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뮤지엄의 평면 구성 체계에 따른 건축형태에 관한 연구

        박상준 ( Park Sang-ju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4 전시디자인연구 Vol.21 No.1

        현대 건축은 좀 더 새롭고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는 현 시대적 이슈에 따라 비정형 형태가 늘어나고, 정형에서 비정형으로 변화하는 경향 보이고 있다. 건축은 평면, 형태, 공간을 구성하는 법칙이 존재하며 그러한 법칙에 따라 구성되었을 때 그 건축은 질서와 예술로서의 조형성을 가지게 된다. 건축에서의 뮤지엄은 존재하는 형태만으로 도시 랜드마크로서 가치를 지니기 때문에, 평면과 형태에 있어서 조형성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단순히 전시 공간을 넘어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화하고 있는 현대 뮤지엄 건축의 평면과 형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과 선행연구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현대건축의 형태적 특징을 분석하고, 2000년 이후 Museum건축의 형태와 유형 등 다양한 분석을 통해 Museum 건축의 평면에 따른 형태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주요 사례로는 Museo Guggenheim Bilbao, Louvre Abu Dhabi 등의 40건의 해체주의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를 추구하는 뮤지엄 건축의 평면과 형태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을 위한 분석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뮤지엄 건축의 평면 구성 체계는 기하학적 평면, 사선형 평면, 원형 평면, 유기적 평면, 선형적 평면, 자유선형적 평면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2) 뮤지엄 건축의 형태적 특성을 기하학성, 비대칭성, 유기성, 투명성, 선형성, 재질복합성, 지역 맥락성, 전통융합성, 지속가능성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기본으로 하여 각 작품의 평면과 형태를 분석한 결과, 뮤지엄 건축의 평면은 기하학적 특성과 동심원의 특성을 가진 평면이 많으며, 형태적 특성은 기하학성, 비대칭성, 유기성의 특성을 가진 형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기하학적 평면이 형태 그대로 드러나거나 또는 기학학적 평면이 형태로 구현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 되어 나타남을 의미한다. 그리고, 기하학적 평면 구성은 그 자체의 특성과 장점을 바탕으로 뮤지엄의 목적과 디자인 컨셉에 맞추어 적절하게 사용되고, 중앙 집중형 평면 구성(구심형 및 원형)은 중심 공간을 강조하며 원통의 형태로 나타난다. 사선형 구성은 강한 방향성을, 유기적 구성의 평면 체계는 창의적이고 유기적인 형태를 통해 독특한 건축 형태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뮤지엄 건축의 미적 가치를 높이고, 건축 설계의 기획 단계에서 활용 될 수 있는 평면과 형태의 유형별 자료를 제공 할 수 있다. 그리고 현 시대 뮤지엄의 건축형태 경향과 평면의 구성체계, 뮤지엄 건축의 형태 생성을 위한 디자인 단계에서 더 다양한 건축적 형태를 사전에 제시 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In modern architecture, when atypical forms are increasing keeping up with the contemporary issues of pursuing diversity, the tendency from being regular to being irregular. architecture follows laws that govern the composition of plans, Forms and spaces. When constructed according to these laws, the architecture gains order and Formativeness. As the existence of a museum itself has value as a landmark of a city, it requires formativeness in its form and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loor plan and form of modern museum architecture which evolves,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performing various cultural, social, and educational functions, beyond just exhibition spac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ypes of museum in the modern architecture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literature and precedent studies, and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construction through various types of analysis on museum construction forms and types after 2000. The major cases analyzed were the 40 cases of museums pursuing various architectural forms including deconstructivism, such as the Guggenheim Museum Bilbao and Louvre Abu Dhabi. The standards for analyzing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1)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plans that these museums have were compared according to floor plan systems (geometric composition, angulate composition, linear composition, concentric composition). and 2) Formal characteristics of museum architecture (geometry, asymmetry, organic, transparency, Material complexity, Local context, Traditional convergence, sustainability) Results of analyzing the plane and shape of each work, The planes of museum architecture are most often those with geometric characteristics and concentric circle characteristics. the most comm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geometry, asymmetry, and organicity. It means that the geometric plane is revealed as its form or that the geometric plane is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as it is realized in form. And, based on its own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geometric composition system is used appropriately in line with a museum’s purpose and design concept; centralized floor plan system (concentric and circular) emphasizes central spaces and concentrates in the form of a cylinder; diagonal composition provides strong directionality; the floor plan system of organic composition pursues unique architectural forms through creative and organic forms. Thes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enhance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values of museum architecture and the tendency of modern construction type of museum, organization methods of plan and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come a basic resource to suggest more various construction types in the design stage for the museum form generation.

      • KCI등재후보

        남해안지역 연해읍성의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

        이일갑 ( Il Gab Lee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8 文物硏究 Vol.- No.13

        연해읍성에서 확인되는 평면형태는 조선시대 이전시기의 치소성에 해당하는 마산 회원현성, 부산 당감동성, 울주 화산리성, 동래고읍성 등의 성곽들에서 계승 발전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해읍성의 평면형태는 크게 방형, 원형, 주형, 제형의 4형식으로 나누어진다. 입지유형에 있어서 방형의 경우는 모두 평지성으로 축조되어 있으며, 제형과 원형의 경우에는 평산성으로 축조되어 있고, 주형의 경우에도 역시 대부분 평산성으로 축조되어 있다. 또한 남해안 연해읍성의 경우 제형의 평면형태로 축조된 읍성의 수는 극소수에 불과하며, 성둘레 역시 내륙읍성 및 여타지역의 읍성에 비해 작다. 오히려 주형이 다수를 차지하며 축조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유는 내륙지역 읍성과 여타지방의 읍성의 경우에는 전시대의 토성 내지 석성을 재수축하여 사용하는 토성→석축화 작업이 진행되면서 기존의 체성부를 확대 및 개축한 것인데 반해 연해읍성의 경우에는 조선의 개국 이후 축조되는 신축읍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때 신축읍성의 경우에는 입지를 고려한 지형조건에 더하여 유교적 신분질서의 확립과 중앙의 지방에 대한 통치권의 확립 및 군사방어체계의 개편에 따른 행정단위의 위계질서에 맞는 읍성 체성부 평면형태를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풍수지리사상에 의한 읍성의 취약한 풍수의 기운을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형식의 읍성 평면형태를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남해안 연해읍성의 경우는 제형이 가장 빠른 평면형태로 확인되고 아울러 주형 역시 동시기에 축조되고 있으며 조선 전기 후반으로 갈수록 제형과 주형이 혼용되어 축조되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남해안 연해읍성은 상위행정단위에 속하는 읍성의 평면형태가 주형으로 축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전기에 연해읍성 축조에는 주형이 유행하던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연해읍성 평면형태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또 하나는 해당성곽에 입보하여 농성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인력에 따라 성곽의 평면형태가 달라질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연해읍성 가운데 30,000명 이상의 호구수를 가진 군현에 축조된 읍성 평면형태는 주형이 과반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연해읍성은 평면형태의 비교에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동일한 시기의 여타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도 단일한 축성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남해안 연해지역이 대왜구 최일선 전략적 거점으로서 그 군사적인 기능으로 인해 국가로부터 엄격한 축성관리를 받으며 일관되게 축성사업이 진행되었던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아울러 지형조건에 따라 읍성 평면형태가 결정되었다기 보다는 규식에 맞는 지형을 심정하여 정해진 읍성형태 가운데서 선택하여 읍성을 축조케한 제식적인 규식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flat formation found in the coastal town walls were succeeded and developed afterward and we can see them in Masan hoewonhyeon castle, which was governing castle before Joseon Dynasty period, Busan Danggamdong castle, Ulju whasanri castle, and Dongrae goeup castle. The flat formation in coastal town wall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largely as square, round, ark, and trapezoid shape. As for location, the square shape was built on flat castle, the trapezoid and the round shapes were built on flat with mountain castle, and most of ark shape also was built on flat with mountain castle. In the case of coastal town walls in south coast, the town walls built with flat formation of trapezoid are few and the girth of the walls also smaller than that of land town and the others. Rather most of them had the ark shape. In the case of the land town walls and others, they were added or reconstructed to the precedent castle walls on the way of change working from soil walls to stone ones. However in the case of coastal town walls, most of them were built newly after opening Joseon Dynasty and then they were considered with the idea of establishing Confucian social status system and sovereign power of central government over local province and rank order of administrative unit accordant to reorganizing military defense system as well as their topographic condition. And also the reason that they had the new type of flat formation was to cover their weak energy said by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In the case of south coastal town walls, the trapezoid shape was the earliest flat formation and also the ark shape was made in the same period but their formation became changed by combining both shapes as it went to the age of latter part of earlier Joseon Dynasty. And also in the case of the high governmental status' unit in South coastal town, their walls' flat formation had the ark shape. Therefore the ark shape can be said the popular pattern in coastal town walls in the earlier Joseon Dynasty. Another thing to be considered in the flat formation of coastal town walls is that it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n who could enter together and its capacity to accommodation. Especially among the coastal town walls, the flat formation built in Gun and Hyeon with over 30,000 houses had the ark shape in majority. Therefore as shown in the comparing flat formations, the coastal town walls had a single construction pattern comparing to the others in the same period and it seemed from its topographic condition. The area was the strategic base in forefront place against Japan so owing to its military function, the walls construction was proceeded with consistency and stern control by the nation. And there was a ritual rule to construct town castle walls by selecting land shapes suitable to the rule among arranged ones rather than determining the flat formation according to the topographic condition.

      • KCI등재

        공항규모별 여객터미널 평면형태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박정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6

        21세기의 공항여건에 적합한 기존 공항 인프라 확충 및 신공항계획시 건축계획적인 측면에서 공항 터미널 평면형태 유 형에 관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 15개 공항과 해외 60개 공항의 터미널 평면형태 유형을 사례조사 하 였다. 사례조사 결과 국내공항은 인천공항은 운송형(Transporters Type)터미널, 김포, 김해, 제주공항은 선형(Linear Type)터 미널, 그 외 지방 공항은 단순형(Simple Type)터미널로 조사되었다. 또한 해외공항의 경우 중대형 규모의 공항은 피어 형과 선형터미널이 8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형공항은 피어형터미널이 70%이상이며 초대형공항은 혼합형(Hybrid Type)이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도 향후 제주공항과 김해공항이 시설 확충이나 신공항계획시 예상되 는 여객수요를 고려한다면 피어형 또는 피어형과 선형의 혼합형 터미널이 적합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전남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의 변천양상

        이정민 호남고고학회 2020 湖南考古學報 Vol.64 No.-

        본고는 전남지역에서 확인된 고려시대 기와가마를 형식 분류하고 분기 설정을 통해 변천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분기별 출토 기와의 특징을 정리하고 기와가마의 구조적 변화 배경을 추론하였다. 시간성을 반영하는 유효한 속성은 소성실의 평면형태, 화구~연소실의 평면형태와 종단면형태이다. 소성실 평면형태는 제형→주형·장제형, 화구~연소실 평면형태는 방형→역제형·역철형, 화구~연소실 종단면형태는 내외평탄형→외고내저형으로 변화한다. 전남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는 구조적 속성들의 등장과 소멸을 기준으로 크게 4분기로 구분할 수 있다. 1기(10세기 전반~10세기 후반)는 소성실 평면형태가 사두형과 제형, 화구~연소실 평면형태는 방형·역제형·역철형, 화구~연소실 종단면형태는 내외평탄형이다. 기와는 어골문이 본격적으로 사용되며 수키와는 토수기와만 출토된다. 2기(11세기 전반~12세기 중반)는 소성실 평면형태가 방형으로 사두형이 소멸한다. 가마 내부에서는 어골문, 복합문(어골문+차륜문) 등이 출토되며 토수기와와 미구기와가 공반된다. 3기(12세기 후반~13세기 후반)는 길이가 400㎝ 이상인 주형과 장제형의 소성실 평면형태와 외고내저형의 화구~연소실 종단면형태가 등장한다. 이 시기에는 기와 전용요만 확인되며 토수기와는 현저하게 줄어들고 미구기와가 증가한다. 4기(14세기)는 제형의 소성실 평면형태가 소멸하고 외고내저형의 종단면형태 비율이 증가한다. 기와는 어골문과 변형어골문이 대부분이며 토수기와는 소멸하고 미구기와만 확인된다. 기와가마는 기와에 대한 수요에 따라 생산이 이루어지므로 기와가마의 변천은 당시 사회의 변화모습을 잘 보여준다. 통일신라시대 지방호족의 영입으로 건국된 고려의 특성상 1기에는 통일신라적 전통이 유지되다가 2기에는 고려 관영수공업 체제가 확립되어 정형화된다. 그러나 3기부터 시작된 정치·사회적 불안정으로 관영수공업은 점차 약화되고 사원 중심으로 운영되며, 수요 증가에 따라 기와가마의 규모는 점차 커지게 된다.

      • KCI등재

        형태학적 개념을 활용한 조선시대 고산현의 도시형태 변천과정 해석

        이경찬 ( Kyung Chan Lee ),강인애 ( In Ae Ka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는 조선시대 읍치로부터 성장한 지방 소도읍의 하나인 고산을 대상으로 형태학적 개념과 연계하여 도시의 형성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형태구조와 도시평면 변화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해보고 시기별 형태특성을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산의 도시형태 분석을 위하여 콘젠과 카니지아가 설정한 도시형태 분석개념을 토대로 형태구조, 도시평면, 경로체계, 개발규정선, 전이지대, 중심지구, 평면단위, 형태시기, 브레이크 포인트, 자투리필지, 유휴지, 사유화 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고산현시대에 골격이 형성된 고산의 도시형태 변천과정에는 도시형태 형성-구시가(kernel)의 형태구조 해체 재편-중심지구(epidome district)의 형성 발달-확장형 충진-중심지구 확장 재편으로 이어지는 순환적 사이클이 존재하고 있다. 공공사업은 고산의 형태구조와 도시평면의 변화를 주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초기 단계 고산의 형태적 변화과정에는 간선경로로서 구시가(kernel)을 관통하며 개설된 신작로(고산로)와 이를 연결하는 계획로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작로 개설을 계기로 T(十)자형 골격도로체계를 바탕으로 구시가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던 관아시설구역의 평면단위가 소블록 단위의 개방형 평면단위로 전이되었다. 이와 더불어 신작로와 시장 경계도로를 따라 상가가 들어서면서 선형의 평면단위를 지니는 노선상가와 시장이 어우러진 근대적 중심지구를 형성하게 되었다.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own plan of Gosan-up(高山), which was provincial administrative focus town in Josun dynasty, basing on morphological viewpoint. Morphological concepts, such as morphological frame, urban plan, kernel, colonization, route system, fixation line, fringe belt, plan unit & plan division, morphological period derived from the study of Conzen, M.R.G. and Caniggia, G. epidome district, break point, broken plot, urban fallow, privatization are adopted for the interpretation of urban form. 5) Morphological period of Gosan can be divided in four ; formation of kernel & morphological structure, disintegration & redevelopment of the kernel, augmentative development of the kernel & formation of modern epidome district, outwards expanding of urbanized area, transition & reorganization of epidome district. Especially public leading projects such as construction of new regional connection road and public facilities such as myeon(township) office, agricultural cooperatives federation office, market, are main factors of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of townplan. In the early stage,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construction of the new matrix route(Gosan-ro) through the kernel and followed planned routes gave way to disintegrating traditional areal plan unit and forming small block plan units in administrative facilities area. And linear plan units with commercial buildings were formed along the new matrix route and planned route adjacent to periodical market. In the latter stage, with development of public facilities, private sectors` large circulation institution and terminal outside the kernel with planned routes formed areal block based plan units with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And part of the spatial area with the linear plan unit were turned into urban fallow. With the transformation of town plan, new roads outside the kernel have substituted for traditional fixation line of waterway with road and topographical feature. Fringe belts were made successively along the new road and around the major intersections outside of existing urbanized area. Land use in fringe belts, constituting of outer locational tendency early on formation, was gradually replaced with commercial & business buildings.

      • KCI등재

        전남지역 조선시대 기와가마의 변천양상

        이정민(Jeongmin Lee)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7 No.-

        본고는 전남지역에서 확인된 조선시대 기와가마를 형식 분류하고 분기 설정을 통해 변천과정과 그 배경을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기와가마는 형식학적으로 연속적인 변화상을 보이는데 시간성을 반영하는 유효한 속성은 소성실 평면형태와 단면형태, 연소실 측벽 단 시설의 유무이다. 소성실 평면형태는 Ⅰ형(주형)→Ⅱ형(장제형)→Ⅲ형(세장방형)으로, 단면형태는 계단이 없는 것→계단이 있는 것으로, 연소실 측벽 단 시설은 A형(유)→B형(무)으로 변화한다. 전남지역 조선시대 기와가마는 새로운 양식의 등장과 소멸을 기준으로 크게 4분기로 구분할 수 있다. 1기는 14세기 후반~15세기 전반으로 소성실의 평면형태가 주형이거나 장제형이고 연소실 측벽단 시설이 확인되는데 고려시대 기와가마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2기는 15세기 중반~16세기 전반으로 세장방형의 소성실 평면형태가 등장하고 불턱 높이와 소성실 경사도가 높아진다. 민간차원의 기와 생산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형식의 가마들이 운영되는 시기이다. 3기는 16세기 중반~17세기 중반으로 주형의 소성실 평면형태가 소멸하고 소성실 계단 시설과 외구가 등장하는 시기이다. 양란으로 인한 정치·사회적 혼란과 빈번한 자연재해로 인해 사회기반시설의 재건을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대량 생산체계로 진입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4기는 17세기 후반~19세기 후반으로 장제형의 소성실 평면형태와 연소실 측벽 단 시설이 소멸한다. 이 시기는 정치·경제·사회적 중흥기로 지방에 서원 등 유교건축물들이 활발하게 건립되고, 자연재해 및 전란으로 소실된 각종 건축물의 중수를 위해 대량 생산에 최적화된 가마 형식들로만 운영된다. 이러한 기와가마의 형식변천은 당시 정치·사회·문화적인 요인과 관련되며 생산량의 증대와 노동력의 절감을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classify types of the roof-tile kilns in Joseon dynasty discovered from Jeonnam area for understanding the typological change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Plane shape and section shape of firing chamber and existence of stairway in related to a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were significant as attributes for classifying the forms of roof-tile kilns in Joseon dynasty. Plane shape of firing chamber changed in sequence TypeⅠ(ship-shaped)→TypeⅡ(long ladder-shaped)→TypeⅢ(slender square-shaped). The section shape of firing chamber changed in sequence stepped structure→non-stepped structure. The existence of stairway in related to a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changed in sequence Type A(existence)→Type B(nonexistence). The roof-tile kilns of Jeonnam area in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four subperiods. During Period 1, the late 14th to the early 15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of-tile kilns were inherited from Gorye dynasty. In Period 2, the mid 15th to early 16th century, diverse roof-tile kilns were operated by private production. In Period 3, the mid 16th to mid 17th century, mass production system was established for reconstructing infrastructure which had collapsed by natural disaster and Japanese invasion in twice. In Period 4, the late 17th to late 19th century, which i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renaissance, mass production system arrive at a perfection for active constructing Seowon and Sawoo in local areas and rebuilding various structures which had been destroyed by natural disaster and war. Therefore, the typological change of roof-tile kilns seems to be involved i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especially efforts to increase production and reduce labor.

      • KCI등재

        종합병원 병동부 평면 형태에 따른 연간 냉난방부하 비교분석

        심재헌,박창배,윤성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부지방 서울과 남부지방 부산 두 대도시의 종합병원 병동부의 연간 냉난방부하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디자인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인 초기설계단계의 해석모델을 OpenStudio에서 형태(-), 형태(T), 형태(L), 형태(Y), 형태(□) 네 가지 모델로 정의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정동향을 기준으로 5°씩 회전하여 정서향 180°까지 총 37개의 방위각 변수를 이용, 중부지방 서울지역과 남부지방 부산지역의 냉방부하와 난방부하를 분석을 통해 연간 냉난방부하를 비교분석을 통해 정남향 형태(-)을 기준으로 중부지방의 경우 최대 101.75%에서 최소 100.57%의 냉난방부하 차이를 확인하였고 남부지방에서는 최대 102.29%에서 최소 100.68%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yearly heating and cooling load for the ward area of large hospitals in two metropolitan cities, Seoul at the central region and Busan at the southern region in Korea. Since an initial design stag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art of building design in reducing energy consumption, this study develops OpenStudio models to calculate energy load in the initial design stage, while mainly focusing on 37 building orientations in four plan types such as type -, type T, type L, and type 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OpenStudio simulation model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est plan type at each orientation case which decreases energy load for the ward area. On the basis of a southward direction,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yearly heating and cooling loads vary from 100.57% to 101.75% at the central region and from 100.86% to 102.29% at the southern region.

      • KCI등재

        사무소 건축의 기준층 평면 효용성에 관한 연구

        김영선,김용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1 No.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s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 of critical planning factors and floor efficiency rates in office buildings, such as typical floorplate shapes, core types, leasing spans, floor-to-ceiling heights, HVAC systems and structure, in order so as to interpret how each planning factor has an effect on the efficiency of typical floors. For this study, the target buildings to be researched are confined to the city of Seoul and which have been constructed solely as an office building. The main reason for these conditions is that mixed-use buildings can be reflected differently in terms of planning factors to single use office buildings. In addition, the research area is confined to Seoul so as to avoid any influential factors from regional characteristics as different applications of local ordinance and review criteria. Furthermore, the office floor numbers are restricted to more than eleven floors based on the fire escape law applications in Korea. With these critical factors in place, forty four office buildings are to be examined and analysed respectively. Through this examination and analysation, this study will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main critical factors of an office building effecting its efficiency are an identical shape of ‘ ㅁ’ for the typical floorplate and core shape, 10-15m leasing span, a decentralised HVAC system and SRC structural system in order of priority.

      • KCI등재

        마한 주거 구조의 지역성

        김은정(Kim Eun Jung) 중앙문화재연구원 2017 중앙고고연구 Vol.0 No.24

        This article analyzes the structure of Mahan residential settlements in Honam area specifically to examin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The area was subdivided into 18 loci on the basis of natural boundaries, historical literature, previous research, and distribution pattern of residential settlement sites. Analysis of the residential structure was based on the layout, column arrangement, cooking facilities, and elliptical pit-house. The surface dimension of the residential structure is largely divided by the eastern (circle type) and the western (square type) Honam area. Especially in the middle of the River Sumjin, Sooncheon Bay and Gwangyang Bay, the circle-type residential settlement has been predominant, while the western area is predominantly square-type houses, which gradually spread to the east. Up to now, the upstream of River Sumjin has been classified as Honam East with according cultural aspects have been assumed. It was found, however, that the residential layout is all square-type, and the excavated artifacts are stylishly similar to that of the west (southern area of River Mangyeong), different from the eastern residential culture. In other words, the Mahan settlement in the upper part of River Sumjin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western part. The squaretype residential structure is sub-divided into square, rectangular and narrow rectangular types according to the length ratio. The area located near the southwest coast is most likely square type, but the inland area far from the coast is predominantly rectangular and narrow rectangular houses. The distribution of the square type residential house is similar to that of the four-pillar residential structure. It can be assumed that a specific residential type is closely related to the upper structure or the building technology. The pillar and the pot basin are general cooking facili ties and usually found in the Honam area. Jangran-type earthenware was mainly used as a pillar, and is widespread in River Dongjin area in the western part of Honam. It is believed that both stone and ceramic pottery are used for pot basin, but in the west coast ceramic pottery was preferably used. It has been difficult to define the function of long elliptical pit-houses. Several inferences can be made on the basis of a careful review of settlement data. First, it might have been the lower part of a house to climb to the upper space of the house (shelf or multi-story structure). Second, it might have been an entrance (stairs or ladders) of the pit house. Changes through time in the Mahan residential structure in Honam area can be observed through the surface dimension, cooking facilities, and the column arrangement. Based on these elements, Mahan residential are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Phase I is the formation period of the Mahan residential structure (around the mid 2nd century to the early or late 3rd century), e.g., the appearance of the clay wood-burning stove in the western area. Phase II is the period of changes in the residential settlement formed in the first phase, subdivided into Ila, first half of the 3rd century and early 4th century; and IIb,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to the late 4th century. In Ila, the four-pillar residential struture appeared in the western area, followed by square type houses in the eastern part of River Boseong area, Yeoja bay and Goheung peninsula. In IIb, four-pillar residential settlements are found in the eastern part. Phase III is a period when the new culture (e.g., stone wood-burning stove and tunnel-shaped heating system) spread into Mahan area through interactions with Baekje, Gaya, and other neighboring areas, and influenced the residential structure from the early 5th century to the late 5th century and early 6th century. Four-pillar type houses are spread throughout the eastern area in this period. 이 글에서는 호남지역 마한 주거지의 구조를 정밀 분석하여 세부권역별 특징 및 변화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세부권역은 자연경계와 문헌자료, 기존의 연구 성과, 주거유적의 분포 및 현황을 통해 총 18개소로 설정할 수 있었으며, 주거 구조의 분석은 평면형태, 기둥배치, 취사시설, 장타원형수혈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주거 평면형태는 크게 호남 동부(원형계)와 서부(방형계)로 대별된다. 특히 섬진강중류권, 순천만·광양만권에서는 원형계 주거지가 높은 빈도로 확인되며, 서부지역은 방형계 일색이지만 점차 동부로 확산된다. 섬진강상류권은 지금까지 호남 동부로 분류되었고 문화양상도 그러하리라 단정되어왔다. 하지만 주거 평면형태가 모두 방형이며 출토유물의 양상이 서부(만경강남부권)와 매우 흡사하여, 동부의 주거 문화와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섬진강상류권의 마한 주거지는 서부지역과 보다 밀접히 관련된다. 평면 방형계 주거지는 장단비에 따라 방형·장방형·세장방형으로 세분된다. 서·남해안과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은 방형이 디수를 점하지만, 해안에서 먼 내륙지역은 주로 장방형·세장방형 주거지가 분포한다. 이와 같은 방형계 주거지의 분포는 4주식주거지 분포권과 유사하며, 이를 통해 주거 세부 평면형태가 상부구조나 건축 기술과 밀접히 관련됨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지주와 솥받침은 취사시설의 세부 구조물로 호남지역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지주는 장란형토기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호남 서부의 동진강권에서 집중 발견된다. 솥받침은 석재와 토제가 모두 사용되는데, 서해안 인접지역에서는 토제 솥받침을 선호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장타원형수혈은 그 동안 기능을 단정하기 어려웠으나 주거 자료의 세밀한 검토를 통해 추측이 가능하였다. 첫째는 주거지의 상부 공간(선반 또는 복층 구조의 시설물)에 오르기 위한 매개체(懸梯)의 하단부가 놓였던 부분(支持穴)으로 추정된다. 둘째는 수혈주거지의 출입을 위한 시설(계단 또는 사다리)이 놓였던 흔적일 가능성이 높다. 호남지역에서 마한 주거 구조를 통해 변화상을 살필 수 있는 지표는 평면형태, 취사시설, 기둥배치이다. 이를 바탕으로 마한 주거지는 3기로 분기 설정이 가능하였다. Ⅰ기는 서부지역에 점토부뚜막이 등장하는 등 마한 주거 구조의 형성기(2세기 중반∼3세기 전후)라 할 수 있다. Ⅱ기는 Ⅰ기에 형성된 마한 주거지가 변화·발전하는 시기 이다(Ⅱ a기 : 3세기 전반∼4세기 초반, Ⅱ b기 : 4세기 전반∼4세기 후반), Ⅱ a기에는 4주식주거지가 서부지역에 먼저 등장하고, 방형계 주거지가 동부의 보성 강권과 여자만·고흥반도권에 나타난다. Ⅱ b기가 되면 동부에서도 4주식주거지가 발견된다. Ⅲ기는 백제·가야 등 주변지역과의 상호 교류를 통해 마한지역에 새로운 문화(석재부뚜막, 쪽구들 등)가 유입되고, 주거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시기(5세기 전반∼5세기 말·6세기 초반)라 할 수 있다. 이 시기 동부 전역으로는 4주식주거지가 확산된다.

      • KCI등재

        토성(土城)의 공간구조 특성 연구

        이상석 ( Lee Sang Seok ),장미란 ( Jang Mi Ran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형에 의한 입지, 평면 및 단면 형태 등 토성의 공간구조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사적이나 시도기념물로 지정된 37개소의 토성을 대상으로 문헌연구, 현장조사, 지형자료조사, 지형과 공간구조와의 관계 분석이 이루어졌다. 토성의 공간구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지형 토성은 강이나 천과 같은 수계와 인접하였으며, 토성의 평면 형태는 정형적이었으며, 토루의 단면 형태는 단일경사의 사다리꼴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구릉지형 토성은 1.5km이하의 근거리에 수계가 존재하는 곳이 70%이상을 차지했다. 평면 형태는 부정형이 73%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토루의 단면 형태는 테두리형과 산탁형이 86%이상을 차지하였다. 셋째, 산지형 토성은 1.5km이하의 근거리에 수계가 존재하는 곳이 59%이하로 평지형이나 구릉지형에 비해 외부 수계 의존도가 낮았다. 평면 형태는 부정형이 67%이상으로 주류를 이루었으며, 토루의 단면 형태는 단일경사방식의 테두리형과 산탁형이 94%이상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based on topography, which are locational and Plane morphology, Cross sections of earthworks. Target areas of this study are 37 earthen walled fortresses which are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methodologies of literature review, field investigation, investigation on topography materials and relation analyses of topography&spatial structure. The results from study on spatial structure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are as follows. First, Earthen walled fortresses on flat topography were adjacent to water systems like rivers or streams. Plane morphology showed regular shapes. The cross section morphology presented trapezoid the most with earthworks of which outer and inner walls were built. Second, More than 70%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on hilly topography had water system within close range of approximately 1.5km. Plane morphology was mainly with more than 73% of irregular types. Cross sections of earthworks were of morphology with more than 86% of bordered type and another type leaning against existing topography like mountains. Third, 59% of earthen walled fortresses in mountain areas had water system within their close range, which indicated that they depended on external water system less than those with hilly topography. Plane morphology was mainly with more than 67% of irregular types. Cross sections of earthworks were of monoslope method with more than 94% of bordered type and another type leaning against mount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