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력(Sense of Coherence)과 자살생각, 사회적 지지의 연관성 연구

        김지연,김창엽 한국보건사회학회 2014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thought and Sense ofCoherence (SOC) and to identify social support as GeneralResistant Resources (GRRs) for improving SOC. For the study, Seoul WelfarePanel Study (SWPS, 2010) was analyzed and final sample is consists of 2,357individuals aged 18 and over. This study consisted of two parts. First is to verifythat SOC has an impact on suicidal thought, even though social structural·psychological factors(sex, age, marital stat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nddepression) were controlled. Second is to examine whether social support(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increasing SOC as GRRS. For this analysis,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waslastly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 has on great positiveeffects on decreasing suicidal thought; moreover SOC can decrease impacts ofdepression on suicidal though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comparatively highlevel of social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are the factors for promoting SOC.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might be done that GRRS, such as socialsupport should be developed as policy because SOC is necessary to reducesuicidal as well as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Antonovsky의 건강생성이론에 따라 자살생각과 통합력의 연관성의 검증하고통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반적 저항자원으로서 사회적 지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0년 서울시 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였고,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최종 대상자수는 2,357명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은 두 부분으로 나눠지는 데, 첫 번째는 인구・사회・심리적 요인(성별,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소득수준, 우울 정도)을 통제하고도 통합력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고, 두 번째는 일반적 저항자원으로서 사회적 지지(지각된 사회적 지지, 사회참여)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최종적으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력은 인구・사회・심리적 요인을 통제하였음에도 불구하고여전히 자살생각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력은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줄이는 완충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비교적 높은 수준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수준이 통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면 자살생각은 물론 우울증을 줄이기 위해 통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통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지지와 같은 일반적 저항자원의 개발에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건강증진을 위한 구조모형 구축: 건강생성이론을 기반으로

        공태명 ( Kong Tae Myoung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6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Antonovsky(1987)의 “건강생성이론”을 중심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AMOS 프로그램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경찰공무원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통합력과 사회적 지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통합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비교대근무자일수록 더 좋은 건강행동을 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높은 통합력과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는 것, 그리고 많은 건강행동이 좋은 건강상태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고(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여러 가지 요인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소진이나 탈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경찰공무원의 교대근무 및 야간근무 등 건강관련 직무특성과 연관된 연구 또는 음주, 흡연 등 건강관련 행동과 관련된 연구도 일부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건강상태 증진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기 위하여 통합력이나 사회적지지, 건강관련 직무특성, 음주, 흡연, 신체활동 및 식행동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Antonovsky(1987)의 “건강생성이론”을 중심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AMOS 프로그램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경찰공무원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통합력과 사회적 지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통합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비교대근무자일수록 더 좋은 건강행동을 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높은 통합력과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는 것, 그리고 많은 건강행동이 좋은 건강상태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고(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여러 가지 요인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소진이나 탈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경찰공무원의 교대근무 및 야간근무 등 건강관련 직무특성과 연관된 연구 또는 음주, 흡연 등 건강관련 행동과 관련된 연구도 일부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건강상태 증진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기 위하여 통합력이나 사회적지지, 건강관련 직무특성, 음주, 흡연, 신체활동 및 식행동 등 건강관련 행동, 직무스트레스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을 구조모형을 통해 통합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stablished and verified a structural model focusing on Antonovsky(1987)'s Theory of Salutogenesis to promote the health of police officials. Through this,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status of police official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MOS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insight and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job stress. Second, the higher the insight and the better the non-shift workers, the better health behavior was foun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high insight, high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many health behaviors lead to good health. So far,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various factors that cause stress(such as burn-out or exhaustion of stres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tc.), some studies related to health-related job characteristics such as shift work and night work.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grated various factors such as health-related behavior and job stress such as integration, social support, health-related job characteristics, drinking, smoking, physical activity and eating behavior, etc. through a structural model.

      • KCI등재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인성교육을 위한 `건강생성론`과 그 적용 -안토노브스키의 `통합력(Sense of Coherence)`을 중심으로-

        최정화 ( Choi Jeong-hwa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4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인성교육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찾으며 본고에서는 아론안토노브스키가 창안한 `건강생성론(Salutogenesis)`에 주목한다. 건강생성론은 심신 건강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여 건강을 증진시키는 요소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인다. 대학생들이 받는 스트레스 상황과 인생 문제와 관련하여 일반적 내성자원과 강한 `통합력(Sense of Coherence)`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통합력은 이해력, 관리력, 의미부여의 세 가지 측면으로 이루어진다. 강한 통합력을 지닌 사람은, 약한 통합력과 고착화된 통합력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서 자신이 가진 다양한 내성자원을 사용하여 당면한 문제를 자율적으로 해결한다. 대학생들은 스트레스 직면 상황에서 빈곤한 내성자원에 대하여 불안감을 느끼고, 그들이 처한 다양한 현실에 대해서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느낌을 가진다. 강한 통합력을 가진 사람은 문제를 해결한 후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그로 인해서 강인한 존재감과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차후의 문제에 직면하여 더 잘 해결하게 되는 선순환을 경험한다. 대학생들의 인성과 정신건강을 위하여 다양하고 구체적인 일반적 내성자원을 기르고 스트레스, 그리고 보다 큰 인생의 문제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것이 권장된다. 교육자와의 긍정적 피드백 과정을 거치며 대학생들은 당면한 문제점을 직시하고 각자가 지닌 건강을 증진하는 요소와 강점들을 발견하게 된다. In order to develop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and moral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this article explores Aaron Antonovsky`s concept of `Sense of Coherence (SoC).` Antonovsky`s salutogenetic approach offers a new paradigm of mental and physical health inasmuch as it is focused on the various elements that are at play in the maintenance of a healthy state of being. The stress and manifold challenges which college students are confronted with in their lives can be overcome by means of what Antonovsky termed `Generalized Resistance Resources (GRR)` and a strong `Sense of Coherence.` The `Sense of Coherence` consists of three elements, which are 1) comprehensibility, 2) manageability and 3) meaningfulness. Having a strong SoC is shown to enable a person to use and apply his or her Generalized Resistance Resources (GRR) much more efficiently compared with persons possessing only a weak or damaged SoC. College students in stressful situations generally feel more anxious as they have fewer GRR and therefore often feel that they are more or less in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s that manifest themselves in these stressful situations. But those with a strong SoC can build up a stable personal identity and self-esteem through positive feedback, which is why in the next challenging situation they have to face they are better equipped with the power to overcome it and can make the experience of entering into a health-bolstering upward spiral. This article`s intention is to provide college students with advice on how to acquire various and concrete GRR and how to promote their personality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in order to overcome the ever tightening grip of stress and to become able to solve greater life challenges autonomously. Thus the students themselves will find health-maintaining - that is `salutogenetic` - life elements and personal strength in the actual process of solving problems.

      • KCI등재

        독거노인의 디지털정보 활용 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및 통합력의 조절효과

        백옥미(OkMi Bai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이 연구는 독거노인의 디지털정보 활용 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아울러 통합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2차 자료를 활용, 477명을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독거노인의 디지털정보 활용 수준과 삶의 질은 관련이 있었으며 통합력 역시 삶의 질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디지털정보 활용 수준과 통합력은 삶의질에 대한 영향에 있어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에 있어 디지털정보 활용수준및 통합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본 연구는 향후 독거노인 대상의 디지털 지원정책 수립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of seniors living alone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nse of coherence. For this purpose,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a nationwide survey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as used. Also,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477 peop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e and quality of life of seniors living alone were related, and that sense of coherence was also related to quality of life. However, moderating effect of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e and sense of coherence did not appear in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This study, which confirmed the impact of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e and sense of coherence on the quality of life for seniors living alone,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digital support policies for seniors living alone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자살에 대한 통합력 이론의 접근 : 유서내용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지연 ( Kim¸ Ji-youn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7 영어권문화연구 Vol.10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ception of themselves and their subjective circumstance of those who commit suicide, rather than to list the causes of suicide, and to identify the level of Sense of Coherence (SOC) and General Resistant Resources (GRRs) through applying Antonovsky’s SOC theory on the results of analyzing suicide notes, and to explain suicide pathway including the relationship of SOC and GRRs by analyzing each case. The data was suicide notes that collected by three police stations from 1997 to 2006, the number of those was 315, but final data was only 154 suicide notes which included introspection of those who commit suicide. This research utilized a deductive ‘‘top down’’ approach and in doing so it employed a theoretical thematic analysis. It took SOC theory and mapped it onto the data set. The thematic analysis revealed that SOC theory mapped effectively onto that data. The analysis also revealed comprehensibility matched “difficulty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 “psychological pain” and “no solutions”, and manageability matched “negative past orientation”, “loss of control” and “break of connectivity”, and meaningfulness matched “loss of life meaning” and “hopelessness”, which explained the level of SOC was extremely low. And those who commit suicide faced the complex situation, which lack many kinds of GRRs such as material resources, physical resources, social support, self-confidence and coping strategy. It gave those who commit suicide severe psychological pain, powerlessness and loss of life meaning. But even though they faced that stressful situation, they could response properly and healthily only if they had enough another core resources. The goal of prevention of suicide is to enhance SOC, which help to overcome the sufferings, to understand of life structure and to restore their life. For this goal, it needs to be improved the level of GRRs and developed various resources to cope with problematic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남남갈등의 기원과 해소방안 모색

        박찬석 통일교육학회 2019 통일교육연구 Vol.16 No.1

        South-South conflict was caused by the division of Korea. Division of Korea has occurred, after extinction of Chosun Dynasty, on conditioned that absence of the subjectivity. The conflict between USA and USSR has reinforced the division of Korea. On conditioning, For overcoming the division of Korea, we have to recognize the problem of division, to exert integrating the society through civil society. Now, It is essential that Koreans more efforts and wisdom for unification. Korean people have to exert for easing the South-South conflict and reconciliating on the conflict on ideology. These new and recognition were to emphasize for conciliation between ours.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education that develops the peace capabilities necessary to pursue peaceful coexistence of the two Koreas and realize gradual reunification, especially, South-South conflict.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a way that understands the various conflict Korean society. We need to recognize that we have experience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nd recognize that we are pursuing peaceful relations. We should develop our ability to seek unification gradually through a peaceful process.

      • KCI등재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분석

        이혜경,김선희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20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3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model that describes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and to verify the goodness of fitness of the model.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483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Results: The modified model showed a reasonable fitness to the data.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sense of coherence and depression accounted for 78% of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can be improved by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level, and by increasing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sense of coherence. Depression can also be managed by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by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nd sense of coh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r to decrease depression in working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