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 예비교사의 형성적 평가 경험과 숙달목표 및 학습을 위한 평가인식의 관계

        김난옥,박정,손원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3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가 수행하는 일련의 평가절차에 대한 의사결정의 해석틀로써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교사로서의 신념을 계발하기 시작하는 교사교육에서 교사의 평가인식 양상이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의 주된 목적인 학습을 위한 평가인식에 주목하여, 초등 예비교사와 중등 예비교사 간의 ‘학습향상’ 평가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형성적 평가 경험과 숙달목표가 평가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형성적 평가 경험에는 피드백의 경험, 피드백 질, 피드백 활용을 포함하였다. 분석대상은 충청 및 경상권 소재의 6개 교원양성기관에 재학 중인 초·중등 예비교사 총 557명이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 및 중등 예비교사의 학습향상 평가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다집단 구조모형 분석 결과, 교원양성기관 유형과 상관없이 예비교사가 경험한 형성적 피드백은 피드백 질과 숙달목표에 정적효과를 보였으며, 피드백 질을 높게 지각하거나 숙달목표가 높을수록 피드백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형성적 피드백 자체는 학습향상 평가인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피드백 질과 피드백 활용, 숙달목표와 피드백 활용을 통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의 긍정적인 평가인식 발달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평가인식의 영향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re-service teachers’ formative assessment experience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with their conceptions of assessment. Especially, the improvement conception which is regarded as a core feature of ‘Assessment for Learning(AfL)’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with its antecedent variables such as formative assessment experience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were scrutin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N = 557) from teachers’ colleges located in four districts of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y the latent mean analysis, the conception of assessment for learn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improvement conception and its antecedent variables were equivalent across the two groups. Thirdly, the formative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feedback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while it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improvement conception. The effects of the three mediating variables such as the quality of feedback, use of feedback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between the formative feedback and the improvement conce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positive conceptions of assessment were discussed and this paper concludes with importance of the formative assessment experience for per-service teachers’s conceptions and practice.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잠재프로파일 분석 :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계

        손원숙(Sohn Won Sook),이빛나,박정(park ch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유형을 분석하고, 이들의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평가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Brown(2011)이 개발한 평가인식 척도(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 SCoA-VI)를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으로는 D와 K지역에 소재한 3개 대학교에서 교직이수 중인 362명을 선정하였다. 평가인식의 다차원적인 하위요인 속성 및 이들 간 독립적인 특성을 고려하여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유형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은 크게 긍정인식형(43.1%), 평균형(44.5%) 및 부정인식형(12.4%)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형성적 피드백, 지각된 피드백 유용성 및 피드백 활용 정도 로 측정된 피드백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그리고 접근지향적 성취목표를 가진 중등 예비교사일수록 긍정인식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주도적인 학습자의 특징 중 하나인 피드백 활용 요인은 평가인식의 세 유형 모두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로부터 제공받은 피드백을 스스로 활용하려고 노력한 경험이 많은 학생일수록 긍정인식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평가정책의 실행 및 예비교사의 평가교육 모형 개발에서 평가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tterns of prospective teachers’ conceptions of classroom assessment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feedback experi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he feedback experience was measured by three constructs such as formative feedback, perceived utility of feedback, and use of feedback. Specifically, the Korean version of 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SCoA-VI)(Brown, 2011) inventory was completed by 362 prospective teachers attending to three different teachers’ colleges located in D or K region of Korea. The latent profile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four facets of conceptions of classroom assessment(Social/Affective, External, Improvement, and Irrelev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ree latent profiles such as ‘positive(43.1%)’, ‘average(44.5%)’, and ‘negative(12.4%)’ types were differentiated. Also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feedback experience and mastery or performance approach fo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ere more related to the positive type rather than the average or negative type. Especially the use of feedback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active learners’s characteristic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differentiate the three latent profiles consistently. Finally implications for the use of the K-SCoA inventory for policy implementation and the importance of conceptions of assessment for prospective teacher education for assessment are discussed.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용 평가인식 척도 타당화 및 지각된 피드백 환경과 평가전문성과의 관계 분석

        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1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중등 예비교사용 평가인식 척도를 타당화 하고, 교실평가의 목적 및 특성에 대한 우리나라 중등 예비교사의 인식, 지각된 피드백 환경과 평가전문성과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뉴질랜드에서 개발된 평가인식 척도(Teachers’ Conceptions of Assessment; TCoA)(Brown, 2006)가 활용되었고, 연구대상은 D와 K지역에 소재한 세 개의 국공립·사립 대학교에 재학 중인 총 564명의 예비교사이다. 척도 타당화를 위해 척도 번안 및 내용 타당도 분석을 진행하였고,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차원적으로 구성된 평가인식 척도 문항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점검하기 위하여 다차원 Rasch 분석(Adams & Wilson, 1996)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K-TCoA 척도는 학교 및 학생 책무성, 향상, 타당 및 부적절성 인식으로 구성된 5요인 모형으로 타당화되었다. 또한 다차원 Rasch 모형에 기반한 문항분석 결과, 문항의 적합도 및 신뢰도 수준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예비교사가 지닌 교실평가에 대한 인식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실평가가 부적절하다는 인식에는 대체로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자신이 경험한 피드백을 신뢰하고 가치가 높다고 지각할 경우 보다 긍정적인 평가인식을 가지며, 부정적인 평가인식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향상 인식만이 지각된 피드백 환경과 평가전문성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정책의 실행 및 예비교사의 평가교육 모형 개발에서 평가인식의 중요성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Teachers’ Conceptions of Assessment(TCoA) inventory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lso it was explored how the assessment environment and assessment literacy are relat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assessment. TCoA(Brown, 2006),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New Zealand teachers, uses 27 items, spread equally across nine factors, which are organized into four major, interrelated conceptions of assessment. A 27 item TCoA was completed by 564 prospective teachers attending to three different teachers’ college located in D & K region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onsistently revealed a five-factor model where the validity factor was added to the Brown’s original model and also the six items were excluded on the basis of the judgemental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Also Rasch analysis provided further evidence of the psychometric quality of Korean version of TCoA in terms of dimensionality, the response scale effectiveness, and item fit statistics. Second, on average, prospective teachers agreed with the improvement/validity and the school/student accountability conceptions, while rejecting the view that assessment is irrelevant. Third, the supportive feedback environment perceived by prospective teachers reinforced their positive conceptions of assessment while it made the negative ones weaken. Also, their improvement conception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dback environment and their assessment literacy. Implications for the use of the K-TCoA for policy implementation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discussed.

      • KCI등재

        수업과 평가 연계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실태 분석

        진경애,박정,정연준,이명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alignment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high school Mathematics and English classes. Align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is important in that if the contents and the activities dealt in the classes are not adequately aligned with the assessment, the students'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may decrease. In order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on the alignment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survey with 504 teachers and 7,251 high school students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generally perceived that the class contents are reflected in the assessment.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first grade students and the second grade students in the perception in that the second grade students perceived lesser linkage of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comparing the first grade students.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alignment of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ize of cities and the type of high schools. The students in large cities and the special purpose schools perceived more linkage of the instruction and assesment comparing small cities and general high schools. Comparison of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perception showe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ighter linkage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an the students. There should be some educational policies to lessen the gap i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alignment of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fluenced by the grade–first or second grade-, the size of cities and the type of schools as well as the gap with the teachers. 교사의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에 따라 수업 실제가 다르게 운영될 수 있기 때문에 학생의 인식을 파악하는 일은 중요하다. 이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활동 중심 수업과 평가의 연계가 그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수업과 평가 연계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수업과 평가 연계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136개 고등학교의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수업 내용과 활동이 평가에 반영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1학년에 비해 2학년은 수업 활동의 학생 평가 반영 정도에 대해 낮게 응답하고 있었다. 지역별로는 대도시가, 학교 유형으로는 특목고 학생들이 수업 활동의 평가 반영에 대한 응답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평가 결과가 영어와 수학 교과 모두에서 학습 증진에 효과를 미치는 정도에 대하여 학생들의 응답은 1학년 수업이 2학년 수업보다, 대도시가 읍‧면지역 보다, 그리고 특목고가 일반고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업과 평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학교 유형이나 지역에 따른 차이를 줄이는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부가적으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대체로 교사의 응답 평균이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 활동 평가 후 즉시적 피드백을 제공하는지에 대해서도 학생들은 교사보다 낮은 응답 반응을 보였다. 이는 교사가 학생들의 요구나 태도를 지각하는데 있어서 학생의 시각을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강의평가에 대한 학생과 교수의 인식 비교

        최윤희 ( Yoonhee Choi ),윤린 ( Rin Yu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강의평가에 대한 학생과 교수의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대전 소재 H 국립대학교 재학생 799명과 교수 41명이다. 학생과 교수간의 인식비교를 위해서 t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에 대한 필요성과 학생들의 강의 평가에 대한 진지한 태도에 대해서 학생과 교수들은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학생들은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가 필요하며, 진지하게 평가한다고 응답한 것에 비해서 교수들은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 필요성과 학생들의 진지함에 대해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실제 강의활동에 대한 인식에서 학생과 교수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교수는 강의 계획서와 실제 강의가 일치하며, 과제 및 평가기준과 강의목표를 제시했다고 높게 인식하는 데에 비해서 학생들은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강의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서 학생과 교수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교수는 학생들이 강의평가를 할 때 학생이 받을 예상점수, 교과내용에 대한 흥미, 교수와의 인간적인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높게 인식하는 것에 비해서 학생들은 그러한 요인들의 영향력을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강의평가 문항의 적정성에 대해서 학생들은 수업관리영역을, 교수들은 수업목표달성 영역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평가 결과가 교수들에게 의미있는 피드백의 자료가 되기 위해서는 학생과 교수의 관점을 반영한 문항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강의평가를 통해 강의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강의 개선’ 이라는 평가의 의도에 맞게 평가영역을 구분해서 제시해야 할 것이다. We compared th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on the lecture evaluation.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lecture evaluation and the lecture activities, and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the lecture evaluation. The questionnaire was carefully validated by a group of professor. Total 799 students and 41 professors at H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urvey. The T-test was used to quantify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lecture evaluation between student and professor. Key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Professors regard that students don’t pay attention to evaluate lectures. However, students think that they correctly evaluate the lectures, and highly admit of the requirements of the lecture evaluation. Concerning the lecture activities, most professors stated that the actual lecture activiti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lecture syllabus. The lecture syllabus included the evaluation criteria and lecture goals. However, the students less evaluated the congruence between the lecture activities and the contents in lecture syllabus. The expectation score, the subject interest, and the personal interactions with students were regarded as highly influencing factors for students to evaluate a lecture by the professor group. Besides, students recognized the class managemen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fitness of content of evaluation items, but professors recognized the achievement of instructional objective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ummary, the lecture-evaluation items need to be developed to be a meaningful feedback data to the professors for improving the lecture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the evaluation items based on both the class management and the instruction objective.

      • KCI등재

        팀기반 학습에서 동료평가 사전 인식교육이 평가의 신뢰도, 팀활동의 만족도,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Kim, Mi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팀기반 학습에서 동료평가 인식교육이 평가의 신뢰도, 팀활동의 만족도,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준실험 설계를 적용하여 같은 조건의 두 반을 무선 배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후,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팀과제 활동의 과정에 대한 평가(기여도 평가)를 동료평가로 실시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은 사전에 동료 평가 인식교육을 받았고 통제집단 학습자들은 사전 인식교육이 없었다. 3주 동안의 팀과제 수행이 끝난 후, 동료평가를 실시하고 동료평가의 신뢰도, 팀활동 만족도, 동료평가의 인식에 대한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총 52명의 학생들이 실험에 참여 하였는데(실험집단 28, 통제집단24), 사전 인식교육을 받은 실험집단 학습자들은 통제집단 학습자들에 비해 동료평가의 신뢰도 측면에서 높았고, 팀활동 만족도 중에서는 평가의 공정성 항목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사전 인식교육을 받은 실험집단 학습자들은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에서도 통제집단 학습자들에 비해 더 정확하고 유용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평가의 원래 목적과 팀학습에서의 필요성 등을 충분히 인식한 학습자가 동료평가를 더 공정하게 하고 유용하게 인식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므로 동료평가에 대한 정확한 사전인식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wareness training of peer assessment on the reliability of peer assessment, team activity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n peer assessment in team-based learning. Two intact groups(52 students) are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conditions (experiment group with awareness training vs. control group without train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reliability of peer assesment, the learners in experiment group shows much higher reliability of peer assessment. In team activity satisfaction, overall team satisfaction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in fairness of assessment item the learners in experiment group shows significantly high score than the learners in control group. In perception on peer assessment, the learners in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toward peer assessment. In specific, they perceived peer assessment is more accurate and more useful than control group learners di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pre-awareness training when we use peer assessment in team-based learning situation. At the end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to verify the results are recommended.

      • KCI등재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과학 구술평가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전원미(Wonmi Jeon),노아름(Arum Noh),최혁준(Hyukjoo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수업에서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구술평가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19명의 훈련된 동료 평가자가 평가대상자 90명을 대상으로 구술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술평가를 실시한 후,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구술 평가에 대한 평가로서의 ‘유용성’ 및 ‘신뢰성’, ‘훈련된 동료 평가자 역량 강화 과정’에 대한 인식을 리커트 척도 및 서술형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결과 평가대상자는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구술평가’의 평가로서의 유용성(M=3.88) 및 신뢰성(M=4.09)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평가로서의 유용성에 대해 훈련된 동료평가자(M=4.38)가 평가대상자(M=3.88)보다 전반적으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성에 대해서는 역할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훈련된 동료평가자의 경우, 역량 강화 과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M=4.47)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문을 주고받는 과정이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훈련된 동료 평가자와 평가대상자 모두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구술평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전반적으로 훈련된 동료 평가자의 인식이 평가대상자보다 긍정적이었으며, 역량 강화 과정이 훈련된 동료 평가자에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iddle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the assessment of oral presentations by ‘trained peer evaluators’ in science classes. Methods 19 trained peer evaluators conducted the assessment of oral presentations on 90 peer learners. Then, we investigated the awareness of ‘usefulness’, ‘reliability’, and ‘the training peer evaluators’ competency-building training process' for this evaluat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valuated learn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awareness on usefulness (M=3.88) and reliability (M=4.09) of ‘the assessment of science oral presentations by the trained peer evaluato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The awareness on usefulness of the trained peer evaluators (M=4.38) was more positive than that of the evaluated learners (M=3.88),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role. The trained peer evaluators had positive awareness of ‘the competency-building process’ (M=4.47) and responded that the process of exchanging questions helped learning. Conclusions Both the trained peer evaluators and the evaluated learners were positively aware of ‘the assessment of science oral presentations by the trained peer evaluato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Overall, the awareness of the trained peer evaluators was more positive than that of the evaluated learners, and ‘the competency-building process’ was found to be helpful to trained peer evaluators for their learning.

      • KCI등재

        대학 강의평가 운영에 대한 교수 인식 분석

        최금진(Choi Keum jin),권성연(Kwon Soung youn),김은정(Kim Eun jeong),박일수(Park Il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 관리 체제로서 운영되는 강의평가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충북 소재 A대학교 교수들을 대상으로 강의평가 실태와 강의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강의평가문항의 적절성, 강의평가(운영 및 결과활용)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A대학 126명 교수의 설문지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 등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평가결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확인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강의평가 방법의 타당성과 강의평가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과목에 대한 흥미, 강좌 난이도, 교수의 열정 요인 순으로 강의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강의평가 문항 가운데 상호작용 및 수업참여, 수업방법 및 매체, 교재 및 학습자료 등 주로 방법적인 측면의 문항을 보다 적절하다고 인식하였고 수업을 통해 향상된 역량 정도, 학습내용과 분량, 평가방법의 적절성 문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넷째, 강의평가 개선방안과 관련하여, 강의평가 참여자로 학생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교수 자신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기말 강의평가 1회 실시, PC 및 모바일 접속을 통한 온라인 강의 평가 방법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며, 강의의 질 제고에 초점을 둔 강의평가, 담당 교과목 교수에게만 평가결과 공개, 강의평가 결과가 낮은 교원에게 교수법 연수 실시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강의평가의 주요 이해 당사자인 교수의 인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강의평가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fessor’s perception on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of course evaluation for educational quality management. For this purpose, the professors in A university in Chung-buk province were surveyed to identify their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e, the relevance of questionnaires and the improvement of course evaluation. A total of 126 professors from A University were asked questionnaire of perception on course evalu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rofessors interested in and checked the results of course evaluation, but their preception of validity of evaluation method and reliability of course evaluation result were low. Second, students’ interest in a cours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make course evaluation, and difficulty of a course, professor’s passion were influential factors in order on course evaluation. Third, among the course evaluation questions, facilitating interaction and engagement during the class, instructional method and media, text book and teaching material were relevant questions, however, the qu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through the course, the composition and quantity of the course content, evaluation method in a course were perceived as irrelevant. In addition, the differentiation of questionnaire depending on the lecture type was preferred. Fourth, more than half of the professors regarded student as the most appropriate course evaluation, and the next was professor himself. Implementing course evaluation once per semester, complementary mobile evaluation method, Focusing on the quality improvement, undisclosed evaluation result except oneself, were preferred to improve course evalu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course evaluation by analyze the perception of professor, important stakeholder of course evaluation.

      • KCI등재

        음운인식 진단·평가 모형 개발

        석동일(Dong II Seo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3

        최근 들어 음운인식은 언어장애 아동의 문해력(literacy) 기술 뿐만 아니라 언어능력 발달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외에서는 표준화된 여러 검사 도구들로 음운인식 능력을 진단․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가 없어 음운인식 진단․평가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운인식 진단․평가 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음운인식 검사 도구에 포함되어있는 하위 과제 유형과 수, 과제별 문항 수, 과제 수행 방법 그리고 음운인식 진단․평가의 부가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포함되어 있는 평가 영역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내외적으로 음운인식 검사 도구의 하위 과제 유형에는 음절, 음절체-각운, 음소 순으로 변별, 분절, 탈락, 합성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음운인식 검사 도구의 하위 유형에는 음소수준의 초성, 중성, 종성 변별이 국외 검사 도구와 달리 주요한 하위 과제 유형으로 나타났다. 하위 과제의 수는 검사 도구의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4~10개이며, 과제별 문항 수는 음절 및 음절체-각운 보다 음소수준에서 더 많았다. 과제 수행 방법은 대부분 피검자의 산출 반응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운인식 진단․평가의 부가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포함되어 있는 평가 영역은 음운재부호화(phonological recoding), 음운부호재생(retrieval of phonological code), 글자지식(letter knowledge), 읽기 그리고 쓰기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음운인식 진단․평가를 위해 우선적으로 음운인식 검사 도구를 개발하되 이상의 구성적 및 방법적 특징을 고려해야 한다. The phonological awareness refers to the ability to recognize that speech is made up of sentences that can be broken down into words, syllables, intrasyllabic units, and phonemes and is the ability to talk about, reflect upon, and manipulate these component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has naturally been associated with the ability to read and spell. Therefore, the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ASHA) asserted t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 should take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literacy for these children. Nevertheless, we lack a standardized assessment test of phonological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evaluation and assessment model for phonological awareness. We primarily analyzed the task of phonological awareness, number of tasks, number of items each task and children response acts followed direction, and subsequently investigated other factors that might be associated with phonological awarene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tasks of phonological awareness were discrimination, segmentation, deletion and blending in syllable, rhyme and phoneme level. Particularly, in Korea, tasks examined initial consonants, middle vowel, and final consonants discrimination. Common tasks employed 4~10 tasks and production response. More items were included at phoneme level tasks than at syllable level. Second, additional tasks examined phonological recoding, retrieval of phonological code, letter knowledge, reading and writing.

      • KCI등재

        교원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원장ㆍ원감 및 교사의 인식 비교

        오경녀(Oh Kyung-Nyeu),이혜은(Lee Hae-eun),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현재 공립학교 체제 속에서 실시되고 있는 공립유치원 교원평가의 실태 및 현행 교원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앞으로 실시될 교원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공립유치원 교원의 교육수행 지원과 교원평가체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공립유치원 교원들은 현행 교원평가의 실시에 대해 알고 있으나 교원평가의 결과활용에 대해서는 과반수에 가까운 교사들이 알고 있지 않았으며, 그외 교사들은 교원평가를 근무지 이동, 성과급 지급 등과 같은 보상과 관련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직위에 따라 교원평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는데, 원장ㆍ원감은 교원평가에 대한 필요성과 공정성, 기여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교사들은 교원평가의 적절성, 만족도, 영향력, 기여도면에서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교원평가에 대해서 원장ㆍ원감은 동료와의 관계나 학부모와의 관계가 부정적으로 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새로 도입될 교원평가에 대하여 기관단위의 평가, 자기평가, 학년도 말, 격년제 이상의 평가 간격 등을 선호하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교사들이 교원평가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행 및 새로 도입될 교원평가에 대한 충분한 안내를 통한 공감대 형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집단참여의 교원평가과정에 대한 숙의과정이 더욱 필요하며, 유아교육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교원평가를 준비하기 위해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for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ssessment by investigating how to actually conduct the teacher assessment what was teaching staff's perception of the assessment and newly enforced teacher assessment.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practice of current teacher assessment between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awareness about the current teacher assessment between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3. Is there any different awareness about the newly enforced teacher assessment between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practice of current teacher assessment, most of public kindergarten teaching staff have conducted work performance evaluations, some of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ing staff had no idea about the practical use of the assessment and others knew the practical use of the assessment, which was used for relocation, and extra payment.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incipal, assistant principal and teachers's perception about the assessment itself, necessarily. Teachers had more negative views than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but agreed the assessment was necessary. Teachers knew about the current teacher assessment in general and had negative opinions about appropriateness, management satisfaction, fairness and contributions of teacher assessments, but these assessment influenced them. Third, for the newly enforced teacher assessment, most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knew about the new assessment but most teachers did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