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방향 선형 스캐닝과 컨벡스 헐을 이용한 아무르불가사리의 특징 추출

        신현덕(Hyun-Deok Shin),전영철(Young-Cheol Je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3

        패턴을 이용한 불가사리 특징 검출은 불가사리의 오목 특징과 볼록 특징을 모두 검출하기 어려우며 또한, 오목과 볼록을 구분 할 수도 없다. 오목과 볼록은 아무르불가사리의 중요한 구조적 특징으로서 반드시 찾아야 할 특징이며 오목과 볼록을 분류함으로서 차후 불가사리 인식에서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아무르불가사리의 주요 특징인 오목과 볼록 특징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다방향 선형 스캐닝을 이용하여 오목과 볼록의 특징점 후보군을 형성하고 이 후보군에서 특징점을 결정한 후 추출된 특징점에 컨벡스 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오목 특징과 볼록 특징을 구분한다. 제안한 기법은 불가사리의 주요 특징인 오목 특징과 볼록 특징을 구분하여 효과적으로 추출한다. 따라서 향후 불가사리 인식을 위한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feature extraction of asterias amurensis by using patterns is difficult to extract all the concave and convex features of asterias amurensis nor classify concave and convex. Concave and convex as important structural features of asterias amurensis are the features which should be found and the classification of concave and convex is also necessary for the recognition of asterias amurensis later.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e technique to extract the features of concave and convex, the main features of asterias amurensis. This technique classifies the concave and convex features by using the multi-directional linear scanning and form the candidate groups of the concave and convex feature points and decide the feature points of the candidate groups and apply convex hull algorithm to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The suggested technique efficiently extracts the concave and convex features, the main features of asterias amurensis by dividing them. Accordingl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udies on the recognition of asterias amurensis in the future.

      • KCI등재

        음성 신호 특징과 셉스트럽 특징 분포에서 묵음 특징 정규화를 융합한 음성 인식 성능 향상

        황재천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5

        음성 인식에서 기존의 음성 특징 추출 방법은 명확하지 않은 스레숄드 값으로 인해 부정확한 음성 인식률 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음성과 비음성에 대한 특징 추출을 묵음 특징 정규화를 융합한 음성 인식 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을 모델링 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모델을 구성하였고, 각 음성 프레임에 대해 음성 신호 특징을 추출하여 음성 인식 모델을 구성하였고, 이를 묵음 특징 정규화를 융합하여 에너지 스펙트럼을 엔트로피와 유사하게 표현하여 원래의 음성 신호를 생성하고 음성의 특징이 잡음을 적게 받도록 하였다. 셉스트럼 에서 음성과 비음성 분류의 기준 값을 정하여 신호 대 잡음 비율이 낮은 신호에서 묵음 특징 정규화로 성능을 향상 하였다.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의 성능 분석은 HMM과 CHMM을 비교하여 결과를 보였으며, 기존의 HMM과 CHMM을 비교한 결과 음성 종속 단계에서는 2.1%p의 인식률 향상이 있었으며, 음성 독립 단계에서는 0.7%p 만큼 의 인식률 향상이 있었다. Existing Speech feature extracting method in speech Signal, there are incorrect recognition rates due to incorrect speech which is not clear threshold value. In this article, the modeling method for improving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that combines the 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and silence characteristics normalized to the non-speech. The proposed method is minimized the noise affect, and speech recognition model are convergence of speech signal feature extraction to each speech frame and the silence feature normalization. Also, this method create the original speech signal with energy spectrum similar to entropy, therefore speech noise effects are to receive less of the noise. the performance values are improved in signal to noise ration by the silence feature normalization. We fixed speech and non speech classification standard value in cepstrum For th Performance analysis of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paper is show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CHMM HMM, the recognition rate was improved 2.7%p in the speech dependent and advanced 0.7%p in the speech independent.

      • KCI등재

        디지털 피부영상의 관심영역 추출과 조합특징을 이용한 효율적인 병변 분할

        조용현(Yong-Hyun Cho)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0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30 No.6

        본 논문에서는 RGB 색상모델의 디지털 피부영상에서 관심영역 추출과 특징들을 조합한 효율적인 병변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관심영역 추출은 영상의 밝기정보와 색상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알고리즘의 효율성과 강건함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또한 특징들의 조합은 색상특징과 질감특징을 조합한 것으로 병변의 분할성능을 좀 더 개선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색상특징은 HSV 모델에서 색조(Hue)을 고려한 채도(Saturation)를 이용하며, 질감특징은 화소간의 통계적 속성을 고려한 전역특징으로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GLCM)을 이용한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74개 임의크기의 피부병변 디지털 영상(DermQuest 데이터베이스 : 61개, 스마트폰 영상 : 13개)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민감도, 특이도, 그리고 정확도에서 우수한 분할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색상특징과 질감특징을 조합한 제안방법이 어느 하나의 특징만을 이용한 기법보다도 상대적으로 우수한 분류성능도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lesion segmentation technique that combines extraction of region of interest(ROI) and hybrid features from digital skin images of RGB color models. The ROI extraction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robustness of the algorithm by using the brightness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image.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features is a combination of color features and texture features to further improve the segmentation performance of the lesion. Here, the color feature uses saturation taking into account hue in the HSV model, and the texture feature uses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GLCM) as a global feature taking into account statistical properties between pixels. In order to confirm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chnique, as a result of experimenting with 74 digital images(DermQuest database: 61, smartphone images: 13) of skin lesions of arbitrary size, excellent segmentation performance in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was shown. Also, it can be seen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relatively better segmentation performance than the method using only one feature.

      • KCI등재

        시간흐름을 고려한 특징 추출과 군집 분석을 이용한 헬스리스크 관리

        강지수,정경용,정호일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논문에서는 시간 흐름을 고려한 특징추출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헬스 리스크 관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세단계로 진행한다. 첫 번째는 전처리 및 특징추출 단계이다. 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라이프로그를 수집하여 불완전데이터, 에러, 잡음, 모순된 데이터를 제거하며 결측 값을 처리한다. 그 다음 특징추출을 위해 주성분 분석을 통해 중요 변수를 선택하고, 상관계수와 공분산을 통해 데이터 간의 관계와 유사한 데이터들의 분류를 진행한 다. 또한 라이프로그에서 추출한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여 K-means 알고리즘을 통해 동적 군집 을 진행한다. 새로운 데이터는 오차 제곱합의 증가분을 기반으로 유사성 거리 측정 방법을 통해 군집을 진행하고, 시간 의 흐름을 고려하여 군집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따라서 특징 군집을 통해 헬스 의사결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체적 특성, 생활습관, 질병여부, 헬스케어 이벤트 발생위험, 예상 정도 등의 요소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다. 성능평가 는 Precision, Recall, F-measure을 사용하여 제안하는 방법과 퍼지방법, 커널기반 방법을 비교한다. 평가결과 제안 하는 방법이 우수하게 평가된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유병자와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정확한 사용자의 잠재적 건강 위험을 예측 및 적절한 관리가 가능하다. In this paper, we propose health risk management using feature extraction and cluster analysis considering time flow. The proposed method proceeds in three steps. The first is the pre-processing and feature extraction step. It collects user’s lifelog using a wearable device, removes incomplete data, errors, noise, and contradictory data, and processes missing values. Then, for feature extraction, important variables are selected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data simila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are classified through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ovariance. In order to analyze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lifelog, dynamic clustering is performed through the K-means algorithm in consideration of the passage of time. The new data is clustered through the similarity distance measurement method based on the increment of the sum of squared errors. Next is to extract information about the cluster by considering the passage of time. Therefore, using the health decision-making system through feature clusters, risks able to managed through factors such as physical characteristics, lifestyle habits, disease status, health care event occurrence risk, and predictability. The performance evaluation compares the proposed method using Precision, Recall, and F-measure with the fuzzy and kernel-based clustering.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proposed method is excellently evaluated. Therefore, through the proposed metho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redict and appropriately manage the user’s potential health risk by using the similarity with the patient.

      • KCI등재

        영상 대비와 특징추출 알고리즘 성능평가의 관계 분석

        김경율,이현규,최민국,이상철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2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8 No.5

        컴퓨터 비전분야의 저수준에서 수행되어지는 특징추출 알고리즘은 다양한 응용분야에 활용되며, 추출되는 특징은 응용분야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이유로 폭 넓게 사용하는 특징추출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징추출 알고리즘 가운데 저수준 특징으로써 활용도가 높은 옵티컬 플로우, SIFT, SURF 알고리즘의 성능과 입력 영상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영상의 속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알고리즘의 성능평가 결과와 상호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량적 영상속성 측정을 위해 영상의 기본적인 지각속성인 대비를 이용하였으며, 정량화된 다량의 대비 영상을 얻기 위해 매개변수 변화에 따라 대비가 다른 영상을 생성하는 흑백영상 변환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특징추출 알고리즘 성능 평가를 위해 옵티컬 플로우 측정 실험은 평균 각 오차와 종점 오차를, SIFT 및 SURF에 대한 실험은 추출된 기술자의 수와 매칭된 기술자의 비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정량적으로 측정된 대비와 각 알고리즘의 성능평가 결과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흑백 영상 변화 시 정보 손실로 인해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 KCI우수등재

        사용자 리뷰를 이용한 상품 특징 추출 및 평점 분배

        손수빈(Soobin Son),전종훈(Jonghoon Chun) 한국전자거래학회 2017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2 No.1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에 대한 사용자 리뷰와 평점을 분석하여 상품의 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평점이 어떤 특징에 의해 부여된 것인지 판단하여 각 특징에 분배하여 점수화함으로써 상품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방식은 상품 구매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많은 리뷰와 평점을 읽는데 시간을 허비하거나, 상품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어려울 뿐더러 상품에 부여된 평점이 어떠한 특징에 의해서 부여되었는지 알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 리뷰에서 상품의 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각 특징별 평점을 전체 평점에서 자동으로 분배․계산하여 보여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상품별 리뷰와 평점을 수집하여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상품의 특징과 이에 대한 감성어를 추출한다. 또한, 상품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특징에 대한 가중치를 특징이 출현한 문장의 극성을 판단하여 부여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와 기존 방법을 비교하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였고, 상품 리뷰 전문가의 분석과 실험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We propose a method to analyze the user reviews and ratings of the products in the online shopping mall and automatically extracts the features of the product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a product. By judging whether a rating is given by a specific feature of a product, our method distributes the score to each feature. Conventional methods force users to wastes time reading overflowing number of reviews and ratings to decide whether to buy the product or not. Moreov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product, because of the way reviews and ratings are provided. It is structured in a way that it is impossible to decide which rating is given to the which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Therefore, in this paper, to re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method to automatically extract the feature of the product from the user review and distribute the score to appropriat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by calculating the rating of each feature from the overall rating. proposed method collects product reviews and ratings, conducts morphological analysis, and extracts features and emotional words of the products. In addition,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larity of a sentence in which the feature appears is given a weight value for each featur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d the questionnaires comparing the existing methods show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We also validates the results by comparing the analysis conducted by the product review experts.

      • KCI등재

        걸음걸이 분석 기반의 파킨슨병 분류를 위한 특징 추출

        이상홍 ( Sang-hong Lee ),임준식 ( Joon S. Lim ),신동근 ( Dong-kun Shi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1 No.6

        본 논문은 걸음걸이 분석 기반의 특징 추출과 NEWFM(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tions)을 이용하여 건강한 사람의 족압(foot pressure)과 파킨슨병 환자의 족압으로부터 건강한 사람과 파킨슨병 환자를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NEWFM에서 사용할 입력을 추출하기 위해서 첫 번째 단계에서는 PhysioBank에서 제공하는 족압 데이터와 시간에 따른 족압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각 4개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 WT)을 이용하여 이전 단계에서 추출한 8개의 특징으로부터 웨이블릿 계수를 추출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추출된 웨이블릿 계수들을 이용하여 통계적 기법인 주파수 분포와 주파수 변동량을 이용하여 40개의 입력을 추출하였다. NEWFM은 족압 데이터로부터 8개의 특징을 추출하여 건강한 사람과 파킨슨병 환자를 분류하였을 때 왼쪽 족압과 오른쪽 족압의 차를 이용한 특징과 시간에 따른 족압의 변화에 대한 차를 이용한 특징의 경우에 높은 정확도(accuracy)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걸음걸이에 있어서 질질 끄는 특징을 보이는 파킨슨병 환자의 양쪽 족압의 차가 건강한 사람의 양쪽 족압의 차보다는 상대적으로 적다는 특징을 본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a measure to classify healthy persons and Parkinson disease patients from the foot pressure of healthy persons and that of Parkinson disease patients using gait analysis based characteristics extraction and 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tions (NEWFM). To extract the inputs to be used in NEWFM, in the first step, the foot pressure data provided by the PhysioBank and changes in foot pressure over time were used to extract four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In the second step, wavelet coefficients were extracted from the eight characteristics extracted from the previous stage using the wavelet transform (WT). In the final step, 40 inputs were extracted from the extracted wavelet coefficients using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and the amount of variability in the frequency distribution. NEWFM showed high accuracy in the case of the characteristics obtained using differences between the left foot pressure and the right food pressure and in the case of the characteristics obtained using differences in changes in foot pressure over time when healthy persons and Parkinson disease patients were classified by extracting eight characteristics from foot pressure data. Based on these results, the fact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left and right foot pressures of Parkinson disease patients who show a characteristic of dragging their feet in gaits were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of healthy persons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is experiment.

      • KCI등재

        걸음걸이 데이터에서 분노 검출을 위한 다중 시간 윈도 특징 추출 기술

        권범(Beom Kwon),오태근(Taegeun Oh)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4

        본 논문에서는 보행자의 걸음걸이로부터 분노 감정 검출을 위한 다중 시간 윈도 특징 추출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의 걸음걸이 기반 감정인식 기술에서는 보행자의 보폭, 한 보폭에 걸리는 시간, 보행 속력, 목과 흉부의 전방 기울기 각도(Forward Tilt Angle)를 계산하고, 전체 구간에 대해서 최솟값, 평균값, 최댓값을 계산해서 이를 특징으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이때 각 특징은 보행 전체 구간에 걸쳐 항상 균일하게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지역적으로 변화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기부터 중기 그리고 단기까지 즉, 전역적인 특징과 지역적인 특징을 모두 추출할 수 있는 다중 시간 윈도 특징 추출(Multi-Time Window Feature Extraction)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특징 추출 기술을 통해 각 구간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앙상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앙상블 모델(Ensemble Model)은 복수의 분류기로 구성되며, 각 분류기는 서로 다른 다중 시간 윈도에서 추출된 특징으로 학습된다. 제안하는 특징 추출 기술과 앙상블 모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일반인에게 공개된 3차원 걸음걸이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시험 평가를 수행했다. 그 결과, 4가지 성능 평가지표에 대해서 제안하는 앙상블 모델이 기존의 특징 추출 기술로 학습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모델들과 비교하여 최고의 성능을 달성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ique of multi-time window feature extraction for anger detection in gait data. In the previous gait-based emotion recognition methods, the pedestrians stride, time taken for one stride, walking speed, and forward tilt angles of the neck and thorax are calculated. Then, minimum, mean, and maximum values are calculated for the entire interval to use them as features. However, each feature does not always change uniformly over the entire interval but sometimes changes locally. Therefore, we propose a multi-time window feature extraction technique that can extract both global and local features, from long-term to short-term. In addition, we also propose an ensemble model that consists of multiple classifiers. Each classifier is trained with features extracted from different multi-time window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feature extraction technique and ensemble model, a public three-dimensional gait dataset was used. The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ensemble model achieves the best performance compared to machine learning models trained with existing feature extraction techniques for four performance evaluation metrics.

      • KCI등재

        중앙 영역의 컬러 특징과 최적화된 빈 수를 이용한 내용기 반 영상검색

        류은주,송영준,박원배,안재형,Ryu, Eun-Ju,Song, Young-Jun,Park, Won-Bae,Ahn, Jae-Hy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1 No.5

        In this paper, we proposed a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a color feature for central region and its optimized comparing bin method. Human's visual characteristic is influenced by existent of central object. So we supposed that object is centrally located in image and then we extract color feature at central region. When the background of image is simple, the retrieval result can be bad affected by major color of background. Our method overcome this drawback as a result of the human visual characteristic. After we transform Image into HSV color space, we extract color feature from the quantized image with 16 leve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method using the eight high rank bin is better than using the 16 bin The case which extracts the feature with image's central region was superior compare with the case which extracts the feature with the whole image about 5%. 본 논문은 중앙 영역에서의 컬러 특징 추출 기법과 추출된 컬러 특징들의 비교 빈(bin)를 최적화한 새로운 내용기반 영상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인간의 시각적 특징이 중심 객체의 유무에 영향을 받고, 대부분의 영상의 중심 객체는 중앙에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영상의 중앙 영역에서 컬러 특징을 추출한다. 따라서, 배경이 단순한 경우 영상의 전체영역을 특징으로 하여 검색했을 때 배경의 영향에 좌우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의 컬러 특징값은 HSV 컬러 공간으로 변환한 후 16레벨로 양자화를 하여 추출한다. 실험값을 통해 기존의 16개 빈을 모두 비교하여 검색한 경우에 비해 상위 8개 빈만을 가지고 검색한 경우 주관적인 평가와 객관적인 평가 모두 다 좋은 결과를 보인다. 영상 전체를 특징으로 추출한 경우보다 중앙 영역만으로 특징을 추출한 경우 평균 precision이 약 5%정도 좋았다.

      • KCI등재

        선형적 특징추출 방법의 특성 비교

        오상훈(Sang-Hoon Oh)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4

        이 논문은 고차원의 데이터를 저차원으로 줄이는 방법 중 하나인 특징추출에 대한 방법들의 특성을 비교한다. 비교대상 방법은 전통적인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방법과 시각피질의 특성을 보인다고 알려진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국소기반인식을 구현한 NMF(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그리고 이의 성능을 개선한 sNMF(Sparse NMF)로 정하였다. 추출된 특징들의 특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필기체 숫자 영상을 대상으로 특징추출을 수행하였으며, 인식기에 적용한 효과의 확인을 위하여 추출된 특징을 다층퍼셉트론에 학습시켜보았다. 각 방법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응용하고자 하는 문제에서 어떤 특징을 추출하기 원하느냐에 따라 특징추출 방법을 선정할 때 유용할 것이다. In this paper, feature extraction methods, which is one field of reducing dimensions of high-dimensional data, are empirically investigated. We selected the traditional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NMF(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and sNMF(Sparse NMF) for comparisons. ICA has a similar feature with the simple cell of V1. NMF implemented a parts-based representation in the brain and sNMF is a improved version of NMF. In order to visually investigate the extracted features, handwritten digits are handled. Also, the extracted features are used to train multi-layer perceptrons for recognition test. The characteristic of each feature extraction method will be useful when applying feature extraction methods to many real-world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