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의 동료튜터링에서 튜터와 튜티 특성에 따른 동료튜터링 운영실태와 요구에 대한 인식 분석

        최미나(Choi, Mina)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튜터링에서 튜터와 튜티의 특성에 따라 동료튜터링 운영실태와 요구에 대해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튜터·튜티 역할구분, 성별, 전공계열, 학년, 래포형성 수준에 따른 운영실태와 요구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C대학 동료튜터링 프로그램 참가자 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역할구분에 따라 튜터·튜티 선정 요건, 튜터링 기간에 대해, 성별에 따라서는 팀 형태에 대한 요구에 차이가 있었다. 전공계열에 따라 튜터링 장소에 차이가 있었고, 학년에 따라서는 튜터링기간에 대한 요구에, 래포형성 수준에 따라서는 부족요인과 1회당 만남시간에 대해 인식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팀구성시 튜터와 튜티의 성적 이외에 성격, 친분과 같은 인간적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고, 성별과 학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튜터링 운영방식 계획 시 학년과 계열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gaps of awareness about operating conditions and needs according to tutor and tutee’s characters in a peer tutoring program. In order to investigate awareness about operating conditions and needs according to a role in a tutoring team, gender, major, grade and rapport’s level, I conducted a survey of 74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tutoring program of ‘C’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that are tutor and tutee’s needs about the selection condition of tutor and tutee, the period of the tutoring program.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gaps in needs about team type according to gender. Third,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needs about the period of the tutoring program. Final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wareness about factors of insufficiency and a tutoring time according to the level of rapport in tutoring team. Judging from this result, It suggests that a manager of the tutoring team should consider to tutor and tutee’s the human factor such as characters and affinity except academic achievement, gender and grade when he organize a tutoring team.

      • KCI등재

        튜터링프로그램에서 튜터와 튜티의 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효과의 관계분석

        오경수(Oh Kyungsu),최정(Choi Jung),허지숙(Huh Ji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대학의 튜터링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개인, 경험, 활동 특성에 따라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튜터와 튜티의 효과를 구분하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 대학교 2019학년도 2학기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2월 20일부터 23일까지 설문조사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성별, 튜터링 과제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튜터의 경우 튜터링 참여 횟수에 따라 학업성취 효과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튜터의 사회정서적 효과가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튜티의 경우 학습과제 유형에 따라 사회정서적 효과, 학업성취 효과, 학습동기 효과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튜티의 학업성취 효과와 학습동기 효과가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시 효과성과 만족도를 위하여 보다 적절한 관리와 개입이 필요하며 튜터와 튜티에 따른 전략적 접근과 극대화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tutoring program of the university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experience,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tudent tutor and tutee on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20 to 23, 2020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utoring program for the second semester of 2019 at a ‘A’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tutoring program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tutoring task type. Second, in the case of student tutors, 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effect was highly recogniz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utoring participating, and the social and emotional effects of tutors had a high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in the case of tute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emotional effects, academic achievement effects, and learning motiv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ing task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utee s academic achievement effect and learning motivation effect had a high impact on satisfac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more appropriate management and intervention are needed for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when operating a university tutoring program, and that a strategic approach and maximization plan according to tutors and tutees are needed.

      • KCI등재후보

        말하기 중심 수업에서의 동료튜터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오픈 튜터링(Open Tutoring)’을 통한 학습모둠 성찰과정을 중심으로

        박현이(Park, Hyun-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1

        현재 각 대학별로 교양교육원이나 글쓰기센터를 중심으로 튜터링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반해, 말하기에 중점을 둔 튜터링 프로그램은 찾아보기 어렵고, 이에 관한 사례 연구 또한 드물다. 본 논문의 목적은 ‘토론’에 기초한 말하기 중심 수업에서의 동료튜터링 사례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튜터링을 활용한 말하기,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학습활동에 있어 적절한 기술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현재 목원대학교 교양교과목인 <토론과 글쓰기> 수업에서 시행되고 있는 토론튜터제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고, 튜터링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고안하였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먼저, 튜터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토론튜터제 현황과 튜터의 역할, ‘토론 전-토론 중-토론 후’에 해당하는 토론 절차에 따른 활동내용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현재 튜터링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이에 보다 내실을 기하고, 효과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의 하나로서 ‘오픈 튜터링’에 기초한 ‘튜터링 보고서’ 작성 강화와 학습모둠 내에서의 공개를 통한 튜티와의 공유, ‘튜터링 성찰일지’의 적극적 도입과 활용을 제안해 보았다. 튜터제나 튜터링 프로그램은 학습튜티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학력 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 요구조건에 부합해야 한다는 점에 동의하는 바이다. 그러나 이에 앞서 튜터와 튜터링의 본질적 의미는 ‘튜터-튜티’간, ‘튜티-튜티’ 간에 개입하여 적극적인 촉진자로서, 사회적 관계 조직자로서의 성실한 역할 수행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튜터 스스로의 인지활동에 해당하는 자신의 튜터링 과정과 활동 전반에 관한 의식적 모니터링 활동과 점검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가 튜터들의 교육 및 모니터링 활동, 튜터의 질적인 성장에 내실을 기하기 위한 하나의 적절한 방안으로 기능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olve the problem that happens in applying to tutoring system and tutoring program in speaking based lesson. With This, this paper seeks specific activating way about peer tutoring. In this study in 2 chapter, I considerate debate tutoring system’s current state, role and major activity content that take effect in subject courses <Debate and Writing> in Mokwon University. Tutoring system or tutoring program’s effects is to improve students schoolworks and satisfy real requirements to prevent their academic loss. However, tutoring system or tutoring program has effects and meaning like this. First, tutoring as a faithful assistant is able to contribute to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atmosphere. Consequently, It brings a better learning effect. Second, tutoring as a active facilitator can help mutual communication and opinion coordination between ‘learner-learner’ and ‘professor-learner’. As a result, It makes lesson’s flows smoothly. Third, tutor as a social relationship organizer is able to resolve conflict and dispute in learning group. As a result, tutor can contribute to enriching emotional connectedness among learners and to hardening teamwork among them. In 3 chapter, I suggest strengthening ‘tutoring report’ writing and utilizing actively ‘tutoring-reflection diary’ as a way for internal stability of present tutoring. In 3 chapter, I consider practical application and practical case in classroom by programs showed on 2 chapter. It is practiced based on ‘group processing’ as a part of cooperative learning. ‘Group processing’ is that members who make a group is to examine and structuralize group activity. It is for performing their goals effectively. In the process, tutor’s monitoring and feedback and reflection about tutoring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nfluences on strengthening tutor’s ability and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utor’s educational growth. I will expect that a study on this paper will be a proper way for insure substantiality in tutor’s qualitative development.

      • KCI등재

        The Effects of a College English Tutoring Program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Kim Hyek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필수 교양영어 교과목 수업 내용과 연계한 영어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터와 튜티들의 만족도와 튜티들의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H 대학의 2018학년도 영어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튜터 68명과 튜티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고, 최종적으로는 튜터 59명과 튜티 154명의 설문지로 결과를 확인하였다.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 자료를 분석한 결과, 5점 만점 척도에서 튜티의 만족도가 4.27점, 그리고 튜터의 만족도가 3.97점으로 영어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비교적 높게 나왔다. 튜터의 경우에는 교수방법의 습득, 재정적인 도움, 리더십의 향상의 순으로 만족도를 보여주었고, 튜티의 경우에는 학습동기의 향상, 유대감 증진, 영어 학습능력의 향상의 순으로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튜티의 학업성취도 확인을 위해 교양영어 교과목 담당 교수 4인과 영어영문학과 교수 1인에 의해 출제 및 검토된 50문항의 사전, 사후 시험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2018학년도에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164명의 튜티들 중에서 77퍼센트가 넘는 127명의 학생들이 성적 향상을 보였고, 40점 이상의 큰 향상도를 보인 학생들도 34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대학 신입생들의 기초학력 부진 및 학업수준의 차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함으로써 영어와 같은 기초학문 교과목과 연계한 튜터링 프로그램의 지원과 운영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peer tutoring program for a required English class at a liberal arts college by focusing on the satisfaction of tutors and tutee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68 tutors and 164 tute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uring the 2018 academic year at H university. Survey results of 59 tutors and 154 tutees were analyzed. Analysis show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for the tutor program was relatively high, with the tutees satisfaction being at 4.27 and the tutors satisfaction being at 3.97 on a five-point scale. In the case of tutors, satisfaction was shown in the order of acquisition of teaching methods, financial help, and improvement of leadership. In the case of tutees, satisfaction was shown in the order of improvement of learning motivation, promotion of bonding, and improvement of English learning proficiency. Both pre- and post-examination results were analyzed to check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utees. Of 164 tutees, 127 (more than 77%), were found to have improved their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level, with 34 students showing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40 poi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pport and operation of tutoring programs linked to basic academic subjects such as English, by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a peer tutoring program in addressing the different academic levels among freshmen in most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자기소개서 작성 시 튜터링의 역할과 효과

        김신정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5 리터러시 연구 Vol.- No.11

        이 글은 서강글쓰기센터에서 행해지는 자소서 튜터링 과정을 공개하여 대학생 자소서 지도 방안의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소서는 글쓰기센터에, WAC(교과기반 글쓰기)프로그램을 시행하는 수업 과제로서 신청되거나 장학금, 취업 및 대학원 진학 등 글쓴이의 개인적 목적에 의해 신청된다. 튜터링 시, WAC 과제인 경우와 일반 글인 경우 글에 대한 튜터의 질문이 약간 다를 수 있다. 글쓰기센터의 튜터는 글에 대한 ‘평가자’가 아닌 ‘조력자’로서 튜터링을 하지만, 자소서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는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경우도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 글의 목적과 독자, 대상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것들을 튜티에게 확인시키는 작업이다. 자소서 튜터링은 튜터의 ‘질문하기’와 튜티의 ‘응답하기’를 통해 답을 찾아나감으로써 튜티가 주체적으로 글에 접근하도록 유도한다. 튜터는 ‘대화’를 통해 튜티의 경험을 끌어내고, 튜티의 글에 대해 ‘독자’의 입장에서 느낀 바를 이야기해줄 수 있다. 글쓰기센터의 튜터링을 통해 튜티는 자신 만의 강점을 찾고 이를 효과적으로 살리는 전략을 짤 수 있으며 수차례의 튜터링을 통해 개별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대화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경험의 나열과 선별’, ‘경험의 해석과 의미화’ 이다. This paper aims to articulate effective tutoring methods as well as ways to become an efficient, helpful tutor. Although cover letters are written for practical purposes, it requires the writer to first undergo self examination and self-exploring. Therefore, the writer has to be well informed of requirements and format of the position he is applying. Then, he has to perform a series of self-questionings involving personal experiences, accomplishments and failures, and his life path hitherto. Finally, he will be able to select the most relevant experiences for the job and give a specific meaning to those. Tutors in writing center can help tutees undertake and complete this task. Tutor can ask about tutee’s experiment concretely and that process(asking-answering) make writer finish writing. By not proofreading, but by drawing idea from within.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over letter writing is to make personal narrative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after tutoring. As Tutees think about their life-story and can make story-telling for tutoring, tutors collaborate with tutees’ writing process by asking specific questions. Tutors in writing center have shared this tutoring methods among them to propose a better tutoring strategy for cover letter writing.

      • KCI등재

        대학 신입생 대상 온라인 동료 튜터링에 참여한 튜티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박가영(Park, Ga Young),이정민(Lee, Jeo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온라인 동료 튜터링에서 튜티의 경험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온라인 튜터링 운영 방안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2020학년도 2학기에 서울 소재 A대학 온라인 실시간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1학년 튜티 11명을 대상으로 튜터링 만족도, 실재감, 동기, 도움되었던 점 등을 중심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reswell의 질적 자료 분석 6단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및 인터뷰 전사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고 코딩 및 범주화를 진행하였다. 범주화된 자료는 교육공학과 교수 1인과 석박사과정 2인의 검토를 통해 최종 수정 및 타당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튜터링의 동기, 튜터링의 어려움, 튜터링의 이점, 기대와 현실의 간극, 튜터링의 개선방안의 다섯 개의 큰 주제로 분석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튜티들은 학업 및 학교 생활 적응을 위해 튜터링에 참여했으며, 실제로 온라인 튜터링을 통해 유대감 및 만족감을 느끼는 경험을 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장기화된 코로나 19 상황과 온라인에서의 기술적⋅행정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온라인 튜터링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대체적으로 튜터링으로 인해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을 받았다고 기술하였다. 넷째, 질의응답 형식, 대면 모임 등의 튜터링 운영 방안을 기대했으나, 코로나 19 상황으로 인해 기대와 다른 경우가 있었다. 다섯째, 튜터링에서 느낀 어려움과 기대와 현실의 간극을 바탕으로, 튜터 가이드라인을 비롯한 기술적⋅행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입생의 학업 및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온라인 실시간 동료 튜터링의 이론적, 실제적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utee’s experience in the course of online synchronous peer tutoring and to present the effective way to manage online synchronous tutoring.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freshmen who participated in 2020 online synchronous peer tutoring programs organized by Institute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11 students took same major, and received their opinion about tutoring satisfaction, presence, motivation, advantage. In this study, Creswell’s six-step qualitative data analysis was us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rigor of the entire proces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ve, from coding to categorization. Categorized materials were finally edited and validated by the professor and 2 graduate students. Results Through this study, we could grasp the motivation, difficulty, advantage, gap between expectation and real, improvement of online synchronous peer tutoring. Second, tutees were participated peer tutoring for academical reason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and they can experience bond and satisfaction. Third, tutees were struggled with the pandemic situation and technological⋅administrative problems, but the peer tutoring was helpful in general. Fourth, tutees expected to operate tutoring such as Q&A format and face-to-face meetings, but there were cases where it was different from expectations due to the COVID 19 situation. Fifth,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improvements, including tutor guidelin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difficulties, expectations, and gaps in reality felt in tutoring. Conclusions In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conten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thods for online peer tutoring conducted in university were examined and mentioned necessity of the helpful online synchronous peer tutoring for freshmen.

      • KCI등재

        대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따른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은준,김태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effects of the tutoring program after finding the existence of subgroups by learning styles among participant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by the four dimensions of Felder and Silverman’s learning tyles-perception, input, processing, and understanding of information-four different subgroups were found. In general, the degree of tutee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was high and the active learners’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groups of tutees classified by learning styles. In addition, they evaluated more positively the effects of the tutoring program than others did. In the case of tutors, their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was moderat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ubgroups in terms of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analyses of the effects of the tutoring program explaining the degrees of satisfaction suggested that significant effects related to satisfaction were different by the subgroups of learning styles among both tutees and tutors. 이 연구는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 사이에 존재하는 학습양식에 따라 분류되는 군집을 밝혀내고, 그 군집에 따라 나타나는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우선,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을 정보인식, 정보입력, 정보처리, 정보이해의 학습양식의 차원에 따라 분류한 결과, 4개의 서로 다른 양식의 군집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튜티 학생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활동적 정보처리의 성향이 두드러진 특정군집의 학생들에게서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도가 발견되었다. 이들은 여러 가지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서도 다른 집단보다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튜터 학생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중상 정도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평가에서도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튜티 학생들과 튜터 학생들 모두에게서, 만족도와 관련 있는 유의미한 효과가 군집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 KCI등재

        화상교육을 활용한 한국어 튜터링 사례 연구

        서진숙,방성원 이중언어학회 2019 이중언어학 Vol.74 No.-

        이 연구는 온라인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생들이 학기가 끝난 이후에도 한국어 사용의 단절 없이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일대일 튜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티와 튜터의 인식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정규 교육과정 외의 한국어 학습자 대상 실시간 화상 한국어 튜터링 프로그램이 튜티들에게 학습 만족도 향상, 한국어 학습 동기 유지, 학습 전략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예비 한국어 교원의 튜터링은 초급 학습자에게 ‘선생님이자 친구’의 안정감을 제공하며, 튜터에게도 실제적인 한국어 교육 경험을 제공하여 상호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의 한국어 성적 기준으로 볼 때 상위 그룹의 만족도가 하위 그룹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튜터링 프로그램 설계와 관련하여, 튜티의 한국어 성적 및 학습 태도의 적극성을 고려하여 튜터링 프로그램 설계를 달리하는 방안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비 한국어 교원인 튜터를 위해 튜터링 학습 자료 준비 및 활용 방법 등을 추가한 절차의 보완이 필요함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one-to-one tutoring program and apply it to the field so that students studying Korean online can continue their studies without interruption of Korean language use after the end of the seme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s of tutees and tutors participating in the tutoring program.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real - time Korean language tutoring program for Korean learners, outside of the regular curriculum, effectively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maintained Korean learning motivation, and increased interest in learning strategies. The tutoring of the preliminary Korean teachers provided the sense of stability of ‘teacher and friend’ to the beginner learners, and it provided the tutor with real Korean education experience and showed high mutual satisfaction. Also, in regards to the learner’s Korean language grade,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uppe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group.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different ways to design a tutoring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tutees’ Korean language grades and positive drive on their learning attitud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rocedures for preparation and use of tutoring materials for the tutor, a prospective Korean teacher.

      • KCI등재

        대학 교수학습개발원 주관 동료 튜터링에서의 튜티 경험에 대한 탐색

        정한호 ( Jeong Han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 튜터링 수행과정에서 겪는 튜티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대일 동료 튜터링에 참여하는 튜티의 목적, 어려움, 변화, 성과, 지원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C대학 교수학습개발원에서 주관한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티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주간 활동보고서 제출자(25명)’, ‘면담 참여지(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학업 측면에 중점을 두고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튜터와의 시간 및 장소 선정, 어색함, 교과목 및 수업 내용, 활동 보고서 작성 등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튜터로부터의 배움, 학습시간의 증가, 적극적인 수업참여와 같은 기존의 대학 생활에서 경험하지 못한 변화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동료 튜터링을 통해 학업성취도 신장, 공유역량 강화 등 소정의 성과를 얻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동료 튜터링은 예비역 학생, 장애 학우, 외국인, 탈북학생 등 학습취약 계층의 학업성취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동료 튜터링의 수행과정에서 유발되는 튜티로서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료 튜터링 수행과정, 교과목, 민원처리 등과 관련된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대학에서의 동료 튜터링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이론적, 실천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utee's purpose, difficulty, change, performance, and support plan based on tutee's experience in the course of one-to-one peer tutoring.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toupees who participated in peer tutoring programs organized by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C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Specifically, the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25 students who submitted a weekly activity report 'and' 3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 who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found to participate in one-on-one peer tutoring programs with an emphasis on their academic area. Second,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found to have difficulties in selecting time and place with their tutors, awkwardness, subject and lecture content, and writing an activity report. Third, the tutee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experience changes not experienced in the existing college life, such as learning from tutors, increased learning time, and active class participation. Four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recognize that they had earned certain achievements through peer tutoring, such as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and strengthening shared competency. In addition, peer tutoring has been shown to suppor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ducationally underprivileged students, such as military reserve forc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eigners, and North Korean defectors. Fifth,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s related to processes and procedures, subjects, and handling of complaints that can minimize difficulties faced by students during peer tutoring.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findings described above, we present a desirable direction for activating peer tutoring at the university i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 KCI등재

        대학의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튜터링의 교육적 효과

        이효숙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5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effect of a tutor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writing.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A+Report Tutoring” program, a non-curricular program that has been operating since 2017 at K University, a four-year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the province, was revealed. This program trained tutors to teach new students (tutees) who are inexperienced in writing reports the competence of report writing. The most important feature is mutual growth between the tutors by adopting the peer tutoring method. The tutoring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in parallel with the actual tutoring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tutor and the homogeneity of the tutoring in the design process. In the 10-week program, basic grammar of writing, characteristics of academic writing, and mock tutoring were covered. Tutor maintenance education is conducted every semester for students who are working as tutors to provide uniform tutoring. It was found that students’ self-efficacy in academic writing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is program. Among them, confidence in procedural knowledge required for academic writing, such as citation and commentary, rose the most. On the other hand, items on the accuracy of sentences showed the lowest rise. Tutoring had a great influence on tutors as well; they were able to achieve self-growth by repeating the process of objectifying and reviewing texts through continuous tutoring.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튜터링 프로그램이 학술적 글쓰기 향상에 미친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지방 소재 4년제 사립대학인 K대학에서 2017년부터 운영하는 글쓰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인 “A+리포트 튜터링” 프로그램의 목적과 의의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훈련된 튜터가 리포트 작성에 미숙한 신입생(튜티)에게 리포트 작성의 노하우를 알려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료 튜터링방식을 택함으로써 튜터와 튜티의 상호 성장을 꾀한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튜터링 설계과정에서 튜터의 전문성과 튜터링의 균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제 튜터링과 함께 튜터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하였다. 10주간의 튜터 양성교육에서는 글쓰기 기초 문법, 학술적 글쓰기의 특징, 모의 튜터링을 다루었다. 튜터로 활동하고 있는학생들을 대상으로 튜터 보수교육을 학기마다 실시하여 균질한 튜터링을 제공할 수있게 하였다. 튜터링 운영 결과 튜티들은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인용과 주석 등, 학술적 글쓰기에서 요구되는 절차적지식에 대한 자신감이 가장 높이 상승하였다. 반면 문장의 정확성에 대한 문항은 상승폭이 가장 저조했다. 튜터링은 튜터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튜터는 지속적인 튜터링을 통해 글을 객관화하고 검토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자기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것으로 파악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