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문화연구의 비판적 성찰; "문화" 개념과 "성차" 관련 개념들에 관한 몇 가지 고찰 :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 "페미니즘 문화연구"를 중심으로

        김현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페미니즘 문화연구는 단일한 하나의 학제적 카테고리라기보다, 학제와 학제를 가로 지르며, 맥락화된 현실과 이론을 오가는 두 연구 분야가 만나거나 혹은 경합하며 이론을 생산해내는 장(field)이다. 따라서 지난 20여년간 한국 사회에서 이루어진 "페미니즘 문화연구"의 작업을 검토하는 이 글은 핵심적인 개념인 "문화"와 "성차" 관련 개념들을 나침반 삼아 그 변동과정을 따라가보는 방식을 취하고자 한다. 우선 서구 사회 "문화"와 "성차"관련 개념 변동 지형은 첫째, 문화 개념을 경유한 남성우월체계와 그 논리비판, 둘째, 구조기능주의적 논의에서 "성차별적 문화"의 섹스-젠더 환원성, 셋째, 문화연구의 등장과 함께 가능해진 페미니즘 문화연구 활성화로 파악되었다. 또한 한국 사회 변동의 계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심 모순"에 대한 대당 개념으로서의 "문화" 와 주변적 위치로서의 "여성" 개념 등장, 둘째, 성정치론자들의 "섹슈얼리티"와 규범적 "성문화"에 관한 문제제기, 셋째, 성정치론자들의 문제제기와 문화연구 프레임을 받아들인 페미니스트들이 분석하는 성별과 섹슈얼리티의 교차성 그리고 대중문화. 이러한 "성차" 관련 개념과 "문화" 개념의 변동 속에서 페미니즘 문화연구의 외연은 확대되었지만, 매체의 다변화, 문화산업의 양적 성장이라는 조건들 속에서 더욱 조밀하고 복잡해지는 성차의 의미망들을 관련 체제들과 연관지어 분석, 비판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가 도래했다. Feminist Cultural Studies is rather an interdisciplinary field producing theories by different areas traversing contextualized reality and theories than a homogeneous disciplinary category. Therefore, this article which examines tasks of "Feminist Cultural Studies" in Korean society for over twenty years takes the essential "culture" and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as a compass and follows their changing process. To begin with, the changing topography of "culture" and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in Western society was grasped by 1) the criticism on male supremacy and its logic via culture concept 2) sex-gender reduction of "sexist culture" concept in structural functional discussion 3) the increased Feminist Cultural Studies enabled by the advent of cultural studies. In addition, the causes of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are as follows. 1) the advent of "culture" concept as a anti idea against "main cause of problem of Korean society" and "women" concept as a marginal position 2) sexual politics 'raising a question about "sexuality" and normative "sexual culture" 3) intersection of gender and sexuality and popular culture analyzed by feminists who accepted sexual politics' question and the frame of cultural studies. In the aforementioned changes of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and "culture" concept, the scope of feminist cultural studies has been extended. Yet, under the conditions of diversified media and quantitative growth of cultural industries, the new task of analyzing and criticising the denser and more complicated semantic net in the association with related system has arrived.

      • KCI등재

        팬덤과 페미니즘의 조우

        김수정(Sujeong K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3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날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아이돌 팬덤이 어떻게 페미니즘과 관계 맺는지를 팬덤연구를 토대로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미디어 문화연구에서 국내 외 팬 연구들이 팬의 행위와 팬덤 공동체 문화에서 주목하고 적용했던 페미니즘의 관점과 평가가 무엇이었는지를 사유하고 성찰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의 국내외 팬덤 연구가 팬덤의 페미니즘 가치를 여성 팬들의 ‘역능성(empowerment)’ 획득에 방점을 두어왔음을 밝혔다. 그러나 서구와 달리, 한국의 아이돌 팬덤은 ‘가족담론’, 남성 아이돌을 대상화 한 여성팬들의 ‘섹슈얼리티 향유’, ‘모성담론,’ ‘소비권력’을 복합적으로 체현하고, 동시에 ‘한국사회의 정서적 평등주의와 도덕주의 에토스’에 추동되는 팬덤 권력을 행사하며 페미니즘과 복잡하고 양가적인 관계를 특징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최근 남성 아이돌그룹에 제기된 여성혐오 논란과 팬들의 대응에 관한 팬 연구를 검토하며, 한국 아이돌 팬들이 자신들의 목적을 위한 정당화 기제로 페미니즘을 도구화 하는 행위를, 페미니즘 관점의 팬덤 연구의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at the implications of media fandom practices on feminism are and how the practices relate to feminism through literature reviews of fan studies. In so doing,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issues and achievements of fan studies in terms of feminism. The paper highlights that fan studies found fandom community, fan activism, and fan production such as fanfic have contributed to valorizing feminine culture, reciprocity practices, and sexual pleasure in the way of empowering fan in terms of feminism. However, the paper argues that ‘family discourse’ ‘sexual enjoyment’ by female fans’ treating male idols as sexual object, ‘motherhood discourse’ and ‘consumption power’ have Korean idol fandom complicated and ambivalent. So do Korean ethos of ’affective egalitarianism’ and ‘collective moralism.’ Lastly, by critically examining the two academic articles dealing with conflicts among idol fandoms in relation to misogyny, the paper poses that the ways in which idol fandoms take advantage of feminism for their own benefit of moral superiority reveal the unwarranted relations between fandom and feminism as much as the possibility of bond.

      • KCI등재

        한국 언론학에서 ‘여성주의/젠더 연구’의 지식생산

        백미숙(Misook BAEK),이종숙(Jongsook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1 언론과 사회 Vol.19 No.4

        이 글은 한국 언론학에서 ‘여성에 관한 지식’이 어떤 것들이며 여성주의적 관점이 어떻게 편재되어 있는가, 그리고 이것이 주는 함의가 무엇인가에 대한 메타분석의 하나다. 이를 통해 언론학 연구자들의 전공영역과 학문적 관심이 여성주의/젠더에 대한 관심과 ‘타협’할 수 있는 지점, 그리고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연구에 여성주의/젠더 시각이 개입할 수 있는 영역들을 찾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또한, 여성주의/젠더 연구가 여성학자들 끼리 전유하는 소수의 관심사가 아니라 언론학의 지식생산과 인식론에 기여하는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분석결과, 한국 언론학에서 여성주의/젠더 연구의 위치는 주변부적인 취약함을 보일 뿐 아니라 양적으로도 빈곤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연구의 경향성에서는 정형화와 반복 재생산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들 연구는 다양한 주제와 소재를 다루면서, 2세대 여성주의에서 포스트페미니즘까지 폭넓은 인식론적 관점을 수용하고 있었지만 결론적으로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비판을 넘어서지 못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여성주의 재현의 정치학이 가장 첨예하게 발현되는 문화연구에서는 텍스트 중심의 재현 연구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여성 주체적 지식생산을 위한 여성주의 글쓰기와 역사쓰기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되었다. 또한, 한국 언론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증주의적이며 경험주의적인 연구들은 2세대 여성주의 관점을 수용하여 여성을 첨가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었지만 분석결과에서 매우 부분적으로나마 남성중심의 지식생산에 균열을 일으킬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여성주의 경험주의 연구의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여성주의/젠더 연구가 문화연구와의 접점에서 여성주의 이론과 정치성에 천착하며 다양한 연구성과를 만들어내야 하는 것이 과제며, 이를 통해 한국 언론학의 학문적 지평이 더욱 넓어지고 풍부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at forms of ‘feminist knowledge’ have been produced and circulated in the discipline of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in Korea, and its implications to the interdisciplinary knowledge production. For this purpose, it analyzes the methodologies and epistemological bases on which feminist/gender studies published in five major communication and media journals have conducted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Overall feminist/gender studies have adopted diverse perspectives, ranging from the second wave feminism to post-feminism, however, they revealed the limitations that their conclusion was converged into the critiquing the patriarchal ideology. In particular, the positivist and empiricist approaches as a dominant paradigm in these areas have not advanced much from the stage of just adding women to the analysis. Nevertheless,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nalysis have indeed shown partially the possibility for enhancing analytic capabilities in feminist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through feminist empirical research. On the other hand, cultural studies has extended its research spectrum. It not only focuses on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but also draws attention to the ways women enter the knowledge production process through such a way of feminist writing and embraces the approaches of feminist historians. It is expected that the attempts of cultural studies scholars to incorporate feminist theories into its research tradition will broaden academic horizon of communication and media areas.

      • KCI등재

        서울 도심의 공간 표상에 대한 젠더문화론적 독해

        이수안(Suan Lee)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3

        이 논문은 서울의 도심을 근대성과 후기근대성이 공존하는 도시공간으로서의 문화텍스트로 상정하고 젠더문화연구의 관점에서 독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물리적 공간과 사회적 주체 간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주요 논제로 삼던 기존의 도시사회학과 인문지리학적 논의를 배경으로 하여, 근대성이 관철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의 성별적 표상과 공간의 성별 분할을 파악하였다. 이미지성과 가독성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공간적 해석의 분석틀은 성별분업과 영역의 이분법, 여성성/남성성의 이분법적 재현, 그리고 근대성과 후기근대성이 이들과 조응하고 교차하는 방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Benjamin의‘산보하기(flanerie)’의 도시문화 해석과 음미의 방식은 수용하되 이를 페미니스트 문화독해 방식으로 전화하여 은유적 방법론으로 차용하기 위하여 Irigaray의‘검경(speculum)으로 들여다보기’를 도입함으로써 도시공간분석의 새로운 해석적 방법론으로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focus the ways in which Seoul as an urban space can be read and interpreted from gender perspective, assuming Seoul as a cultural text which represents modernity and post-modernity. Drawing on discussions of urban sociology and human geography which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spaces and social subjects, this paper explores the gendered segregation and representations of space in Seoul which has been constructed through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framework of spatial interpretation of Seoul, concentrating on imageablity and legibility,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gendered division of labour and sphere, dichotomy of representations along with femininity and masculinity, and the ways of interlocking between modernity and postmodernity. In this paper, ‘flanerie’, Benjamin’s method of interpretation of urban culture and the way of seeing with ‘speculum’ of Irigaray are adopted as metaphoric methodologies. It is an attempt to develop a new methodology to analyze and interpret urban space from gender-cultural perspective.

      • KCI등재

        임중(任重)의 시대정신 발현과 도원(道遠)의 우리철학 정립 문제 -『시대와 철학』제1호(1990)~제19권4호(2008)에 게재된 동양철학 논문을 중심으로-

        이철승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시대와 철학 Vol.20 No.3

        從1990~2008年, 在『時代與哲學』登載的有關東洋哲學論文當中, 相當數包含著解決時代問題的方案。但是, 其中的一部分論文僅僅羅列一些理論, 幷沒有深入分析了時代問題。筆者按照時代精神發揮與我們哲學定立問題的觀點分析了140篇的論文。當中103篇介紹了有關傳統哲學的內容, 其中大部分是在當今學界裏經常被提出的主題。各別領域爲發生在中國, 韓國, 北朝鮮, 日本等傳統社會裏的哲學內容。他主要包含著儒學(先秦儒學, 性理學, 陽明學, 韓國性理學, 韓國實學, 氣哲學, 現代新儒學), 佛敎, 道家, 諸子, 自由主義, 中國式馬克思主義, 文化, 美學, 近代性, 西學, 近現代思想, 出土文獻, 硏究動向等的主題。其餘的37篇是, 有關如今社會問題的論文。其中的25篇是關於硏究態度, 飜譯與解釋, 男女平等主義, 新科學運動, 科學技術, 無政府主義, 民族等的內容。這裏表現著任重 硏究者的時代精神, 可是他們的硏究只是提出了問題而是沒有充分的對策。剩下的12篇是有關定立我們哲學的內容。這些論文不僅反映了如今的時代問題, 還提出了時代問題的解決方案。완惜的是, 其內容的大部分只是留在初步想法, 還沒有系統的硏究結果。樹立我們哲學被認爲仍然是個道遠的事, 但這件事是個必須被完成的任務。哲學是時代的産物, 是關係的和諧, 是人生的指標。『時代與哲學』已經成了二十歲的靑年。他應該不斷探索時代的問題, 還要努力尋조問題的解決方案。

      • KCI등재

        번역서의 온라인 곁텍스트와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통시적 연구: ‘오만과 편견’을 중심으로

        송연석 한국번역학회 2023 번역학연구 Vol.24 No.3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era, the landscape of book purchasing and consumption has shifted significantly from offline to online, and from print to e-books. This diachronic study seeks to understand how these sociocultural changes have influenced translation and necessitated changes in the analysis of paratexts of translations. The paper begins by examining the limitations of Genette’s traditional division of paratexts into peritexts and epitexts, proposing a framework that divides online paratexts into images and text. Analyzing the online paratexts of 96 translated texts collected from two major domestic online bookstores, the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ocioculutral changes on paratexts, identifying key trends and changes in response to these shifts. The findings reveal a marked prominence of feminism in Korea from 2016 to 2019, a diminishing visibility of translators in the e-book-centric market, prevailing norms oriented towards readability and acceptability, and an emphasis on educational purposes reflecting the nation’s exam-driven educational climate. The paper concludes by proposing the need for revisiting traditional concepts and methodologies in Translation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