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시의 고전시가 패러디 양상과 담론 -<제망매가>와 <청산별곡>의 패러디를 중심으로

        박경수 ( Park Kyung-su ) 국제어문학회 2006 국제어문 Vol.38 No.-

        이 글은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사이의 대화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작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전시가를 패러디한 현대시 작품들을 주목하여, 이들 작품들의 패러디 양상과 담론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그런데 효율적인 논의를 위해 고전시가 중에서도 향가와 고려 속가로 범위를 제한하고, 다시 향가 중에서 <제망매가>, 속가 중에서 <청산별곡>을 패러디한 현대시작품들을 집중 고찰했다. 현대시에서 고전시가를 어떻게 패러디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전제로 패러디의 유형을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첫째 유형은 원전의 형태를 큰 변화 없이 차용하면서 기본적으로 원전과 동일한 담론을 추구함으로써 원전의 담론은 계승하고 있는 경우이고, 둘째 유형은 원전의 형태를 새로운 시의 문맥에서 변형하여 활용하되, 원전의 담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여 원전의 담론을 계승하고 있는 경우이다. 셋째 유형은 원전의 형태를 차용하되 이를 새로운 시의 문맥에서 수용, 변용하는 동시에 원전의 담론을 전환하여 새롭게 문맥화하고 있는 경우이다. 넷째 유형은 크게 보아서 셋째 유형에 속할 수 있지만, 원전의 형태를 차용, 변용하되 특별히 사회현실의 맥락에서 사회적 실천을 추구하는 담론을 보여주고 있는 경우로 셋째 유형과 구별되는 것으로 파악했다. 마지막 다섯째 유형은 원전의 형태를 차용, 변용하되 원전의 지배적 담론을 역전 또는 해체시켜 비판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상 다섯 가지의 패러디 유형에 입각하여, 먼저 향가 <제망매가>를 패러디한 현대시로 박희진, 여영택, 김인육, 박제천, 이성선, 송정란, 김석규, 기형도, 이향아의 시작품들을 찾아서 논의했다. 이들 시인의 시작품들에서 패러디의 다섯 가지 유형을 모두 찾을 수 있었는데, 셋째 유형과 넷째 유형의 시작품들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속가 <청산별곡>을 패러디한 현대시 작품으로 윤곤강, 신석초, 최정례, 김석규, 박남철의 시작품들을 찾아서 논의했다. 이들 속가를 패러디한 시작품들에서 둘째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이 가장 많았는데, 그만큼 속가 <청산별곡>에 내재된 자연담론을 피안의 세계나 이상향을 추구한 것으로 읽고 이를 긍정적으로 자신들의 시작품에 반영하고자 한 때문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넷째 유형에 속하는 박남철의 시는 원전의 형태를 차용하되, 원전의 지배적 담론을 비판하고 풍자하고자 하는 전략에 따라 원전의 조어법을 의도적으로 비틀어 패러디하면서 원전의 지배적 담론을 해체하고자 한 작품으로 현대 패러디 시의 한 특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고전시가를 패러디한 현대시가 시의 형태와 담론에서 일부 고답성을 벗어나지 못한 경우도 있었으나, 대체로 시적 전통을 현대적 맥락에서 재인식하면서 새로운 시의 형태와 담론을 창출하는 데 기여했음을 확인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parody aspects of classical poems in modern poetry and its discourse to examine the dialogical connection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The study is investigating modern poems which is parodying 「Jaemangmaega」, one of Hyangga in Unified Shilla, and 「Chungsanbeulgok」, one of the popular songs in Koryo dynasty. The results of study can be categorized followings: the research finds out five aspects of parody through the examples of modern poems; the first case imitates the original text and follows the discourse of it. It can be called a "mimetic parody."; the second parodies select the elements of original text and converses the discourse of it. It can be called a "selective parody."; the third case modifies the original text and actualizes the discourse of it by connecting with social context. It can be called a "modified parody."; the fourth case parodies critically the original text and makes a new discourse by reversing the discourse of it. It can be called a "critical parody."; the fifth case parodies the original text critically and breaks up the dominating discourse of it. It can be called "the reconstructed parody."

      • KCI등재

        상표 패러디의 허용에 관한 한·미의 비교법적 연구

        박진주,이경규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24 과학기술법연구 Vol.30 No.2

        최근 유명 상표를 패러디한 상품들이 시중에서 판매됨에 따라 희석화 등의 문제로 인한 침해분쟁이 발생되고 있다. 유명 상표를 패러디하는 것은 막대한 광고비용 없이 수요자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고, 기대 이상의 광고 효과를 볼 수 있다 보니 많은 판매자들이 유명 상표를 이용한 패러디의 형태로 상호나 상품의 표장 등에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표의 역할이 거래시장에서 소비자로 하여금 상품의 출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표권자는 자신의 상표를 패러디하여 제3자가 출원하려거나, 사용하는 경우 오인·혼동 등의 우려로 제3자의 사용을 당연히 허락하지 않을 것이며 이것은 상표권자인 자신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일반적인 모습이다. 우리 법원 또한 상표권자가 힘들게 쌓아올린 명성을 손상하게 하거나, 소비자들이 패러디된 상표를 보고 출처 혼동 우려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표법 목적에 따라 상표권자의 독점배타적 권리를 보장하고, 수요자들이 상품을 선택하는데 혼동되지 않도록 허용하지 않고 있다. 다만, 상표 패러디가 수요자의 입장에서 본래의 메시지와 패러디의 메시지를 동시에 느낄 수 있고, 상표 패러디 목적이 상표권자의 명성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하는 것에 있지 않고, 패러디 대상의 상표를 풍자·비판하여 웃음을 주는데 있다면 상표권자의 이익만을 과도하게 보호해선 아니 되고, 성공적인 패러디로 보아 사용을 허락하여야 할 것이다. 상표 패러디에 대한 국내 사례가 다소 부족하여 아직은 ‘루이비통닭’, ‘견관장’, ‘더페이스샵’과 같이 상표권자의 이익이 우선시 되는 원고 승소 판결이 다수였을지라도, 향후 상표 패러디와 관련하여 패러디스트의 이익과 공중의 이익 등의 반영이 필요한 법적 분쟁이 발생 될 여지가 다분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상표 패러디의 사례가 다양하게 축적 되어 있는 미국 판례를 분석하고, 양국의 관련법을 비교하여 국내 상표 패러디의 허용기준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Recently, as products that parody famous brands are sold on the market, infringement disputes are occurring due to issues such as dilution. Parodying famous brands can be easily recognized by consumers without huge advertising costs and can have advertising effects that exceed expectations, so many sellers are using famous brands as parodies for their business names or product emblems. However, because trademarks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consumers identify the source of a product in the trading market, trademark holders are concerned about misidentification and confusion when a third party attempts to apply for or uses a parody of their trademark. Naturally, use by third parties will not be permitted, and this is a common practice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trademark owner. Our court also guarantees the trademark owner's exclusive rights for the purpose of trademark law in cases where the trademark owner's hard-earned reputation is damaged or consumers are likely to be confused about the source of the product upon seeing the parodied trademark, and consumers are encouraged to purchase the product. This is not allowed to avoid confusion in selection. However, in a trademark parody, consumers can feel both the original message and the parody message at the same time, and the purpose of parodying a trademark is not to sell products using the trademark owner's credibility, but to satirize or criticize a famous trademark to make people laugh. If the purpose is to provide humor, the interests of the trademark owner should not be excessively protected, and use should be permitted considering it is a successful parody. Although domestic cases of trademark parody are somewhat lacking and there have been many plaintiffs' rulings in which the interests of trademark owners take precedence, such as 'Louis Vuitton Chicken', 'Gyeonggwanjang', and 'The Face Shop', parodists in relation to trademark parodies in the future Since there is a lot of potential for legal disputes to arise that require reflection of the interests of the public and the interests of the public, this study analyzes U.S. case law, which has accumulated a variety of cases of trademark parody, and compares the relevant laws of both countries to determine whether domestic trademark parody is permitted. We would like to look for standards.

      • KCI등재

        정치패러디를 둘러싼 권리자와 이용자 사이의 이익균형에 관한 고찰

        강신하 한국저작권위원회 2014 계간 저작권 Vol.27 No.3

        정치패러디는 정치인이나 정치인의 주장을 희화적으로 묘사하여 정치현실을 비판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 패러디의 대상이 되는 원작의 저작권을 침해하거나 정치인의 명예훼손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정치패러디는 정치에 대한 비판을 통한 여론형성 등 민주정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저작자와 패러디 작성자의 적절한 이익균형이 필요하다. 저작권법은 한 · 미 FTA 협정에 따라 저작권이 보다 강화됨에 따라 이용자와의이익균형을 맞추기 위해 저작권법 제35조의3에 일반적 저작권 제한 규정인 공정이용 법리를 도입하였다. 따라서 정치패러디 허용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인용규정과 공정이용 규정을 별개의 기준으로 보아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권리자와 이용자의이익균형을 위해 바람직할 것이다. 정치패러디로 인한 명예훼손 성립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도 정치패러디 작성자는합리적 독자들이 정치패러디의 내용이 허위임을 알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작성한다고 할 것이므로 정치패러디를 일반 명예훼손 사건과 동일하게 취급해서는 안된다. 패러디 작성자가 합리적인 독자로 하여금 허위를 사실로 믿도록 의도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위법성조각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종래 저작권법은 아이디어 · 표현이분법, 저작권 보호기간 제한, 공정이용제도 등을통해 저작권과 표현의 자유의 충돌문제를 저작권 제도자체에서 해결해 주는 것으로보고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저작권의 강화로 인하여 표현의 자유와의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저작권제도 내재적인 수단만으로 표현의 자유와의 적절한 이익균형을 이루지 못할 경우 외부적 장치로서 표현의 자유와의 이익균형이 필요하다. 정치패러디를 둘러싼 권리자와 이용자의 표현의 자유와의 충돌을 해결함에 있어서도, 정치패러디의 대상이 된 정치인의 명예훼손을 손쉽게 인정할 경우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켜 다양한 정치적 의견을 바탕으로 한 민주주의 실현을 방해하고, 국민의 자유로운 표현을 위축시킨다고 할 것이므로 표현의 자유와 명예권의 충돌을 해결함에 있어 정치패러디를 매개적 정치패러디와 직접적 정치패러디로 유형화하여 보호의 정도를 달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창작개념 변화에 따른 패러디의 진화 - 무한도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기련,장동련,김재범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 오랫동안 패러디가 성행하여 왔다. 인터넷의 발달로 패러디는 다양화되었지만, 대중들은 패러디에 대해 모방 혹은 우스꽝스러운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어 개념이 제대로 정립되지 못했다. 한편 예술분야에서는 ‘독창성’에 발목을 잡힌 표현의 한계가 패러디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게 되었다. 인터넷의 발달과 맞물린 이 흐름은 대중문화를 통해서 ‘창작’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무한도전’은 그 변화된 양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작과 패러디의 개념을 살펴보고 무한도전의 사례를 통해 대중문화 속 패러디의 예술적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무한도전의 패러디는 비평의 대상을 기준으로 한 캐플란(Lisa Kaplan)의 분류법을 적용하여 ‘직접적 패러디’와 ‘매개적 패러디’로 나누어 각 사례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방송 횟수가 많아지면서 직접적 패러디에서 매개적 패러디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작자의 패러디 창작하는 방식, 시청자의 능동적인 해독자 역할로 대중문화를 만드는 과정을 알 수 있다. 이는 무한도전의 패러디가 예능프로그램의 형식을 통해서 대중들에게 전달되는 방식은 패러디를 대중문화로서 가치를 갖게 했다. 특히 본 연구는 패러디와 창작의 재개념화, 대중예술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Parody has long been in fashion in Korean popular culture; however, the general public has long held negative perception about parody as being copied or stupid. Meanwhile, in the area of arts, the limit of expression that was fettered by ''originality' became to open a new possibility conversely through parodies that were belittled by modernism. Interlock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is stream became to have a possibility as 'creation' through pop culture and ‘Limitless Challenge’ is actively accepting and initiatively proposing the changed pattern. In the present study, the concepts of creation and parodies were be examined and the artistic value of parodies in mass culture were re-illuminated through the case of ‘Limitless Challenge'. Parodies in ‘Limitless Challenge' were divided into ‘direct parodies’ and ‘vehicle parodies’ by applying the Lisa Kaplan's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the subjects of criticism to compare and analyze each parody ca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irect parodies and vehicle parodies commonly appeared in the same period of time but direct parodies were changed into vehicle parodies as the number of times increases. Through this process, the way for producers to create parodies and the process for viewers to make pop cultures as active interpreters can be seen. The way how parodies in ‘Limitless Challenge' were delivered to the public through the form of an entertainment program made parodies have values as pop culture. In particular, the present study presents re-conceptualization of parodies and creation and the possibility to expand the range of pop arts.

      • KCI등재

        저작권법상 패러디의 보호

        김정완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7 No.3

        오늘날 문학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비판적 시각을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표현기법으로서 활용되고 있는 패러디에 관해 이를 법적으로 어떻게 취급해야 할 것인지, 특히 국제적인 패러디 보호 추세 하에서 왜 저작권법상 패러디가 특별취급 받는지를 검토하였다. 패러디의 법적 개념은 문예론의 그것과 거의 일치하며, 패러디의 본질적인 목적은 원작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서의 재해석에 다름 아니다. 결국 패러디란 원작을 모방하여 이를 비평・논평하되 표면적이지 않고 새로운 표현이나 의미 또는 주장을 부가한 것을 말한다. ‘모방’, ‘변형’, ‘풍자’는 패러디를 구성하는 핵심요소이다. 또한 패러디는 수용자에게 원작을 상기시켜야 하지만 그 비평적 특징 때문에 저작권자로부터 이용허락을 얻기 어렵다는 점, 통상적으로 원작이 널리 알려져 있어야 하지만 원작의 출처표시를 하기 어렵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패러디 인정의 법적 근거로서는 저작권자와 패러디스트 모두에게 부여된 헌법상의 기본권으로서의 표현의 자유를 조정할 필요성에 있다고 보는 것이 각국 판례・학설의 입장이다. 또한 패러디는 원작에 대한 비판을 목적으로 하므로 저작권법상 보호되는 패러디는 직접 패러디에 한하고 원작이 아닌 사회현상을 대상으로 하는 매개 패러디는 원칙적으로 보호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패러디 보호에 관한 국제적 동향과 관련하여, ⅰ) 미국의 경우, 권리제한의 일반조항인 ‘공정이용(fair use)’ 규정(제107조)에 의해 저작권침해의 책임이 면제될 수 있으며, ⅱ) 독일에서는, 패러디를 허용하는 저작권법상의 규정은 존재하지 않지만, 저작권법 제24조(자유이용)를 통해 패러디 허용론이 광범위하게 지지받고 있다. ⅲ) 프랑스의 경우, 다른 나라와 달리 명문의 패러디 예외규정을 두고 있으며 저작권법 제122-5조 제1항이 그것이다. ⅳ) 특히 영국의 경우, 패러디에 대한 엄격한 법적용, 공정이용(fair dealing)조항에 의한 패러디 보호, 오랜 논의 끝에 최근 별도의 패러디 예외조항을 신설한 점 등은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패러디의 저작권 보호와 관련된 쟁점과 관련해서 패러디의 2차적저작물성 여부, 동일성유지권 침해문제, 인용조항의 적용문제 등이 쟁점이 될 수 있는데, ⅰ) 2차적저작물성 여부와 관련해서는, 패러디는 원작에 대한 창의적인 비평 내지 풍자의 전달이라고 하는 특성과 원작과 대체적 경쟁관계에 있지 않다는 점에서 2차적저작물과 구별되며, ⅱ) 동일성유지권과 관련하여 침해를 주장 수 있는 경우는 실패한 패러디에 한하며, 성공한 패러디의 경우 저작권법 제13조 제2항 제5호에 규정된 동일성유지권의 제한사유에 의해 그 침해가 부인된다. ⅲ) 인용조항의 적용문제와 관련해서는 인용의 저작권법적 개념, 제28조의 적용요건 및 기타 패러디 자체의 특성에 비추어 저작권법상의 인용에 관한 규정이 패러디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결국 패러디 보호와 관련하여 향후 저작권침해소송에서는 인용조항(제28조) 보다 공정이용조항(제35조의3)이 주도적인 형태로 운용될 것이며, 그런 점에서 이 규정의 모델인 미국저작권법상의 공정이용에 관한 규정(제107조)에 대한 법해석 및 Campbell판결 및 이후의 패러디관련 판결의 동향에 관한 분석작업이 중요하지만, 한편으로는 보다 명확한 입법안 마련을 통한 패러디의 보호방안을 강구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 With the rise of Postmodernism, which is characterized by appropriation and remix, parody has become a key phenomenon of contemporary arts. Parody is an imitation of a serious piece of literature, music, or composition for humorous or satirical effect. Parody can be recognized as a kind of creative works, but parodies, by its very nature, necessarily utilizes copyrighted works of others, and because the purpose for this use is satire and ridicule, there is tension between the parodist and copyright owner. As a result, some copyright owners are less than eager to see their work ridiculed and will not license their work for this purpose. Consequently, the parodist must rely on the defense of fair use in Copyright Law.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the Korean judiciary defines the meaning of parody and how parody is being protected by the copyright law through an analysis of a variety of precedents in developed country. Also, this paper talks about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copyright law in protecting parody and suggest some solutions to this issues. The finding show parody is loosely defined under the Copyright Law of Korea, making it more relevant to invoke the Article 28 of the copyright law on quotations and citations and the Article 22 that governs secondary works. For this reason, Korea’s judiciary system has a strong tendency to rely on the four factor ‘fair use’ test, which is widely used in the US legal system, to determine whether the use of a copyrighted work is fair. The findings also show the Korean judiciary system, which often applies the fair use principles too strictly to copyright cases, discourages parodists from creative works, hampering the advancement of human culture and knowledge. For instance, the judging panel has ruled “Combacom”, a song that changed the lyrics of Seo Tae-Ji’s popular song “Come Back Home”, violated the copyright law in that the new song just made fun of the original and failed to covey a new message. However, industry experts say the “parodied” song added creativity that the original had lacked and also carried a message of social criticism. If the expert’s views were fully taken into account according to the US Campbell decision, Combacom could have been regarded as a legitimate parody. In Campbell case, the US Supreme Court held that a commercial parody may quality as a fair use. To decide the question of fair use, the court must subject the parody to an overall balancing process in which the parody’s “transformative” character is more important than its commercial purpose. The focus should be on whether the work alters the original with new expression, meaning, and message. Therefore, in parody cases, judges must weigh the legitimate property interests of the copyright owner to control reproductions and derivative uses of his own work’s against parodist’s right to engage in freedom of speech and promote his art and the public benefit derived from parody. In Korea, a parody has been treated as a derivative work or a quotation, but a parody is not compatible with the theory of quotation or derivative work in some point.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ies, this paper asserts to use the fair use principle as a way of resolving the infringement within the Korean Copyright Law regarding the parody. Fortunately, According to the Korean Copyright Act that was revised in 2011, parody is anticipated to be subject to the Fair Use Clause that has recently added.

      • KCI등재

        상표패러디의 법적위상과 그 허용기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김원오(Kim, Wonoh) 한국비교사법학회 2019 비교사법 Vol.26 No.3

        최근 저작물 패러디 못지않게 상표 패러디도 성행하고 있다. 문화적 환경과 시대적사상의 변화와 패러디가 창작과 의사 표현의 한 형식으로서 갖는 유용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허용돼야 할 상표 패러디와 허용돼서는 안 되는 상표패러디를 구별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삼아 주요국의 법제와 관련 판례를 분석했다. 이에 앞서 상표 패러디가 어떤 쟁점이 있는지에 대해 상표권자의 입장과 패러디스트 입장에서 각각 검토했다. 또 상표 패러디가 저작물 패러디에 비해 어떤특징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유의하면서 접근하였다. 일본과 한국은 상표 패러디는 신용과 명성에 대한 부당 편승 행위라는 부정적인 의식이 강해 상표 패러디의 적법성을 인정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유럽은 정치적, 예술적 상표 패러디는 폭넓게 인정하지만 여전히 상업적 상표 패러디에 대한 인정은 부정적인 경우가 많았다. 다만, 유럽인권재판소의 영향과 리사이틀 21 의 영향으로, 향후 변화의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상표 패러디를 지시적 공정사용의 일환으로 인정할 뿐만 아니라 희석화침해에 대해서는 명시적 예외사유로 가장 폭넓게 상표 패러디가 인정되고 있다. 나아가 미국과 유럽에서는 자유로운 의사표현 형식의 하나로 보고 헌법상 보장된 표현의 자유와 비교형량을 통해 상표법이나 부정경쟁 방지법상의 권리를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경향도 보이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종합 정리하면서 최종적으로 허용될 수 있 는 상표 패러디를 유형별, 성격별로 정리하고 성공적 상표 패러디가 갖춰야 할 요건을 정리해 보았다. In recent years, parody is widespread not only among copyrighted works but also among trademarks. This is probably attributable to the changes in the cultural environment and people s mindset and also to the realization of the usefulness of parody as a form of creation and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tandards to distinguish permissible trademark parody from impermissible trademark parody. I analyzed the laws, regulations, and relevant judicial precedents in major countries. Before such analysis, I identified important issues related to trademark parody from the viewpoints of trademark holders and parodists respectively. I paid careful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rademark parod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rademark parody and copyright parody. In the case of commercial trademark parody, it would raise the issue of infringement under the Trademark Act and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n the phase of infringement lawsuit. I analyzed the relevant legal systems designed to control trademark parody in the U.S., Europe, Japan, and South Korea and specific cases of trademark parody that occurred in those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I was able to identify the issues that tend to arise in the phase of trademark examination and in the phase of infringement lawsuit. . On the other hand, I found that major countries take different stances when it comes to infringement, more specifically, trademark infringement and dilution-related infringement. Japan and South Korea have a negative view on trademark parody because these two countries consider trademark parody as an act of free-riding on the trust and good reputation of another party. The U.S. accepts the use of a parody trademark not only as a type of nominative fair use, but also as a non-actionable activity under the dilution theory. Furthermore, in some cases, the U.S. and Europe find trademark parody to be a means of free expression by limiting the scope of rights protected under the trademark law and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law in order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trademark parody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 As a conclusion of my paper, I addressed these issues in a comprehensive manner and described various categories and characteristics of permissible trademark parody and identified the requirements for successful trademark parody.

      • KCI등재후보

        국어학 : 패러디 광고의 텍스트성 연구 -텔레비전 광고를 중심으로-

        윤재연 ( Jae Yeon Yoon ) 겨레어문학회 2009 겨레어문학 Vol.42 No.-

        이 글은 패러디가 사용된 텔레비전 광고 텍스트의 패러디의 특성과 텍스트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글에서 논의 대상으로 삼은 광고는 2004년`2009년 사이의 텔레비전 광고 텍스트 150편이다. 제2장에서는 패러디 광고의 특성을 원전 텍스트의 유형과 차용된 요소의 성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제3장에서는 패러디 광고를 생산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본 조건들을 R. de Beaugrande·W.Dressler(1981)의 일곱 가지 텍스트성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패러디 광고의 원전 텍스트는 기본적으로 `화제성`과 `대중성`을 가져야 한다. 화제성은 수용자의 주목을 끄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하고, 대중성은 수용자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패러디 광고에서는 영화, 드라마, 이야기, 텔레비전 프로그램, CF, 역사문화 텍스트, 보편인식 텍스트 등을 패러디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 외에도 뮤직비디오, 시조, 게임, 명화(名畵) 등을 패러디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내용을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 [sum 1]과 같다. 둘째, 원전 텍스트를 패러디할 때 원전 텍스트에서 차용되는 요소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원전 텍스트의 특정 장면, 원전 텍스트에 등장하는 캐릭터, 원전 텍스트의 구성 방식, 서사 구조, 플롯, 원전 텍스트와 관련된 상황, 원전 텍스트를 연상하도록 하는 소재, 언어 표현, 그림을 차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표로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 [sum2]와 같다. 셋째, 패러디 광고를 생산하는 데 있어서 요구되는 텍스트성은 다음과 같다. ⑴ 의도성: 광고 텍스트 생산자는 원전 텍스트의 친숙성(familiarity)이 수용자의 시선을 끌고, 광고에 대한 호의적 태도를 갖도록 하기 때문에 패러디를 사용한다. 원전 텍스트의 친숙성을 이용하고자 하는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패러디된 원전 텍스트를 명시적으로 노출하도록 해야 한다. ⑵ 용인성: 패러디 광고를 생산하는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와 목적이 효과적으로 달성되려면 수용자가 원전 텍스트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패러디 광고의 원전 텍스트 유형별 수용 가능성의 위계를 매겨보았다. 그 순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⑶ 정보성: 패러디 광고의 본질은 `모방`과 `변용`에 있다. 따라서 패러디 광고를 생산하는 데 중요한 문제는 원전 텍스트를 얼마나 낯설게 만드느냐 하는 것에 있다. ⑷ 응집성과 응결성: `응집성`과 `응결성`은 패러디 광고가 텍스트다움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 요소이다. 한편 패러디 광고에서 응집성과 응결성을 갖추도록 구성하는 것은 원전 텍스트가 어떠한 이유로 차용되었는가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문제와 관련이 된다. 두 텍스트 사이의 전이 과정을 납득할 수 있는 근거가 쉽고 분명하게 드러날수록 패러디 광고는 수용자에게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다. ⑸ 상황성: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사회·문화적 배경 및 그 속에 존재하는 사물과 사건, 이들의 진행 상태와 맥락 등은 정보의 수위나 완급, 배열 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패러디 광고의 생산에 있어서 이러한 `상황성`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갖추어야 되는 요소는 원전 텍스트를 패러디하는 시점이 적절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간단히 살펴본 바와 같이, 이 글에서는 패러디의 대상이 되는 원전 텍스트의 유형과 원전 텍스트에서 차용되는 요소의 성격을 중심으로 패러디 광고의 특성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패러디 광고를 생산하는 데 있어서 요구되는 텍스트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광고 텍스트의 본질을 구명(究明)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텍스트의 유형화를 목적으로 하는 텍스트 언어학의 목적에도 부합하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The study is concerned with clarifying the parody characteristics and textuality of the TV advertising text for which parody was used. The advertising discussed in the study is 150 TV advertising texts between 2004 and 2009. The characteristics of parody advertising were surveyed on the basis of the types of original texts and the properties of borrowed factors in Chapter 2, and the basic conditions needed for producing the parody advertising were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seven kinds of textuality of R. de Beaugrande·W.Dressler(1981) in Chapter 3. First, the original text of parody advertising should basically have `Topicality` and `Popularity` because the topicality can play an effective role in attracting the attention of a receiver and the popularity can make the receiver feel friendly. It was shown that parody advertising parodies a movie, drama, story, TV program, C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ext, and the widely recognized text and a music video, Sijo, game, and masterpiece. [sum 1] shows the type of the original text of parody advertising in brief. Second, the factors borrowed from an original text when parodying the original text are as follows in details. It was shown that the specific scene of the original text, character appearing on the original text, organization type of the original text, narration structure, plot, situ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text, subject associated with the original text, lingual representation, and picture are borrowed. [sum 2] shows the properties of borrowed factors in brief. Third, the textuality required in producing parody advertising is as follows. ⑴ Intention: The advertising text producer uses parody since the familiarity of an original text attracts the attention of a receiver and makes the receiver fond of advertising. A parodied original text should be explicitly exposed to effectively achieve the intention of the text producer trying to utilize the familiarity of the original text. ⑵ Acceptability: A receiver should know about the original text to have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a text producer producing parody advertising effectively accomplished. The study makes the acceptability hierarchy for each original text type of parody advertising in consideration of the point. The order is as follows. ⑶ Informativity: The essence of parody advertising is `Imitation` and `Modification`. Therefore, the important issue in producing parody advertising is how strange an original text is made. ⑷ Coherence and ohension: `Coherence` and `Cohension` are the basic factors needed to have parody advertising textual. By the way, organizing parody advertising with Coherence and Cohension is related to the issue of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why the original text was borrowed. The more easily and the more clearly the basis to understand the transfer process between two texts is shown, the more a receiver is impressed with parody advertising. ⑸ Situationality: The sociocultural communication background, existing objects and events, and their progress and context greatly affect the level, slowness and fastness, and array of information. The factor to be seriously considered in relation to `Situationality` when producing parody advertising is that the timing to parody an original text should be proper. As briefly shown above, the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parody advertising by focusing on the types of original texts and the properties of the factors borrowed in the original texts and discussed the textuality required to produce the parody advertising based on this. It is thought that it assists in finally clarifying the essence of advertising texts and corresponds with the purpose of text linguistics setting up the categorization of texts as an aim.

      • KCI등재

        패러디를 통해 본 멜 브룩스의 작품 세계: <불타는 안장>과 <영 프랑켄슈타인>을 중심으로

        이은석 한국영화학회 2022 영화연구 Vol.- No.9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world of the work of comedy director Mel Brooks by analyzing <Blazing Saddle>(1974) and <Young Frankenstein>( 1974) from the perspective of parody. Various comedies have used an effective strategy called parody. However, parody in films (especially comedy) has been evaluated as a film that compiles famous films simply for laughter, it is true. As a result, studies on parody comedy films have not been actively conducted, and of course, studies on Mel Brooks, who fills most of the directing works with parody comedy, including <Blazing Saddle,> the beginning of parody comedy films, are rarely conducted, at least in Korea. Therefore, I think looking at how parody is used in Mel Brooks’s two leading comedies and how it can be accepted will help us rethink the general perception of parody comedy and redefine his status by bringing back a comedy director we’ve forgotten. Therefore, in this paper, parody is divided into critical parody and imitation parody based on the parodyist’s attitude toward the original text, and accordingly, Mel Brooks’ two parody films <Blazing Saddle> and <Young Frankenstein> will be divided into critical parody and imitation parody forms, respectively. Through it, we will find out how parody was used in Mel Brooks’ comedy and what meaning it conveys to the audience. 본 글의 목적은 패러디라는 관점에서 <불타는 안장, Blazing Saddles>(1974)과<영 프랑켄슈타인, Young Frankenstein>(1974)을 분석함으로써 코미디 작가인 멜브룩스(Mel Brooks)의 작품 세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다양한 코미디 영화들은 패러디라는 효과적인 전략을 활용해 왔다. 하지만 다른 예술분야에 비해 영화(특히 코미디 영화)에서의 패러디는 단순히 웃음만을 위해 유명한 영화들을 짜깁기하는 영화로써의 평가를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그로인해 패러디 코미디 영화에 대한 연구들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당연히 패러디 코미디 영화의 효시인 <불타는 안장>을 비롯해 연출작의 대부분을 패러디 코미디로 채우고 있는 멜 브룩스에 대한 연구는 적어도 국내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멜 브룩스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두 편의 코미디 영화에서 패러디가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그것의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는지살펴보는 것은 패러디 코미디 영화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다시 한 번 돌아볼수 있게 만드는 동시에 우리가 잊고 있었던 한 코미디 작가를 현재에 다시 불러냄으로써 그의 위상을 재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패러디를 원텍스트에 대한 패러디스트의 태도를 바탕으로비판적 패러디와 모방적 패러디로 나누고 그에 따라 멜 브룩스의 두 패러디 영화<불타는 안장>과 <영 프랑켄슈타인>을 각각 비판적 패러디와 모방적 패러디의형태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그것을 통해 멜 브룩스의 코미디 영화에서 패러디가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었으며 또한 어떤 의미를 관객에게 전달하는지 알아볼것이다.

      • KCI등재

        패러디 TV광고의 표현형태 분석

        전기주,차현희,김성택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패러디한 광고중에서 영상문화의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TV광고(CF : Commercial Film)로 한정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존의 TV광고 중심의 논문과 참고자료를 활용하였다. TV광고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패러디광고의 전체개념으로 확대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논문의 연구 목적은 패러디의 개념과 유형의 연구에서 도출된 이론을 중심으로 TV광고에서 패러디가 어떠한 방식으로 존재하는지 그 표현 형태를 알아보고 광고가 패러디로서의 의의를 갖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조건을 텍스트성 조건을 바탕으로 점검해 보며, 이에 따른 효과적인 패러디광고를 고찰해 보는데 있다. Through this paper, I studied other primary and secondary resources on previous TV commercials and analyzed effects of TV parody commercials for their importance in the field of film. Since the study is limited to TV commercials, it is not substantial enough to understand parody commercials as a whole. Instead, its focus is to examine text components of and trends of expressions in TV parody commercials. Furthermore, it is to design more effective TV parody commercials based on theoretical analysis made on a concept and types of parody.

      • 상표패러디의 법적취급에 관한 연구

        김영남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8 Law & technology Vol.14 No.5

        상표패러디는 타인의 상표를 이용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바, 상표소유자의 상표권과 패러디스 트의 헌법상 표현의 자유가 충돌하는 상황을 조율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표패러디는 소비자들에게 원상표를 떠올리게 하면서 동시에 패러디상표를 그 패러디로 인식하게 하므로 상표가 외관상으로 유사해 보일지 라도 상표에 대한 혼동을 일으키지 않는다. 상표패러디는 주로 원상표를 희화하거나 조롱하여 비평이나 풍자의 목적을 달성하기 때문에 명성의 손상에 의한 희석화가 문제된다. 부정경쟁 방지법은 공정사용의 예를 확인하는 의미에서 타인의 상표를 비상업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희석화 조항이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는바, 비상업적 상표패러디는 공정사용으로서 보호될 수 있을 것이다. 상표패러디의 명확한 인정여부를 위해 상표의 사용으로 인하여 상표권자가 받는 불이익, 패러디로 인하여 소비자 등이 받는 공적 이익, 공정한 거 래관행에 위반하는지 여부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상표법과 부정경쟁방지법 전반에 걸쳐 적용할 수 있는 상표의 공정사용 조항의 도입이 필요하다. When a parodist uses a trademark of other party, a conflict arises between the trademark owner’s trademark rights and the parodist’s constitutionally guaranteed freedom of expression. Because the trademark parodies lead consumers to perceive them as a parody while simultaneously being evocative of the original brand, the similarity in appearance will not cause a confusion. When trademark parodies caricature or ridicule the original trademarks with a purpose of criticism or satire, the parodies often damage the original trademarks’ reputation, which causes the issue of dilu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hat stipulates that the dilution clause does not apply to a non-commercial use of trademarks, the non-commercial trademark parodies may be considered as a fair use. To clarify the recognition of trademark parod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fair-use-of-trademark provisions that can be applied throughout the Trademark Act and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his may be achieved by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rademark owners’ disadvantages and the public interests that are derived by the use of trademarks, as well as the examination of whether the proper parody violates fair-trade practices or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