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등교사임용시험 “생물” 교과내용학 문항 평가내용요소별 분석- 2005,2014학년도를 중심으로

        안근재 ( Keun Jae Ahn ),오홍식 ( Hong Shik Oh ),강경희 ( Kyung Hee Ka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5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생물 교과내용학 문항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틀은 「생물과 교과내용학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근거로 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의 빈도 분석에 따른 정량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생물 교과의 평가 영역과 평가 내용 요소는 타교과목에 비해 너무 세분화된 경향을 보였다. 출제 문항 분석 결과 생물과 분야별 출제 비중은 큰 차이를 나타내었고, 각 평가 내용 요소별 출제 빈도도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 내용 요소들 중 57%만이 출제문항과 연계되어 출제 내용의 편중성을 보였다. 이는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생물 교과내용학 문항들이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의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중등교사임용시험 생물 교과목에서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출제 경향 분석을 토대로 평가 영역과 평가 내용 요소 선정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oblems related biology subject contents knowledg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conducted from the school years 2005 to 2014.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e quantitative method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of evaluation scope and evaluation content item. The framework of analysis was based on the evaluation scope of the biology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contents item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evaluation scope of the biology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contents items were more divided than those of other subjec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atios of the contents covered in certification examination according to biology subject domains. Also the frequencies of issued the tests were showed 57% of evaluation contents items related to problems of the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was not effective in aspect of balance of evaluation scope and evaluation content item.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viewing about the evaluation scope of the biology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contents items in the basis of trend analysis in biology subject contents knowledg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 KCI등재

        체육과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교과교육학 문항분석 및 지향성 탐색

        신원규(Won-kyu Shin),한동수(Dong-soo Han),이주욱(Joo-wook Yi)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6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체육과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중 교과교육학 문항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표시과목 「체육」의 교사 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제시된 4개 평가 영역(체육교육론, 체육교육과정 및 평가, 체육교수법, 체육교재론)과 그에 따른 20개 평가 내용 요소를 활용하였다. 문항은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2001학년도부터 2016학년도 까지 총 133문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1~2008년도는 1차 시험(서술·단답형), 2009~2013년도는 1차 시험(선택형), 2014~2016년도는 전공A,B(기입형 · 서술형 · 논술형) 문항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009~2013년도 논술 문항을 제외한 이유는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이 통합된 형태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에 1차 시험과 전공 A,B 문항 중 교과교육학 출제문항을 내용 및 출제비율과 배점비율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더불어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별 문항분석과 평가 내용 요소별 문항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출제 문항의 경향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출제기준을 준수했으며, 학교 현장을 반영한 문제들로 구성되었다. 둘째, 출제 문항과 평가 내용 요소간의 편중성이 나타났다. 셋째,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별 비율의 비균형성이다. 넷째, 특정 평가 내용 요소의 반복적 출제 경향의 문제로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의 재구성’, ‘평가 내용 요소의 구체화’, ‘사회적 변화에 따른 학교체육정책 변화 추세의 반영’,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도모’의 내용을 후속연구로 제안했다. In this study, the question items on pedagogical subject contents were investigated in the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For this research analysis, the teachers’ qualification standard in the indicated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areas were employed along with the four evaluation areas (physical education theo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evaluation,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ethod, and physical education textbook theory) presented in evaluation factors and their accompanied 20 evaluation factors. A total of 133 question items were investigated herein from 2001 to 2016 subject to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2001-2008, the 1st exam; Between 2009-2013, the 1 st primary round of examination (multiple choice) was analyzed; and between 2014-2016, major study exams A and B (fill-in type, descriptive type and essay-type) questions. The essay-type questions between 2009-2013 were excluded from this research because they combined the pedagogical subject contents and curriculum details. Of the questions of 1st examination and major study exams A and B, those on pedagogical subject contents were analyzed by separating into their contents, frequency and allotted points. In addition, the evaluation area and evaluation content factor-specific question analysis was specifically stated along with the evaluation content factor-specific question details to systematically look at the directivity of presented questions. The study findings were, first, in compliance with the KICE(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presented exam question establishment standard; and consisted of questions reflecting the practical school field. Second, preponderance was found between presented questions and evaluation content factors. Third, evaluation area and evaluation content factor-specific proportion was found imbalanced. Forth, the problem was analyzed to be the repeated presentation of specific evaluation content factors. Based on this analysis, subsequent study is suggested to research the contents of evaluation area and evaluation contents factor re-organization; evaluation contents factor specification; reflec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y change trends according to social change; and connectivity promotion with the revised 2015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중등생물교사임용시험 교과교육학 문항에 대한 평가영역 및 평가내용요소별 분석

        강경희 ( Kyung Hee Kang ),안근재 ( Keun Jae Ah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02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 중등생물교사임용시험 교과교육학 문항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분석틀은「생물과 교과교육학 평가영역 및 평가내용요소」를 토대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의 빈도 분석에 근거한 정량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출제 문항을 분석한 결과 평가영역별 출제 비중은 큰 차이를 보였고, 각 평가내용요소별 출제빈도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내용요소들 중 61%만이 출제 문항과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출제 내용이 일부 평가내용요소에 편중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이는 중등생물교사임용시험에서 교과교육학 문항들이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의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출제 유형에 따른 기간별분석 결과에서도 평가영역이 균형적으로 출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중등생물교사임용시험에서 출제 경향 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 선정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러한 시도는 중등생물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edagogical biology questions for the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conducted from the school years 2002 to 2014.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evaluation areas of the pedagogical biology and evaluation content element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evaluation and the content ele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ratio of content questions and evaluation questions covered on the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Evaluation content questions accounted for 61% of the examination indicating that the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was imbalanced and ineffective. The results suggests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viewing the evaluation of the biology pedagogical and evaluation content to ensure the validity of evaluation on the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 KCI등재

        漢文科 評價의 方向과 實際를 위한 前提

        송병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7 No.-

        It is the evaluation that what completes the character, purpose and content element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07. However, content elements is what made a switch each part of learning contents in Chinese character from a target of evaluating factor to a evaluating content factor. Content elements of 2007 education curriculum have a difference with 7th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Therefore, there were considerable changes in content elements which are from word, sentence and writing [works]. For this , evaluating method indicated in written exams of selection type·supply type, teacher-centered assessment such as discussion, observation, oral examination, paper and portfolio. And also various types are systematically suggested leaner's self-assessment, company assessment . And in addition to quantitative assessment, there are qualitative assessment, performance assessment , informal assessment and direct assessment. However, all these methods of evaluation are the only already suggested theory in pedagogy. For these evaluation theory, Chinese character teachers are perceiving that they have a gap with abstract·declaratory·superficial description and evaluating activity. Therefore, it needs a desirable and tangible examples about Chinese character evaluation elements. To do that, evaluating application specialized to Chinese character have to be developed through the pedagogical perspective and improving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teachers.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와 내용 요소가 완성되는 것은 평가이다. 그런데 내용 요소는 평가 요소의 대상으로 한문과 각 영역별 학습 내용을 평가 내용 요소로 전환한 것이다. 2007년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는 7차 한문과 교육과정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한자 어휘부터, 문장, 글[작품]로 이어지는 내용 요소의 상당수의 변화가 생겼다. 이에 대해 해설서에 제시된 평가 방법은 선택형·서답형 지필 평가와 토론, 관찰, 구술시험, 연구보고서, 포트폴리오의 교사 중심 평가의 방법과 교사 중심의 평가 이외에 학습자의 자기 평가, 동료 평가, 양적 평가 이외에 질적 평가, 수행 평가, 비형식 평가, 직접 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들 평가의 방법은 모두 교육학에서 제시된 이론일 뿐이다. 이러한 평가 이론에 대한 한문과 교사들은 추상적·선언적·표면적 진술 내용, 현장의 실제 평가 활동과의 괴리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한문과 평가 요소에 대한 실질적이고 바람직한 실례(實例)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문과 교사의 교육학적 관점과 지식의 제고를 통해서 전문적 소양을 갖춘 한문과 전문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야 한다.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기조발표(基調發表) ; 한문과평가(漢文科評價)의 방향(方向)과 실제(實際)를 위한 전제(前提)

        송병렬 ( Pyung Nyul So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7 No.-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와 내용 요소가 완성되는 것은 평가이다. 그런데 내용 요소는 평가 요소의 대상으로 한문과 각 영역별 학습 내용을 평가 내용 요소로 전환한 것이다. 2007년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는 7차 한문과 교육과정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한자 어휘부터, 문장, 글[작품]로 이어지는 내용 요소의 상당수의 변화가 생겼다. 이에 대해 해설서에 제시된 평가 방법은 선택형·서답형 지필 평가와 토론, 관찰, 구술시험, 연구보고서, 포트폴리오의 교사 중심 평가의 방법과 교사 중심의 평가 이외에 학습자의 자기 평가, 동료 평가, 양적 평가 이외에 질적 평가, 수행 평가, 비형식 평가, 직접 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들 평가의 방법은 모두 교육학에서 제시된 이론일 뿐이다. 이러한 평가 이론에 대한 한문과 교사들은 추상적·선언적·표면적 진술 내용, 현장의 실제 평가 활동과의 괴리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한문과 평가 요소에 대한 실질적이고 바람직한 실례(實例)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문과 교사의 교육학적 관점과 지식의 제고를 통해서 전문적 소양을 갖춘 한문과 전문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야 한다. It is the evaluation that what completes the character, purpose and content element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07. However, content elements is what made a switch each part of learning contents in Chinese character from a target of evaluating factor to a evaluating content factor. Content elements of 2007 education curriculum have a difference with 7th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Therefore, there were considerable changes in content elements which are from word, sentence and writing [works]. For this, evaluating method indicated in written exams of selection type·supply type, teacher-centered assessment such as discussion, observation, oral examination, paper and portfolio. And also various types are systematically suggested leaner`s self-assessment, company assessment. And in addition to quantitative assessment, there are qualitative assessment, performance assessment, informal assessment and direct assessment. However, all these methods of evaluation are the only already suggested theory in pedagogy. For these evaluation theory, Chinese character teachers are perceiving that they have a gap with abstract·declaratory·superficial description and evaluating activity. Therefore, it needs a desirable and tangible examples about Chinese character evaluation elements. To do that, evaluating application specialized to Chinese character have to be developed through the pedagogical perspective and improving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teachers.

      • KCI등재

        한문과 독해 영역의 평가 요소와 문항유형

        진태훈 ( Tae-hoon Ji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8 No.-

        본고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독해``영역의 내용을 토대로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평가요소에 따른 평가 문항을 검토하여 새로운 ``독해``영역의 평가문항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새로운 평가문항 개발 방향의 모색을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 2009 개정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체계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요소에 따라 국가수준의 대학수학능력시험 평가 문항과 학교수준의 평가문항을 검토하였다. 문항의 검토를 통해 장단점을 확인하고 새로운 평가유형 개발에 반영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평가의 유형이 지필평가 문항에 제한되어 교육과정상에 제시된 다양한 평가요소들이 문항으로 실현되지 못하는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평가문항의 유형과 평가의 내용이 다양하지 못했으며, 다양한 글감을 통해 ``독해``영역을 평가하지 못하는 문제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내외적인 문제의 해결점은 교육과정 내용 및 평가요소에 대한 정치한 분석을 통한 이론의 정립과 다양한 한문교육 주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평가문항의 개발과 같은 실천적인 접근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is to extract the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eading’ domain presented in the education process, to examine the types of the evaluation question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factors, and to prepare the foundation for seeking the direction of the evaluation questions. It was intended to find the leads from the examinations of the existing evaluation qu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w evaluation types.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purpose, the evaluation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content systems presented in the 2007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 to these factors,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the national level and the evaluation questions on the school level were classified and examined. Because the category of the research was restricted to the paper test items, even if there are the limitations in which the diverse evaluations factors presented in terms of the curriculum cannot be materialized as questions, the types of the evaluation questions and the details of the evaluations were not diverse. And, through the diverse materials, it was able to confirm the problem of not having evaluated the ‘reading’ domain. The solutions of such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must be materialized through the practical accesses such as the delicate analyses of the curriculum contents and the evaluation factors and the gathering of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verse evaluation questions.

      • KCI등재

        중등 「가정」 교사 임용시험 문항 분석 - 평가 영역별 평가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

        정상희,박미정,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HE exam questions through analyzing the examination items for secondary Home Economics(HE) teaching certification from 2002 to 2011.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regarding the analysis on pedagogy of HE course, it accounted for 30.9% of the total questions, and recently, it increased to 35%. Regarding the ratio of questions by each evaluation element, ‘practic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HE course’(33.2%) had the highest ratio, and ‘essence of the education of HE’(3.2%) had the lowest ratio. Second, regarding the analysis on eating habits, it amounted to 17.5% of the total questions, and recently reached 15%. With regard to the ratio of each evaluation element, ‘cooking theory and practice’(26.1%) had the highest ratio, and ‘culture of eating habits’(3.7%) had the lowest ratio. Third, regarding the analysis on clothing habits, it accounted 15% of the total questions, and recently reached 12.5%. With regard to the ratio of each evaluation element, ‘clothing management’(25.1%) and ‘production of clothing and living necessaries’(25.1%) had the highest ratio, and ‘selection of clothing and self-expression’(3.0%) had the lowest ratio. Fourth, regarding the analysis on housing life, it accounted for 11% of the total questions, and recently reaches 12.5%. With regard to each evaluation element, ‘the understanding of housing life culture’(22.5%) had the highest ratio, and ‘the understanding of housing interior design’(10.7%) had the lowest ratio. Fifth, regarding the analysis on daily life as a consumer, it accounted for 12.4%, and recently reaches 12.5%. With regard to the ratio of each evaluation element ‘management of domestic resources’(34%) had the highest ratio, and ‘planning of entire life and domestic welfare’(0%) had the zero ratio. Sixth, regarding the analysis on family life, it accounted for 13.3% of the total questions, and recently reaches 12.5%. With regard to the ratio of each evaluation element, ‘the understanding of family and the changes in family’(23.8%) had the highest ratio, and ‘marriage and the development of family’(2%) had the lowest ratio. 본 연구의 목적은 2002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10년간의 가정과 ‘임용시험 문항’(이하 ‘총 문항’이라 칭함)을 대상으로 분야별 출제 비율 분석, 평가 내용 요소(이하 ‘평가 요소’라고 칭함)에 따른 문항 분석, 임용 상세화 기준 개발 이전과 이후의 분야별 평가 내용 요소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학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30.9%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3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 비율을 보면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의 실제’(33.2%)가 가장 높았으며, ‘가정과교육의 본질’(3.2%)은 가장 낮았다. 둘째, 식생활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7.5%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1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 비율을 보면 ‘조리원리 실습’(26.1%)이 가장 높았으며, ‘식생활 문화’(3.7%)는 가장 낮았다. 셋째, 의생활의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5%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12.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비율을 보면 ‘의복 관리’(25.1%)와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25.1%)이 가장 높았으며, ‘의복의 선택과 자기표현’(3.0%)은 가장 낮았다. 넷째, 주생활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1%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12.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로는 ‘주거생활문화의 이해’(22.5%)가 가장 높고, ‘주거실내디자인의 이해’(10.7%)는 가장 낮았다. 다섯째, 소비생활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2.4%의 비중을 차지했고, 최근에는 12.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 비율을 보면 ‘가정자원관리’(34%)가 가장 높았으며, ‘생애설계와 가정복지’(0%)에서는 전혀 출제되지 않았다. 여섯째, 가족생활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3.3%의 비중을 차지했고, 최근에는 12.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 비율은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의 변화’(23.8%)가 가장 높았고, ‘결혼과 가족발달’(2%)은 가장 낮았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으로 임용 상세화 기준의 개발은 가정과 중등 임용 시험의 평가 영역별 내용 요소의 균등화와 다양화의 문제를 다소 완화하였다.

      • KCI등재

        쓰기 평가 과제 내용 분석 연구

        이병승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riting assignments throughcontent analysis. The objects of this study, writing assignments for assessment, were tasks designed by two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Among various writing assessment item, only essay test item was choose. All writing promp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which are rhetorical factors, procedural factors and other factors. The rhetorical factors consisted of theme, audience, situation, role of writer, mode of discourse. The procedural factors consisted of planning, drafting and revising. And the other group contain quantity of writing and showing criteria of writing assess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us writing assignments that indicate audience was most low frequency in rhetorical factors. In procedural, revising was most low f requency. And there were no prompts showing criteria of writing assessment. So, the results mean writing assignments needed to be specified with rhetoric and designed with various procedural task including planning,drafting and revising. We should design writing assignments for similarity to real writing. In that case students will show their real writing abilities. For appropriate designing writing assignments, purpose classified table for writing assessment should be developed. And we should reduce the misunderstanding derived from the gap between test maker and test taker through opening the criteria of writing assessment. 이 연구는 내용분석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쓰기 평가 과제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대상의 쓰기 평가 과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제작한 쓰기 서술형/논술형 쓰기 과제로 하였다. 이 두 기관의 쓰기 평가 과제는 전국 초등학교 및 서울의 각 학교에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는 이유로 선정되었다. 쓰기 과제 분석의 범주는 수사적 요소, 과정적 요소, 기타 요소로 분류하였다. 수사적 요소의 하위 요소로는 주제, 독자, 상황, 필자, 담화 유형으로, 과정적 요소로는 내용 생성, 초고, 고쳐쓰기로 기타 요소로는 쓰기 분량과 평가 기준 제시로 하였다.분석 결과 수사적 요소에서는 독자를 제시한 과제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과정적 요소에서는 고쳐쓰기가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기타 조건 요소에서 평가 기준을 제시한 과제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쓰기 과제가 수사적 요소를 상세화하지 않고 개발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쓰기 과정은 결과 중심에 치우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쓰기 과제는 성취 수준과 글의 소재를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하며, 쓰기 과제 이원 목적 분류표 개발을 통해 쓰기 과제를 풍부하게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또한 쓰기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출제자와 학생 필자 그리고 채점자 사이의 오해를 좁혀야 한다.

      • KCI등재

        중등물리교사임용시험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문항 평가내용요소별 분석 - 2002~2014학년도를 중심으로

        문송희,이상칠,강경희 한국물리학회 2014 새물리 Vol.64 No.12

        This study aims to analyze questions of subject pedagogy and subject content in the secondary physics'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by evaluating the content element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questions on the secondary physics'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rom 2002 to 2014. Among the evaluation areas, questions on physics inquiry occurred most, followed by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and philosophy', `physics curriculum', `method of physics education', and `physics learning and psychology'. Sixty-one percent of the evaluation content elements were on the subject of pedagory. In the evaluation of subject content, mostly `dynamics', `electromagnetics', `quantum physics', and `thermal and statistical physics' were included. Seventy-three percent of the evaluation content elements dealt with evaluation the pedagogical content set for the secondary physics teachers' certification examination. Such result shows that questions on the secondary physics teachers' certification examination are largely from the some evaluation areas and evaluation content elements. 이 연구는 중등물리교사임용시험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문항들을 평가내용요소별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2002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의 중등물리교사임용시험 출제 문항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평가영역 중에는 ‘물리 탐구’, ‘과학사 및 과학철학과 교육’, ‘물리 교육과정’과 ‘물리교육 방법’, ‘물리 학습과 심리’ 순으로 자주 출제되었다. 교과교육학 분야의 평가내용요소들 중에는 61%가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내용학 평가영역 중에서는 ‘역학’, ‘전자기학’, ‘양자물리’, ‘열 및 통계물리’가 주로 출제되었다. 물리과에 출제된 교과내용학 분야의 평가내용요소는 전체 평가내용요소 중 73%가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등물리교사임용시험 문항들이 일부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에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중등 기술교사 임용시험의 교과교육학 관련 기출문항 분석: 2014학년도 ~ 2024학년도를 중심으로

        김성애 한국기술교육학회 202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기술교사 임용시험 기출문항 중 교과교육학과 관련된 문항을 분석함으로써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객관식 시험이 폐지된 2014학년도부터 2024학년도까지 시행된 기술 과목의 임용시험 기출문항 중 교과교육학과 관련된 문항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교과교육학 관련 문항은 임용시험의 출제 범위에 포함된 「기술교육론」의 전체 평가영역과 「공학기술공통」의 ‘발명과 지식재산’ 평가영역과 관련된 문항으로 정의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 수를 분석한 결과 논술형 시험이 폐지되기 전에는 4~5문항이, 논술형 시험이 폐지된 이후에는6~7개의 문항이 출제되었다. 문항 배점을 분석한 결과 교과교육학 관련 기출문항 배점 비율은 전체 배점의 26.93%이었으며, 논술형 시험이 폐지된 이후에는 전체 배점의 27.50%가 유지되고 있다. 둘째, 평가영역의 구성을 분석한 결과 가장 출제 빈도가 높은 영역은 ‘기술 교과교육 과정’이었으며, 평가내용요소의 구성을 분석한 결과 가장 출제 빈도가 높은 내용요소는 ‘현행기술교과교육과정’(15.60%)과 ‘기술 교과 교수⋅학습 방법론’(15.06%)이었다. 2014학년도 이후 출제 빈도가 0인 평가영역은 2개였으며, 평가내용요소는 10개였다. 셋째, 교과교육학 관련 문항에 등장하는 교수⋅학습 활동 주제를 분석한 결과 가장많이 포함된 교과내용학은 「공학기술공통」의 ‘발명 문제해결’ 평가내용요소로였다. ‘생명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은 2014학년도 이후 각 1회씩만 포함되었다. 이를 토대로 문항수 및 문항 배점의 재구성, 평가영역 및 평가내용요소의 균형적 출제, 현장 기술교육을 기반으로 한 평가영역 및 평가내용요소 재편 등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vious questions related to the employment exam for technology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To achieve this, we collected and analyzed subject pedagogy-related questions from employment exams conducted from the 2014 to 2024 school years, after the multiple-choice test was abolish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nalyzing the number of questions, there were 4 to 5 questions related to subject pedagogy before the essay-type test was abolished and 6 to 7 questions after its abolition. In terms of item distribution, 26.93% of the total distribution of subject pedagogy-related questions occurred before the essay-type test was abolished, and 27.50% occurred after its abolition. Second, in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he evaluation area and contet elements, the area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questions was the ‘technology curriculum.’ and the content elements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questions were the ‘current technology curriculum’ (15.60%) and ‘technology subjec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15.06%). Since 2014, two evaluation areas and ten evaluation content elements have had zero frequency of questions. Third, in analyzing the topic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ppearing in questions related to subject pedagogy, the most frequently included subject content studies were the elements of evaluation for solving common invention problems with engineering technology. Since 2014, only once each of life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included. Based on these findings,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such as reorganizing the number and allocation of questions, balancing questions across evaluation areas and content elements, and reorganizing evaluation areas and content elements based on field techn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