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성 평가를 위한 환경평가 고도화 연구

        안준영,지민규,유재진 한국환경연구원 2021 기본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연구의 배경 □ 국내 폐기물 불법처리 및 폐기물처리시설 부족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면서 환경영향평가의 기능과 역할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음. 특히 친환경적 자원순환 항목의 환경영향평가는 개발 공사 및 시설 운영 시 발생하는 다량의 폐기물에 대하여 발생지 처리 원칙에 기반한 근거리 처리를 강화할 수 있고, 지역 간 균형을 고려한 폐기물처리시설의 신설 및 증설 계획 수립을 유도할 수 있음. □ 이를 위해서는 환경영향평가 시 친환경적 자원순환 항목에서는 지역별 폐기물 처리 역량, 폐기물처리시설 용량, 폐기물 연계처리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폐기물 처리시설의 적정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 그러나 지금까지 친환경적 자원순환 항목에서는 폐기물 발생량을 산정하여 영향예측으로 제시하고, 「폐기물관리법」 등이 규정한 폐기물 처리 방법을 주요 저감 방안으로 제시할 뿐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과 근거에 기반한 평가는 이루지지 못하고 있음. Ⅱ.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적 자원순환 항목의 환경영향평가를 개선하고자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성 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고도화하고자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성 평가 판단 기준 및 근거를 마련하여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성 의사결정모델 및 판단 프로세스를 구축함. 또한 17개 광역지자체 및 226개 기초지자체에 대한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성 평가를 자동화하기 위해 판단 프로세스를 프로그래밍하여 QGIS 기반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성 평가를 위한 데이터 정보화 플랫폼’을 구축함. □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폐기물처리시설 적정성 평가를 위한 데이터 정보화 플랫폼’ 분석 결과(부록 I, Ⅱ, Ⅲ, Ⅳ 참조)를 활용하면 지역별 폐기물 처리 역량, 폐기물처리시설 용량, 폐기물 연계처리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폐기물 처리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이는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역 간 불균형에 따른 특정 지역으로의 폐기물 처리부하 가중과 그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선제적으로 저감할 수 있음을 의미함. □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민간 또는 공공 폐기물처리시설 계획의 수립자 및 환경영향평가 이해관계자가 폐기물처리시설 계획 단계에서 지역별 균형을 고려하여 폐기물처리시설의 입지 지역의 타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폐기물처리시설 적정성 평가를 위한 데이터 정보화 플랫폼’과 ‘공간 정보(ArcGIS)를 활용한 폐기물처리시설 위치 기반 운송시간-거리 정보’에 관한 통합연구를 수행함. 지금까지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성 평가를 위한 기법이나 모델 등이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의 학술적 확장 가능성과 의미는 상당히 클 것으로 판단됨. □ 본 연구는 2차 연도로 계획되어 있고, 해당 연구는 1차 연도 연구로서 최종 연구 결과물은 논문 등으로 발표될 예정임.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기법 및 데이터 정보화 모델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먼저 환경영향평가 작정 규정 개선, 법률 개정을 통해 폐기물처리시설을 최적화하는 전략 수립, 국가 통계 데이터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In South Korea, most household waste is processed in public landfill sites or incinerators the plans for their construction, operation, management, and etc. of which are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s. Most of other wastes such as industrial waste, construction waste, and etc. are treated in private sector, in accordance with market economy principle, occupying more than 70% of total waste generated, and thus their role in waste treatment is very important in South Korea. In general, as most private enterprises select the economically efficient site or location for construction of their waste treatment facilities, the private landfill sites or incinerators have been unevenly distributed centering around some regions. And thus, environment impacts in the regions are aggravated by air-pollutants and odor. Moreover local governments have not responsibility for the management of other wastes excepts household waste, which could accelerate the uneven distribution of the private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the local governments. Currently private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South Korea are on their last legs, and it is viewed that EIA projects for the construction of new waste treatment facilities will be proposed. However, if construction sites for new waste treatment facilities are selected without considering regional balance in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not only it could be confronted by strong opposition of the local population but also environment impacts in the site region might be aggravated by air-pollutants and odor. Hence, steps in site selection of new waste treatment facilities needs to consider the regional capability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and the balance between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in the 226 local governments of 17 metropolitan municipalities. To date, there is no methods for readily identifying the waste treatment capability and balance of the local governments. Hence, we developed ‘data informatization platform’, which was combined with ‘spacial information on waste transport time-distance’, to visualize the analyzed information on the waste treatment capability and balance of the local governments of 17 metropolitan municipalities. Ⅱ. Methodology South Korea consists of 17 metropolitan municipalities and 226 local governments (Sis/Guns/Gus), and there are many landfills and incineration facilit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a national statistics, National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Status, from which unit data informations on the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of 226 local governments were extracted. The unit informations were used to develop the decision-making models and judgment process to analyze the adequacy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for the local governments. Input data to the models were prepared from the data used for extraction of unit information. Then, the models and process developed were programed to automatically analyze the waste treatment capability of the metropolitan municipalities and their local governments, named as 'data informatization platform', which built based on QGIS. In addition, a study on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on waste transport time-distance to waste treatment facilitates was performed using ArcGIS for unification with 'data informatization platform'. Ⅲ. Results and Discussions Waste treatment capabilities of 226 local governments was compared using the results analyzed by ‘Data informatization platform’ (refer to Appendix I, II, III, IV). As the results, the capacity of the public landfills managed by the local governments was sufficient, but the capacity of the incinerators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overall.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had incinerators, which are old and thus need new construction or replacement. The remaining capacity of industrial waste landfills nationwide is about 5 years, which means that EIA projects for new construction of public incinerators as well as private landfills will increase in near future. The other results combined with spacial information on waste transport time-distance to waste treatment facilitates showed potential site regions that is necessary for balancing waste treatment facilities among the local governments. We designed this study, planners of private or public waste treatment facilities, waste treatment facility approval agencies, consulting organizations,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ors, etc. considered the regional balance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the waste treatment facility planning stage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order to support feasibility analysis, a basic study was conducted for the integration of the 'data informatization platform for waste treatment facility adequacy evaluation' and 'waste treatment facility location-based transport time-distance information using spatial information (ArcGI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velop an analysis technique that can compare the waste treatment capability of 226 local governments and to readily identify which region needs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terms of regional balance of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using the data informatization platfor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ould make it possible for EIA stakeholders such as proponents, government officials, and so on to intuitively make a balanced planning of site regions for new construction of waste treatment plants. Ⅳ. Policy Suggestions 1) Improvement of regulation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EA) is performed only for public waste treatment facilities constituting the site selection committee. In contrary, private waste treatment plant projects are subjected to onl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or small-scal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EIA). Therefore, private waste treatment plant projects are focused on assessing short-term environmental impacts rather than strategic assessment such as considering the regional balance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among the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regulations on the prepar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o enable strategic assessment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the stage of EIA and SEIA. 2) Measur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national statistical data The accuracy and effectiveness of the decision-making model and judgment process on the adequacy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constructed through this study are dependent on the accuracy of the source data, National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Status. A considerable number of N/A values can be confirmed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ata information platform presented in the appendix of this research report. It was confirmed that this was caused by omission of some data in the source data, or an error in data entry. Nevertheless, the decision-making model and decision-making process were built using this data because the above-mentioned issues were recognized as improvements rather than problem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data information platform,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ause of omission or error in data and improve it so that it can be supplemented.

      • 나노폐기물의 안전처리를 위한 관리전략 수립 연구

        조지혜 ( Ji Hye Jo Et Al ),오세천,이소라,이정은 한국환경연구원 2016 수시연구보고서 Vol.2016 No.-

        나노기술의 발전으로 의료기기, 전기·전자제품, 세라믹 및 촉매, 화장품, 배터리 등 다양한 산업, 의학 및 환경 분야에서 나노물질(ENMs, Engineered Nanomaterials)1)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OECD 및 유럽위원회에 따르면, 2009년 2천억 유로에서 2015년 2조 유로 수준으로 나노제품 시장이 성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하지만 이에 상응하여 나노물질이 인체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잠재 위험성에 대한 논란 또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OECD(2015)에서는 일부 나노물질이 환경에 노출될 경우 항박테리아성으로 인해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폐암 및 신경독성 등을 유발할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으며 실제 국내외적으로 나노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다양한 질환들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3) 이러한 상당량의 나노물질은 제조사업장이나 실험실에서 폐기되거나 일반 소비자들이 나노제품을 사용한 후 결국 나노물질이 함유된 폐기물, 즉 나노폐기물(WCNMs, WasteContaining Nanomaterials)의 형태로 배출되고 있으나, 현재 별도의 관리 없이 기존 일반폐기물과 함께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간 제품 생산 및 사용과정에서 나노물질이 지니는 위해성 평가 및 환경규제방안이 검토된 바 있으나, 나노물질이 포함된 제품의 폐기 이후 단계의 흐름에 대한 국내 정책 연구는거의 수행된 바 없으며 관리방안 또한 부재한 실정이다. 2015년 OECD 자원생산성 및 폐기물작업반 회의(WPRPW, Working Party on Resource Productivity and Waste)에서는 주요 폐기물 처리시설을 대상으로 나노폐기물의 거동에 관한 내용을 주요 이슈로 다룬 바 있다. 이들 보고에 따르면, 나노폐기물은 주로소각시설 또는 하폐수 처리시설로 집결되나 기존 설비는 나노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없어 소각재, 슬러지, 침전물 등의 2차 나노폐기물로 배출되어 이들이 최종 매립될 경우 환경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발생시킬 수 있음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심층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한국은 미국, 독일 다음으로 세계 3위의 나노소비재 생산국으로서 135종의 나노소비재가 판매되어 폐기되고 있는 만큼 나노폐기물로 인한 환경노출이 상당히 우려된다 할 수있다. 또한 『제2차 범부처 나노안전관리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본격적인 제도화가 논의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폐기 이후 단계``에 대한 정책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나노폐기물 관리가 국제사회의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국내에서도 나노폐기물 안전관리에 대한 제도적인 검토 및 정책 수립 필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조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나노폐기물의 주요 배출원 및 노출경로를 조사하고, 특히 주요 폐기물 처리시설 중 소각시설에서의 처리실태 및 나노물질 검출량 분석 등을 바탕으로 향후 나노폐기물 안전처리를 위한 연구 추진과제 및 관리전략을 마련하였다. 국내 유통량 및 선행연구 적용사례, 해당 물질의 유해 특성에 기반하여 4가지 나노물질(n-TiO2, n-ZnO, n-Ag, CNT)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나노물질을 대상으로 소각시설로의 유입 및 배출 시나리오(I, II, III)를 통해 물질흐름을 예측하였다. 이 중 국내 폐기물 처리비율을 반영한 시나리오 III에 따르면, n-TiO2의 경우 연간 약 48톤이, n-ZnO는 178톤이 소각시설로 유입된 후 대부분 매립되며(65%), n-Ag는 상대적으로 소량 생산되어 7톤 정도 소각시설로 유입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CNT는 1톤 정도 소각되나 대부분 연소되어 제거될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CNT를 제외한 나머지 나노물질은 소각과정에서 제거되지않아 대부분 매립지로 이동할 것이며 대기로 배출되는 양은 0.04% 이내의 소량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생활 및 사업장폐기물 소각재를 대상으로 나노물질 검출량을 분석4)하고 소각시설집진장치별 특성을 고려하여 나노폐기물 적정 처리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SEM-EDS를 통해 소각시설의 비산재 및 바닥재 내 Ti, Zn, Si 등의 원소가 분석되었으며, ICP-OES를 통해 SiO2 > ZnO > TiO2 순으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나 Ag의 경우 4~18mg/kg으로 매우 미량이거나 검출되지 않았다.5) 폐기물 소각시설의 경우 주요 집진장치의 특징과 처리효율 등을 비교하였을 때 나노입자제거를 위한 입자상 물질 제거 기술로는 여과 집진기와 전기 집진기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해당 집진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대형 폐기물 소각시설의 경우 원심력 및 세정집진기를 사용하는 중소형 소각로 대비 집진효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의 흐름 파악 및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나노폐기물 안전처리를 위한 추진과제 및 관리전략을 도출하였다. 우선, 추진과제로는 총 3개 중점 분야별 11개 세부과제 - ①폐기물 처리단계별 나노물질 모니터링: ``나노폐기물 배출원 및 유통량 조사``, ``제조사업장 및 폐기물 처리공정에서의 나노물질 흐름분석(MFA)``, ``나노폐기물의 환경모니터링 기법 개발 및 조사``, ``폐기물 처리공정에서의 나노물질 처리효율 조사``, ② 나노폐기물 기초기술개발: ``폐기물 내 나노물질별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기초 특성 규명)``, ``폐기물 시료 내 나노물질 분석 기법 확립``, ``나노폐기물 처리를 위한 최적가용기술(BAT) 개발``, ``폐기물 내 나노물질 회수 및 재활용 기술 개발``, ③ 나노폐기물 위해성 평가: ``나노폐기물의 노출평가 기법개발``, ``나노폐기물의 독성평가 기법 개발``, ``나노폐기물의 환경 및 인체위해성 평가 기법개발`` - 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현 상황에서의 나노폐기물 관리전략으로는 사전예방원칙에 따라 나노물질/나노제품제조 사업장(다량 단종 배출원) 내 나노폐기물의 배출 정보 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발생량이 많거나 유해한 속성을 지녔다고 알려진 나노물질에 초점을 맞춰 우선순위가 높은 나노폐기물에 대해서는 발생량 및 나노물질의 종류, 함량, 용도, 처리(폐기) 방법 등 정보를 사전에 등록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폐기물 처리공정에서의 집중 관리 대상 폐기물(잔여물)의 안전처리가 요구된다. 소각 및 하폐수 처리를 통해 상당량의 나노물질이 비산재, 바닥재, 슬러지 등으로 이동하는것으로 조사되므로 이들 잔재물에 남은 나노물질로 인한 2차 오염 또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가령, 하수슬러지를 재활용하는 경우 이에 포함된 나노물질이 토양에서 변형되거나 식물 및 박테리아와 상호 작용하는 등 위험가능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나노물질이 집중적으로 비산될 가능성이 높은 폐기물 처리시설의 경우 작업장 근로자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가이드라인 마련 및 보건 관리 기술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나노폐기물 관련 OECD 및 부처 간 협업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나노폐기물 위해성 평가기법 개발 및 유해성 검증의 경우 국내에서만 국한하지 않고 국제 협업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검토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원활한 정보 교류를 위해 부처 간 협업체계를 강화해야 하며, 폐기물 부문, 화학물질 부문과 수처리 부문(슬러지류의 경우) 간 통합적 협력 및 정책 개발을 통해 나노폐기물을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nanotechnology, the use of nanomaterials has increased sharply in various industrial, medical and environmental sectors. A considerable amount of nanomaterials have been discharged in the form of nanowastes in manufacturing plants or laboratories, or after being used by consumers. Concerns over the safety risks of these nanomaterials or nanoproducts to human health have also been continuously raised. In Korea, the world``s third largest producer of nano-goods, there are little data about how nanowastes are exposed to the environment and discharged. In case nanowastes are recycled, nanoparticles containing dust are discharged in the crushing process and released, having negative effects on workers`` health and the environment. In the incineration process, materials coated onto nanoproducts are converted to toxic substances such as dioxin and are likely to b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In addition, sludges and ashes generated during wastewater treatment and incineration, respectively, which contain large amounts of nanomaterials end up in landfills and are discharged back into the environment in the form of leachate as secondary nanowast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behavior of nanomaterials based on the mass flow analysis (MFA) applied from the major sources of nanowastes to the final landfill by way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By analyzing the availabl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and official data, we derived implications and analyzed the management system and issues by estimating the flows of well-known nanomaterials (n-TiO2, n-ZnO, n-Ag, CNT) with focus on waste treatment facilities and especially on incineration process (scenario I~III). According to scenario III which reflects the domestic waste treatment rates, about 48 tons of n-TiO2 and 178 tons of n-ZnO would be landfilled per year after incineration. In case of n-Ag, a relatively small amount is produced, among which 7 tons would be processed in incinerators. While around 1 ton of carbon nanotubes are incinerated, around 99% are estimated to be removed after combustion. In conclusion, other nanomaterials except CNT would not be removed in the incineration process and end up in landfill sites, leading to predictions that a small amount of nanomaterials or less than 0.04% would be emitted into the atmospher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research roadmaps (consisted of 3 focus areas and 11 initiatives)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safe disposal of nanowastes that are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monitoring of nanomaterials in each waste treatment step, development of basic nanowaste technologies, and risk assessment of nanowastes.

      • 폐기물처리방법별 환경효율성(Eco-efficiency) 평가 연구

        이소라 ( Sora Yi Et Al.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본연구보고서 Vol.2018 No.-

        In conjunction with the "Basic Law on Resource Circulation" in 2018, Korea established the Basic Plan for National Resource Recirculation (2018-2027), which contains the nation’s mid-to-long term policy directions and detailed strategies to transform into a resource circulating society. The new directive places greater importance in changing Korea’s recycling system from simple recycling to high value-adding material recycling, with the national goal to realize a final disposal rate of 3% by 2027 and zero waste-to-landfill.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nducts the much-needed review o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Korea’s waste treatment facilities by analyzing their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s. Based on this review, the overall environmental efficiency of each waste treatment method is assessed to propose policies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facilities.The waste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mbustible waste (disposed in volume-rate waste bags) and organic waste (food waste). Under Korea’s regulations, among municipal/household wastes, food waste is not sent directly to landfills. Instead, a separate volume-rate system is in place for food waste so that most of the food waste is recycled, with only 1.0% and 2.2% sent to landfills or incinerated, respectively. Thus, the different treatment methods for combustible waste and food waste were examined to find the most efficient treatment methods for the respective wastes. Economic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the treatment facility’s revenue per treating one ton of waste minus the operational costs as the indicator,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was determined by conducting a life-cycle assessment (LCA) for calculating the weighted environmental impact per one ton of waste. In assessing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avoidance effects from utilizing recovered incineration heat and selling the biogas produced from organic waste were excluded to prevent an overlap with the economic performance.The facilities subject to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ere chosen based on their location, size, treatment method, etc. for each waste disposal method. In particular, to ensure a good mix of the facilities that received high scores and those that did not in the “2016 Evaluation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hereafter 2016 Evaluation),” the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for waste disposed in volume-rate waste bags: incineration facilities,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landfills; for food waste: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79 facilities were initially chosen, from which 42 facilitie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for their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based on the data submitted by the facilities and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results.The chosen facilitie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sizes, into small facilities that treat less than 100 tons per day, medium facilities that treat more than 100 tons but less than 300 tons per day, and large facilities that treat more than 300 tons per day. Different facility types were incorporated into the analysis, such as facilities for reducing food waste, converting food waste into animal feed and compost were included under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and landfills for incombustible waste and general waste under landfills.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data from each treatment facility: the amounts of waste sent to the facility, energy use, incineration heat recovery, captured landfill gas, biogas production, and compost and feed production, as well as operational costs and operational revenue, etc.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by waste treatment method showed that the weighted environmental impact of landfills was the smallest at 4.42E-02 points, followed by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8.87E-02 points),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2.25E-01 points), incineration facilities (3.50E-01 points), and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1.39 points). On the other hand, the economic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each facility’s revenue minus operational costs revealed that the economic performance of landfills performed best at 731 won/ton, followed by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33,419 won/ton),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40,172 won/ton), incineration facilities (-58,646 won/ton), and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60,149 won/ton).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based on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alyses showed that landfills were most environmentally efficient at 10,837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the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4,760 thousand won/point),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1,540 thousand won/point), incineration facilities (760 thousand won/point), and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184 thousand won/point).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by facility size, medium-sized facilitie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environment efficiency at 2,108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small facilities (834 thousand won/point), and large facilities (280 thousand won/point). However, in the case of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large facilities was the best at 5,306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small facilities (-212 thousand won/point) and medium facilities (-236 thousand won/point). Also, in the case of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large facilities were most environmentally efficient at 10,617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medium facilities (6,236 thousand won/point) and small facilities (2,859 thousand won/point).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turned out to be best for medium-sized facilities at 1,959 thousand won/point, followed by small facilities (1,308 thousand won/point). In the case of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large facilities were not included in the evaluatio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landfills for incombustible waste was higher at 18,957 thousand won/point than that of landfills for general waste, which came out to be 9,458 thousand won/point.Based on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and a waste disposal scenario based on future projectio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mix for 2027 was estimated and compared with the current environmental efficiency mix. In the case of waste disposed in volume-rate waste bags, the landfill disposal rate was 31.1%, incineration rate was 53.2%, and combustible waste-to-fuel conversion was 15.6% in 2016, but in 2027, which is the target year of the first Basic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it was projected that the rates would change to 2.5%, 33.5%, and 23.5%, respectively. In the case of food waste, 10% was converted to biogas and 90% was recycled into compost or feed in 2016, but in 2027, the rates were projected to be 69.7% and 30.3% in 2027, respectively. Overall,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mix for all treatment facilities was calculated to be 5,173 thousand won/point in 2016 and 4,118 thousand won/point in 2027. When it was assumed that all landfills were landfills for general waste in 2016 and will become landfills for incombustible waste in 2027,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mix came out to be 4,744 thousand won/point in 2016 and 4,321 thousand won/point in 2027.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2016 Evaluation.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incineration facilities that scored high environmental efficiencies had also received good scores in the 2016 Evaluation, although with some differences that seem to be due to the inclusion of the incineration heat recovery rate in the 2016 Evaluation. Incineration heat recovery rate was excluded from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of the present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and the life-cycle assessment of the fuel used at incineration facilities was also reflected only i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n the case of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also, the results of 2016 Evaluation and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mostly agreed with each other, with slight differences due to the insignificant effect of SRF production rate on economic performance. In the case of organic waste to biogas facilities, the 2016 Evaluation and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did not match,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exclusion of indicators such as odor management, the rate of operation, and facility management, all of which are included in the 2016 Evaluation but not i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For landfills, the 2016 Evaluation and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showed similar tendencies, and any differences seem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technical evaluation index of the 2016 Evaluation, which includes compaction efficiency and leachate reduction rate, etc., and the index used for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used to develop strategies on how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an be utilized through policy implementation.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for each waste treatment method were analyzed and listed in Table 4 below, which can be used as an index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of the treatment facilities.It may not be appropriate to perform simple comparisons between the environmental efficiencies of individual facilities since their revenues and operational costs, which are used as economic indicators,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location, condition, and operation standards of individual facilities. Therefore, the environmental efficiencies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need to be compared among the same facilities or analyzed specifically for individual facilities when identifying and suggesting areas for improvement. As such, three comparison coefficients were proposed for understanding how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each waste treatment facility can be improved in comparison to others, namely, 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 and capacity design comparison coefficient.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can be used to compare the before and after of a specific facility when efforts are made to reduce its economic costs or environmental impacts. The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identifying whether a particular facility has low environmental efficiency among comparable facilities or needs improvement when compared to the best performing facility of its type, or to understand how effective the efforts toward improvement will be and how much the facility can be improved in terms of its conditions. The capacity design comparison coefficient, on the other hand, provides a guideline for environmental efficienc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acility, thus preventing excessive operational costs projections or potentially adverse environmental impacts when constructing new waste treatment facilities.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and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 were used to study how an improvement in waste-to-resource capacities at facilities can improve their environmental efficiencies. Specifically, case studies (types A, B, C, D) were performed by assuming an improvement in the waste-to-resources capacities of existing incineration and biogasification facilities with low environmental efficiencies and comparing them against other facilities with different levels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s. Type A compared between facilities with similar operational costs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when the energy recovery (economic value) is improved in the target facility. Type B looked into how the improvement in the target facility’s energy recovery (economic value) would compare to a facility with higher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Type C, to a facility with higher operational costs and similar environmental performance. Lastly, Type D compared the target facility against a facility with higher operating costs and higher environmental performance.In the case of incineration facilities, Hanam incineration facility was chosen for Type A and B case studies to investigate how an improvement in the facility’s thermal energy recovery (economic value) level would make it comparable to Asan and Gumi incineration facility, respectively. For Type C and D, Sejong incineration facility was selected and compared against Asan and Gumi incineration facilitie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biogasification facilities, only Types B and D were studied due to the limited availability in facility types. For Type B, Gimhae biogasification facility, assuming an improvement in its waste-to-resource production, was compared to Namyangju biogasification facility, and for Type D, Asan biogasification facility was compared to Namyangju biogasification facility.When a 50% improvement was projected for the incineration heat recovery rate of Hanam incineration facility 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came out to be 1.04, and the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 to be 0.56 for Type A and 0.147 for Type B. A 50% improvement in the incinerator heat recovery rate of Sejong incineration facility rendered the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to become 1.03, and the benchmark comparison to become 0.98 for Type C and 0.26 for Type D. Meanwhile, a 35% enhancement in the biogas production of Namyangju biogasification facility resulted in an improvement comparison coefficient of 1.02, and the benchmark comparison coefficients of 0.22 for Type B and 0.40 for Type D.The capacity design comparis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by computing the mean environmental efficiency by facility size, then comparing it with other facilities of the size that showed the highest environmental efficiency. The capacity design comparison coefficient of small incineration facilities was 0.40, which is better than that of large incineration facilities; and in the case of biogasification facilities, medium-sized facilities had a coefficient of 0.59, which is superior to small biogasification facilities.We propose four ways to translate the present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nto policy implementation: 1) using the evaluation to assess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and potential improvements in old facilities, 2) utilizing the evaluation methods in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and preliminary performance studies, 3) using the evaluation to calculate the social costs of resident subsidy projects and waste disposal charges, and 4) using the evaluation as a guideline for implementing optimization strategies and government-subsidized projects.First,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an be applied to the annual evaluation o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for assessing the actual conditions of waste treatment operations and improving their energy utilization and recovery and operational efficiency. The current annual evaluation includes the level of efforts made toward improvements such as the efforts to enhance the facility’s economic performance and the efforts of local governments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However, the annual evaluation has yet to incorporate the level of initiatives for improving environmental efficiency. Thus, it will be helpful to apply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comparison coefficient presented in Chapter 6.2 to assess the level of efforts to improve the facilities’ operations. Also, based on the survey of treatment facilities nearing the end of their lifecycles,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comparison coefficient can be used to identify whether the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or closed and to decide whether new facilities should be constructed.Korea’s Act on the Promo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y Installation and Support to the Surrounding Areas requires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to be conducted and reviewed in terms of policy plans and basic development plans before making the decisions on the installation cost and site selection when installing and operating waste treatment facilities. Currently, the items reviewed under the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o not include an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by facility size, treatment method, or the properties of the waste that is being treated, nor an economic performance analysis on the profitability of the facilities. Therefore, applying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onducted in this study will allow a better assessment of the treatment facilities’ suitability in terms of type, size, and location. Also, since the environmental costs included in the preliminary performance studies on environmental facilities are often estimated based on related literature or expert surveys, which can be open to controversy, the methods presented in this study for measuring environmental efficiency using actual data from treatment facilities can be a helpful index for calculating their economic and environmental effects.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an also be used to estimate the social costs of resident subsidy projects and waste disposal charges.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of landfills were better than other types of facilities, possibly because the social costs related to operating landfills are much lower. A pilot project for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landfills will help to identify the social costs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other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especially in terms of the land acquisition costs for landfills, which are difficult to measure, by considering both the direct costs and indirect effects (drop in land prices, etc.) in the measurement of economic performance. The comparison of the social costs of landfills to that of incineration facilities showed that the economic value of general landfills was estimated at -368,703 won/ton. Since the average cost of landfill disposal is 14,956 won/t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landfill disposal charges be increased by 340,000 won/ton.Government-subsidized waste treatment facility projects aim to promote systematic government support and investment in waste treatment facilities by providing clear subsidy criteria and priorities for regional waste treatment facility installation. At present, the unit cost guidelines for installing government-subsidized treatment facilities is set according to facility type and size, where the lower the facility capacity, the higher the set unit cost subsidized by the government based on the unit cost ratio.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of small facilities is lower than that of larger facilities, and since small facilities receive more government subsidies due to the unit cost ratio,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guidelines to provide more efficient government support based on optimal facility sizes. A revision of government subsidy guidelines will also provide a useful basis for promoting investment in regional and direct-dispos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line with the national policy direction. Furthermore, it may be possible to consider incorporating 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n reviewing the applications for facility operation budgets and government subsidies based on the Guidelines on the Budget Support and Integrated Administrative Process for Waste Treatment Facilities (Jan 2018), Waste Treatment Facility Optimization Strategy (2011), and the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Business Support Act.We anticipate the effects of utilizing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as follows. First, by providing a basis for national policies for each waste treatment method through an integrated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of waste recirculatio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ill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trategies formulated under goals of the first Basic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2018-2027). Secondly, it will become possible to expand the paradigm for assess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from merely looking at their potential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to a more robust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Third, by establishing a model for evaluating waste treatment facilities and introducing a minimum standard for environmental-friendliness,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ill help improve the public image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Fourth,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will make it possible to develop strategies for managing environmental impact and pollution levels efficiently, thereby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ducing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ies that consider economic efficiency through eco-innovation.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n this study presents a meaningful methodology for improving and optimizing treatment facilities by providing a more accurate comparison of different treatment facilities and methods. In particular, the methods used i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identify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environmental efficiency among treatment cost, revenue, and environmental impact, thus allowing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strategies for improving and optimizing individual facilities. The introduction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to government-subsidized projec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etc., may lead to pilot project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data on each facility as well as expanding the utilization of the evaluation itself.When installing a preventive facility, such as a malodor prevention facility, at a waste treatment facility to control pollutants that may have negative aesthetic and health-related environmental impacts, the improvements made in this area are not included as an indicator i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As such, the facility, despite its advances, may receive a lower environmental efficiency score due to the increase in the facility’s operational costs from installing new equipment. Thus, further research and pilot projects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measurement items and methodology used in the present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to reflec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ie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negative (-) indices to positive values, the numerical shifts and the avoidance effects were excluded from the economic performance index and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alysis, respectively. To strengthen the robustness of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evaluation conducted in this study, we suggest more case studies to be undertaken, especially on waste treatment facilities that have negative economic values and environmental impacts, and to discuss them at the global level. 2018년 「자원순환기본법」을 시행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자원순환사회로 전환하기 위해 국가 중장기 정책방향과 세부전략을 담은 국가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을 수립하였다. 그동안 주로 행해 왔던 단순 재활용에서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물질 재활용으로 변화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을 통해 2027년 최종처분율 3%와 더 나아가 직매립의 제로화 달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에 폐기물처리시설의 환경효율적인 측면을 검토할 필요성이 발생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제성 및 환경성을 분석하여 이를 통합한 폐기물처리방법별 환경효율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생활폐기물 공공 처리시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폐기물의 유형을 크게 가연성폐기물(종량제봉투 폐기물)과 유기성폐기물(음식물류폐기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국내 제도상 생활폐기물 중 음식물류폐기물은 직매립이 금지되고 별도 종량제로 운영되어 처리물량 대부분이 재활용되고 있으며, 매립되거나 소각되는 물량은 각각 1.0%, 2.2% 수준이다. 이에 가연성폐기물의 처리방법간 비교와 음식물류폐기물의 처리방법 간 비교를 통해 효율적인 처리방안을 검토하였다.환경효율성 평가에서는 시설의 수익에서 운영비를 제외한 톤당 비용을 경제성 지표로 설정하였으며, 환경성 지표의 경우 시설에 대해 전과정평가(LCA)를 수행하여 톤당 발생하는 가중화 환경영향으로 설정하였다. 환경효율성을 평가할 때 소각여열 이용, 바이오가스판매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회피효과가 경제성 평가에서 중복 반영되는 것을 막기 위해 환경성에서는 이를 제외하였다.평가대상인 시설은 폐기물처리방법별로 지역, 규모, 처리유형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특히 「2016년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운영실태평가」에서 우수시설로 평가된 시설과 그렇지 않은 시설이 포함되도록 처리방법별로 5개 그룹(종량제봉투 폐기물: 소각시설,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 매립시설; 음식물류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의 79개 시설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각 시설에서 제출한 데이터와 평가결과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42개 시설의 환경성 및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시설 규모는 100톤/일 미만의 소형시설, 100톤/일 이상~300톤/일 미만의 중형시설, 300톤/일 이상의 대형시설로 구분하였다. 특히 세부시설 유형은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의 경우 자원화 방식별로 감량화, 사료화, 퇴비화 시설로 구분하여 선정하였으며, 매립시설의 경우 불연물 매립시설과 일반 매립시설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환경성·경제성 분석을 위해서는 시설별로 폐기물반입량, 에너지 사용량, 소각여열 이용량, 매립가스 포집량, 바이오가스 생산량, 퇴비 및 사료 생산량과 운영비용, 시설수익 등의 자료를 이용하였다.폐기물처리방법별 환경성 분석결과, 매립시설의 가중화 환경영향이 4.42E-02포인트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8.87E-02포인트),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2.25E-01포인트), 소각시설(3.50E-01포인트),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1.39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시설 수익에서 운영비용을 제외한 비용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매립시설의 경제성이 731원/톤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33,419원/톤),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40,172원/톤), 소각시설(-58,646원/톤),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60,149원/톤) 순으로 나타났다.환경성·경제성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환경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매립시설의 환경효율성이 10,837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4,760천 원/포인트),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1,540천 원/포인트), 소각시설(760천원/포인트),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184천 원/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시설 규모에 따른 환경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소각시설의 경우 중형시설의 환경효율성이 2,108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소형시설(834천 원/포인트), 대형시설(280천 원/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의 경우 대형시설의 환경효율성이 5,306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소형시설(-212천 원/포인트), 중형시설(-236천 원/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의 경우 대형시설의 환경효율성이 10,617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중형시설(6,236천 원/포인트), 소형시설(2,859천 원/포인트) 순으로 나타났다. 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시설의 경우 중형시설의 환경효율성이 1,959천 원/포인트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소형시설(1,308천 원/포인트)이 뒤를 이었고, 대형시설은 평가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매립시설의 경우 반입 폐기물의 성상에 따라 불연물 매립과 일반 매립으로 구분하여 환경효율성을 평가하였으며, 불연물 매립의 환경효율성이 18,957천 원/포인트로 일반 매립의 환경효율성 9,458천 원/포인트보다 높게 나타났다.환경효율성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폐기물 처리 시나리오에 따른 2027년의 환경효율성믹스를 산정하여 현재의 환경효율성 믹스와 비교 분석하였다. 종량제봉투 폐기물의 경우2016년 에는 매립 31.1%, 소각 53.2%, 가연성연료화 15.6% 비율로 처리1)되던 것이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 목표연도인 2027년에는 매립 2.5%, 소각 33.5%, 가연성연료화23.5% 비율로 처리2)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음식물류폐기물의 경우 2016년에는 바이오가스화 10%, 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사료화, 퇴비화 등) 90%였던 처리 비율이 2027년에는 바이오가스화 69.7%, 음식물자원화 30.3%가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산정결과, 매립시설 전체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환경효율성 믹스는 2016년 5,173천 원/포인트, 2027년 4,118천 원/포인트로 나타났다. 매립시설을 2016년에는 일반 매립, 2027년에는 불연물 매립으로 구분하여 가정하였을 때 환경효율성 믹스는 2016년 4,744천 원/포인트, 2027년 4,321천 원/포인트로 나타났다.또한 본 연구에서는 환경효율성 평가결과와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운영 실태평가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각시설의 경우 환경효율성 평가가 좋은 시설이 실태평가에서도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실태평가에서는 소각열 회수율이 반영되었으나 환경효율성 평가의 환경성 분석에서는 제외되었고, 시설의 연료 사용에 대한 전과 정평가가 환경효율성에만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에서도 실태평가결과와 환경효율성 평가결과가 대부분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SRF 생산율이 환경효율성 평가의 경제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의 경우, 실태평가와 환경효율성 평가결과가 다소 일치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실태평가에 반영된 악취관리, 가동률 및 시설관리 등의 지표가 환경효율성 평가에는 반영되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매립시설의 경우, 실태평가의 환경성 및 경제성 결과와 환경효율성 평가결과가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실태평가의 기술성 평가지표가 환경효율성 평가 지표와는 달리 다짐효율, 침출수 감량률 등을 반영하기 때문으로 보인다.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환경효율성 평가를 정책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폐기물처리방법별로 환경효율성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여 <표 4>에 나타냈으며, 이를 시설의 환경적·경제적 효율 개선을 위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또한 폐기물처리시설의 입지조건 또는 운영기준에 따라 경제적 지표에 활용되는 수익과 운영비용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폐기물처리시설 간 환경효율성을 단순 비교분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환경효율성 평가는 동일 시설 간 비교나 특정시설의 개선효과를 파악 및 권고하는 데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별 환경효율성 향상을 위해 개선향상 비교계수, 벤치마크 비교계수, 용량설계기준 비교계수의 3가지 비교계수를 제시하였다.개선향상 비교계수는 특정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하여 해당 시설의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또는 환경영향 효과 절감 노력 등의 시설개선 전후를 비교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벤치마킹비교계수는 비교 대상인 여러 시설 중 특정 시설의 환경효율성 결과가 나쁠 경우, 또는 최우수 시설과 비교를 통해 특정 시설의 개선이 필요할 경우에 개선을 통해 어느 정도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 비교하고, 해당 시설의 환경을 어느 수준까지 개선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용량 설계기준 비교계수의 경우, 신규 폐기물처리시설 건설 시 시설용량별 환경효율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시설의 과도한 운영비용 산정 이나 환경영향 발생의 예방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환경효율성이 높은 시설과 비교하여 환경효율성이 낮은 시설이 폐기물 자원화 생산품판매량의 향상을 통해서 환경효율성을 개선한다고 가정할 때, 개선향상 비교계수와 벤치마크 비교계수를 사례 연구로 산정하였다.소각시설의 비교분석은 4가지 유형(A, B, C, D)으로 나누고, 각 유형에 맞는 시설을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A유형은 시설운영비 및 환경성 평가결과가 비슷한 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회수를 개선(경제적 가치)하는 사례(아산 소각시설 대비 하남 소각시설의 수준으로 열에너지 회수 수준 개선)이며, B유형은 시설운영비는 유사하고 환경성 평가결과는 우수한 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회수를 개선(경제적 가치)하는 사례(구미 소각시설 대비 하남 소각시설의 수준으로 열에너지 회수 수준 개선)이다. C유형은 시설운영비가 높은 시설에 대해 환경성 평가결과가 비슷한 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회수를 개선(경제적 가치)하는 사례(아산소각시설 대비 세종 소각시설의 수준으로 열에너지 회수 수준 개선)이다. D유형은 시설운영비가 높은 시설에 대해 환경성 평가결과가 우수한 시설과 비교하여 에너지 회수를 개선(경제적 가치)하는 사례(구미 소각시설 대비 세종 소각시설의 수준으로 열에너지 회수 수준개선)이다.바이오가스화시설은 시설 유형 선정에 한계가 있어 B와 D 유형 2가지에 맞는 시설만 선정하였다. B유형은 시설운영비는 유사하고 환경성 평가결과는 우수한 시설과 비교하여 폐기물 자원화 생산을 개선하는 사례(남양주 시설 대비 김해 시설의 수준으로 바이오가스생산 수준 개선)이며, D유형은 시설운영비가 높은 시설에 대해 폐기물 자원화 생산을 개선하는 사례(남양주 시설 대비 아산 시설의 수준으로 운영비 수준 개선)이다.하남 소각시설의 소각열 회수량을 50% 개선했을 때 개선향상 비교계수는 1.04이며, A유형의 경우 벤치마크 비교계수는 0.56, B유형의 경우에는 0.147로 나타났다. 세종 소각시설의 소각열 회수량을 50% 개선했을 때 개선향상 비교계수는 1.03이며, C유형의 벤치마크계수는 0.98, D유형의 경우에는 0.26으로 나타났다. 남양주 바이오가스화시설의 바이오가스생산량을 35% 개선했을 때 개선향상 비교계수는 1.02이며, B유형의 경우 벤치마크 비교계수는 0.22, D유형의 경우에는 0.40으로 나타났다.용량 설계기준 비교계수를 산정하기 위해서 처리시설별 규모에 따른 환경효율성 평균을 계산하여 환경효율성이 가장 좋은 시설규모를 기준으로 다른 시설과 비교하였다. 평가결과 소형 소각시설의 용량 설계기준 비교계수는 0.40으로 대형 소각시설에 비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이오가스화시설의 경우 중형시설의 용량 설계기준 비교계수가 0.59로 소형바이오가스화시설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환경효율성 평가의 정책적 활용방안으로는 1)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운영실태평가 및 노후시설 개선 시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방안, 2) 전략환경영향평가 및 예비타당성 조사, 3) 주민지원사업과 처분부담금의 사회적 비용 산정 시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방안, 4) 최적화 전략추진 및 국고보조사업 추진 시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환경효율성 평가를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운영 실태평가에 적용하여 매년 운영 실태를 평가하고 에너지 활용 및 회수,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현재 실태평가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경제성 개선 노력도와 지자체의 폐기물 감량률 등 개선 노력도를 평가하고 있으나, 환경성과 경제성을 모두 고려한 개선 노력도는 평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폐기물처리시설의 운영 개선 노력을 평가하기 위해 제6장 제2절에서 제시한 환경효율성 비교계수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처리시설의 노후도 조사결과에 따라 환경효율성 비교계수를 적용하여 노후시설의 개선 및 폐쇄 여부, 신규시설 설치 여부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할 시 설치비용과 입지선정계획 등을 결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환경부에서는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시행하는 동시에 정책계획과 개발기본계획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있다. 현재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조사항목에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처리규모 및 처리방법, 반입 폐기물의 성상과 관련한 환경성 평가와 처리비용 및 수익에 관한 경제성 평가가 수반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환경효율성 평가를 조사항목에 포함하여 처리시설의 종류와 규모, 입지선정 시의 적합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환경시설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시 환경비용은 관련 문헌이나 전문가 조사에 따른 추정비용으로 산출되는 경우가 많아서 논란의 소지가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경효율성 평가방법은 실제 시설에서 측정한 자료를 바탕으로 경제적·환경적 효과를 제시하므로 좋은 활용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또한 주민지원사업과 처분부담금의 사회적 비용 산정 시에도 환경효율성 평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매립시설의 환경성 평가결과와 경제성 평가결과가 다른 종류의 시설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매립시설에 대한 운영부담을 그만큼 적게 주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매립시설의 환경효율성 평가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환경오염 배출 방지를 위한 사회적 비용과 환경영향을 추가로 규명해야 하며, 특히 매립시설을 위한 토지확보 비용의 경우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경제성 평가 시 직접 비용과 간접 영향(지가하락 등)을 고려한 비용을 모두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소각시설과 비교하여 매립시설의 사회적 비용을 예측한 결과, 일반 매립시설의 경제적 가치는-368,703원/톤으로 나타났다. 현재 평가대상 매립시설의 평균 처리비용은 14,956원/톤이므로 톤당 약 34만 원 정도를 추가로 반영하여 매립처분부담금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사업의 목적은 지역별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사업에 대한 지원기준, 우선순위 등을 명확히 하여 체계적인 국고지원 및 시설투자를 유도하는 것 이다다. 현재국고보조를 위한 시설 설치비 표준단가는 시설별·용량별 기준으로 제시되는데, 시설 용량이 적을수록 사업비 표준단가가 높게 책정되며 이 표준단가에 따라 비율대로 국고지원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 따르면 소형시설의 경우 다른 규모의 시설보다 환경효율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국고보조사업의 지원 비율에 따라 더 높은 국고보조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적 시설용량에 따라 국비지원을 차등 적용하는 것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며, 이는 국가정책방향에 부합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광역화·직접화 처리시설에 대한 투자추진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금 예산지원 및 통합업무처리지침(2018.1)」, 「폐기물처리시설 최적화 전략(2011)」,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등에 의해 시설의 예산을 신청하거나 국비를 지원하는 경우에도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을 검토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환경효율성 평가 활용에 따라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폐기물의 자원화에 대한 환경·경제적 통합평가를 통해 처리방법별 정책적 추진방향의 근거를 제시하여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 목표에 따른 자원순환 전략 수행에 기여할 수 있다. 두 번째, 단순 오염부하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환경성 평가 개념에서 환경·경제적 효율성 평가로 연결되는 패러다임을 확산할 수 있다. 세 번째,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평가 모델을 구축하여 친환경적인 평가 개념 도입함으로써 폐기물 처리에 대한 국민의 이미지를 제고 할 수 있다. 네 번째, 환경영향 및 부하관리를 효율화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환경오염을 사전에 예방하고 경제효율화를 감안한 기술개발을 유도하여 에코이노베이션과 연계할 수 있다.또한 본 연구의 환경효율성 평가결과는 폐기물처리시설 간, 처리방법 간의 단순 비교보다는 시설 개선 및 효율화를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활용도에 더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환경효율성 산정 방법론의 주요 요소인 시설의 처리비용, 수익, 환경부하 중에서 환경효율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시설별 개선 및 효율화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효율성 평가가 국고보조사업, 환경영향평가 등에 도입된다면 시범사업 실시를 통해 시설별 데이터의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환경효율성의 활용도 또한 높아질 것이다.폐기물처리시설에서는 심미적 또는 건강과 관련하여 환경영향을 미치는 악취와 같은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악취방지시설과 같은 방지시설을 도입하면 악취 개선효과 등은 본 연구의 평가항목이 아니므로 반영되지 않는 반면에, 시설의 운영비가 증가하여 환경효율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연구와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시설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항목 및 방법론을 적용하는 방향으로 개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환경효율성 산정에 있어 음수(-)인 지수를 양수(+)화하는 과정에서 경제성 지표의 수치이동, 환경성 평가에서 회피효과는 제외하였으므로 폐기물처리시설 특성상 경제적 가치와 환경부하가 음수로 발생하는 사례의 연구를 추가로 수행하고 국제적으로 논의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폐기물처리시설의 세부검사방법 마련연구(Ⅰ): 공정별 주요인자 도출 및 물질⋅에너지수지 산정

        이풀잎,권은혜,손준익,강준구,전태완,이동진 유기성자원학회 2023 유기물자원화 Vol.31 No.1

        Despite the continuous installation and regular inspec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complaints about excessive incineration and illegal dumping stench continue to occur at on-site treatment facilities. In addition,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waste treatment facilities currently in operation (6 type) to understand the waste treatment process for each field, to grasp the main operating factors applied to the inspection. In addition, we calculated the material energy ⋅ balance for each main process and confirmed the proper operation of the waste disposal facility. As a result of the site survey, in the case of heat treatment facilities such as incineration, cement kilns, and incineration heat recovery facilities, the main factors are maintenance of the temperature of the incinerator required for incineration and treatment of the generated air pollutants, and in the case of landfill facilities Retaining wall stability, closed landfill leachate and emission control emerged as major factors. In the case of sterilization and crushing facilities,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whether or not sterilization is possible (apobacterium inspection).In the case of food distribution waste treatment facilities, retention time and odor control during fermentation (digestion, decomposed) are major factors. Calculation results of material balance and energy resin for each waste treatment facility In the case of incineration facil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flooring materials generated is about 14 % and the amount of scattering materials is about 3 % of the amount of waste input, and that the facility is being operated properly. In addition, among foodwaste facilities, in the case of an anaerobic digestion facility, the amount of biogas generated relative to the amount of inflow is about 17 %, and the biogas conversion efficiency is about 81 %, in the case of composting facility, about 11 % composting of the inflow waste was produced, and it was comfirmend that all were properly operated. As a result, in order to improve the inspection method for waste treatment facilitie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accumulate quantitative standards for detailed inspection methods, but also to collect operational data for one year at the time of regular inspections of each facility, Grasping the flow and judging whether or not the treatment facility is properly operated. It is then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treatment facility will increase.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적인 설치⋅정기검사에도 불구하고 현장 처리시설에서는 과다소각, 불법투기 악취등에 대한 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현재의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정기 검사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판단되었다. 이에 현재 운영중인 폐기물처리시설(6개분야)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각 분야별 폐기물처리공정을 파악하고 검사에 적용된 주요한 운영인자를 파악하고, 주요공정별 물질⋅에너지수지를 산정하여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 운영 여부를 확인하였다. 주요 운영인자 조사 결과 소각 및 시멘트 소성로, 소각열회수시설 등의 경우소각에 필요한 소각로의 온도 유지 및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처리가 가장 주요한 인자였으며, 매립시설의 경우옹벽의 안정성, 매립 후 발생되는 침출수 및 배출가스 관리가 주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멸균⋅분쇄시설의 경우멸균여부(아포균검사)가 가장 중요한 주요인자 이었으며, 음식물류폐기물처리시설의 경우 발효(소화, 부숙) 시 체류시간 및 악취관리가 주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또한 물질에너지수지 산정 결과 소각시설의 경우 폐기물 투입량대비 바닥재 발생량은 약 14%, 비산재 발생량은 약 3%로 적정 운영되고 있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음식물류폐기물시설 중 혐기성분해시설의 경우 유입량 대비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약 17%, 바이오가스 전환효율은 약 81%로 나타났고, 퇴비화시설의 경우 유입폐기물 대비 약 11%의 퇴비가 생산되어 모두 적정운영 되고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따라 폐기물처리시설 검사방법의 고도화를 이루기 위해 세부검사방법의 정량적 기준 적립 뿐만 아니라 각 시설의정기검사 시 1년간의 운영자료 등을 수집하여 폐기물의 흐름을 파악하고 처리시설의 적정운영 여부를 판단한다면, 처리시설의 운영 및 관리효율이 상승할 것으로 판단된다.

      • 폐기물처리시설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중장기 발전방안

        안준영,이상윤,문난경,주용준,유재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기본연구보고서 Vol.2020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ㅇ 최근 불법 폐기물의 증가와 더불어 방치 폐기물로 인한 환경문제가 불거지면서 전국지자체는 폐기물 불법 처리에 대한 단속을 강화함과 동시에 행정대집행을 통해 불법폐기물을 처리하고 있음. 하지만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폐기물의 불법 처리는 지속되고 있으며 침출수, 비산먼지, 악취, 화재 등 2차적인 환경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어서 전국적으로 폐기물 처리시설의 신설 및 증설에 대한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음 ㅇ 이에 17개 광역지자체에 대한 폐기물 발생 특성 및 처리시설(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생활폐기물 매립시설,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 사업장폐기물 매립시설)의 특성(종류, 용량, 위치 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성 확보를 위한 중장기 연구 로드맵을 도출하고자 함 ㅇ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성 확보를 위해 폐기물처리시설의 신설 및 증설이 불가피할 경우 폐기물처리시설의 입지선정과 주민 수용성 확보가 가장 중요함. 하지만 폐기물처리시설은 입지선정 과정에서 사회적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폐기물처리시설 계획 초기 단계에 지역주민을 설득하는 절차 및 과정에 문제점이 있어서 지역주민과의 갈등이 증폭되기 쉬우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필요함 ㅇ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특성을 분석하여 폐기물 발생과 처리의 형평성 관점에서 사회 수용성 확보에 필요한 중장기 연구 로드맵을 도출하고, 더불어 관련법을 분석하여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계획, 폐기물처리시설의 입지선정, 환경영향평가(환경성 조사), 주민보상 체계 및 범위 등의 개선을 위한 연구 로드맵을 마련하고자 함 Ⅱ. 연구방법 ㅇ 17개 광역지자체에 대한 폐기물 발생 특성 및 처리시설(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생활폐기물 매립시설,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 사업장폐기물 매립시설)의 특성(종류, 용량, 위치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폐기물 재활용 통계담당자 교육자료 등을 분석하였고,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성 확보를 위한 중장기 연구 로드맵 및 사회 수용성 확보에 필요한 중장기 연구 로드맵을 도출함. 「자원순환기본법」, 「폐기물관리법」,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이하 「폐기물시설촉진법」), 「환경영향평가법」 등 관련법을 분석하여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계획, 폐기물처리시설의 입지선정, 환경영향평가, 환경성 조사, 주민보상 체계 및 범위 등의 개선을 위한 연구 로드맵을 마련하고자 함 ㅇ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성 확보 - 폐기물 통계 자료 분석 ㆍ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의 작성 체계, 범위, 내용 등 - 교육 자료 분석 ㆍ ‘2019 폐기물 재활용 통계 담당자 교육자료’ 분석 ㅇ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주민 수용성 확보 - 「자원순환기본법」, 「폐기물관리법」,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환경영향평가법」 검토 및 전문가 자문 ㅇ 폐기물처리시설 입지 및 환경성 검토 강화 - 「자원순환기본법」, 「폐기물관리법」,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환경영향평가법」 검토 및 전문가 자문 ㅇ 결과물 검증 - 전문가 자문을 통해 폐기물 통계 데이터 분석결과 검증 Ⅲ. 연구결과 ㅇ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분석 결과 광역지자체 간 폐기물처리시설의 불균형으로 인해 관내 타 처리시설의 처리 부하가 가중되고, 심한 경우 타 지역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처리 부하 가중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처리시설 간 연계처리 적정성 평가 및 대안 마련 연구 등이 필요함 ㅇ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분석 결과 폐기물처리시설의 입지 지역의 불균형 또한 타 지역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처리 부하 가중의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폐기물처리시설 위치 적정성 평가 및 최적화 연구 등이 필요함 ㅇ 폐기물처리시설 용량의 불균형이 관내 타 처리시설의 처리 부하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타 지역 시설의 처리 부하 가중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폐기물처리시설 연계처리 최적화 방안 마련 연구 등이 필요함 ㅇ 환경영향평가(소규모 환경영향평가 포함) 절차 없이 개별적으로 개발되는 폐기물매립시설이 많은 부문을 차지하고 있어 대기질 및 악취 영향 등으로 지역주민의 정주환경의 질을 크게 훼손할 뿐만 아니라 주민갈등과 민원이 발생하여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므로 폐기물매립시설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대상 범위 확대 방안이 필요함 ㅇ 주민의견 수렴 시 현실성이 부족한 의견이 개진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현재 활동하고 있는 시민단체의 역량을 파악하여 시민단체가 지역문제 전문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진단하고,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가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 ㅇ 현재의 폐기물처리시설 시설 계획은 지자체의 『자원순환시행계획』과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기관이 공고하는 ‘입지선정계획’ 사이에서 계획적 단절이 발생하고 있고, 입지선정 과정에서의 입지선정위원회 및 입지선정을 위한 전문기관 등의 역할과 환경 영향평가에서 입지 적정성을 검토하는 역할 사이에 기능상의 중복과 결과의 상충 등이 발생하는 등 제도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ㅇ 따라서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과 지역 간 형평성 등이 조화를 이루게 하고, 「폐기물시설촉진법」에 의한 폐기물처리시설의 입지선정과 환경영향평가를 통한 입지선정 등이 상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원순환시행계획』과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계획’ 사이에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기본구상 및 계획수립’이라는 절차를 두는 등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사업에 대한 추진 절차와 방법 등에 대한 종합적인 보안 방안이 필요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1. Necessity for the regional balance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by increase in waste fly tipping or abandonment ㅇ 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e in waste fly tipping or abandonment, environmental issues have occurred in all over the region of Korea. There could be many reasons for the waste fly tipping and abandonment. In this work, w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n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facilities for 17 municipal governments of Korea,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waste facilities in the local governments (for 17 regional governments) have been balanced in terms of waste treatment capacity, the installed location, and the need for the waste treatment facility.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 we suggest mid-to-long-term research plans which lead to the regional balance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terms of the treatment capacity, the installed region, and the need for a waste treatment facility. 2. Necessity for social acceptance in terms of equity of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ㅇ In order to build a waste treatment facility or to increase its capacity,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adequate location (i.e., region) for the installation of the waste treatment facility, which needs acceptance of residents when a waste treatment facility has an environmental adverse impact on local resident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by region, and derive mid-to long-term research plans necessary to secure social acceptance in terms of equity of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3. Necessity for the improvement of the laws relavent to social acceptance in terms of equity of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ㅇ In order to secure social acceptability of local residen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should provide the transparency of the selection process for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a waste treatment facility, and its environmental impact. The projects excluded from EIA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jects subject to EIA, which needs to revise EIA-related laws. In this study, we review the laws and suggest what it needs for expanding the scope of the projects for install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to those subject to EIA. Ⅱ. Results and Discussions Road map for mid- to long-term research to secure sustainability of waste treatment □ As a result of status analysis of national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it was obvious that the treatment facilities in other regions could be overloaded due to a discrepancy of the numbers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between the local governments, and in severe cases, the treatment load of other region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could be increased. ㅇ Needs to evaluate the adequacy of connection processing between treatment facilities and prepare alternatives ㅇ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impact assessment techniques for the adequacy of treatment facilities on waste treatment loads in other regions □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the imbalance in the installed locations of the waste treatment facilities may also be a factor in overloading the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other regions. ㅇ Need for research on the appropriateness evaluation and optimization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targeted for workplace waste) ㅇ Appropriateness assessment and optimization studies for the municipal waste treatment region are necessary (e.g., resetting the waste treatment region around the middle area) ㅇ Research on the risk assessment of generated wastes and the preparation of risk assessment techniques and systems for transport and disposal □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the imbalance in the capacity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may be a cause of increasing the treatment load of other treatment facilities in the pipe. ㅇ Need for developing a plan to optimiz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ㅇ Need for evaluating and optimizing capacity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 Industrial waste: focusing on the nature and type of waste - Municipal waste: mainly in the treatment regions 2.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projects subject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waste treatment facilities ㅇ Most of the waste treatment facilities are developed individually without implement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hich might adversely affect the local residents due to air pollutants and odors. As this increases local residents’ conflict and causes social cost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waste treatment facilit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epare a system for professional review in terms of environment impact, hygiene and health regardless of the size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For a professional review, the local government might review the location and development plan for the waste treatment facilities, and the projects for waste treatment need to be included to the scope of EIA as well as small-scale EIA, involving a revision of EIA-relevant laws. 3. Research on methodology for forming public consensus ㅇ Social consensus means that stakeholders with different values mutually yield their positions to draw a comprehensive conclusion. For public consensus, first of all, the level of information of stakeholders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issues should be reviewed first to reveal that the current disagreement is not a simple misunderstanding, but an unresolvable value difference. ㅇ Henc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method of analyzing the types of disagreements that are currently occurring and various methodologies for forming social consensus. It need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ology through experiments on the identified methodology, and it is also required to prepare a method for institutionalizing the verified effect.

      •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자원순환 성능 및 처리기반 적정성 평가 연구

        이소라,이진혁,정석재,윤호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기본연구보고서 Vol.2020 No.-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ㅇ 우리나라의 폐기물 발생량은 지속적 증가 추세로, 2017년 기준 총 폐기물 발생량은 43만 톤/일이며, 1인당 1일 생활계폐기물 발생량이 1.01kg으로 2012년 0.95kg 대비 증가 0.06kg 증가하였음 ㅇ 국내 폐기물 발생전망1)에 따르면 2017년 43만 톤/일으로부터 2027년 48만 9,000톤/일로 증가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적정처리 계획이 부재함 ㅇ 본 연구는 불법투기 폐기물, 방치폐기물, 불법수출 폐기물 등 국내외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자원순환 성능 및 처리기반 적정성의 평가기법을 개발함 ㅇ 지속가능한 폐기물 관리 전략을 마련하고 법제도적 개선(안)을 제안하였음 □ 연구의 범위 및 내용 ㅇ 폐기물 발생 및 불법폐기물 관련 정책 분석과 GIS 기반 자원순환 시스템 평가기법 개발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관련 법제도적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음 - 폐기물 발생 및 불법폐기물 관련 정책추진 현황 분석 및 적정처리 가능성 검토 - 국내외 폐기물 처리시스템의 지속가능성 평가 사례 분석 - 처리기반 적정성 평가를 위한 국내 현황 및 시설 등 기초자료 분석 - 폐기물 종류(생활폐기물, 사업장폐기물)별 발생량, 처리방법별 처리용량(공공시설, 민간시설)과 실제 처리량 분석 - 폐기물 발생 현황 및 처리시설 반입폐기물 성상 및 용량 등 DB 구축 방안 마련 - 폐기물 종류별 현재 시설의 처리능력 수준과 향후 처리능력 전망 - 폐기물 처리시설별 자원순환 시스템 평가 및 성능평가 방법론 개발 - 연간 발생 폐기물 및 미처리 불법폐기물의 처리 계획에 따른 적정 처리기반 구축 방안 제시 Ⅱ. 폐기물 발생 및 부적정 처리 사례 분석 1. 국내 폐기물 발생 현황 □ 국내 폐기물 현황 ㅇ 2018년을 기준으로 국내 총 폐기물 발생량은 43만 톤/일로, 전년 대비 약 3.9% 증가하였으며, 종류별 비율은 건설폐기물 48.1%,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38.9%, 생활계폐기물 13.0%를 차지하고 있음 ㅇ 생활계폐기물 1일 발생량 중 45.0%(2만 5,236톤/일)가 인구 밀집 지역인 경기, 서울, 부산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1일 발생량 중 51.8%(8만 6,816톤/일)가 충남, 전남, 경북 순의 3개 지역에서 발생하였고, 건설폐기물 1일 발생량 중 47.8%(9만 8,944톤/일)가 경기, 서울, 경남 순의 3개 지역에서 발생함 □ 국내 폐기물 처리시설 현황 ㅇ 소각시설 수는 지방자치단체 178개소, 자가처리업체 136개소, 최종처분업체 68개소로 총 382개소이며, 시설용량은 지방자치단체 1만 7,124톤/일, 자가처리업체 6,523톤/일, 최종처분업체 8,315톤/일로 지방자치단체의 비중이 가장 큼 ㅇ 매립시설 수는 지방자치단체 218개소, 자가처리업체 27개소, 최종처분업체 30개소로 총 275개소이며, 총 매립용량은 지방자치단체 48,022만m3, 자가처리업체 1만 3,207만m3, 최종처분업체 4,629만m3이며 잔여 매립 비율은 지방자치단체 81.6%, 자가처리업체 13.6%, 최종처분업체 4.8%로 지방자치단체가 매립용량 및 잔여 매립 비율이 가장 높음 □ 국내 불법 및 부적정 처리 관련 사례 검토 ㅇ 부적정하게 처리된 폐기물은 대부분 생활폐기물이었으며, 개인 업체가 주체인 경우 대부분 경제적 이익을 이유로 발생하였고, 지방자치단체 단위에서는 주로 업무 소홀 및 책임 회피 등이 이유로 파악되었음 □ 일본 불법폐기물 현황 및 대책 조사 ㅇ 불법투기의 양 및 건수 모두 전반적으로 꾸준히 감소해 2016년 2만 7,338톤, 131건까지 감소하였으며, 2015년 16만 5,550톤, 2018년 15만 6,826톤이 신규로 발생했는데 이는 유가하락, 쓰레기 대란 등 국내 발생 원인과 유사하나 폐플라스틱류가 감소한 것에서 차이를 보임 Ⅲ. 폐기물 처리시스템의 지속가능성 평가 및 정보 구축 사례 분석 1. 폐기물 처리시스템의 지속가능성 평가 관련 사례 분석 □ 국외 폐기물 지속가능성 평가 사례 조사 ㅇ 일본의 폐기물 처리시스템 지속가능성 평가기법 및 개선전략연구, EU의 지속가능 자원순환 전략 사례인 Waste to Energy, Best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BEMP) for the Waste Management Sector, Interreg Europe COCOON의 지속가능한 매립지 관리사례, Cedalion & Orion tool을 활용한 지속 가능 정책결정 지원도구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음 2. 폐기물 처리자료 및 처리정보 시스템 구축 관련 사례 분석 □ 국내외 폐기물 처리시스템 구축 사례 조사 ㅇ 일본의 폐기물 광역이동 대책 및 순환이용량 실태 조사 보고서, 폐기물 처리시스템 적정성 평가 및 예측을 위한 Waste atlas, What a waste 2.0 시스템을 분석하였음 ㅇ 국내 한국국토정보공사의 수거체계 최적화를 위한 건물단위 생활폐기물 배출량 추정(2015)보고서, 자원순환 종합 정보시스템(순환자원정보센터), 부산자원순환협력센터 등의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 결과를 수록하였음 Ⅳ. 자원순환 성능 및 처리기반 적정성 평가 1. 폐기물 발생 현황 및 처리시설 등 기초자료 분석 □ 폐기물 발생 현황 및 처리시설 여유용량, 에너지 생산량 분석 ㅇ 전국 17개 시도 폐기물 담당자를 통해 취합한 폐기물 처리시설 운영 현황 자료, 2018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자료, 올바로 자료 등을 활용함 ㅇ 매립시설의 경우, 지방자치단체, 자가처리, 민간시설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으며, 소각 시설은 지방자치단체, 자가처리(사업장폐기물), 자가처리(생활폐기물), 민간시설(사업장폐기물)로 구분, 재활용의 경우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 중인 선별장, 가연성 폐기물, 바이오가스화시설, 음식물자원화시설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음 ㅇ 전체 폐기물 발생량은 1억 5,619만 톤으로, 각각 매립 1,150만 톤(7.3%), 소각 880만톤(5.6%), 재활용이 1억 3,687만 톤(87.1%)을 차지하고 있으며, 처리량은 매립이 1,213만 톤, 소각이 815만 톤으로, 매립은 발생량을 62만 톤 초과하였음 ㅇ 수도권의 경우, 인천 수도권 매립지의 매립용량으로 인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매립 발생량을 대부분 수용하고 있음에도 약 26만여 톤의 용량 부족이 확인되었으며, 수도권 매립지의 종료연한(2025년) 도래에 따라 향후 폐기물 발생량 및 증가량을 고려한 시설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ㅇ 에너지 생산량은 원단위를 기준으로 매립과 재활용 시설(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 시설, 음식물자원화시설)이 높고 소각시설은 낮음(매립의 경우, 평균 101.4Gcal/톤, 소각은 1.1Gcal/톤, 재활용은 81.9Gcal/톤) ㅇ 생활폐기물 성상은 85.6%가 가연성, 14.3%가 불연성이며, 사업장생활계폐기물은 65.6%가 가연성, 34.4%가 불연성 폐기물로 구성되어 있음 2. 폐기물 처리 흐름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구성(안) □ 국내 폐기물 처리 흐름 ㅇ 수도권에서 충청권 이동량이 514만 톤으로 가장 많았으며, 강원권에서 호남권 이동량이 약 3만 톤으로 가장 적음 ㅇ 타 지역으로 이동하여 처리되는 폐기물량은 수도권이 833만 톤으로 가장 많고 강원권이 138만 톤으로 가장 적었지만, 전체 이동량과 대조하여 볼 때 강원권(16.1%), 충청권(15.1%), 수도권(12.4%), 영남권(11.1%), 호남권(8.4%) 순으로 비율이 높음 □ 폐기물 처리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성(안) ㅇ 전체 폐기물 처리시설 7,683개소 중 지방자치단체 시설 913개소(매립 218, 소각 178, 재활용선별 196, 음식물자원화 86, 가연성연료화 15, 유기성에너지화 27개소), 자가처리시설 326개소(매립 27, 소각 136개소), 민간시설 157개소(매립 30, 소각 68, 중간처분59개소)를 시각화함 ㅇ GIS 기반 매립·소각 처리시설 정보 및 매립·소각, 재활용 처리 흐름(Chord Diagram)을 https://wastemap.shinyapps.io/WasteMapShiny에 구현하여 나타내었음 Ⅴ. 폐기물 처리능력 전망 및 시나리오에 따른 적정 용량 분석 1. 폐기물 향후 발생량 및 처리능력 전망 □ 국내 폐기물 발생량 변화 예측 ㅇ 2009년부터 2018년간 폐기물 발생량 자료에 기반하여 2050년까지의 폐기물 발생량 전망치를 계산한 결과 2050년에는 2018년(43만 810톤/일) 대비 65.83%가 증가한 71만 4,412톤/일이 예상됨 ㅇ 매립폐기물의 경우 2050년까지 -80.34% 감소하였고(31,650톤/일 → 6,222톤/일), 소각의 경우 2050년까지 89.12% 증가(2만 4,153톤/년 → 4만 5,678톤/년), 재활용폐기물은 2050년까지 76.67% 증가(37만 5,007톤/년 → 66만 2,512톤/년)로 예상 ㅇ 현재 수준의 폐기물 관리 정책 유지 시, 생활폐기물 및 사업장생활폐기물은 2050년까지 재활용 및 소각량이 각각 평균 46.7% 증가하고, 매립량은 평균 50.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ㅇ 생활폐기물의 경우 2030년 직매립 금지 정책 적용 시, 이에 따른 효과가 가장 두드러지게 확인되어 매립/소각량의 차이가 74만 톤으로 전망됨 2. 자원순환 대전환 정책에 따른 시나리오 설정 □ 시나리오에 따른 처리전망 분석 결과 ㅇ 향후 폐기물 종류별 발생량 전망을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분석하였으며, ① 현재 폐기물 처리비율 유지, ②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에 따른 정책적 매립저감 노력 수행, ③ 2030년 직매립 금지 정책추진으로 구분하여 예측하였음 ㅇ 생활폐기물의 경우,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 추진(시나리오 2) 적용 시, 현재 처리비율(시나리오 1) 대비 재활용량과 매립량의 감소와 소각량의 증가경향이 두드러지며, 2030년 직매립 금지에 따라 2043년까지 소각과 매립의 한시적 증감이 확인됨 ㅇ 사업장생활계폐기물의 경우, 현재 처리비율(시나리오 1) 대비 『제1차 자원순환기본 계획』 추진(시나리오 2)에 따른 전망은 재활용량과 소각량의 점진적 증가와 매립량의 감소가 두드러지나, 2030년 직매립 금지에도 폐기물 내에 불연성분이 34.4%를 차지하고 있어 매립량 감소에 한계를 보임 ㅇ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의 경우,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 추진(시나리오 2) 적용시, 현재 처리비율(시나리오 1) 대비 재활용량의 증가와 소각량의 감소, 매립량의 감소 경향이 확인됨 ㅇ 건설폐기물의 경우, 변화가 미미하여 정책적용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음 3. 폐기물 발생량 예측에 따른 시설 적정 용량 분석 □ 폐기물 처리시설 시설용량 대비 폐기물 발생량 전망 ㅇ 소각시설의 처리용량은 발생량 대비 약 62만 톤이 부족하며 매립의 경우는 약 65만톤의 여유용량이 있음 ㅇ 소각용량은 2030년에 약 345만 톤, 2040년에는 598만 톤, 2050년에는 851만톤의 용량이 필요하며(당해년도, 연간 누적 아님), 매립의 경우는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30년 795만 톤, 2040년 485만 톤, 2050년 227만 톤의 폐기물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됨 □ 폐기물 증가에 따른 처리시설 적정 용량 및 2030년 직매립 금지 정책추진에 따른 추가 확보 적정 용량 ㅇ (소각) 총 처리용량은 815만 7,783톤/년이며, 2018년 기준 881만 6,013톤이 발생하여 약 65만 톤의 물량을 초과 처리하였으며, 2030년 직매립 금지 정책의 적용 시, 2030년에만 약 87.7만 톤이 증가하고 연간 누적치를 반영할 경우 약 174만 톤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현재대로 소각을 진행할 경우(소각시설 부족용량과 폐기물 발생 증가량을 연간 누적 산정), 2030년까지 필요한 소각용량은 775만 톤이며(약 1.70배), 2040년에는 1,043만 톤(약 2.30배), 2050년에는 1,311만 톤(약 2.89배)의 추가 소각용량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됨 ㅇ 2030년 직매립 금지정책을 시행할 경우 2030년까지 필요한 소각용량은 849만 톤이며(약 1.87배), 2040년에는 1,590만 톤(약 3.50배), 2050년에는 1,712만 톤(약 3.77배)의 추가 소각용량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됨 ㅇ (매립) 총 매립 잔여용량은 약 2억 6,441만 1,979m3로, 2018년 기준 1,213만 톤, 9,518,057m3를 매립하였음 ㅇ 현재 추세대로 매립할 경우 2030년에는 매립 잔여용량이 931만 7,159톤/년, 2036년에는 만적 예정임 ㅇ 2030년 직매립 금지정책을 시행할 경우 매립량이 점차 저감되므로 2040년에 521만 3,269톤/년의 매립량이 감소하여 약 3.5년만큼의 매립지 만적기한 연장이 전망됨 Ⅵ. 자원순환 시스템 및 성능평가 방법론 개발 1. 시스템 개발을 위한 이해관계자 포럼 및 의견조사 ㅇ 총 5회에 걸친 정부, 지방자치단체, 산업계, 학계 전문가 등 포럼과 의견조사를 진행함 2. 시스템 평가 및 성능평가 방법론 개발 □ 자원순환 시스템 평가 및 성능평가 방법론 개발 ㅇ 지속가능성은 ‘환경효율성(환경/경제)’, ‘적정비용(경제/사회)’, ‘사회적 수용성(사회/환경)’ 등 6가지 측면을 고려한 3가지 평가요소 설정 ㅇ 자원순환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현존하는 자원순환시설의 용량 증설 또는 신규 시설의 설치에 활용이 가능 ㅇ 시설 정보, 위치 등 기초자료 분석을 통해 폐기물의 처리 흐름을 작성하고 비용효과 등을 포함하는 기초모형을 도출 가능 ㅇ 입력자료 등의 시점을 기준으로 최적화된 폐기물 처리 흐름을 반영하고 있으며, 의사결정자로 하여금 발생지 처리, 인근 시설에 일부 처리량 위탁 등 결정을 보조 Ⅶ. 결론 및 제언 1. 정책 제언 ㅇ 국민 및 업계의 의식 향상을 통해 폐기물 감량과 적정처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극적 참여 유도 ㅇ 수집업체와의 계약 의존 현상을 배제하고, 폐기물의 최종 처분까지 의무적으로 관리하도록 하여 폐기물 처리 흐름에 투명성을 확보 ㅇ 폐기물 처리시설의 중장기적 확충계획과 국비보조 비율 제고 등 국가 재정 확대 필요 ㅇ 지속가능한 폐기물 처리 우수사업자들을 육성해 업계의 수준 제고 필요 ㅇ 공공폐자원관리시설법을 통해 순환이용 과정에 있는 폐기물 및 그 과정에서 배출된 폐기물을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별도로 범주를 설정 ㅇ 생활폐기물 직매립을 금지하고, 사업장폐기물은 단계적으로 가연성 폐기물의 직매립을 금지하며, 소각 등 중간처리 후 법에서 명시하는 기준 충족 시 매립 가능 ㅇ 폐기물을 발생지에서 처리하기 위한 기반 확충이 필요하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등에 관하여 관할 지역내 발생 폐기물에 대해서는 지역내 처리를 유도할 수 있는 법 개정이 필요 ㅇ 자원순환 시스템의 인프라 구축 및 시스템, 클라우드, 빅데이터, 제도, 플랫폼 등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공간분석 결과 활용, 사회변화 및 환경변화를 반영 및 관리, 민관학연 협업 체계 구축, 시스템을 통한 자료 관리 등 제안 Ⅰ. Introduction □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 ㅇ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in Korea has been consistently increasing. As of 2017, the total amount of waste generated was 43,000 tons/day, and the amount of municipal waste per capita increased 0.06 kg to 1.01 kg from 0.95kg in 2012. ㅇ Domestic waste gener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from 430,000 tons/day in 2017 to 489,000 tons/day in 2027, however, there lacks the plan to handle the surplus waste properly. ㅇ This study develops a method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resource circulation in South Korea and the suitability of treatment infrastructure in response to domestic and global issues related to waste, such as illegal dumping, neglected waste, and illegal exports of waste. ㅇ This study proposes sustainable waste management strategies and ways to improv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waste treatment. □ Research Scope and Content ㅇ Policies related to waste generation and illegal waste are analyzed and a GIS-based approach for evaluating national resource circulation is developed to derive implications and prepare a proposal for improving the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waste management. - Analyzes current policies related to waste generation and illegal waste and review of adequate waste treatment methods - Analyzes domestic and overseas evaluations of the sustainability of waste treatment systems - Analyzes basic data on domestic waste generation and waste treatment facilities, etc. for the evaluation of the suitability of waste treatment system - Analyzes the amount of waste generation by type (municipal waste, industrial waste), treatment capacity by method (public and private facilities) and actual amount of waste treated - Proposes a plan establishing a database on waste-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waste generation status and the properties and amount of the waste sent to treatment facilities - Analyzes the present and future treatment capacities of existing facilities by waste type - Develops methods for evaluating the resource circulation system and performance of individual waste treatment facilities - Suggests a proposal for building a suitable waste treatment system based on the annual waste management plan (including plan to handle untreated illegal waste) Ⅱ. Case Studies on Waste Generation and Unsuitable Waste Treatment 1. Waste generation in South Korea □ Status of Waste Generation in South Korea ㅇ As of 2018, the total amount of waste generation in South Korea reached 430,000 tons/day, which is an increase of about 3.9% year-on-year. By type, construction waste accounted for 13.0%, while industrial waste took up 38.9% and municipal waste, 13.0%. ㅇ Approximately 45.0% of the municipal waste (25,236 tons/day) was generated in Gyeonggi, Seoul, and Busan, which are densely populated areas, and 51.8% (86,816 tons/day) of industrial waste was generated in Chungnam, Jeonnam, and Gyeongbuk regions (in the order of waste generation amount). In terms of construction waste, 47.8% (98,944 tons/day) was generated in Gyeonggi, Seoul, and Gyeongnam (in the order of waste generation amount). □ Current Status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South Korea ㅇ Incineration facilities: There are a total of 382 facilities, consisting of 178 facilities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136 self-collecting and treating companies, and 68 final disposal companies. Their capacities are 17,124 tons/day for facilities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6,523 tons/day for self-treatment companies, and 8,315 tons/day for final disposal companies. The treatment capacity of facilities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make up the majority share. ㅇ Landfills: There are a total of 275 landfills, consisting of 218 sites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27 sites managed by self-collecting and treating companies, and 30 sites managed by final disposal companies. Their capacities are 48.022 million tons for landfills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13.207 million tons for landfills managed by self-treatment companies, and 4.629 million tons for landfills managed by final disposal companies. Their remaining capacity (in terms of ratio) is 81.6% for local government landfills, 13.6% for self-treatment landfills, and 4.8% for final disposal landfills. The landfills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have the highest capacity overall as well as remaining. □ Cases of Illegal Dumping and Inappropriate Waste Treatment in South Korea ㅇ Most unsuitably-treated wastes were municipal wastes. In the cases where waste was treated by private companies, the waste was treated unsuitably mostly due to considerations of economic profit. In the cases where the local government was responsible for waste treatment, unsuitable waste treatment occurred mainly due to negligence and irresponsible behavior. □ Status of Illegal waste and Government Measures in Japan ㅇ Both the amount and number of illegal dumping steadily declined to 27,338 tons and 131 cases in 2016. The amounts of illegally dumped waste in 2015 and 2018 were 165,550 tons and 156,826 tons, respectively. In both years, illegal dumping was attributed to falling oil prices and the so-called ‘garbage fiasco’ due to problems in waste collection. The causes of illegal dumping in South Korea are also similar, but the difference is that there was a decrease in waste plastics. Ⅲ. Case Study on Waste Treatment System Sustainability Evaluations and Database Construction 1. Case Studies on Waste Treatment System Sustainability Evaluations □ Waste Treatment Sustainability Evaluations Conducted Overseas ㅇ Research was conducted on Japan’s sustainability evaluation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the waste treatment system, the EU’s sustainable resource recycling strategies such as Waste to Energy, Best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 (BEMP) for the Waste Management Sector, and sustainable landfill management of Interreg Europe COCOON, and the Cedalion & Orion decision-making tool for sustainability policy, etc. 2. Case Study related to Waste Treatment Data and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 Case Study on Waste Treatment System Construction in South Korea and Abroad ㅇ Japan’s case: The reports on governmental measures for cross-regional waste transportation and resource recycling rate and the Waste atlas, What a waste 2.0 system for evaluating and predicting the suitability of the waste treatment system ㅇ Domestic cases: The Land and Geospatial Informatrix Corporation (LX)’s “Estimation of Municipal Waste Emissions by Building for the Optimization of Waste Collection System” (2015), the Resource Circulation Information System (Recyclable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and Busan Resource Recycling Cooperation Center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Ⅳ. Resource Circulation Performance and Waste Treatment System Suitability Evaluation 1. Analysis of Basic Data (e.g., Information on Waste Generation Status and Waste Treatment Facilities) □ Analysis of Waste Generation Status, Available Waste Treatment Capacity at Facilities, and Energy Production ㅇ Data on the status of waste treatment operations at facilities compiled through waste management managers in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the 2018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and data from the ‘Allbaro’ system were utilized ㅇ In the case of landfills, the sites were divided into those managed by the local governments, self-collecting and treating companies, and private facilities. Incineration facilities are divided into those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self-collecting and treating companies (industrial waste), self-collecting and treating companies (municipal waste), and private facilities (industrial waste). Recycling waste was categorized into sorting facilities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combustible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and food waste-to-resource facilities. ㅇ A total of 156.19 million tons of waste were generated. The waste was divided into 11.5 million tons (7.3%) for landfills, 8.8 million tons (5.6%) for incineration facilities, 136.87 million tons (87.1%) for recycling. Of this waste, 12.13 million tons were sent to landfills and 8.15 million tons were incinerated. Thus, the amount of waste sent to landfills exceeded the amount of waste for landfilling by 620,000 tons. ㅇ In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cheon Metropolitan Landfill received most of the waste designated for landfilling which are gener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s, but it faced a shortage in capacity amounting to about 260,000 tons.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landfill based on the projected amount and increase of waste generation, considering the impending end of the metropolitan landfill’s lifecycle (scheduled to end in 2025). ㅇ Energy production, in terms of economic value (Korean won), was highest at landfills and recycling facilities (organic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food waste-to-resource facilities) and low at incineration facilities (average energy production amounts were 101.4 Gcal/ton at landfills, 1.1 Gcal/ton at incineration facilities, 81.9 Gcal/ton at recycling facilities). ㅇ The characterization of waste by type found that municipal waste was 85.6% combustible and 14.3% incombustible, and industrial waste was 65.6% combustible and 34.4% incombustible. 2. Waste Treatment Flow Analysis and Database Construction (draft) □ Domestic Waste Treatment Flow ㅇ Waste transported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the Chungcheong region was the highest in volume at 5.14 million tons, while that from the Gangwon region to the Honam region was the least at about 30,000 tons. ㅇ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ransported the largest amount of waste to other regions for treatment (8.33 million tons), while the Gangwon region sent out the least amount of waste to other regions (1.38 million tons). However, when looking at the numbers in terms of the ratio against the total amount of waste that is transported, Gangwon region showed the highest ratio (12.4%), followed by Chungcheong region (15.1%), Seoul Metropolitan Area (12.4%), Yeongnam region (11.1%), and Honam region (8.4%). □ Composition of the Waste Treatment System Database (draft) ㅇ A visual presentation (https://wastemap.shinyapps.io/WasteMapShiny) was provided of 913 local government facilities (218 landfills, 178 incineration facilities, 196 recycling and sorting facilities, 86 food waste-to-resource facilities, 15 combustible waste-to-fuel facilities, 27 biogasification facilities), 326 self-collecting and treating companies facilities (27 landfills, 136 incineration facilities), and 157 private facilities (30 landfills, 68 incineration facilities, 59 intermediate disposal facilities) out of the 7,683 waste treatment facilities in total. Ⅴ. Waste Treatment Capacity Projection and Capacity Requirement By Scenario 1. Future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Capacity Projection □ Projection of Domestic Waste Generation Trends ㅇ Waste generation was projected up to 2050 based on the waste generation data from 2009 to 2018, which showed that in 2050, about 714,412 tons/day of waste will be generated, which is an increase of 65.83% from 2018 (430,810 tons/day). ㅇ Waste to landfills will be -80.34% (31,650 tons/day → 6,222 tons/day), incineration will increase 89.12% (24,153 tons/year → 45,678 tons/year), and recycled waste will increase by 76.67% (375,007 tons/year → 662,512 tons/year) by 2050. ㅇ If waste management policies are maintained at the current level, the amount of recycling and incineration of municipal and industrial waste is expected to increase by an average of 46.7% and waste sent to landfills to drop by an average of 50.6% by 2050. ㅇ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hibition on direct landfilling in 2030 will bring the most noticeable effect in municipal waste trends, bringing an estimated difference of 740,000 tons in the volume of waste that is landfilled/incinerated. 2. Scenarios based on the Huge Transition to Resource Circulation Society Policy □ Analysis of Treatment Projections by Scenario ㅇ The projection of waste generation by waste type was analyzed based on the following scenarios: ① when waste treatment ratio is maintained at current levels, ② if policy-wise efforts are made to reduce the waste sent to landfills in matching with the Basic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and ③ if the prohibition of direct landfilling is implemented in 2030. ㅇ In the case of municipal waste, the decrease in the amount of recycled and landfilled and increase in the amount of incinerated waste is most significant under Scenario 2 when compared against the current treatment ratios (Scenario 1). The prohibition of direct landfilling in 2030 will bring a temporary increase in incineration and decrease in landfilling up to 2043. ㅇ In the case of industrial municipal waste, Scenario 2 will bring a gradual increase in the amount of recycled and incinerated waste and a decrease in the amount of landfilled waste compared to the current treatment ratios (Scenario 1). However, the prohibition on direct landfilling in 2030 will have limited reduction effect in the amount of landfilled waste since 34.4% of industrial waste are incombustible. ㅇ In the case of industrial waste, Scenario 2 will bring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recycled and decreases the amount of incinerated and landfilled waste compared to the current treatment ratios (Scenario 1). ㅇ In the case of construction waste, little change was found by scenario, which shows that the policies are not effective for this type of waste. 3. Analysis of Available Capacity at Facilities based on Waste Generation Projections □ Projection of Waste Generation Against Waste Treatment Facility Capacities ㅇ The operational capacity of incineration facilities is about 620,000 tons less than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and in the case of landfill, there is about 650,000 tons of spare capacity. ㅇ It is projected that there will require incineration capacities of about 3.45 million tons in 2030, 5.98 million tons in 2040, and 8.51 million tons in 2050 (at each year, not accumulative). In the case of landfills, the amount of waste will continue to decrease to 7.95 million tons in 2030, 4.85 million tons in 2040, and 2.27 million tons in 2050. □ Suitable Treatment Capacities by Facility based on Increase Waste Generation and Additional Capacity Required When Implementing the Prohibition of Direct Landfilling in 2030 ㅇ (Incineration) The total treatment capacity is 8,157,783 tons/year, and as of 2018, 8,816,013 tons of waste were incinerated, thus exceeding by approx. 650,000 tons. If the prohibition on direct landfilling is applied in 2030, the waste for incineration is projected to increase by 877,000 tons in 2030 alone. Accumulatively, it is projected that the waste for incineration will increase by around 1.74 million tons. ㅇ If incineration is carried out at the current level (calculating the surplus waste and increase in waste generation accumulatively by year), the required incineration capacity to be secured by 2030 will be 7.75 million tons (about 1.70 times the current level); and additional incineration capacity amounting to 10.43 million tons (about 2.30 times) will be required by 2040 and 13.11 million tons (about 2.89 times) by 2050. ㅇ If the prohibition on direct landfilling is implemented in 2030, the required incineration capacity to be secured by 2030 will be 8.49 million tons (about 1.87 times), and additional incineration capacity amounting to 15.9 million tons (about 3.50 times) will be required by 2040 and 17.12 million tons (about 3.77 times) by 2050. ㅇ (Landfill) The total remaining landfill capacity is about 264,411,979㎥, and as of 2018, 12.13 million tons of waste has been landfilled (9,518,057㎥). ㅇ If landfilling is carried out at the current level, the remaining landfill capacity in 2030 is projected to be 9,317,159 tons/year, and all landfills will have reached their maximum capacity by 2036. ㅇ If the prohibition on direct landfilling is implemented in 2030, the amount of waste that is sent to landfills will gradually decrease. It is projected that the amount will decrease by 5,213,269 tons/year in 2040 to extend the lifecycle of landfills by about 3.5 years. Ⅵ. Resource Circulation System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ology 1. Stakeholder Forum and Opinion Survey for System Development ㅇ A total of five forums and opinion surveys were conducted o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members of the industry, and academic experts. 2.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System Evalu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Resource Circulation System and Performance ㅇ The sustainability evaluation was based on three factors that consider six dimensions: “environmental efficiency (environmental/economic dimensions)”, “appropriate cost (economic/social dimensions)”, and “social acceptance (social/environmental dimensions)” ㅇ Establishes a resource circulation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expanding the capacity of existing resource circulation facilities or installing new facilities. ㅇ Enables the draw up of waste treatment flow based on an analysis of basic data (treatment facilities and their location, etc) and derive a basic model including cost benefits. ㅇ Waste treatment flow is optimized based on the time of data input, etc., so as to assist decision makers in making decisions on issues such as whether to treat the waste at the place of origin or to consign some of the waste to nearby facilities. Ⅶ. Conclusion and Suggestions 1. Policy Suggestion ㅇ Enhance the public and industry’s awareness of the need for waste reduction and suitable disposal practices an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ㅇ Realize transparent waste treatment flow by avoiding dependence on existing contractual relationships with waste collectors and enforcing the obligatory management of waste up to their final disposal ㅇ Need for a mid to long-term plan for expanding waste treatment facilities ㅇ Need to upgrade the industry by fostering sustainable waste treatment companies ㅇ Set separate categories for all types of wastes, including the waste generated during the treatment and reuse process, through the Special Act on the Installation, Operation and Resident Supports of Public Waste Resource Management Facility ㅇ Prohibit direct landfill of combustible municipal waste, and prohibit direct landfill of combustible industrial waste from 2040. Only allow waste that has undergone intermediate treatment (such as incineration) and meets the legally-specified standards to be taken to landfills ㅇ Establish infrastructure for a resource circulation system; utilize data-based spatial analysis based on existing systems, cloud computing, big data, institutional schemes, and platform, etc.; reflect and manag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establish a system for public-private-academia collaborations; and manage data through advanced systems, etc. 2. Academic Applications ㅇ Provides analysis of suitable waste treatment based on material flow and data on resource circulation ㅇ Provides basic data for efficiency evaluation, such as information on the domestic waste treat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ㅇ Enables evaluation of the resource circulation system and waste treatment performance by waste treatment facility at the national level 3. Policy Applications ㅇ (Environmental dimension) Helps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waste treatment based on evaluations of resource circulation performance and waste treatment system suitability by treatment facility and region ㅇ (Economic dimension) Helps sav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budgets by promoting joint/cross-use of facilities and reducing the inefficient construction of new facilities ㅇ (Social dimension) Helps reduce civil complaints and conflict factors by enabling efficient waste management and minimization of waste treatment facility construction and operation in the region

      • KCI등재

        폐기물처리시설 관련 판례 검토 ― 대법원 2017. 11. 14. 선고 2017도7492 판결 및 2017. 10. 31. 선고 2017도9582 판결을 중심으로 ―

        이비안 ( Rhee Vian ) 한국환경법학회 2018 環境法 硏究 Vol.40 No.2

        2017년 대법원의 판결 중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처리시설에 관한 두 건의 판결을 주목해 볼만하다. 대법원 2017. 11. 14. 선고 2017도7492 판결과 대법원 2017. 10. 31. 선고 2017도9582 판결로 전자는 양벌규정의 적용과 관련하여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 관련 해석이, 후자는 폐기물처리시설 중 사업 부지만을 공매를 통하여 취득한 자가 이전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의 권리·의무를 승계한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이었다. 우선, 대법원 2017. 11. 14. 선고 2017도7492 판결은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회사의 전무가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로써 폐기물처리법상 책임을 지는 자에 해당하는지 혹은 법인인 회사에 요구되는 것인지에 대한 쟁점이 兩罰규정과 관련하여 다루어졌다. 당해 판결은 원심의 양벌규정에 대한 그릇된 인식에 따른 오류를 바로 잡은 사건인바, 전반적으로 대법원의 판단은 적절한 것이었고, 다만, 양벌규정의 적용대상인 사용인의 범위와 관련하여 말단 사용인에 대하여만 책임을 전가하지 못하도록 하는 전향적인 판결 내지 입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법원 2017. 10. 31. 선고 2017도9582 판결은 사용종료된 폐기물처리시설의 敷地를 세무서의 체납처분에 의한 공매를 통하여 취득하여 소유하게 된 자가 그전 소유자인 폐기물처리업자의 권리의무를 승계하여야 하는지가 주된 쟁점이 되었다. 당해 사건에서는 사건에 적용될 시점의 폐기물관리법 제32조 제1항이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양도”에 공매가 포함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되었다. 대법원은 폐기물관리법이 일반적으로 양도와 경매, 공매를 구분하여 사용하여 왔고, 2010. 7. 23. 법률 제10389호로 폐기물관리법이 개정되면서 비로소 경매, 공매 등으로 폐기물처리시설을 인수한 자도 인수 전의 권리·의무를 승계한다는 점이 명시되었음을 근거로 이 사건 당시에는 “양도”에 공매는 포함되지 아니한다고 판단하였다. 당해 사건에서는 이른바 “법의 해석”에 대한 검토를 할 필요가 있다. 행정법규에서 사용되는 개념을 민사법에서와 같이 해석할 필요도 없고 그러해서 도 아니 된다는 점, 이 사건에 있어서는 공익적 측면을 고려하여 보면 양도의 개념을 공매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넓혀 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이 사건 이후에 현행법 제33조 제2항으로서 “공매”에 대한 규정을 도입하긴 하였지만 그것은 양도개념에 공매가 포함될 수 없기 때문이 아니라 “사업”이 아닌 “재산”만을 이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허가 등을 하여야 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어서였다는 점을 고려하여 보면, 대법원의 판결은 부적절한 면이 없지 않다. 다만, “사업”이 아닌 “재산” 즉, 부지만을 이전 대상으로 한 본건을 제32조 위반으로 처벌하기는 어렵고, 제32조가 아니라 제24조의 문제로 보아 무죄를 선고하는 것이 적절하였을 것이라는 점에서 피고인을 무죄라고 본 대법원의 판결은 결론적으로는 문제가 없는 판결이 되었다. 참고로, 사업장폐기물이 있음을 알고서도 싸게 매입한 피고인을 보호할 이유는 없다는 점에서 제24조(현재의 제17조)의 양도대상을 “사업”이 아닌 “재산”으로 개정함으로써 향후 피고인과 같은 자를 처벌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In 2017, Supreme Court of Korea made two very important decisions on the hazardous waste acts. They are Supreme Court Decision 2017Do7492 decided on Nov.14,2017 (“2017Do7492”) and Supreme Court Decision 2017Do9582 decided on Oct.31.2017(“2017Do9582”). “2017Do7492” considered who would be qualified for “operators of hazardous waste management facilities” and “2017Do9582” is about whether person who bought facilities’ properties, specifically lands through public auction would succeed to “rights and duties of the operators.” 2017Do7492 dealt with the joint punishment provisions between the corporate body and its executive director.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operators of the facilities” who should be subject to liabilities of the hazardous waste management acts, this paper studies the solid waste management act of Michigan, U.S. to compare the decisions of Korea's Supreme Court Decisions. The decision is considered to be reasonable, but legislative enactments or new judicial decisions are required not to punish low level employees under this joint punishment clause. The main issue of 2017Do9582 are whether or not transfer of solid waste management facilities include public auctions. Supreme Court has defined the transfer very limited to civil law, which could be possible only by contract. Generally, auction is considered to dispose only property not accompanying rights and duties. The sold waste management act of Korea was amended as No. 103859 on July 23. 2010. This amendment makes it clear that a person purchasing only facilities through private or public auctions are in succession to rights·duties of a former owner. The case requires “interpretation in law”, which reconsider a definition of “disposition” not in the civil law but administrative law. If the case had focused on the not article 32 but article 24 and then it had noticed that the article limited to business not property as subject matter of transfer, the court might have held to be presumed innocence. The Court made it clear that “definition of transfer” does not include public auction, thus holding to be presumed innocence. By the way, the second clause of Article 33 public was amended to regulate “public auction” but this was meant to make sure that transfer of property of facilities shall accompany full sanction of operation. Therefore, in my opinion, this decision might be unreasonable. Article 32 could not be applied for transfer of property because the article regulates transfer of business. The Court should consider not article 32 but article 24.

      •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의 세부검사방법 마련을 위한 현장조사

        이풀잎 ( Puleip Lee ),권은혜 ( Eunhye Kwon ),이승재 ( Seungjae Lee ),손준익 ( Junik Son ),이동진 ( Dongjin Lee ),이원석 ( Wonseok Lee ),유명수 ( Myungsoo Yoo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폐기물처리시설의 운영 및 관리의 선진화를 위한 폐기물관리법이 개정됨에 따라 폐기물처리시설 검사기관이 준수해야 할 사항과 설치·정기검사에서 수행해야 할 사항 등 구체적인 세부검사방법을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의 현장조사를 통해 설치 및 정기검사의 객관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한 세부검사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은 총 9개 시설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처리시설마다 세부검사방법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각 시설별 특성에 따른 현황 및 처리실태 파악을 위해 사료화, 퇴비화, 혐기성분해, 파쇄·탈수, 동애등에분변토 생산시설 등을 방문하여 관리상 문제점 및 검사방법의 한계성을 조사하였다(그림 1). 조사결과 검사방법이 육안확인 또는 목측확인 등 정확한 검사행위가 없어 검사 결과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소규모 또는 처리공법의 특성상 해당되지 않는 검사항목이 무분별하게 제시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설계도서, 성적서 확인, 현장실측(온도측정, 시료채취를 통한 품질검사 등) 등 정확한 검사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폐기물처리시설 별 설치·정기검사방법에 대한 세부 표준검사방법을 마련함으로서 검사기관 별 일관성 있는 검사시행이 가능하고, 성적서 및 검사결과 등의 자료를 일정 기간 보관함으로서 효율적인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관리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검사기관의 검사능력 평가 및 관리에도 효율적인 절차 및 기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음식물류폐기물 민간처리시설의 환경오염 개선방안

        이정임 경기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2010 No.-

        음식물류폐기물은 2013년부터 해양매립 금지 등 관리규제가 강화되면서 음식물류폐기물의 환경 친화적 처리가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의 음식물류폐기물의 약 70%를 처리하고 있는 민간처리시설의 제도권 내에서의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NIMBY 현상의 극심화에 따른 신규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의 설치가 어려운 가운데 서울시, 인천시의 음식물류 폐기물이 경기도의 민간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로의 반입처리가 증가하고 있어 음식물류폐기물 반입에 따른 악취 및 폐수 등 환경오염물질 배출로 인한 민원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음식물류폐기물 민간처리시설의 관리ㆍ감독은 지자체의 청소행정 담당부서에서 전담하고 있으나 각종 행정 및 민원 업무로 인해 지도ㆍ점검이 어려우며,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정기검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으나 정기검사 시에는 악취도의 측정 항목이 없이 시설의 정상 가동만을 검사하고 있어서 악취 민원에 대한 대응체계가 취약한 상황으로 환경처리 관련 관리ㆍ감독의 강화가 필요하다. 타 자치단체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류폐기물의 처리는 발생지자체와 민간 처리대행업체 간의 당사자 계약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업체 간 과다경쟁으로 인한 낮은 처리단가 계약으로 폐수 및 악취처리 등 2차 환경오염물질의 부적정처리가 우려되고 있고, 음식물류폐기물 발생지자체의 사후 관리시스템은 미흡한 실정으로 민간처리시설이 소재하고 있는 해당 지자체가 처리시설의 불법 처리나 민원 발생 시의 사후처리를 전담하고 있는 여건이다. 현재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원가의 산정은 표준 산정기준이 없이 각 지자체가 마련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나 환경처리비용과 관련 항목은 협잡물 처리비용 이외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자치단체 간 음식물류폐기물 이동에 따른 환경처리비용의 산정 및 적용이 필요하다. 첫째, 서면 제출 방식의 현황 보고 체계를 탈피하고 전산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해 음식물류 폐기물의 자원화 전 과정에 걸친 투명한 관리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감량화 의무 사업자, 수집ㆍ운반 업체의 보고 실적, 처리 실적 및 자원화 업체의 처리 및 자원화 실적 관리와 각종 민원 처리 등의 업무를 전산화시스템으로 전환함으로써 과도한 업무량 및 행정 업무 문제를 해결하여 행정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의 지도ㆍ점검과 관련하여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의 “악취도” 측정 및 기준을 정기 검사 항목으로 규정하고 정기적인 측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타 시ㆍ군에서 유입되는 폐기물에 대해서는 해당 자치단체의 장과 사전협의 후 처리하도록 폐기물관리법에 단서 조항을 신설하고, 폐기물의 정확한 유입경로, 처리자, 최종처리방법에 대한 등록 제도를 신설하여 향후 등록현황을 토대로 유입 시ㆍ군으로부터 침출수 및 악취 처리비용의 징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향후 음식물쓰레기 처리 시 발생하는 환경오염 방지를 위하여 음식물쓰레기 위탁 처리단가 산정 시 퇴비화시설은 31,000원/톤을 기준으로 ±1% 범위, 건식사료화시설 30,000원/톤을 기준으로 ±20% 범위, 습식사료화시설 13,500원/톤을 기준으로 ±20% 범위에서 환경처리 단위 비용의 증액 편성이 필요하며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의 환경처리시설 개선사업의 추진을 위하여 “경기도 환경보전기금”의 활용, “악취관리구역”지정에 따른 도비 보조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다섯째, 2013년부터는 해양매립이 금지되는 음식물류폐기물 발생 폐수는 향후 공공 하수처리시설의 이용 또는 수도권매립지 음폐수 처리시설의 활용을 통한 제도권 내에서의 관리가 필요하며, 악취방지를 위해서는 시설의 밀폐와 악취의 흡입, 에어커튼 설치, 공기 포집 배관 등 기본설비의 개선을 통하여 악취의 확산을 방지하고, 음식물류폐기물 민간시설에서 악취방지시설의 비용, 시설별 장ㆍ단점, 적용설비 등을 쉽게 이해하고 선택ㆍ운영 할 수 있도록 악취방지시설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책정ㆍ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 KCI등재

        폐기물처리업의 영업구역제한에 관한 일고찰 ― 폐관법 제25조 제7항 단서를 중심으로 ―

        한상운 한국환경법학회 2020 環境法 硏究 Vol.42 No.3

        폐기물관리법 제25조 제7항 단서는 폐기물 반입제한 등 영업구역을 제한할 수 없도록 하는 명시적 규정이다. 대법원은 이에 관한 직접적 판례는 없지만 폐기물관리법 제25조 제7항이 영업구역제한에 관한 규정이라는 점은 명시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최근 하급심판결에서 폐기물관리법 제25조는 폐기물처리업 허가에 관한 일반적 규정이라고 보고, 산집법상 관리권자는 산단운영관리에 관한 광범위한 재량을 가진다고 하여 폐기물관리법이 아닌 산집법 등을 우선 적용하였다. 산집법에 따라 산단 관리권자의 광범위한 관리행위에 따라서 산단내 폐기물처리업자도 규제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관련법령을 고려할 때 폐관법 제25조 7항 단서에 근거하여 “영업구역을 제한”하는 것만은 산단 관리권자라도 할 수 없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결과적으로 최근의 하급심 판례는 법적용의 오류로 인하여 실정법체계 혼란을 야기하여 법적 안정성을 훼손한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이와 같은 법적용의 오류와 별개로, 영업구역제한금지의 정당성 여부에 관해서는 견해가 대립할 수 있다. 해당 처리시설의 인근 주민입장에서는 타지역 폐기물까지 반입이 되어 주변환경이 악화되는 등 불만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갈등은 전국에 걸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산단외 폐기물반입으로 인하여 쾌적한 환경을 향유할 환경권 침해는 물론 “폐기물 발생지 또는 근접지 처리원칙” 등 환경정의에도 부합되지 않는 측면이 있다. 현재까지 산단내 반입제한을 위한 시민단체등의 입법개정 시도는 지속되고 있지만 입법통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폐기물매립시설이 대부분 산업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는데, 산단외의 폐기물 반입을 제한하게 되면 처리용량의 약 70%에 해당하는 산단외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산단외 처리시설의 절대적 부족으로 폐기물처리에 커다란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현행법 해석상 산단외 폐기물반입을 제한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입법개선이 요구되며, 다만 산단외 폐기물처리시설의 부족 등 현실을 감안하여 산단외의 일정지역을 한정하여 폐기물 반입을 허용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본다. 즉 산단내 폐기물처리장의 운영과 관련하여 향후 대응방안으로서 폐기물발생지역에서의 우선처리원칙에 보다 충실하게 입법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타 시・도의 폐기물반입은 향후 법 개정을 통하여 금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최근에 제정된 공공폐자원법상의 공공폐자원관리시설의 운영 등 관련내용과 폐기물처리의 사회적 공공성 등을 고려하여 차제에 전면적인 폐기물처리시설의 공공운영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clues to Article 25, Paragraph 7 of the Waste Management Act are explicit regulations that prohibit restrictions on business areas, such as restrictions on carrying in waste. Although there is no direct precedent for this, the Supreme Court explicitly recognizes that Article 25, Paragraph 7 of the Waste Management Act is a regulation on business area restrictions. In a recent sub-judgment, Article 25 of the Waste Management Act was reported as a general regulation on permission for waste treatment business, and the management authority under the Industrial Cluster Act had broad discretion o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industrial complex. However, in consideration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aste treatment companies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may also be regulated according to the industrial complex management authority's extensive management practices according to the Industrial Collective Law. However,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that the industrial complex management authority cannot only limit the business area. Such lower-level trial precedents are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case that damaged legal stability by causing confusion in the actual legal system. However, the provisions of the proviso of Article 25, Paragraph 7 of the current Waste Management Act, which prohibits restrictions on business areas such as the prohibition of bringing in waste to the industrial complex, can no longer be justified on the basis of the reality of waste disposal such as lack of landfill.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s, they are filing civil complaints such as legislative improvement, claiming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deteriorating due to the introduction of waste from other areas. Nevertheless, attempts to amend the legislation to restrict entry into the industrial complex continue to date, bu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legislative passage. The reason is that even though most of the waste landfill facilities are located in the industrial complex, if the import of waste outside the industrial complex is restricted, there will be an absolute shortage of facilities that can treat the waste outside the industrial complex, which is about 70% of the treatment capacity.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waste treatment plants in the industrial complex,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gislation more faithfully to the principle of priority treatment in waste generating areas as a future countermeasure. However, it is a principle to limit the scope of the import of waste to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nd to prohibit the import of waste from other cities and provinces through future revision of the law. Furthermore, considering residents' complaints regarding waste disposal, such as bringing in waste, and social publicity of waste disposal,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the public operation plan of the waste disposal fac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