 심각도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Motor deficits associated with Parkinson’s disease (PD) have been well described, ye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non-motor miscellaneous symptom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pulmonary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PD. W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lmonary function and parkinsonian motor signs. Methods: A total 76 patients were recruited. We enrolled 33 patients with tremor dominant (TD) PD patients and 43 patients with postural instability and gait disturbances dominant (PIGD) PD patients without symptoms of pulmonary dysfunction. A pulmonary function test (PFT)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The Hoehn & Yahr stage was determined and the degree of disease severity was quantified b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motor score of the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UPDR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FT between patients with TD motor abnormalities and patients with PIGD. Individual clinical disability scales showe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volume of air expired during the first second of the FVC test (FEV1) (P<0.05). The FEV1/FVC rati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tor score of the UPDRS and the Hoehn-Yahr stage.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FVC and FEV1 could reflect a subject’s clinical disability regardless of dominant clinical features. Additionally, the FEV1/FVC ratio could be an indicator for motor score of the UPDRS or disease stages in general. Therefore, we suggest that PFT could be used to evaluate the clinical disability of patients with PD or prevent them from developing pulmonary complication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호흡근 훈련이 엘리트 선수의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

        윤재량,전해섭 대한운동사협회 2011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3 No.4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8주 동안 레슬링 훈련과 호흡근 훈련(IMT)이 폐 기능과 유산소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및 호흡근 훈련의 적정 기간을 검증 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서울특별시 소재의 K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 레슬링 선수로서 실험집단(EXE)과 통제집단(CON)으로 각각 9명씩 선정하였다. 8주간의 실험기간 동안 CON 집단은 레슬링 훈련만을 실시하였고 EXE 집단은 레슬링 훈련과 IMT를 병행하였으며, IMT는 1주일에 6회, 하루에 2회씩 30회를 실시하였다. 관찰변인에 대한 검사 및 측정은 총 3회(Pre, Mid, Post)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자료처리는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를 적용하였다(SPSS 18.0 Ver.). [결과] 첫째, 폐 기능 변인에서 FEV1, FVC 및 PEF에서 각각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p<.05, p<.05, p<.05), FEV1%에서도 시기 간 및 집단 간의 주효과(p<.05, p<.05)가 각각 나타났다. 둘째, 유산소성 변인들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의 관찰 변인들은 레슬링 훈련과 호흡근 훈련을 병행하여 실시한 EXE 집단에서 폐 기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IMT 처치 기간은 최소한 6-8주 이상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INTRODUC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 weeks inspiratory muscle training(IMT) on the pulmonary function and aerobic capacity. [METHO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collegiate wrestlers(CON=9, EXE=9) who had participated in basic wrestling training(CON) and basic training with IMT(EXE), respectively. IMT was performed using an inspiratory pressure-threshold device(POWERbreathTM, Gaim, UK) and IMT group performed 30 dynamic inspiratory efforts twice daily for 8 week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by SPSS Ver. 18.0. [RESUL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an interaction effects in FEV1, FVC. and PEF, respectivelt(p<.05, p<.05, p<.05).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CON and EXE on aerobic capacity. [CONCLUSION] These findings that our results demonstrated as effects of performed to basic wrestling training with IMT on pulmonary function in EXE. Accordingly, It is desirable for IMT treatment period conducted at least 6 weeks or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