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팀 내 과업갈등과 팀 성과간의 관계: 팀 내 관점수용의 조절역할

        이찬규(Lee, Chan-Gyu),최규상(Choi, Kyoo-Sa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1 No.3

        팀 내 갈등 연구는 갈등의 유형 별로(과업갈등과 관계갈등) 팀 성과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관계갈등과 팀 성과 간의 일관된 연구 결과와는 달리 과업갈등과 팀 성과간의 관계는 혼재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팀 내 과업갈등과 팀 성과간의 혼재된 결과는 상황론적 관점(contingency perspective)에 근거하여 과업갈등이 팀 성과에 도움이되는 상황적 요인을 살펴 보아야한다는 주장과 함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그러나 과업 갈등과 팀 성과간의 관계에서 상황적 요인을 고려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팀 내구성원들 간에 과업수행과 상호작용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과업갈등의 효과를 살펴보고 과업갈등을 어떻게 관리해야하는지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상황론적 접근법에 따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의의 연장선에서 본 연구는 팀 과업갈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과업갈등 이 팀 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절변수로서 팀 내 관점수용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72개의 R&D 팀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팀 내 과업갈등은 팀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들 영향관계에서 팀 내 관점수용은 과업갈등이 팀 성과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 구성원들 간에 과업갈등이 발생하더라도 팀 내 관점수용의 수준이 높다면 다른 구성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다양한 관점과 아이디어를 수용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팀 프로세스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과업과 관련한 열린 토론이 가능해지고 원활한 조정과 통합으로 과업갈등이 팀 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줄어들 것이다. 최근 들어 관점수용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에게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지만 실증연구가 아직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국내 연구의 경우, 관점수용에 관한 연구는 거 의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시점에 본 연구는 팀 수준에서의 관점수용의 문제를 고찰해보고 팀내 관점수용이 과업갈등과 팀 성과간의 부정적인 관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상황요인으로서 의미있는 역할을 한다는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 great deal of conflict research has addressed the effects of each types of conflict (e.g.,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on team performance.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sensus on the negative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on team performance. In contrast, there has been debate over the positive versus negative effects of task conflict on team performance. Some researchers suggested a contingency approach to solve this debate. Recently, many scholars have focused on specific conditions under which task conflict can improve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a dearth of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has focused on a contextual condition which can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task conflict on team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extend extant research by examining how perspective taking in a team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team performance. Data collected from 72 R&D teams of South Korean companies have revealed that task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Moreover, we found that perspective taking reduced the negative effects of task conflict on team performance. When task conflict arises in a team, perspective taking among members helps to understand others’ viewpoints, embrace different ideas, and facilitate open discussion. Thus, a higher level of perspective taking within teams can moderate the effect of task conflict on team performance. Recently although intra-team perspective taking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s,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is research, it is noteworthy to identify that intra-team perspective taking is an important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team performanc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팀 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업 및 관계갈등의 매개효과 : 과제 난이도, 팀원 친근성, 팀 성과, 학습 만족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민정(Min Jeong Kim),유병민(Byeong Min 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ore effective teaching design direction for designing team-based learning, which is actively applied as a new educational paradigm to improve future talent capabilities. Therefore, task difficulty and team member friendliness were selected the variables affecting team achievements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mediated effects of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s conflict were identified in relation to the variables. The subject of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97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ing in team-based learning course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at 1) task conflicts wer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ask difficulty and team achievements, 2) task conflicts wer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eam members friendliness and team achievements, 3) task conflicts were fully mediated between task difficulty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4) task conflicts wer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eam members friendli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addition, 1) relationship conflict wer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ask difficulty and team achievements, 2) relationship conflict wer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eam members friendliness and team achievements, 3) relationship conflict wer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ask difficulty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4) relationship conflict wer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eam members friendli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team achievement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event of task conflicts and relationship conflicts in the team-based learning were identified and the direction of teaching design for more effective team-based learning was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인재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교수방법인 팀 기반 학습의 효과적인 교수설계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팀 성과와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과제 난이도와 팀원 친근성을 선정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 과업갈등과 관계 갈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팀 기반 학습을 진행하는 대학 강의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9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업갈등은 과제 난이도와 팀 성과를 부분매개, 팀원 친근성과 팀 성과를 부분매개, 과제 난이도와 학습 만족도를 완전매개, 팀원 친근성과 학습 만족도를 부분 매개하였다. 또한, 관계갈등은 과제 난이도와 팀 성과를 부분매개, 팀원 친근성과 팀 성과를 부분매개, 과제 난이도와 학습 만족도를 부분매개, 팀원 친근성과 학습 만족도를 부분 매개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팀 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업 및 관계갈등이 발생 하였을 때 팀 성과 및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더욱 효과 있는 팀 기반학습을 위한 교수설계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팀원의 과업갈등 인식이 팀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팀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무관 ( Mu Goan Jeong ),최항석 ( Hang Sok Choi ) 한독경상학회 2011 經商論叢 Vol.29 No.4

        갈등에 대한 최근 연구는 개인적인 측면에서 팀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으로 점차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많은 조직에서 팀제를 활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팀 내에서 발생 될 수 있는 갈등의 효과를 파악하려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 중에서 과업갈등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동시에 강조되고 있어서 팀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란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팀제를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과업갈등이 팀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과업갈등이 팀몰입과 팀 성 과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실증적인 검토를 통해 살펴보고, 과업갈등이 팀성과에 미치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팀 몰입의 매개효과를 탐색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과업갈등이 팀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과업갈등은 팀 몰입과 팀 성과 모두에 유의적 부(-)의 관계를 보였으며, 팀 몰입은 과업갈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과업갈등이 비판적 사고와 다양한 의견수렴이 가능하여 팀성과를 향상시킨다는 연구자들의 주장보다는 팀원들이 같이 근무하려는 의욕을 떨어뜨리고 과업환경을 저해하여 팀 성과를 악화시킨다는 연구자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이는 과업갈등이 팀 몰입을 약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팀 성과가 좋지 않게 되는 과정을 이해함으로 서, 과업갈등이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밝히는데 기여하였다. Teams bring assets-adding knowledge and creativity, in creasing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ideas, and motivation (Jehn and Mannix, 2001). So, many organizations adopt team-based structure for improving teamwork, quality of decision making, innovation and so on. However, teams are not enough to ensure that positive outcomes will result, because conflicts are inevitable outcome of teams. Jehn (1995) insisted that conflicts in team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 task, relationship conflict by causes. A stream of research has been grown recently for conflicts in teams and its potential effects on team effectiveness. Especially, relevant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team effectiveness have indicated contrasting arguments. Some argue that task conflict can be shown to beneficial to team performance by creating new ideas or solutions for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whereas task conflict produces negative effects on team performance because task conflict is also one of interpersonal conflicts in organizations. So,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task conflict on team effectiveness (team commitment and team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team performance. Using a sample 232 employees in a firm, our findings suggest that team members` task conflic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negative influence on team commitment and team performance. Moreover, team commitment wa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team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과업 갈등과 건설적 비판

        이찬규(Lee, Changyu),최규상(Choi, Kyoosa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5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9 No.4

        팀의 과업수행과 문제해결을 위한 팀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갈등은 흔히 발생하는 현상이다. 그동안 팀 내 갈등연구는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으로 구분하여 팀 효과성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밝히는 데 초점을 두어왔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관계갈등이 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일관되게 부정적이었지만, 과업갈등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혼재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업갈등 자체가 팀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는 논의를 토대로 과업갈등이 팀 효과성에 도움이 되는 건설적인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팀 내 과업갈등이 건설적 비판에 미치는 영향과 과업갈등의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키는 조절변수로서 팀 내 신뢰의 역할, 그리고 건설적 비판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54개의 팀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과업갈등은 건설적 비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 관계에서 팀 내 신뢰는 과업갈등이 건설적 비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건설적 비판은 팀 성과와 팀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flict in teams is inevitable. If conflict is constructively managed, it can increase team performance. Conflict research has distinguished between two types of conflict: relationship conflict, a bad type of conflict, and task conflict, a good type of conflict. Previous studies have consistently reported negative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on team effectiveness, but studies have yielded mixed findings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task conflict. Based on the argument that task conflict itself may not be beneficial for teams, this study has focused on a contextual condition which can helps to transform task conflict into constructive conflict, that is constructive controversy. Data collected from 54 teams have revealed that task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constructive controversy. Findings also suggested that trust in teams decreased the negative effects of task conflict on constructive controversy and that constructive controversy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and team satisfaction, respective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대학교육현장에서 수행되는 팀 학습에서의 과업상호의존성, 과업갈등, 관계갈등, 팀 협력, 팀 성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정한호 ( Jeong Han-ho )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대학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팀 학습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모형을 활용하여, 팀 학습에서 나타나는 과업상호의존성, 과업갈등, 관계갈등, 팀 협력 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과업상호의존성, 팀 협력을 긍정적 변인, 과업갈등, 관계갈등을 부정적 변인, 그리고 팀 성과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팀 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353명의 대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팀 협력이 팀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과업상호의존성이 팀 협력에 유의미하고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관계갈등에는 부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이에 반해, 과업갈등은 팀 협력과 팀 성과에 모두 유의미하고 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현장에서 점차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팀 학습의 효과적 수행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eam learning in the university education field. Using structural model,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task interdependence, task and relationship conflict in a team, and team cooperation on team performance of students in a university. To examine the impact, this study investigated impact variables related to team performance to discover an optimum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n this study, task interdependence and team cooperation were adopted as positive variables.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were adopted as negative variables, and team performance was adopted as a dependent variable. Data was collected from students taking courses that utilize team based learning in university. 353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eam cooperation has the greatest impact on team performance. Through the results, we found that task interdependenc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team cooperation and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influenced relationship conflict.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task conflict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team cooperation and team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both for practice and theory regarding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team based learning in universities.

      • KCI우수등재

        팀플이냐, 팀킬이냐? 무임승차가 조직 내 갈등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미정 ( Choi Mi-jung ),은재호 ( Eun Jeaho ) 한국행정학회 2020 韓國行政學報 Vol.54 No.4

        이 연구는 무임승차가 갈등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무임승차가 팀 내 갈등(과업갈등, 관계갈등)과 팀 성과(팀 수행, 팀 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무임승차가 갈등을 통해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이 과정에서 팀원들의 참여 행태 즉, 성실한 참여와 불성실한 참여(무임승차)가 갖는 조절효과를 탐색하고, 전체 모형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했다. 분석 자료는 수도권 대학생 18개 팀(102명)이 수행한 팀 과업에 대한 정량적 평가 데이터와 정성적 분석 데이터를 사용했다. 이 연구를 통해 발견한 사실은 다음 세 가지다. 첫째, 무임승차가 팀 성과에 미치는 이중적 영향(double effect)을 확인했다. 무임승차는 팀 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팀 만족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무임승차가 발생하여도 성실 참여자의 역량으로 팀 수행이 이루어졌다. 둘째, 무임승차는 과업갈등과 관계갈등 모두를 증가시켰다. 갈등의 매개효과를 검토한 결과 관계갈등이 무임승차와 팀 만족의 관계를 부분 매개했고, 과업갈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성실참여는 무임승차가 관계갈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달리 말하면, 성실 참여자보다 불성실 참여자(무임승차자)가 더 큰 갈등을 느꼈다. 특히 무임승차자가 많은 팀의 불성실 참여자(무임승차자)가 과업갈등, 관계갈등 및 불만족을 크게 느꼈다. 이는 무임승차자가 팀 성과에 무관심하여 갈등과 같은 부정적 감정을 느끼지 않고, 성실히 참여하는 이들이 갈등을 느낄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과 정반대되는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온 원인을 심층 분석한 결과, 역할과 위치에 대한 인식, 팀 리더의 협력적 리더십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free riding on conflict and team outcome by examining it in three steps. First, we identified the direct effects of free riding on team conflict (task conflict, relationship conflict) and team outcome (team performance, team satisfaction). Second, we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nflict between free riding and team outcome. Third, we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m members' participation (i.e., hard-working team members or free riders) and analyz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he total model. We analyzed data gathered from 16 weeks’ observation and survey of 18 teams. Given the dearth of empirical research on free riding,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field study. From the results, we found three things: First, free riding had varied effects on team outcome. Free riding and team performance have no significant relation, but free riding associates with team satisfaction negatively. This implies that team performance depends on hard-working members’ competence. Second, free riding increased task and relationship conflicts. Relationship conflic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free riding and team satisfaction, and task conflict had no effect on that relation. Third, hard-working team members felt relationship conflict less than free riders. Participation decreased the negative mediation effect of relationship conflict between free riding and team satisfaction. Especially, free riders in teams with many free riders perceived high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and low team satisfaction. This is contrary to the common perception about free riders, so we analyzed further and found some explanatory factors, among them the team member’s role and status and the team leader’s cooperative leadership. The results suggest a new approach to deal with the free-riding problem and contribute to enlarging our understanding of free riding and team dynamics.

      • KCI우수등재

        과업갈등이 프로젝트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지호(Ji Ho Choi),문연희(Youn Hee Moon),심덕섭(Duk Sup Shim),양동민(Dong Min Yang),허영호(Young Ho Heo) 한국경영학회 2009 經營學硏究 Vol.38 No.6

        Team work to accomplish work-related activities in organizations is gaining the increasing popularity. However, for teams to realize their potential benefits, the challenges of working effectively as a team are considerable. One challenge is a conflict among team members due to the actual or perceived differences (Jehn, 1995). Even though a stream of research has been grown recently for an intragroup conflict and its potential effects on team performance and member satisfaction, the effect of intragroup conflict on team performance has been remained as a controversial topic. The search for the potential effects of conflict has been facilitated by distinguishing different types of conflict, task and relationship (Jehn, 1995, 1997; Pelled, 1996). A task conflict, sometimes referred as substantive or cognitive conflict, exists when team members differ in views and opinions about how particular aspects of tasks are accomplished, especially in procedural, policy, resource distribution issues (Amason, 1996; Simon and Peterson, 2000). In contrast, an affective or relationship conflict has an affective element at its core and involves perceived tension and frustration about personal differences such as interpersonal style, attitude and preference and personality. A long-held notion in the conflict literature is that a task conflict may actually be beneficial to team effectiveness, as opposed to a relationship conflict that has been theorized as an exclusively negative factor for teams (Jehn, 1995, 1997; Pelled, 1996). Given the opposit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conflict, it would seem easy to resolve this dilemma by simply minimizing a relationship conflict and maximizing a task conflict. However, while a certain amount of agreement exists on the negative effect of relational conflict, the findings concerning a task conflict are not consistent. While task conflicts is generally associated with positive outcomes for teams (Simon and Peterson, 2000), recent a research has indicated that a task conflict may be most beneficial at moderate levels but may have a detrimental impact at higher level (Jehn and Mannix, 2001). Alternatively, a recent meta-analysis examining task conflict impacts suggests that a task conflict may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group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utcomes (De Dreu and Weingart, 2002). To analyze the controversial role of a task conflict, some researchers such as Jehn (1997) propose a contingency perspective in the study of team conflict. One promising potential moderator is team efficacy, or the belief by a team that it can be effective (Campion, Medsker and Higgs, 1993; Guzzo and Shea, 1992). A number of studies argues that teams with a high sense of team efficacy are more committed and willing to work hard for the team(Zaccaro, Rittman, and Marks, 2001), and are more effective at managing uncertainty due to the differences or conflicts among team members (Levin and Cross, 2004; Olson, Parayitam, and Bao, 2007).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moderating impact of team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task conflict and team performance. Following this line of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m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task conflict and team performance with a sample of 78 university student teams, comprising 341 respondents (on average 4.37 per team).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re used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Hypothesis 1 predicts that a task conflict is positively related with team performance. Hypothesis 1a, as a contrasting hypothesis, predicts that a task conflict is nega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Hypothesis 2 predicts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a task conflict and team performance will be moderated by team efficacy.The reliability coefficients for the variables are assessed by calculating Cronbach alpha coefficients.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for all vari

      • 팀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과업갈등과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조민수(Min Soo Joh),권석균(Seog-Kyeun Kwun)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9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1 No.2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eam leader s empowering leadership on team process and team performance,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task conflict and team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 s empowering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on 427 small team leaders, part leaders, and other mid-level managers at the firms in South Korea. The results revealed that team leader empowering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eam task conflict, team communication, and team performance. Based on this result, it is thought that investing on the development of team leader empowering leadership is crucial for the organizations. In addition, team communic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m performance, and bootstrapping result show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m leader empowering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eam task conflict does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team performance.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team leader s empowering leadership influences team performanc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various channe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further discuss limitation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는 팀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 프로세스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팀리더 임파워링 리더십과 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팀 과업갈등과 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살펴본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조직에서 중간관리자로서 근무하는 소 팀제 팀장, 대팀제 파트장 및 팀리더급 종업원 42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팀리더 임파워링 리더십은 팀 과업갈등, 팀 의사소통 그리고 팀 성과 모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팀 효과성 향상을 위해 팀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 개발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프로세스 변수로서 팀 의사소통은 팀 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의사소통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반면, 팀리더 임파워링 리더십의 팀 과업갈등에 대한 영향력은 유의하게 확인되었지만, 그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팀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은 팀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