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남해안지역 연해읍성의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

        이일갑 ( Il Gab Lee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8 文物硏究 Vol.- No.13

        연해읍성에서 확인되는 평면형태는 조선시대 이전시기의 치소성에 해당하는 마산 회원현성, 부산 당감동성, 울주 화산리성, 동래고읍성 등의 성곽들에서 계승 발전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해읍성의 평면형태는 크게 방형, 원형, 주형, 제형의 4형식으로 나누어진다. 입지유형에 있어서 방형의 경우는 모두 평지성으로 축조되어 있으며, 제형과 원형의 경우에는 평산성으로 축조되어 있고, 주형의 경우에도 역시 대부분 평산성으로 축조되어 있다. 또한 남해안 연해읍성의 경우 제형의 평면형태로 축조된 읍성의 수는 극소수에 불과하며, 성둘레 역시 내륙읍성 및 여타지역의 읍성에 비해 작다. 오히려 주형이 다수를 차지하며 축조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유는 내륙지역 읍성과 여타지방의 읍성의 경우에는 전시대의 토성 내지 석성을 재수축하여 사용하는 토성→석축화 작업이 진행되면서 기존의 체성부를 확대 및 개축한 것인데 반해 연해읍성의 경우에는 조선의 개국 이후 축조되는 신축읍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때 신축읍성의 경우에는 입지를 고려한 지형조건에 더하여 유교적 신분질서의 확립과 중앙의 지방에 대한 통치권의 확립 및 군사방어체계의 개편에 따른 행정단위의 위계질서에 맞는 읍성 체성부 평면형태를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풍수지리사상에 의한 읍성의 취약한 풍수의 기운을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형식의 읍성 평면형태를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남해안 연해읍성의 경우는 제형이 가장 빠른 평면형태로 확인되고 아울러 주형 역시 동시기에 축조되고 있으며 조선 전기 후반으로 갈수록 제형과 주형이 혼용되어 축조되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남해안 연해읍성은 상위행정단위에 속하는 읍성의 평면형태가 주형으로 축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전기에 연해읍성 축조에는 주형이 유행하던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연해읍성 평면형태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또 하나는 해당성곽에 입보하여 농성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인력에 따라 성곽의 평면형태가 달라질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연해읍성 가운데 30,000명 이상의 호구수를 가진 군현에 축조된 읍성 평면형태는 주형이 과반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연해읍성은 평면형태의 비교에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동일한 시기의 여타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도 단일한 축성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남해안 연해지역이 대왜구 최일선 전략적 거점으로서 그 군사적인 기능으로 인해 국가로부터 엄격한 축성관리를 받으며 일관되게 축성사업이 진행되었던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아울러 지형조건에 따라 읍성 평면형태가 결정되었다기 보다는 규식에 맞는 지형을 심정하여 정해진 읍성형태 가운데서 선택하여 읍성을 축조케한 제식적인 규식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flat formation found in the coastal town walls were succeeded and developed afterward and we can see them in Masan hoewonhyeon castle, which was governing castle before Joseon Dynasty period, Busan Danggamdong castle, Ulju whasanri castle, and Dongrae goeup castle. The flat formation in coastal town wall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largely as square, round, ark, and trapezoid shape. As for location, the square shape was built on flat castle, the trapezoid and the round shapes were built on flat with mountain castle, and most of ark shape also was built on flat with mountain castle. In the case of coastal town walls in south coast, the town walls built with flat formation of trapezoid are few and the girth of the walls also smaller than that of land town and the others. Rather most of them had the ark shape. In the case of the land town walls and others, they were added or reconstructed to the precedent castle walls on the way of change working from soil walls to stone ones. However in the case of coastal town walls, most of them were built newly after opening Joseon Dynasty and then they were considered with the idea of establishing Confucian social status system and sovereign power of central government over local province and rank order of administrative unit accordant to reorganizing military defense system as well as their topographic condition. And also the reason that they had the new type of flat formation was to cover their weak energy said by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In the case of south coastal town walls, the trapezoid shape was the earliest flat formation and also the ark shape was made in the same period but their formation became changed by combining both shapes as it went to the age of latter part of earlier Joseon Dynasty. And also in the case of the high governmental status' unit in South coastal town, their walls' flat formation had the ark shape. Therefore the ark shape can be said the popular pattern in coastal town walls in the earlier Joseon Dynasty. Another thing to be considered in the flat formation of coastal town walls is that it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n who could enter together and its capacity to accommodation. Especially among the coastal town walls, the flat formation built in Gun and Hyeon with over 30,000 houses had the ark shape in majority. Therefore as shown in the comparing flat formations, the coastal town walls had a single construction pattern comparing to the others in the same period and it seemed from its topographic condition. The area was the strategic base in forefront place against Japan so owing to its military function, the walls construction was proceeded with consistency and stern control by the nation. And there was a ritual rule to construct town castle walls by selecting land shapes suitable to the rule among arranged ones rather than determining the flat formation according to the topographic condition.

      • KCI등재

        공항규모별 여객터미널 평면형태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박정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6

        21세기의 공항여건에 적합한 기존 공항 인프라 확충 및 신공항계획시 건축계획적인 측면에서 공항 터미널 평면형태 유 형에 관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 15개 공항과 해외 60개 공항의 터미널 평면형태 유형을 사례조사 하 였다. 사례조사 결과 국내공항은 인천공항은 운송형(Transporters Type)터미널, 김포, 김해, 제주공항은 선형(Linear Type)터 미널, 그 외 지방 공항은 단순형(Simple Type)터미널로 조사되었다. 또한 해외공항의 경우 중대형 규모의 공항은 피어 형과 선형터미널이 8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형공항은 피어형터미널이 70%이상이며 초대형공항은 혼합형(Hybrid Type)이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도 향후 제주공항과 김해공항이 시설 확충이나 신공항계획시 예상되 는 여객수요를 고려한다면 피어형 또는 피어형과 선형의 혼합형 터미널이 적합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전남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의 변천양상

        이정민 호남고고학회 2020 호남고고학보 Vol.64 No.-

        본고는 전남지역에서 확인된 고려시대 기와가마를 형식 분류하고 분기 설정을 통해 변천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분기별 출토 기와의 특징을 정리하고 기와가마의 구조적 변화 배경을 추론하였다. 시간성을 반영하는 유효한 속성은 소성실의 평면형태, 화구~연소실의 평면형태와 종단면형태이다. 소성실 평면형태는 제형→주형·장제형, 화구~연소실 평면형태는 방형→역제형·역철형, 화구~연소실 종단면형태는 내외평탄형→외고내저형으로 변화한다. 전남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는 구조적 속성들의 등장과 소멸을 기준으로 크게 4분기로 구분할 수 있다. 1기(10세기 전반~10세기 후반)는 소성실 평면형태가 사두형과 제형, 화구~연소실 평면형태는 방형·역제형·역철형, 화구~연소실 종단면형태는 내외평탄형이다. 기와는 어골문이 본격적으로 사용되며 수키와는 토수기와만 출토된다. 2기(11세기 전반~12세기 중반)는 소성실 평면형태가 방형으로 사두형이 소멸한다. 가마 내부에서는 어골문, 복합문(어골문+차륜문) 등이 출토되며 토수기와와 미구기와가 공반된다. 3기(12세기 후반~13세기 후반)는 길이가 400㎝ 이상인 주형과 장제형의 소성실 평면형태와 외고내저형의 화구~연소실 종단면형태가 등장한다. 이 시기에는 기와 전용요만 확인되며 토수기와는 현저하게 줄어들고 미구기와가 증가한다. 4기(14세기)는 제형의 소성실 평면형태가 소멸하고 외고내저형의 종단면형태 비율이 증가한다. 기와는 어골문과 변형어골문이 대부분이며 토수기와는 소멸하고 미구기와만 확인된다. 기와가마는 기와에 대한 수요에 따라 생산이 이루어지므로 기와가마의 변천은 당시 사회의 변화모습을 잘 보여준다. 통일신라시대 지방호족의 영입으로 건국된 고려의 특성상 1기에는 통일신라적 전통이 유지되다가 2기에는 고려 관영수공업 체제가 확립되어 정형화된다. 그러나 3기부터 시작된 정치·사회적 불안정으로 관영수공업은 점차 약화되고 사원 중심으로 운영되며, 수요 증가에 따라 기와가마의 규모는 점차 커지게 된다.

      • KCI등재

        전남지역 조선시대 기와가마의 변천양상

        이정민(Jeongmin Lee)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7 No.-

        본고는 전남지역에서 확인된 조선시대 기와가마를 형식 분류하고 분기 설정을 통해 변천과정과 그 배경을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기와가마는 형식학적으로 연속적인 변화상을 보이는데 시간성을 반영하는 유효한 속성은 소성실 평면형태와 단면형태, 연소실 측벽 단 시설의 유무이다. 소성실 평면형태는 Ⅰ형(주형)→Ⅱ형(장제형)→Ⅲ형(세장방형)으로, 단면형태는 계단이 없는 것→계단이 있는 것으로, 연소실 측벽 단 시설은 A형(유)→B형(무)으로 변화한다. 전남지역 조선시대 기와가마는 새로운 양식의 등장과 소멸을 기준으로 크게 4분기로 구분할 수 있다. 1기는 14세기 후반~15세기 전반으로 소성실의 평면형태가 주형이거나 장제형이고 연소실 측벽단 시설이 확인되는데 고려시대 기와가마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2기는 15세기 중반~16세기 전반으로 세장방형의 소성실 평면형태가 등장하고 불턱 높이와 소성실 경사도가 높아진다. 민간차원의 기와 생산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형식의 가마들이 운영되는 시기이다. 3기는 16세기 중반~17세기 중반으로 주형의 소성실 평면형태가 소멸하고 소성실 계단 시설과 외구가 등장하는 시기이다. 양란으로 인한 정치·사회적 혼란과 빈번한 자연재해로 인해 사회기반시설의 재건을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대량 생산체계로 진입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4기는 17세기 후반~19세기 후반으로 장제형의 소성실 평면형태와 연소실 측벽 단 시설이 소멸한다. 이 시기는 정치·경제·사회적 중흥기로 지방에 서원 등 유교건축물들이 활발하게 건립되고, 자연재해 및 전란으로 소실된 각종 건축물의 중수를 위해 대량 생산에 최적화된 가마 형식들로만 운영된다. 이러한 기와가마의 형식변천은 당시 정치·사회·문화적인 요인과 관련되며 생산량의 증대와 노동력의 절감을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classify types of the roof-tile kilns in Joseon dynasty discovered from Jeonnam area for understanding the typological change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Plane shape and section shape of firing chamber and existence of stairway in related to a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were significant as attributes for classifying the forms of roof-tile kilns in Joseon dynasty. Plane shape of firing chamber changed in sequence TypeⅠ(ship-shaped)→TypeⅡ(long ladder-shaped)→TypeⅢ(slender square-shaped). The section shape of firing chamber changed in sequence stepped structure→non-stepped structure. The existence of stairway in related to a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changed in sequence Type A(existence)→Type B(nonexistence). The roof-tile kilns of Jeonnam area in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four subperiods. During Period 1, the late 14th to the early 15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of-tile kilns were inherited from Gorye dynasty. In Period 2, the mid 15th to early 16th century, diverse roof-tile kilns were operated by private production. In Period 3, the mid 16th to mid 17th century, mass production system was established for reconstructing infrastructure which had collapsed by natural disaster and Japanese invasion in twice. In Period 4, the late 17th to late 19th century, which i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renaissance, mass production system arrive at a perfection for active constructing Seowon and Sawoo in local areas and rebuilding various structures which had been destroyed by natural disaster and war. Therefore, the typological change of roof-tile kilns seems to be involved i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especially efforts to increase production and reduce labor.

      • KCI등재

        종합병원 병동부 평면 형태에 따른 연간 냉난방부하 비교분석

        심재헌,박창배,윤성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부지방 서울과 남부지방 부산 두 대도시의 종합병원 병동부의 연간 냉난방부하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디자인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인 초기설계단계의 해석모델을 OpenStudio에서 형태(-), 형태(T), 형태(L), 형태(Y), 형태(□) 네 가지 모델로 정의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정동향을 기준으로 5°씩 회전하여 정서향 180°까지 총 37개의 방위각 변수를 이용, 중부지방 서울지역과 남부지방 부산지역의 냉방부하와 난방부하를 분석을 통해 연간 냉난방부하를 비교분석을 통해 정남향 형태(-)을 기준으로 중부지방의 경우 최대 101.75%에서 최소 100.57%의 냉난방부하 차이를 확인하였고 남부지방에서는 최대 102.29%에서 최소 100.68%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yearly heating and cooling load for the ward area of large hospitals in two metropolitan cities, Seoul at the central region and Busan at the southern region in Korea. Since an initial design stag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art of building design in reducing energy consumption, this study develops OpenStudio models to calculate energy load in the initial design stage, while mainly focusing on 37 building orientations in four plan types such as type -, type T, type L, and type 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OpenStudio simulation model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est plan type at each orientation case which decreases energy load for the ward area. On the basis of a southward direction,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yearly heating and cooling loads vary from 100.57% to 101.75% at the central region and from 100.86% to 102.29% at the southern region.

      • KCI등재

        사무소 건축의 기준층 평면 효용성에 관한 연구

        김영선,김용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1 No.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s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 of critical planning factors and floor efficiency rates in office buildings, such as typical floorplate shapes, core types, leasing spans, floor-to-ceiling heights, HVAC systems and structure, in order so as to interpret how each planning factor has an effect on the efficiency of typical floors. For this study, the target buildings to be researched are confined to the city of Seoul and which have been constructed solely as an office building. The main reason for these conditions is that mixed-use buildings can be reflected differently in terms of planning factors to single use office buildings. In addition, the research area is confined to Seoul so as to avoid any influential factors from regional characteristics as different applications of local ordinance and review criteria. Furthermore, the office floor numbers are restricted to more than eleven floors based on the fire escape law applications in Korea. With these critical factors in place, forty four office buildings are to be examined and analysed respectively. Through this examination and analysation, this study will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main critical factors of an office building effecting its efficiency are an identical shape of ‘ ㅁ’ for the typical floorplate and core shape, 10-15m leasing span, a decentralised HVAC system and SRC structural system in order of priority.

      • KCI등재

        마한 주거 구조의 지역성

        김은정(Kim Eun Jung) 중앙문화재연구원 2017 중앙고고연구 Vol.0 No.24

        This article analyzes the structure of Mahan residential settlements in Honam area specifically to examin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The area was subdivided into 18 loci on the basis of natural boundaries, historical literature, previous research, and distribution pattern of residential settlement sites. Analysis of the residential structure was based on the layout, column arrangement, cooking facilities, and elliptical pit-house. The surface dimension of the residential structure is largely divided by the eastern (circle type) and the western (square type) Honam area. Especially in the middle of the River Sumjin, Sooncheon Bay and Gwangyang Bay, the circle-type residential settlement has been predominant, while the western area is predominantly square-type houses, which gradually spread to the east. Up to now, the upstream of River Sumjin has been classified as Honam East with according cultural aspects have been assumed. It was found, however, that the residential layout is all square-type, and the excavated artifacts are stylishly similar to that of the west (southern area of River Mangyeong), different from the eastern residential culture. In other words, the Mahan settlement in the upper part of River Sumjin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western part. The squaretype residential structure is sub-divided into square, rectangular and narrow rectangular types according to the length ratio. The area located near the southwest coast is most likely square type, but the inland area far from the coast is predominantly rectangular and narrow rectangular houses. The distribution of the square type residential house is similar to that of the four-pillar residential structure. It can be assumed that a specific residential type is closely related to the upper structure or the building technology. The pillar and the pot basin are general cooking facili ties and usually found in the Honam area. Jangran-type earthenware was mainly used as a pillar, and is widespread in River Dongjin area in the western part of Honam. It is believed that both stone and ceramic pottery are used for pot basin, but in the west coast ceramic pottery was preferably used. It has been difficult to define the function of long elliptical pit-houses. Several inferences can be made on the basis of a careful review of settlement data. First, it might have been the lower part of a house to climb to the upper space of the house (shelf or multi-story structure). Second, it might have been an entrance (stairs or ladders) of the pit house. Changes through time in the Mahan residential structure in Honam area can be observed through the surface dimension, cooking facilities, and the column arrangement. Based on these elements, Mahan residential are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Phase I is the formation period of the Mahan residential structure (around the mid 2nd century to the early or late 3rd century), e.g., the appearance of the clay wood-burning stove in the western area. Phase II is the period of changes in the residential settlement formed in the first phase, subdivided into Ila, first half of the 3rd century and early 4th century; and IIb,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to the late 4th century. In Ila, the four-pillar residential struture appeared in the western area, followed by square type houses in the eastern part of River Boseong area, Yeoja bay and Goheung peninsula. In IIb, four-pillar residential settlements are found in the eastern part. Phase III is a period when the new culture (e.g., stone wood-burning stove and tunnel-shaped heating system) spread into Mahan area through interactions with Baekje, Gaya, and other neighboring areas, and influenced the residential structure from the early 5th century to the late 5th century and early 6th century. Four-pillar type houses are spread throughout the eastern area in this period. 이 글에서는 호남지역 마한 주거지의 구조를 정밀 분석하여 세부권역별 특징 및 변화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세부권역은 자연경계와 문헌자료, 기존의 연구 성과, 주거유적의 분포 및 현황을 통해 총 18개소로 설정할 수 있었으며, 주거 구조의 분석은 평면형태, 기둥배치, 취사시설, 장타원형수혈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주거 평면형태는 크게 호남 동부(원형계)와 서부(방형계)로 대별된다. 특히 섬진강중류권, 순천만·광양만권에서는 원형계 주거지가 높은 빈도로 확인되며, 서부지역은 방형계 일색이지만 점차 동부로 확산된다. 섬진강상류권은 지금까지 호남 동부로 분류되었고 문화양상도 그러하리라 단정되어왔다. 하지만 주거 평면형태가 모두 방형이며 출토유물의 양상이 서부(만경강남부권)와 매우 흡사하여, 동부의 주거 문화와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섬진강상류권의 마한 주거지는 서부지역과 보다 밀접히 관련된다. 평면 방형계 주거지는 장단비에 따라 방형·장방형·세장방형으로 세분된다. 서·남해안과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은 방형이 디수를 점하지만, 해안에서 먼 내륙지역은 주로 장방형·세장방형 주거지가 분포한다. 이와 같은 방형계 주거지의 분포는 4주식주거지 분포권과 유사하며, 이를 통해 주거 세부 평면형태가 상부구조나 건축 기술과 밀접히 관련됨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지주와 솥받침은 취사시설의 세부 구조물로 호남지역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지주는 장란형토기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호남 서부의 동진강권에서 집중 발견된다. 솥받침은 석재와 토제가 모두 사용되는데, 서해안 인접지역에서는 토제 솥받침을 선호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장타원형수혈은 그 동안 기능을 단정하기 어려웠으나 주거 자료의 세밀한 검토를 통해 추측이 가능하였다. 첫째는 주거지의 상부 공간(선반 또는 복층 구조의 시설물)에 오르기 위한 매개체(懸梯)의 하단부가 놓였던 부분(支持穴)으로 추정된다. 둘째는 수혈주거지의 출입을 위한 시설(계단 또는 사다리)이 놓였던 흔적일 가능성이 높다. 호남지역에서 마한 주거 구조를 통해 변화상을 살필 수 있는 지표는 평면형태, 취사시설, 기둥배치이다. 이를 바탕으로 마한 주거지는 3기로 분기 설정이 가능하였다. Ⅰ기는 서부지역에 점토부뚜막이 등장하는 등 마한 주거 구조의 형성기(2세기 중반∼3세기 전후)라 할 수 있다. Ⅱ기는 Ⅰ기에 형성된 마한 주거지가 변화·발전하는 시기 이다(Ⅱ a기 : 3세기 전반∼4세기 초반, Ⅱ b기 : 4세기 전반∼4세기 후반), Ⅱ a기에는 4주식주거지가 서부지역에 먼저 등장하고, 방형계 주거지가 동부의 보성 강권과 여자만·고흥반도권에 나타난다. Ⅱ b기가 되면 동부에서도 4주식주거지가 발견된다. Ⅲ기는 백제·가야 등 주변지역과의 상호 교류를 통해 마한지역에 새로운 문화(석재부뚜막, 쪽구들 등)가 유입되고, 주거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시기(5세기 전반∼5세기 말·6세기 초반)라 할 수 있다. 이 시기 동부 전역으로는 4주식주거지가 확산된다.

      • KCI등재

        韓國 古代 木簡의 分類 方案

        김재홍 한국목간학회 2022 목간과 문자 Vol.- No.28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number classification of ancient Korean wooden documents by stage after being excavated from the ruins and storing them in a storage(relic storage), and classifies the types of wooden documents based on the planar conformation. Tho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search by identifying the appearance of wooden documents, and to prepare a classification standard of wooden documents. The classification plan between wooden documen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number classification and type classification. The number of wooden documents is a classification that easily identifies the wooden documents with the name of wooden documents, and it is numbered step by step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wooden documents will be given numbers such as ①The location number of the excavated site, ②The number of the organization, ③The number of the report, and ④The number of national attribution number(official number goven by the country). The type classification of wooden documents set up on consideration of the planar conformation, the upper and lower(upper and lower ends), and cross-sectional shape. Considering the planar conformation of the wooden documents, it was classified into Ⅰ: elongated square type, Ⅱ: bar type, and Ⅲ: crumb type for set as a standard. 이 글은 한국 고대 목간을 대상으로 유적에서 출토된 이후 수장고에 수장하는 단계별로 번호 분류의 의미를 살피고 평면 형태를 기준으로 목간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목간의 외형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검색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목간의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목간의 분류 방안은 크게 번호 분류와 형식 분류로 나눌 수 있다. 목간의 번호는 목간의 명칭과 더불어 목간을 쉽게 파악하는 분류 방식이며, 정리하는 과정에서 단계별로 번호가 부여된다. 목간은 ①출토 위치 번호, ②정리(임시) 번호, ③보고서 번호, ④국가귀속번호 등의 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출토 위치 번호는 목간의 출토 위치와 층위를 표현한 번호로서 학문적인 자료로서의 지위를 부여 받는다. 목간의 최종적인 번호는 소장 기관의 수장번호를 반영하는 국가귀속번호이며, 목간의 번호 분류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목간의 형식 분류는 평면 형태와 상·하단 형태, 단면 형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먼저 목간의 평면 형태를 고려하여 Ⅰ: 장방형, Ⅱ: 봉형, Ⅲ: 부스러기로 분류할 수 있다. Ⅰ: 장방형의 하위 단위로 상단 형태는 알파벳 대문자, 하단 형태는 알파벳 소문자로 세분할 수 있으며, Ⅱ: 봉형의 하위 단위는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아라비아 숫자로 표현한다. 폐기 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파손은 ‘×’로 표현하여 현존 상황을 나타낸다

      • KCI등재

        한국 개신교 교회건축 예배공간의 평면유형 분류 및 변천 특성 연구

        이희준(Lee Hee-Jun),김정일(Kim Jeong-Il),윤인석(Yoon In-Suk)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5 No.5

        This study classified the plan type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by analyzing church architectures which have been reported in Architectural magazines since 1960. Also, the study analyzed relationship of 'the year of construction -denominationarrangements of pews. From this study, we reached into conclusions as follow: First of all, plan types can be divided into classes: a quadrangle, a fan shape, a circle, an octagon, a symbol type, and an irregular type. Also, each class can be divided into a various of shapes according to its type. Second, a plan type of a quadrangle type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rate, but as times went by, the rate has been decreasing gradually. The distribution rate of a horizontal rectangle, a irregular quadrangle, a acute fan shape, a circle, an octagon, a oval type has been increasing. Third, a plan type of a rectangle type in most denominations was most preferable one. Also, the distribution rate of preference was the highest in the Holiness Church, and the rate tends to decrease from the Baptist Church to the Methodist Church, Full Gospel Church, Presbyterian Church, and independent churches. Finally, specific seat arrangements of church attendants vary according to each plan type. However, seat arrangements making the central axis worship were shown in a rectangle type, such as types of church procession ceremony.

      • KCI등재

        아파트 주동평면형태의 특성 및 개방성에 관한 연구

        김종도(Kim Jong-Do),김성화(Kim Sung-Hwa),최무혁(Choi Moo-Hyuck)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lock plan characteristics and the openness of residential units and core area in the apartment complexe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Daegu, flat-type block was common, but as the increase of construction of high-rise apartment, transformed flat-type block considering the prospect and vista is getting more outstanding. The type of block of 45 apartment complexes which get business approval and permission of construction from the year of 2002 to the year of 2007 in Daegu cit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e types and the number of combination of residential units. And then the opening type of residential units and core area were analyzed. The high ratio of transformed-type block is due to the efforts to complement some weakness of each type of flat and tower. Flat-type blocks have some weakness such as a big visual blockage and monotonous outside space. In case of tower-type blocks have good advantage in terms of high density placement but not in prospect. Classifying the block type in residential apartment and mixed use residential apartment, the ratio of block types of residential apartment showed 53.9% in flat-type and 30.3% in transformed flat-type. And mixed use residential apartment showed 55.4% in transformed tower-type block. In the open types of residential units, the ratio of both-side open type block was ranked top with 73.6% and perpendicular open type block was 21.2%. Also open types of residential units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igure for combination of residential units. Regarding the sun lighting and ventilation of core, it may be ideal that staircase and common corridors are exposed to open-air. However, if only one of the two should be inevitably chosen, common corridors would be more useful rather than staircase in terms of energy sa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