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소리계 소설의 군자•보살형 인물을 통한 조선후기 소설 독자의 가치관 고찰

        정보배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8 No.1

        흔히 우리나라 대다수의 고소설이 가진 주제를 ‘권선징악’이라 말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권선징악’적 주제의 연원에 유•불사상이 핵심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판소리계 소설은 조선 후기 전 계층의 사랑을 받은 국민 예술인 판소리의 내용을 소설화한 작품 계열이다. 당대 독자들에게 널리 읽히려면 심미적, 이념적으로 당대 독자들의 가치관과 맞아떨어져야 했을 것이다. 따라서 조선시대에 향유된 그 어떤 소설보다도 당대 독자들의 요구와 기대에 밀접하였을 것이다. 판소리계 소설에서 형상화된 인물과 주제의식은 결국 조선후기 한국인들의 가치관의 지표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 유입되어 오래 전부터 가치관 형성에 심대한 영향을 끼친 유학과 불교의 인간관과 세계관을 살펴 그 공통점을 정리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판소리계 소설의 인물의 형상화 측면에서 유•불사상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유•불사상이 작품의 주제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종합해보고자 한다. 인간을 바라보는 유학과 불교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의 본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둘째, 악행의 원인은 인간의 생래적, 감각적 욕구로 인한 것이라고 본다. 셋째, 이는 노력을 통해 회복이 가능하다고 본다. 유학에서의 이상적 인간상은 군자이며, 불교에서의 이상적 인간상은 보살이다. 이들은 자신의 감각적인 부분을 잘 조절하고, 끊임없는 수양을 통해 이를 잘 제거해 나가는 존재이다. 이 과정을 통해 ‘보편적인 나’의 모습과 ‘개별적인 나’의 모습을 최대한 일치시키려 노력한다. 판소리계 소설에서 본성을 잘 보존하여 군자의 풍모를 보여주는 인물은 흥부, 춘향, 심청이다. 반면 본성 회복에 실패한 인물은 변학도와 <퇴별가>에 등장하는 용왕, 별주부, 토끼이다. 상에 집착하지 않는 무아를 실현한 인물은 흥부와 심청이며 상에 집착하는 인물은 놀부와 변학도, <퇴별가>에 등장하는 인물들이다. 바람직한 인물들은 군자와 보살의 조건에 일치하였으며 작품의 세세한 부분에서 그러한 면모를 유감없이 드러내었다. 반면 그렇지 못한 인물들 역시 칠정에 치우쳐 본성을 회복하지 못하거나 상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작품의 주제형성에 크게 기여하였다. 지금까지 판소리계 소설 개별 작품에 대한 유교적, 불교적 주제 도출 연구는 숱하게 있어왔지만, 판소리계 소설 갈래 전체 갈래의 유•불사상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려는 시도는 거의 있지 않았다. 판소리계 소설은 서민층이 창조하고 주도적으로 향유하였다는 인상이 강하여 기존의 유학과의 관련성은 이후 양반계층의 취향이 반영된 것이라 본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작품 속 인물들의 정치(精緻)한 작품 분석을 통해 양반층 뿐 아니라 서민층까지도 마음 속 깊숙이 유•불사상의 가치관을 긍정하며 이에 호응하고 있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이 광범위하게 향유한 문화 자산인 판소리계 소설의 기저에 유•불사상이 광범위하게 자리했다는 점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 일반 논문 : "판소리계 소설" 개념 재론

        최진형 ( Jin Hyung Choi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0

        판소리계 소설``은 국문학계에서 별다른 개념 규정이나 검증없이 널리쓰고 있는 명칭 중 하나이다. 판소리와 소설은 ``서사(敍事)``라는 이론적장르에 속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지만, 그 구체적 실체인 역사적 장르로서는 매우 다른 별개의 양식이다. ``판소리계 소설``이란 명칭에는 그양식적 소속을 ``소설``로 전제하고 있음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하지만, 판소리계 소설로 통칭되는 작품들을 간단하게 살펴보기만 해도 이러한 명칭에 어긋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우리나라 문학사에서 소설 작품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17세기부터이며, 판소리의 경우는 19세기를 전후해서이다. 소설이 서사문학에서 주도권을 장악하던 무렵, 새롭게 등장한 판소리와 긴밀한 소통과 교섭의관계를 맺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이른바 판소리계 소설이 등장했다고 볼수 있다. 판소리에 유입된 소설 양식의 영향은, 완문(完文)으로 기록되면서 일관성을 추구하게 된 점, 문장체 소설의 관습적 표현이 사용되게 된점을 들 수 있다. 소설에 유입된 판소리의 영향은 문체적인 면이 가장주목되는데, 율문 지향을 보이거나 말건넴의 어투를 보이는 점 등을 들수 있다. 판소리의 독서물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판소리계 소설이란 명칭을 붙이는 데 망설일 수밖에 없는 이유를 확인할 수 있다. 작품 전체의 맥락에서 인물의 성격이 불일치 되는 등 서사적 당착이 존재하는 점을 우선적으로 거론할 수 있다. 치레적 묘사를 고수함으로써 디테일의사실성을 얻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으며, 다양한 결말이 존재함으로써필연성과 유기성을 갖추지 못한 플롯(plot)을 지니게 되는 문제도 지적할수 있다. 특히, 신재효, 이인직, 노익형 등 특정 개작자들이 보여준 돌출적인 변화 시도 역시 판소리계 소설이라는 명칭의 부적절함을 방증하는것이라 생각한다. 판소리는 연행물로서의 실현과 독서물로서의 실현으로 선명하게 구분된다고 판단된다. 그렇다면 이들을 아우를 때는 ``판소리 서사체``로, 전자는 ``판소리(연행물)`` 후자는 ``판소리 독서물``로 칭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생각한다. The pansori-based novel`` is one of the widely used terms in the academic circle of Korean literature without having any particular definition or verification of the concept. Pansori and novels fall into the same theoretical genre, narratives, but in terms of their historical genre which is their specific substance, they have an entirely different mode. It is obvious the term ``pansori-based novel`` has ``novel`` as a stylistic status. But, one can tell just by briefly looking at the literary works categorized as the pansori-based novel that there are too many examples that don`t correspond to this term.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t was not until the 17th century that novels began to appear in earnest, while pansori emerged around the 19th century. During the time when novels were taking hold of the initiative in narrative literature, pansori comes on to the picture and makes a relationship with novels by clos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nd with this process the so-called ``pansori-based novel`` emerged. Some effects of novel writing styles on pansori are that they pursue coherence as they are written in complete texts, use conventional expressions of literary style novels, and so forth. In the effects of pansori on novels, the literary style is taken most interest in, and a few examples are appearing to be orientated towards rhythmical texts, or showing pansori`s unique introduction style in the way of speaking, and so on. If one looks thoroughly at the aspect of changing pansori lyrics into texts for reading, one can find out the reason why it`s not easy to name it the pansori-based novel. First, the contradiction of narrative can be mentioned. This comes from describing classes (social statuses) differently. Second, by using the description of chire, they fail to describe details realistically, and also have plots that lack inevitability and organic composition because there are various endings. In particular, the protruding attempts to change made by Shin Jae-hyo, Lee In-jik, Rho Ik-hyeong and other adapters are also collateral evidences that the pansori-based novel is an inappropriate term. Pansori should be clearly classified as either ``text for performance``, or ``text for reading``. So when they are embraced, the term should be ``pansori narrative``, the former being ``pansori (text for performance)``, and the latter being ``pansori text for reading``.

      • KCI등재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소설 읽기”의 양상과 그 의미

        경일남 ( Il Nam Ky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4 No.4

        이 논문은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소설 읽기’의 양상과 그것이 지닌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조선후기에 소설이 활발하게 유통되면서 독자층이 폭넓게 확대되었다. 이 양상은 판소리계 소설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상당수의 작품에서 작중인물들이 소설을 읽는 장면이 나타난다. 이 장면은 크게 부녀자의 소설 읽기와 중인층 남성의 소설 읽기의 두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부녀자의 소설 읽기는 개인적 독서와 대중적 낭독으로 나타나며, 중인층 남성의 소설읽기는 개인적 독서와 유흥적 구연으로 나타난다.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소설 읽기는 소설 향유층 사이에서 유통되던 조선후기의 작품 경향을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또한 이 소설 읽기는 소설이 유통되던 실제 현장을 매우 충실하게 재현함으로써 자료적 가치도 지닌다. 그리고 이 장면에는 소설의 제목과 내용이 개입되기도 하는데, 이것들은 작품 내에서 다양한 문학적 효과를 만들어낸다. 이와 같이, 소설 읽기의 장면은 판소리계 소설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뿐 아니라 중요한 의미도 지닌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다각도에서 시도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and the meaning of ``Reading novels`` shown in Pansori novels. In the latter of Choseon, readers were expand widely as novels were provided actively. This aspect is applied to Pansori novels in a same way. So we can see some scenes characters read novels in the lots of works. These scen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women``s reading novels and the middle class males`` reading novels. Women``s reading novels are shown as personal reading and popular recite. And the middle class males`` are presented as personal reading and entertainment narrating. ``Reading novels`` represented in Pansori novel reflect the latter Choseon``s work trend distributed among the class who enjoyed novels realistically. Also it has value as important resources by reappearing real sites of being provided novels very honestly. In these scenes, some novels`` titles or contexts were shown and these can make various literary effects in the work. Likewise, scenes of ``Reading novels`` are not only presented in Pansori novels as varied aspects, also has an important meaning. Thus we need to examine and invest a study about it from various

      • KCI등재

        매일신보에 연재된 震庵 李輔相의 한문현토체 판소리계 소설 창작 배경과 목적

        김성철 판소리학회 2014 판소리연구 Vol.38 No.-

        Jinam Lee Bosang serially published 15 novels which were in punctuatedChinese characters for Korean readers through <Maeil Shinbo>, when printedancient novels were topping the sales of reading market. For a period of 12good years, his publishing of novels reached an amount of about 3100 times. In the 15 novels were 3 novels which were from Pansori epic chants. <Storyof Shimcheong>, <Story of Rabbit>, and <Story of Heungbu> were the three. In the publishing of the three Pansori novels, the writer not only just carriedthem as they had been, but he also reflected his long kept opinion about Pansoriinto them. The reason he published the Pansori novels in the early period was that eachwork contained traditional values like “filial duty”, “faith between friends”, and“loyalty towards country”, and also that he had dissatisfaction about “歌於俳優之口(Songs are in the mouths of actors.)” His concern like this was because ofan ordinary fact that many reference data had been lost in the process of conveyancethrough mouths. Therefore Lee Bosang moved the knowledge he had onto theface of documents. It was not to just display his superiority of knowledge, itwas because of his belief that the new data he wrote with his knowledge mighthelp future generations. 이보상은 활자본 고소설이 독서 시장 판매의 최상위에 놓여 있던 때에 매일신보의 지면을 빌려 15편의 한문현토체 소설을 연재한다. 그는 장장 12년 동안3100여 회에 달하는 소설을 연재했다. 15편의 소설 중에는 판소리계 소설이3편이 포함되어 있다. 이 세 편의 판소리계 소설은 <심청전>, <토끼전>, <흥부전>이다. 작자는 이 세 편의 판소리계 소설을 연재하면서 기존의 작품을 그대로옮기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이 평소에 지니고 있었던 판소리에 대한 의견을작품에 투영시키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보상의 판소리계 소설을 소개하고 개작의식을 살펴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려고 한다. 이보상은 역사적 사실을 첨가하기 위해 한문으로 서술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보상은 한문으로 서술된 “독서물”을 통해 유교적 질서에 대한중요성을 설파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국문으로 존재하던소설들을 다시 漢文으로 재창작하고, 민담과 야담으로 존재하던 이야기를 엮어새로운 소설로 만들어 냈다. 漢文으로 작성된 소설은 필연적으로 향유층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국문으로 서술된 작품들을 통해서는 본래의 의미를깨달을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이보상은 한역으로 소설을 재창작한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19세기 소설사의 쟁점과 전망

        김경미 ( Kyung Mi Kim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한국고전연구 Vol.0 No.23

        이 글은 19세기 소설사 연구에서 무엇이 쟁점이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어떤 전망으로 19세기 소설사를 바라보아야 할지를 생각해 본 것이다. 먼저 소설, 작가, 독자/매체를 중심으로 19세기 소설사의 지형도를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19세기 소설 연구에서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된 것은 한문장편소설의 작가층과 세계관 문제였다. 여기서는 그 예로 <옥수기>의 작가인 심능숙의 계급적 위치 및 세계관을 둘러싼 쟁점을 살펴보았다. 한문장편소설의 출현은 19세기 소설사의 새로운 현상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대중성의 측면에서 볼 때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한문장편소설은 국문장편소설, 영웅소설 등 다른 유형과의 관계 속에서, 세책본이나 방각본과 같이 소설의 상품화가 이루어지는 상황과 관련해서 그 역사적 의미를 다시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와 아울러 19세기 소설사 연구의 전망은 한문장편소설, 국문장편소설. 영웅소설, 애정전기소설, 판소리계 소설의 상호 관계, 작가, 독자, 매체와의 관계, 19세기 정치, 경제와 사회관계의 변화라는 큰 틀과의 관련 속에서 볼 때 새롭게 확장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essay tries to show the central issues in the studies of the 19th century novels and then to consider the prospective way to see those novels. For this purpose, I firstly attempted to describe the map of the history of the 19th century novels with consideration of works, authors, reading publics and media.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history of the 19th century novels, the issue of the authors` social status and their world-views in Korean classical novels in Chinese character had been mainly focussed. One exemplary study of this trend is found in the study on Oksooki, where the writer, Simneungsook`s status in his society and his world-view were focussed. The emergence of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a new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the 19th century novels. But in the aspect of popularity, it shows some limits. Therefore the historical meaning of Korean classical novels in Chinese character will be fully understood when they are studied with consideration of both the relation with other kinds of novels such as full length novels written in Korean language and hero novels, and the context where the lending novels or the bang-gak novels began to be circulated as a commodity. The prospectiv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19th century novels is expected to extend in an enlarged framework involving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various kinds of novels such as Korean classical novels in Chinese character, full length novels written in Korean language, hero novels, Cheongi-soseol which focussed on love story, and Pansori novels, the relationship of authors, reading publics and media and the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change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장예준(Jang Yae Jun) 동악어문학회 2010 동악어문학 Vol.55 No.-

        19세기를 특징지을 수 있는 중요한 문화 현상의 하나로 엄청난 양의 지식 생성과 유통, 그리고 정리 작업을 들 수 있다. 소설에서도 서사가 진행되는 과정에 ‘지식’들이 나열되고 서술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19세기 소설의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두껍전〉을 대상으로 하여 서사 속에서 ‘지식’이 구성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그 ‘지식’이 어떤 성격을 지니는지 논의하였다. 우선 〈두껍전〉에서 ‘지식’은 등장인물들의 말하기 전략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구성되는 양상을 보였다. 즉 상대방을 제압하기 위해 서로 다른 층위로 담론 구성하거나 자신이 지향하는 담론 층위를 더 세밀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또 지식과 전고를 활용하여 ‘진실성’을 담보한 ‘허구’로 포장하거나 새빨간 거짓말을 ‘전고’로 포장하는 양상도 볼 수 있었다. 아울러 생활 속 상식들을 끝없이 늘어놓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한편 〈두껍전〉에서 활용되는 지식과 전고들은 기본적인 지식들로 이루어져 있기는 하지만, 〈삼한습유(三韓拾遺)〉, 〈옥선몽(玉仙夢)〉, 〈옥루몽(玉樓夢)〉과 같은 고차원적인 지식을 다루고 있는 소설들과도 일정 부분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모두 당대인들이라면 상식적으로 알고 있었을 ‘일반적 지식’을 공통적인 기반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식들은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일정 정도의 지식을 갖춘 사람들에 의해 수용되어 우주 현상과 사물을 해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것, 즉 ‘보편적인 지식과 사상으로서의 지식’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통 기반 위에서 〈삼한습유〉, 〈옥선몽〉, 〈옥루몽〉 등은 좀 더 고차원적이고, 심원한 관념적 지식들을 가미하여 의론을 구성하는 쪽으로 나아갔고, 〈두껍전〉은 민간에서 통용되는 상식이나 민간용법과 같은 것들도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우화소설과 판소리계 소설에 주목해 볼 때, 하층의 ‘지식’ 향유는 상층의 고급 전고와 지식들을 끌어다 쓴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하층이 상층의 이념을 일정 정도 ‘전유(專有)’함으로써 나타난 ‘부수적인’ 결과로 보인다고 하였다. 다시 말해 우화소설과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나는 ‘지식’의 향유 현상은 하층의 지배적 이념 전유를 통해 상층의 문화, 관습, 지식 등도 일정 부분 수용하여 자기화 함으로써, 그리고 이를 다시 활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As one of important cultural phenomena that can characterize the 19th century, the generation, distribution, and arrangement work in huge amount of knowledge can be taken. Even in a novel, the phenomenon is being indicated that ‘knowledge’s are enumerated and described in the process that narration is progressed. This can be said to be important characteristic of 19C novel.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that ‘knowledge’ is formed in narration and discussed which character the ‘knowledge’ has, targeting 〈Dukkeopjeon〉. First of all, ‘knowledge’ in 〈Dukkeopjeon〉 showed the aspect of being formed by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a speaking strategy of the appearing characters. In other words, it either formed discourse with mutually different layer in order to control counterpart, or made the discourse layer more delicately, to which oneself points. Also, the aspect could be seen either that packs it with ‘fiction,’ which secured ‘truthfulness,’ by utilizing knowledge and authentic precedents, or that packs a downright lie with ‘Jeongo.’ In addition, even the image could be seen that continuously displays common senses in the middle of life. In the meantime, knowledge and Jeongo(s), which are utilized in 〈Dukkeopjeon〉, are composed of basic knowledges. However, it could be known to have a common denominator to some extent even with novels, which are addressing highly dimensional knowledge like 〈Samhanseubyu(三韓拾遺)〉, 〈Okseonmong(玉仙夢)〉, 〈Ongnumong(玉樓夢)〉. Namely, it seems to have ‘general knowledge,’ which would have been known from a common-sense point of view if all were the contemporary people, as the common basis. These knowledges are the most universal and are accepted by people who have knowledge to some extent, thereby being able to be seen as what can analyze universal phenomenon and object and can utilize this, namely, as the ‘universal knowledge and the knowledge as a thought.’ Based on this common foundation, 〈Samhanseubyu〉, 〈Okseonmong〉, and 〈Ongnumong〉 advanced to the side of forming discussion by adding the more highly dimensional and profound ideological knowledges. 〈Dukkeopjeon〉 was said to seem to have accepted the common sense, which is popularly used by civilians, and the folk usage. Given paying attention to fable and Pansori novel, what the lower class enjoys ‘knowledge’ can be said to have used by bringing the advanced authentic precedents and knowledges in the upper class. This was said to seem to be ‘incidental’ result, which was shown by ‘appropriation’ in the lower class to some extent of ideology in the upper class. In other words, the phenomenon of enjoying ‘knowledge,’ which is indicated in fable and Pansori novel, can be said to be the phenomenon that was indicated in the process that the lower class accepts and personalizes even culture, custom, and knowledge in the upper class to some extent through appropriation of the dominant ideology and that utilizes this again.

      • KCI등재

        <광한루기> 작자·평점가의 <춘향전> 서사 인식과 비판 - 才子佳人小說 유형과 관련하여 -

        장예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1 고전과 해석 Vol.33 No.-

        본 논문에서는 한문소설 <광한루기>의 작품 유형을 밝히는 기초 작업으로서, <광한루기> 작품 작자와 평점가가 <춘향전> 서사를 어떤 소설 유형으로 인식하 였는지, <춘향전>에는 그러한 소설 유형 특성이 얼마나 들어 있는지 확인해 보았 다. 그간 <광한루기>의 작품 유형을 제대로 논의하지 못했던 이유로, <광한루기> 를 <춘향전>과의 관계 속에서만 바라봄으로써 한문소설 작자들의 <춘향전> 서사 인식 문제를 살피는 데 소홀하였다는 점, 그동안 조선 후기 한문 중단편소설의 전 반적인 면모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다는 점, 재자가인소설의 개념, 특징, 실체가 명확히 규명되지 못하였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한문소설 작자는 한문소설 유형 의 기대 지평에 따라 작품을 바라본다는 점을 고려할 때, <광한루기> 작자와 평점 가는 <춘향전>을 재자가인소설에 가까운 작품으로 인식하였을 것이라 판단된다. <춘향전>은 기본 설정과 몇 가지 인물 형상의 차이를 제외하면, 인물 형상과 서사 결구 측면에서 재자가인소설의 특성을 상당히 갖추고 있다. 이도령은 풍류재자로, 춘향은 재색을 겸비한 가인으로 형상화된다. 이도령과 춘향은 인지와 탐색 과정을 거치면서 첫눈에 반하며, 종신언약을 맺고는 노래를 주고받으며 정을 나눈다. 변학 도는 小人으로서 두 사람의 결연을 방해하는 데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도령은 과 거급제를 통해 비로소 춘향을 구원하고 결연에 성공할 수 있었다. 재자가인소설처 럼, <춘향전>은 남녀 주인공이 행복한 결연(혼인)을 맺기까지의 과정과 결과에 초 점을 맞추고 있으며, 禮敎를 중시하는 면모도 보여준다. 결국 <광한루기> 작자와 평점가의 <춘향전>에 대한 비판은 <춘향전> 서사가 재자가인소설 유형의 기대 지평과 어긋난 데 대한 불만을 드러낸 것이며, <춘향전> 서사를 재자가인소설에 가깝도록 개작한 것이 <광한루기>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s basic research to reveal the type of the Chinese character novel, Gwanghanru-gi (The Story of Chunhyang), investigated what novel type was the Chunhyang-jeon narrative as recognized by the author and commentator of the work Gwanghanru-gi and how mu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type were included in Chunhyang-jeon. Till now, reasons why the type of the work Gwanghanru-gi has not been discussed properly may include: These studies were negligent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 recognition of the Chunhyang-jeon narrative by the authors of Chinese character novels by looking at the Gwanghanru-gi in its relationship with Chunhyang-jeon only. The overall aspects of medium-length and short stori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were not properly revealed till now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true nature of a novel of Jejagain (Wit and beauty) were not clearly revealed. Given the authors of Chinese character novels looked at the works according to the horizon of expectation for the Chinese character novel type, it is judged that the author and commentator of Gwanghanru-gi recognized Chunhyang-jeon as a work like a novel of Jejagain. Chunhyang-jeon has considerable characteristics of a novel of Jejagain in terms of the shapes of figures and the conclusion of narrative, except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ic settings and some figure shapes. Lee Doryeong (Lee Mongnyong) is represented as a Jeja of Pungnyu (Taste for the arts), and Chunhyang, as a beautiful woman combining intelligence and beauty. Lee Doryeong and Chunhyang have a crush on each other at first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tion and exploration and share affection, exchanging songs after exchanging vows for lifetime. Byeon Hakdo is a petty character, who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sturbing the match of the two. Lee Doryeong was finally able to save Chunhyang and succeeded in a match through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Like the novel of Jejagain, Chunhyang-jeon focuses on the process and result in which the heroine and hero succeeded in a happy match (marriage) and attaches importance to courtesy. Consequently, the criticism of Chunhyang-jeon by the author and commentator on Gwanghanru-gi revealed dissatisfaction with the Chunhyang-jeon narrative that went against the horizon of expectation for the Jejagain novel type, and it is noted that what adapted Chunhyang-jeon narrative to become like a novel of Jejagain was Gwanghanru-gi.

      • KCI등재후보

        한국 고전산문 속의 음식 표상과 그 생활사적 의미

        서인석(Seo, Inseok) 돈암어문학회 2015 돈암어문학 Vol.28 No.-

        이 논문은 한국 고전산문 중 전기소설, 판소리계 소설, 야담을 중점 대상으로 삼아 음식표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음식은 단순히 먹고 사는 것을 넘어 문학적 표상으로서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고전산문을 대상으로 한 이 방면 연구가 크게 미흡하다는 점을 감안한 시론적 논문이다. 먼저 고전산문, 특히 소설사에서 거론된 여려유형들 속에 음식물들이 어떻게 반영되는가를 살피고, 이들 중 계통과 범주가 명확한 만큼 음식표 상도 집약적으로 드러나는 전기소설, 판소리계 소설, 야담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였다. 전기소설의 음식은 산 사람과 죽은 사람 또는 세속 사람과 천상계 사람의 교유(소통)의 표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 바, 이는 남녀 사이라는 점이 반영되면서 애정결연이라는 데까지 나아가고 있었다. 이처럼 전기소설의 음식은 비일상적인 교유를 이루어 주는 표상으로 집약되어 나오면 서 일상적인 음식표상과는 거리가 있게 되었는데, 이 점은 판소리계 소설과 야담의 음식표상이 일상적인 것과 대비된다. 판소리계 소설의 경우 상당 부분 ‘수사적 표현’ 속에서 미학적 즐거움을 위한 것이지만, 또한 인간의 근원적 욕망인 식욕을 충동하고 간접적으로 만족 시키는 ‘식욕의 판타지’로 기능하 있었다. 그 판타지는 양면적인데 <춘향전> 같은데서는 음식의 풍요로움을 주로 보여 주는 것이었는 데 반해 <흥부전>에서는 음식의 결핍에서 오는 허기를 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풍요와 허기라는 극단적 음식표상을 수사적 표현을 통해 보여주고 있었다. 야담의 경우는 어쩔 수 없는 가난 속에서 음식에 대한 대단한 결핍감과 그 충족이 서사의 핵심을 이루는 가운데 음식이 권력의 표상으로 나오는 것도 있고 밥이 아닌 죽으로 연명하면서 음식에 대한 대단한 절제를 표출하면서 금욕의 표상으로 나오고 있음을 보았다. 이러한 음식표상에 대한 문학적 연구는 음식에 대한 인간의 내면정서나 욕망을 통해 좀더 심층적인 생활사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본다. This study is considering the food representation in Korean Classical Prose, especially jeongi soseol, pansori novel and yadam. The food in fictional biograpy, which represents the symbol of connection between live man and dead man, in other words, worldly person and the other world person, is far from daily food representation. It contrasts with the daily routine food representation of pansori novel and unofficial historical tale. In case of pansori novel food representation is functioning "appetite fantasy" which incites appetite and satisfies it through "rhetoric expression". That fantasy is double-sided, that is, which shows the abundance of food in Ch"un-hyang-jeon, while in Heung-bu-jeon shows the hunger from the lack of food. The food representation shows sharp contrast of affluence and deficiency. In case of unofficial historical tale, extreme sense of lack caused by irresistable poverty and its sufficiency consists of the core of the prose, and there food is sometimes symbol of power and sometimes symbol of extreme thrift. The literal study about food representation is very important, I thik, in respect of its contribution to the in-depth consideration about Life-history through human internal emotion and desire towards the food.

      • KCI등재

        조선시대의 심성지식장과 소설문학

        허원기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7

        Simseong Knowledge Field dominated the Joseon Dynasty. It is based on the Simseongnon(心性論) of Neo-Confucianism. In Simseongnon, Human beings are identified as ‘emotional existence’ and ‘feeling existence’. The Ideal Man of Confucianism is ‘a man who always reflects emotions’ and ‘a master of emotional processing and emotional exchange’. Simseong Knowledge has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novels and formed a new field of knowledge. First, Simseongnon has affected Simseongdoseol(心性圖說), Simseongdoseol became a cause of Simseonguansoseol(心性寓言小說). Simseonguansoseol was created by the Simseong Knowledge field seeking a narrative live way. Simseonguansoseol treated the rise and fall of the heartland as a central event. Second, Simseong Knowledge Field had a lot of influence to Pansori’s narrative aesthetics. ‘Rationality of emotion’ has become the intersection of Pansori’s narrative aesthetics and narrative grammar. ‘Rationality of emotion’ based on Simseongnon Third, Simseong Knowledge Field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Gajeongsoseol(家庭小說) and Gamunsoseol (家門小說). Gajeongsoseol and Gamunsoseol set up almost the emotional problems that can occur in our relationships and draw up a preferred solutions for them. It performed an important function as an emotional textbook. In the Chosun dynasty, the Simseong Nowledge Field is expressed in various forms such as philosophical articles, visual icons, normative books of courtesy, and novels. Various types of Simseong Knowledge are aimed at ‘implementation of moral emotion community’. 심성지식장은 조선시대를 지배했다. 조선시대 심성지식장은 성리학의 심성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심성론에서는 인간을 감성적 존재, 느낌의 존재로 파악한다. 그리고 성리학에서는 인간 감정을 늘 성찰하는 인간, ‘감정 처리와 감정교류의 달인’을 이상적인 인간으로 파악했다. 이러한 심성지식은 고전소설의 형성과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면서 새로운 지식장을 형성하였다. 첫째, 심성철학의 논설은 심성도설을 산출했고, 심성도설은 심성우언소설의출현을 촉발했다. 심성우언소설은 심성지식장이 서사적 활로를 모색하면서 발생한 것이다. 심성우언소설은 마음나라의 흥망성쇠를 중심사건으로 다루고 있다. 둘째, 심성지식은 판소리 서사문법의 탄생에 미학적인 측면에서 많은 영향을끼쳤다. 심성론에 바탕을 둔 정리적 합리성은 판소리의 서사미학과 서사문법의 골간이 되었다. 셋째, 심성지식은 가정소설과 대장편가문소설의 형성과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치면서 새로운 영역을 확장했다. 가정소설과 대장편가문소설은 인간관계 속에서발생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감정문제의 실제사례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바람직한해결방법을 도출했다. 그런 점에서 감정처세교과서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했다. 조선시대 심성지식장은 철학적 논설, 시각적 도상, 예의규범서, 소설 등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런 다양한 형태의 심성지식들이 지향했던 공동의 목표는 도덕감정공동체의 구현이었다.

      • KCI등재후보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가족의 형상과 그 의미

        최혜진 한국여성문학학회 2005 여성문학연구 Vol.13 No.-

        We can look around changed family figure in Pansori Novels as it is dealt with the collapse and changing process of feudal system of the late period of Chosun. So we can show three figures of family in Pansori Novels. First, Chunhyangjun, Simchungjun treat mother-daughter family and father- daughter family. We can show changing social figures through a daughter but that family is out of system. They success in spite of incomplete family. Second, Musookitaryung, Onggojipjun, Yichunpoongjun, Heunboojun treat family's problems in the paterfamilias system. They criticize immoral men in family. And they desire return to good husband or good father, that is, they want moral and real family man. And it is reader's desire too. In that process they bring women's ability into relief. Third, Byunganshoiga, Janggitaryung considers women's remarriage problem. But their future prospect is negative, because of conservative social views of a woman's remarriage. Thus, women can not free themselves from deep-rooted feudalism views. We show hope for the ideal family ideals that a family's understanding and desire harmonize with member of family by Pansori novels. One side we attention family be out of favor with social system. So we can show means an individual's life in family. Even wander individual desire the family endlessly. In this point Pansori novels are reflected in new figure of family in collapse period of feudal and actual problem. 판소리계 소설에 형상화 되어 있는 가족의 문제는 조선 후기 봉건 질서의 와해와 그 변화 과정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변화하는 가족상을 살펴 볼 수 있다. 모녀 가족이나 부녀 가족을 그리고 있는 춘향전과 심청전의 경우, 딸로서 실현되는 사회 변화상을 그려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도권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는 가족, 그 질곡을 넘어서 자신의 성취를 당당히 그려내고 있다는 점은 ‘불완전한’ 가족을 의미있게 포착한 것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어머니의 부재와 아버지의 부재에 대한 주변의 시선이 같지 않음은 여전히 혈통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또 다른 일군의 소설은 가족 구성원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무숙이타령 옹고집전 이춘풍전 흥부전 등이 그것이다. 이들을 통해 불건강한 가장의 행태를 묘사 비판하면서 책임 있고 성실한 가장으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것이 향유층들의 소망이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가정의 희생자, 피해자였던 여성의 능력을 부각시키고 부부관계를 조화롭게 재조정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변강쇠가 장끼타령을 통해 가족의 재구성을 위한 개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들 소설은 가족의 구성에 대한 여성의 중층적 질곡을 묘사한 것이기는 하지만 낙관적 전망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음을 밝혔다. 곧 개가에 관한한 여전히 보수적 시각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판소리계 소설이 보여주는 가족의 형상은 가족 구성원의 이해와 욕구가 적절히 조화되고, 대사회적 승리를 예비하는 공간으로서 소망되고 있다. 장끼와 옹녀조차도 백년해로할 배필을 만나리라는 희망을 가지면서 반복된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판소리계 소설은 중세 질서의 완강한 이념을 보여주는 동시에 개인의 삶이 가족 안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다시금 반문한다. 떠도는 개인조차 여전히 가족을 지향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점에서 판소리계 소설들은 현실적 가족의 문제를 직시하고 새로운 가족상을 모색하는 조선 후기의 사회상과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