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 사회복지특수대학원 교육의 발전방향 : 학부 및 일반대학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순둘,박지혜,김수현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4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6 No.-
In this study,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were compared with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 in order to suggest for direction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in Korea. 5 University of Seoul-city 2, Gyeonggi-do 1, Gyeongsang-do 1, Jeolla-do 1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is research elicited some curriculum of social welfare education has no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 In particular, the Special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does not have a distinct identity. Based on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social welfare education should be separated according to direction and purpose of educational organization of social welfare. Secondly, in terms of training of practice can utilize the weekend program and their work place practice, and thirdly,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has to limit the number of required subject and expansion of Major area. 본 연구는 학부 및 일반대학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특수대학원 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언하기 위해 학부,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특수대학원의 현황을 살펴보고, 서울시 등 4개 지역 5개 대학의 각 교육기관별 교육목적과 방향, 교과과정 영역과 교과목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제 사회복지교육이 학부와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특수대학원 간에 분화되어 있지 않았으며, 특히 사회복지특수대학원의 경우 특수대학원이 갖는 정체성이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를 첫째, 학부,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특수대학원 세 교육기관 간 사회복지교육의 방향과 목표에 대한 분명한 경계화 작업 및 기능과 역할 재정립을 제언하였다. 둘째, 사회복지특수대학원 교육의 주요 해결점으로 실습교육의 주말 프로그램 및 자기 직장을 활용한 실습을 제안하였으며, 셋째, 사회복지특수대학원의 필수과목 수 제한과 전공영역 과목확대 및 교과내용의 내실화를 제안하였다. 끝으로, 사회복지특수대학원의 교과과정을 학부와 똑같이 운영하는 경우, 사회복지특수대학원의 교육이 실무자를 위한 재교육과 사회복지에 입문하는 초보자에 대한 교육 차원임을 상기하고 이를 교과과정에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현황 및 전공 신설에 대한 기초 연구
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is established with seven study courses such as kindergarten, elementary,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and visual impaired hearing impaired, mental retraded, and physical disability before 10 years. However the recent school environment is changed rapidly. One of the phenomena is full inclusion education. Because of the full inclusion al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nt to study at regular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atus and establishment of study courses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with 32 question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irty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5-Likert scale and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examples. Twenty eight questions among thirty question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twenty eight questions was .91.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regular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five cities and provinces. Four hundred and fift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number of the candidates to study 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has been decreased until now from 10 years; (b) the teachers want to open the study course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graduate school for special education has to consider to open the study courses after calculation the break-even point with decreasing numbers of the candidates who are working for regular schools to study special education.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 특수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을 실시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전문성과 일반교사의 효율적인 통합교육 운영 등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특수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정원 조정 등을 구상하기 위함이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특수교육대학원을 지원한 인원과 입학생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 교사들의 인원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경북에 근무하는 일반학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인식 관련 변인 간 관계, 특수교육 전공 요구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대구대학교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의 위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하는 교사들의 변인은 교직경력이 적은 여교사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에 진학을 희망할 경우에 선택할 전공은 초등특수교육,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정신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 개설할 전공의 타당성에 대한 시사점 등을 또한 제시하였다.
권현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2
끊임없이 변화하며 발전하는 교육현실에 발맞춰 양질의 교사를 발굴, 육성,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직전교육과 연수, 재교육 등의 현직교육이 필수 조건이다. 교육대학원은 양질의 교사를 좀 더 효율적으로 빠르게 양성해 내기위한 대안으로 개설되어 40여년의 역사 속에서 급격한 양적 팽창을 이루었으며, 최근에는 질적 향상을 통한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다양한 변화와 개혁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의 특수교육전공과정의 운영현황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교육대학원의 교사양성과 재교육 기능이 통합교육을 준비하는 교사들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분석결과 현재 교육대학원은 기능을 단일화하고 원생의 입학과 졸업 자격조건을 강화시켜 질적 향상을 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되었다. 또한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기본이수과목에 대한 재정비와 전공과목에 대한 검토, 현장중심의 교과목 편성 등 근본적인 개편이 요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수업 참여 경험
김건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1
본 연구는 현직교사의 재교육과정 중 하나인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하는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의 경험을 살피고, 그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 전공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면담내용은 다양한 관점의 교사들과의 토의, 보지 못했던 부분의 발견,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의 발견, 서로 마음을 열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들, 변화가 필요한 교육과정과 같은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대학원의 수업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가진 교사들이 서로 함께 경계 없이 현재의 교육관이나 교육방법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면서 스스로를 성찰하고, 편견을 깨뜨리기도 하고, 새로운 교육방법을 모색하기도 하는 등의 변화를 겪으면서, 상호협력과 통합교육에 대해서도 희망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특수교육대학원에서의 수업은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에게 함께 토론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이었고, 이것이 통합교육과 협력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는 기회로 이어졌음이 나타났다. 반면, 교육현장과 연계된 보다 전문적인 교육과정이 부족하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따라서 현직교사의 재교육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함께 전문적인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더욱 확대되어야 하고, 교육현장과 연계된 보다 전문적인 수업이 진행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방법 개선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교육대학원(특수교육대학원) 중심의 장애인평생교육 전문가 양성 전공과정 개설 배경 고찰: 전문교사형 자격을 향한 진전
김영준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Major Course Related to Fostering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entered o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Graduate Schools of Special Education):Progress Toward the Professional Teacher Type QualificationYoungjun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major courses that can be trained by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The basis elements of the research content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at the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eveloped at the level of professional teacher type qualification. A total of 10 grounds were presented for the background of the opening of a major course to train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centering 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Examples include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convergence between related field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Ultimately, the subject of leadership was viewed as a university in establishing the curriculum base suitable for the demand for lifelong education at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of learners with disabilities, that is,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long-term and reasonable manner. Accordingl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was utilized as the basis for the realization of the research contents. As a result, the stability and validity of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experts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can be secured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 through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ey Words: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Graduate Schools of Special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ajor Course, Professional Teacher Type, Qualification 교육대학원(특수교육대학원) 중심의 장애인평생교육 전문가 양성전공과정 개설 배경 고찰: 전문교사형 자격을 향한 진전김 영 준*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특수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장애인평생교육 전문가가 양성될 수 있는 전공과정의 개설 배경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장애인평생교육 전문가 양성이 전문교사형 자격의 수준에서 전개되어야 한다는 문제 인식 속에서 연구 내용의 근거 요소들에 대해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연구 내용: 교육대학원(특수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장애인평생교육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전공과정의 개설 배경에 대해 총 10가지의 근거들이 제시되었다. 장애인평생교육 유관 분야 간 융합 타당성 탐구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궁극적으로 장애, 즉 발달장애를 가진 학습자들의 삶의 질 수준에서의 평생교육 수요에 적합한 교육과정 기반을 장기적이고 타당하게 구축함에 있어 리더십의 주체를 대학으로 조망하였고, 이에 따라 교육대학원(특수교육대학원)을 연구 내용의 실현 가능 기반으로 활용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 교육대학원(특수교육대학원)을 통해 장애인평생교육 전문가 자격 양성의 안정성과 타당성이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 담보될 수 있다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핵심어: 교육대학원(특수교육대학원), 장애인평생교육 전문가, 전공과정, 전문교사형, 자격 □ 접수일: 2022년 2022년 6월 30일, 수정일: 2022년 7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주저자, 조선대학교 연구교수(First Author, Professor, Chosun Univ., Email: helperman20@hanmail.net)
김영준 ( Kim Young Jun ),권량희 ( Kwon Ryang He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안정화를 위해 특수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 운영 로드맵을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교육대학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 집단과 특수교육대학원 졸업 후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유관기관에 재직 중인전문가 집단을 참여자들로 선정하여 FGI를 연구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내용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양성 및 안정화를 위해 수반되어야 할 특수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 운영 조건 및 방략이 구성된 로드맵이다. 위 로드맵에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개입 기능, 특수교육대학원 내 세부 전공 기반, 특수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과목 목록, 현행 평생교육사 자격 기반 통합 관리의 네 가지 조건 및 방략들이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특수교육대학원에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자격 양성을 현실적이고 타당성 있게 추진할 수 있는 가능성이 검토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특수교육대학원이 현행에 편성 및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 인프라를 중심으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자격 양성과정을 심화·융합할 수 있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나아가, 특수교육대학원이 국가 부처 및 지역 유관기관들과의 소통 및 협업의 활성화를 통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자격개발경로에 관한 장기적인 리더십과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측면도 제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 operational roadmap for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of special education to stabilize the qualifications of professionals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a group of professors working at the graduate schools of special education and a group of experts working at institution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graduating from the graduate schools of special educat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FGI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he content of the study is a roadmap consisting of the conditions and strategies for operating the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s that must be accompanied by training and stabiliz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 qualifications for PDDs. The above roadmap consists of four conditions and strategies, such as the intervention funct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a list of subjects for operating the curriculum based on detailed majors within the graduate schools of special education, and integrated management based on the current lifelong educator qualification course.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realistically and feasibly promoting the qualif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PDDs at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s was review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was analyzed that the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 for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PDDs can be deepened and converged, focusing on the curriculum infrastructure currently organized and operated by the graduate schools of special education. Furthermore, the aspect that the graduate schools of special education could ensure long-term leadership and stability regarding the qualification development path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for PDDs through activation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national ministries and local related organizations was also considered.
김지유,진명일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지역과 세계 Vol.44 No.2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reveal the reality of education in counseling graduate schools belonging to special graduate schools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to shed light on the need for special graduate schools as institutions for training experts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ight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40s. Those who had completed more than four counseling-related subjects belonging to the special graduate school were selected as subjec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master's course of eight subjects, and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157 units of meaning, which were integrated into 47 subjects. These were grouped into 15 topical groups and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A brief presentation of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study found that there are life changes in the process of getting into special graduate school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ifficulties as graduate students, and overcoming difficultie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이 연구는 현상학 연구를 통하여 특수대학원에 속한 상담전공 대학원생들의 경험을 밝히며, 전문가 양성기관으로서의 특수대학원의 현실을 학생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20대~40대 성인 남녀 8명으로, 특수대학원에 속한 상담대학원 상담 관련 과목 4개 이상 이수한 사람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8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석사과정에 대한 심층 면담을 시행하고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자료 분석하였다. 수행결과, 의미 단위는 157개로 나타났으며, 47개의 주제로 통합되었다. 이는 15개의 주제군으로 묶여 5개로 범주화되었다.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특수대학원 진학 동기, 교육환경, 대학원생으로의 어려움, 어려움에 대한 극복, 어려움 극복과정에서의 삶의 변화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대학교 조직 변화에 대한 제도주의적 연구 : 전문ㆍ특수대학원 설립에 관한 사건사 분석.1981-2004
김도희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4 사회발전연구 Vol.- No.10
본 연구는 대학교 조직이 환경의 영향을 받아 전문, 특수 대학원을 설립하고, 또 그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제도주의 입장에서 조직은 제도 환경을 반영하고 정당성을 얻기 위해 제도 환경 속의 다른 조직과 경쟁하고 동형화 되어 간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81-2004년 사이의 161개 대학을 대상으로 이들이 국제, 정보 대학원을 도입하는 양상을 통해 제도 환경의 규범적 영향력과 이를 통한 모방적 동형화 현상을 분석하였다. 제도적 환경의 영향력은 국제대학원과 정보 대학원은 각각의 사회적 담론이나 국가의 이에 관한 정책이 도입률을 높임을 알 수 있었고, 또한 경쟁이 보다 치열한 사립 대학교이 국립대학교 보다 이들 대학원의 도입률이 높았다. 모방의 측면에서 각 대학원들은 모두 타조직을 모방하여 대학원을 설립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제대학원과 정보 대학원 모두 상위집단 보다는 동위집단의 대학을 모방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대체로 상위권 대학에서 도입률이 높았다. 또한 국제 대학원과 정보 대학원 모두 중상위 이상의 대학이 이들 대학원을 보다 빨리 도입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는 최근 늘어가고 있는 대학들간의 경쟁을 양상을 반영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정책의 하나로 대학들은 전문대학원의 도입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institutional environment on organizational change. According to neo-institutionalism in sociology, when the organizations attempt changes in practice or structure, they sca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try to conform to institutionalized practice or structure. This study tests the argument with data on when and which universities adopt professional schools. Using an original data-set on the 161 universities in Korea, I empirically test the hypothesis of normative and mimetic isomorphism in the adoptions of professional schools, with focus on international graduate school and information technology graduate school. I conducted a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founding events of each type of schools between 1981 and 2004.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universities' adoption of international graduate school and information technology graduate school depend on the salience of related social discourses and national public policy. Private universities, which are put under higher pressure of competition, are more likely to adopt professional schools. The results also show that universities imitate other universities in adopting the two types of professional schools. Decisions of universities are also influenced by status distinction among universities. High status universities are more ready to adopt international graduate school and information technology graduate school. However, in terms of reference group, universities tend to imitate peer group behaviors rather than high-status group.
유아특수교육전공 일반유치원 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특수교육대학원 석사과정 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현숙,이병인,조현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how the inclusive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studie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t graduate school have become positive perception on inclusive classroom management experience.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narrative inquiry study was used and two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of operating inclusive classrooms for more than five years while study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Research design was us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research participants’ diaries, an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the following changes while study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irst,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have become education philosophy as an inclusive education teacher by study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cond, they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with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studying the graduate studies. Third, they have become more active teachers of education to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urth, it is possible to talk about how to implement effective inclusive educ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provide helpful data and effective methods for effectively operating inclusive education for inclusive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는 통합학급 운영 경험이 있는 일반유치원 교사들이 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하며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하면서 5년 이상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이 있는 일반유치원 교사 2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담과 연구 참여자 일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유치원 교사들은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하면서 다음과 같은 변화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함으로써 통합교육 교사로서의 교육철학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유아특수교사와의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셋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장애유아 부모에게 교육전문가로서 담임교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적극성을 가지게 되었다. 넷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효과적인 통합교육 실행방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통합유치원 교사에게 통합학급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와 실제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특수대학원 비대면 강의 교육서비스 품질의확장된 기술수용모델 적용과 몰입, 지속수강의도 간 관계
김재금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A Relationship Between the ETAM of Non-face-to-face Lecture Education Service Quality at Special Graduate Schools, Flow,and Continuing Course IntentionJaekum Kim Abstract: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TAM), education service quality, flow, and continued course intention by applying the non-face-to-face clas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N=336). For statistical analysis,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AMOS 27.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ease of use had relationship between certainty>responsiveness>tangibles(-)>professionalism. Seco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relationship between tangibles>reliability>responsiveness>professionalism(-). Third, perceived ease showed a relationship with flow. Fourth, perceived ease had an effect on usefulness. Fifth, usefulness had a very large effect on continued course intention. but had no effect on flow. This study fulfill a practical role of fundamental of research in creating a satisfactory operating environment and establishing strategies for non-face-to-face classes in special graduate schools in the future. Key Words: Special Graduate School, Educational Service Quality, ETAM, Flow, Continuous Course Intention 특수대학원 비대면 강의 교육서비스 품질의확장된 기술수용모델 적용과 몰입, 지속수강의도 간 관계김 재 금* 요약: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의 외생변인으로 비대면 수업 교육서비스 품질을 적용하여 기술수용과 몰입, 지속수강의도의 관계를 검증했다. 이에 계속학습자인 특수대학원생이 성공적으로 학업을 마치도록 기초자료의 역할을 하는 것이 연구의 목표이다. 선행연구와 이론과 모델을 토대로 <연구문제>, <가설>을 상정하였고 온라인 설문 조사를 했다. 통계분석은 AMOS 27.0로 구조방정식으로 측정모델 검증과 경로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대학원 비대면 수업 교육서비스 품질은 확신성>반응성>유형성(-)>전문성이 인지된 용이성과의 관계를 지녔다. 둘째, 인지된 유용성은 유형성>신뢰성>반응성>전문성(-)이 관계를 지녔다. 셋째, 기술수용모델의 인지된 용이성이 몰입과의 관계를 보였다. 넷째, 인지된 용이성은 유용성에 영향을 미쳤고 다섯째, 인지된 유용성은 지속수강의도에 매우 큰 영향력을 보인 반면 몰입은 영향력이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공급자 관점이 아닌 수요자인 특수대학원생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대학원 비대면 수업의 만족스러운 운영 환경조성과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의 실무적 역할을 다하고자 하였다. 핵심어: 특수대학원, 교육서비스 품질,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몰입, 지속수강의도 □ 접수일: 2022년 6월 15일, 수정일: 2022년 6월 21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8일* 우즈베키스탄 한국국제대학교 부총장(Professor, Uzbekistan-International Univ. of Korea, Email: jkkim032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