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구이주민들 : 영락교회에서 보편적 공동체를 창출하기 위한 다양성의 수용

        하충엽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3 선교와 신학 Vol.32 No.-

        이 논문은 서울 영락장로교회에서 보편 공동체를 건설하려는 월남 기독교인과 북한이탈 기독교인들의 시도를 연구한다 . 두 공동체는 같은 북한지역에서 왔으나, 월남 기독교인들은 한국전쟁의 휴전 전까지 남한으로 월남을 했고, 북한이탈 기독교인들은 1998년부터 한국 입국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으며, 탈북 과정에서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도 있고 입 국해서 그리스도인들이 된 사람들도 있다. 북한이탈 주민들이 1998년부터 한국교회 안에서 신앙생활을 하는 숫자가 증 가하면서 한국교회 그리스도인들과 만남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두 공동체들이 남한으로 이주한 시기의 차이는 반 세기 이상이 된다. 월남 기독교인들은 월남 전부터 지금까지 깊게 뿌리내린 반공이념에의해 사회화되어 왔다. 반대로, 최근 북한이탈 기독 교인들은 북한을 떠나기 전에 주체사상에 의해서 사회화되어 왔다. 즉 서로 다른 정체성을 지닌두 공동체가 서로에 대 한 이해가 부족한 가운데 단순히 동포라는 인식만가지고 교회 안에서 만나기 시작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처음 만남과 는 달리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 너무 다른 모습을 발견하게 되고 서로를 존중하고 상호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 다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이것은교회 안에서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이 쉽지 않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것은 통일 후에 경험하게 될 상황을 미리 경험한다는 데서 통일 전에깊은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고 하겠다. 사실, 두 집단의 구성원들은 교회에서 서로를 만날 때까지 그들 사이의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했다. 그들은 같은 동포이 기 때문에 함께 만나면 잃어버린 민족 정체성을 쉽게 회복하고 통일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었다. 그러 나 서로 다른 환경에서 반세기 이상 살았던 두 공동체는 서로 사회화된 외형인식과 언어와 행동양식의 상징들에 대한 해석이 다름으로 인해서 심각한 오해와 실망과 긴장을 야기했다. 결과적으로 서로간에 배타의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본 논문을 통해 어떻게 하면 두 공동체가 서로의 다른 정체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조화로운 공동체를 형성할수 있는가 에 대한 연구가 제기되었다. 본 논문은 제기된 연구 주제를 영락교회 안에서 두 공동체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박사학위 논문 중에서 일부를 재편집하여 논문의핵심을 이해하도록 한 것이기에 논의의 많은 내용 은 지면상 다루지 못했음을 밝힌다. 본 논문은 두 공동체가 각각 반공사상과 주체사상으로 사회화된 시작과 과정, 그리 고 그것이 민족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와두 공동체가 서로 교회에서 만났을 때 어떤 배타현상이 나타났는가 를 사회인류학적 접근을 통해서 밝힌다. 그리고 이어서 서로 다르게 형성된 민족정체성을 갖게 된 공동체들이 서로를 존중하는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가를 신학적 접근으로 다룬다. 결론적으로 두 공동체가 통일 공동체로 곧바로 가는 것이 아니라 중간 단계로 통이(統異) 공동체의 과정을 통해서 통일(統一) 공동체의 형성으로 가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attempts of the Christian Wolnammin and Christian North Korean refugees to construct a catholic community within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Seoul. Both groups come from the same region in the Northern territory, yet have different identities based on the fact that their exodus to South Korea took place during different periods of the last half century. Both before and since their arrival in South Korea around 60 years ago, Christian Wolnammin were socialized in the context of a deep-rooted anti-Communist ideology. In sharp contrast, recent Christian North Korean refugees were socialized by Juche (self-reliance) ideology (the official government ideology of North Korea) prior to leaving North Korea in the last decade. The contrasting ideologies cause tension and even hostility between the groups in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posing significant difficulties for creating a space for mutual fellowship and respect. Members of the two groups did not perceive the extent of differences between them until they met each other in the church. Prior to coming together, both communities desired unification, including the sharing of what they assumed was an ethnically homogeneous identity. The serious misinterpretation of symbols and behaviour patterns caused disappointment and tension. Consequently, examples of exclusion began to emerge in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with at least some Christian North Korean refugees wanting to return home. The present study is a response to their difficulties. It locates, describes and analysis the conflicts, reflects on the place of ideology in Christian practice evident in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and outlines a route towards a practical and prophetic resolution based on the theological concept of reconciliation and embrace.

      • KCI등재

        통일 한국의 교육 구상과 역사교육의 방향 모색

        이명희(Myung-hee Lee),김봉석(Bong-seok K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4

        본 연구는 장차 통일이 현실화 될 때를 대비하여 어떤 교육을 준비하고, 그 속에서 역사교육은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최근 한반도 내외의 통일 환경이 상당부분 호전되었다. 이제 통일이 갑자기 실현될 수도 있게 되었다. 이때를 대비하여 통일 한국의 교육 이념과 체제를 구상하여 제시하였다. 더불어 국민통합에 기여하는 교과로서 통일 한국이 지향해야 할 역사교육의 방향을 함께 모색하였다. 즉, 통일 한국의 구체적인 미래상을 위해 교육이념과 체제, 역사교육의 방향이라는 범위에서 고찰하였다. 통일은 북한뿐만 아니라 남한 내부에서의 변화와 혁신도 함께 추진되는 ‘통일혁명’의 과정이어야 하고, 이를 통해 통일 한국의 국민통합이 실현되어야 한다. 남북한 교육통합은 북한의 교육체제 전환과 대한민국 교육의 대개혁을 함께 하는 과도기적 이행기를 거쳐 새로운 교육체제의 수립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일 한국의 교육이념은 한민족뿐만 아니라 세계인도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가치체계로서 재확립되고, 구성원 대다수의 합의와 지지가 뒤따라야 한다. 역사교육은 통일 한국의 국민통합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따라서 통일 후 역사교육은 남북한 통합과정에서 이질성 문제를 해결하고, 통일 한국의 국가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어야 한다. 남북한의 현대사를 직시하여 학생들이 남북한 현대사의 공과에 대해서도 분명하게 인식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이때 남과 북의 동질성과 이질성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정립함으로써 차이를 인정하고 동질성을 찾아나가는 조화로운 태도가 요구된다. 이를 토대로 역사의 다시각성에 입각하여 다원적으로 역사를 이해하는 역사교육이 필요하다. 요컨대 통일 한국의 국민 통합을 위한 역사교육은 개방적이고 다원적인 사회 모습에 적합한 틀로 거듭나야 한다. Summary: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wareness of matters related to how we can prepare for and organize education when we face the era of unified Korea in the future. Latel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environment for our unification has proceeded considerably. Unification can be actualized all of a sudden. To cope with the era, this author has clearly conceptualized the system and ideals of education in unified Korea macroscopically. Along with that, this researcher has figured out the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that unified Korea should pursue as a subject that can contribute to national integration. In other words, this author has considered not only the system and ideals of education but also the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future aspects of unified Korea in detail. For unification, not only ‘unification revolution’ to realize alternation and innovation inside North and South Korea but also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be done altogether. For educational integr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it is needed to go through a transitional period to realize alteration in the educational system of North Korea as well as grand reformation of education in ROK in order to organize our educational system newly. After the unification, the ideals of education should be reestablished as a general value system and draw an agreement from the majority of our members. History education plays the most crucial roles in integrating people in unified Korea. Therefore, after the unifi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ntegrated history education in a new way so as to solve problems resulted from differences arising from the process of integrating South and North Korea. In unified Korea, it is needed to educate students desirably so that they can look straightly at the contemporary history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recognize the merits and demerits of contemporary history in South and North Korea correct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w insight to se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adopt harmonious attitudes to accept the differences and seek the similarities. Based on that, it is needed to provide history education to understand history pluralistically grounded on the multilaterality of history. Accordingly, to realize national integration in unified Korea, it is essential to provide history education about South and North Korea and also create a legitimate frame corresponding to the aspects of open as well as pluralistic society.

      • KCI등재

        한국 구전설화 <도통하러 떠난 세 사람>에 나타난 ‘돌(石) 삶기’ 화소의 의미 연구

        박시언 ( Park Si-e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7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구전설화 <도통하러 떠난 세 사람>을 대상으로 이야기의 중심 화소인 ‘돌(石)’과 ‘삶다’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야기의 주요한 화두인 ‘도통함’의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이야기는 일상적인 우리의 삶과 가까운 설정을 취하면서도 득도담의 ‘도통’에 관한 의미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야기에서 세 남자가 ‘위기 발생’의 순간에서 어떠한 선택을 하느냐가 도통에 성공하느냐, 혹은 실패하느냐로 이야기의 방향을 가르는 변수로 작용한다. 결국 이야기의 결말이 ‘성공/실패’의 양상으로 엇갈리게 되었다는 점을 통해 세 남자가 여자를 대하는 태도와 그 선택이 도통에 ‘성공하느냐, 실패하느냐’를 결정짓고 자신의 욕망을 어떻게 인식하고 받아들이는지가 관건으로 나타난다. 두 남자가 도통에 실패한 원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통하고자 하는 주체가 ‘돌 삶기’의 행위를 ‘경쟁’ 혹은 ‘시합’의 의미로 인식하게 되면 도통함에 실패하게 된다. ‘돌 삶기’ 화소는 사람의 자질을 평가하는 시험의 성격을 의미하면서도 절대적으로 그 사람의 물리적인 능력을 판별하는 것이 아니므로 여기서 ‘경쟁’의 마음이 끼어들어 도통에 실패한 것이다. 둘째, 두 남자에게 여성의 개입은 장애물로 작용한다. 설정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중요한 많은 것을 경계하고 멀리하듯이 여자를 멀리하는 것도 두 남자가 넘어가야 할 장애물과 같았다. 이런 두 남자의 모습으로 말미암아 자기마음을 인정하고 그 마음을 통해 자신을 더욱 발전시켜 나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 수 있다. 셋째, 두 남자는 좁은 가마솥 안에서도 자기가 설정한 ‘선(線)’을 깨지 못했다. 여기에서 ‘선’의 의미는 ‘집착과 아집’이라 할 수 있다. 자기중심의 좁은 생각에 집착하여 다른 사람의 의견과 입장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집착과 아집은 딱딱한 돌과 같은 이들의 경직된 자아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남자와 여자가 도통할 수 있었던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는 여자를 따라갔지만 그런데도 자기의 본래 신념을 잊어버리지 않았다. 초세속을 지향하는 마음가짐은 흐트러지지도 여자가 걸림돌이 되지도 않았다. 이러한 점을 통해 남자는 ‘유연한 자아’를 가진, 융통성이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남자는 ‘딱딱한 돌’의 노예가 되는 것이 아닌, 두 남자와 달리 모든 것을 구분 짓는 ‘선(線)’에 대하여 그 어떤 경계도 짓지 않았다. 즉 이야기에서 딱딱한 돌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돌의 모양과 속성을 변하게 한다는 것은 바로 인간 존재의 변화를 의미하는, ‘존재의 초월(超越)’과 맞닿아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결국, 이 이야기에서는 선(線)을 뛰어넘을 수 있는 사람이 삶에서 초월을 실현하는 존재로서 신선이 된다는 도가적인 의미를 구현하면서도 이러한 의미에는 자연과 세상의 이치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따라서 초월적 존재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신분과 상황, 그리고 처지를 뛰어넘어 관계와 존재의 구분과 경계를 짓지 않는 것이 핵심이 되었다. 이에 따라 이야기에서 ‘합심’의 진정한 의미는 ‘선’을 초월하는 것, 즉 경계가 없다는 것에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s of “stone” and “boil” in the term “boil stone” the central element and primary topic of the story by examining the traditional Korean folktale “Three People who Went to Spiritual Enlightenment.” This story closely focuses on the daily lives of the characters, and clearly denotes the meaning of spiritual enlightenment. In this story, the choices of three men at the outset of a crisis serves as an element that determines the story direction based on their subsequent success or failure. In the end, the ending of the story is divided into a “success/failure” aspect, and the key point is how the three men’s attitude toward women determines “success or failure” of spiritual enlightenment and how they perceive and accept their desires. If the cause of the failure of the two men’s spiritual enlightenment is sorted out, first, if the subject who wants to do so recognizes the act of “boiling a stone” as the meaning of “competition” or “match”, the spiritual enlightenment fails. The “boiling stone” motif means the nature of a test that evaluates a person’s qualities, but it does not determine a person’s physical ability absolutely, so if the mind of “competition” intervenes here, it fails spiritual enlightenment. Second, women’s involvement in two men acts as an obstacle. Staying away from women was like an obstacle for two men to cross, just as they were wary of and distancing from many important things to achieve their goals. These two men show how important it is to acknowledge one’s heart and develop oneself further through it. Third, the two men could not break each other's “line,” even in a narrow cauldron. The meaning of their “line” can be deemed “obsession and ego.” They are obsessed with narrow self-centered thoughts and do not consider the opinions and positions of other people. In addition, obsession and ego represents their rigid selves that are akin to hard stones. The actions that men and women can do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n followed the woman, but he did not forget about his original convictions. Therefore, his mindset regarding super-secularity was neither distracted, nor did the woman become an obstacle for him. This confirms that a man represents a flexible ego and person. Second, the man did not become a slave to a hard stone, and unlike the other two men, he did not set any boundaries regarding the “line” that separates everything. In other words, the story confirmed that the physical force applied to the hard stone to change the shape and properties of the stone is directly related to the “transcendence of existence”, meaning a change in human existence. In the end, this story embodies Taoism’s meaning that a person who can cross the line becomes a visionary as a person who realizes transcendence in life, hence it contains the full reason of nature and the world. Thus, the transformation of existence is beyond status, situation, and self-determination, and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boundaries of relationships and existence. Also, in this story, the true meaning of “united mind” lies in transcending “line” there is no boundary.

      • KCI등재

        『喪禮通載』의 禮學史적 位相

        장동우(Chang, Dongwoo)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4 泰東古典硏究 Vol.32 No.-

        Kim Jip(金集) and Song Si-Yeul(宋時烈), Park Se-Chae(朴世采) etc tells us that Garejipram(家禮輯覽)󰡕 and Sangrebiyo(喪禮備要) has its basis on the writings of Shin Eui kyung(申義慶) and was modified, added and completed. Shi Seul(申渫) has corrected and embellished Sangretongjae which is assumed to be written by Shin Eui-Kyung(申義慶). In the courtesy books and anthology of the 17th century, examples that cites the claims of Shin Eui-Kyung are found and those are, without any exceptions, cited in the Sangretongjae. It has been confirmed that Sangrebiyo(喪禮備要) has inherited and developed the works of Sangretongjae in terms of not only its contents but also for its formality. Based on such fact, it seems clear that the Sangretongjae that exists is the draft by Shin Eui-Kyung. 김집(金集)은 신의경(申義慶)이 편찬한 상례비요(喪禮備要)와 가례집람(家禮輯覽)에 대해 부친인 김장생(金長生)이 주석을 덧붙이고 내용을 증보하거나 산정한 책이 집안에 보관되어 있다는 기록을 남기고 있다. 박세채(朴世采)는 자신이 직접 본 상례통재라는 저술이 ‘상례비요의 초본과 일치하고, [가례집람]과 부합하는 부분이 많다’는 사실을 전하고 있다. 신설(申渫)은 현전(現傳)하는 [상례통재(喪禮通載)]의 발문에서 혹자의 말을 빌어 신의경(申義慶)이 지은 것일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기하지만, 두주(頭註)에는 신설이 신의경과 교유하면서 예에 관한 토론을 진행해 왔음을 보여주는 사실들이 기록되어 있다. [상례통재]의 초본에 대해 저술 작업에 맘먹을 정도의 수고를 아끼지 않았던 이유는 [상례통재]가 우인(友人) 신의경의 저술이라는 확신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17세기 예서(禮書) 및 문집(文集)에는 변례(變禮) 및 고증(考證)의 문제와 관련하여 신의경의 주장을 인용한 사례들이 발견되는데, 그것들은 하나의 예외도 없이 현전(現傳)하는 [상례통재]에 실려 있다. 이와 함께 [상례비요]는 의식(儀式)의 분류와 그에 필요한 준비물[具]이라는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물론,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고례(古禮)와 주자(朱子)의 정론(定論) 그 리고 시의(時宜)에 근거하여 [가례]를 보완하려 한 [상례통재]의 작업을 계승하여 진전시킨다. 그 과정에서 [상례비요]는 [가례]로부터 이탈한 것들을 조정하여 ‘[가례] 체제’ 안으로 수렴시킨다. 이 같은 사실에 근거하면, 현전(現傳)하는 상례통재는 국조오례의로부터 시작된 현지화의 문제의식에 고례(古禮)를 통한 보완이라는 성찰을 더하여 상례비요로 전달함으로써, ‘가례 체제 내에서 고례와 시의(時宜)를 통한 보완’이라는 조선 예학을 관류하는 문제의식을 각성시킨 저술이라는 위상을 가진다. 이는 [상례통재]가 15세기 후반 [국조오례의]를 통해 국가 공인의 행례 매뉴얼이 마련된이후 16세기 후반 [상례비요]로 총결되기까지, 그 사이에 존재하는 ‘한 세기의 공백기’를 메워줄 수 있는 현재로서는 가장 체계적이고 완정한 자료임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중장통(仲長統)「락지론(樂志論)」을 통해본 은사(隱士)의 삶

        조민환 ( Min Hwan Jo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5 No.-

        중국철학사의 큰 흐름을 보면 사회적 혼란함이 가중된 삼국시기에 이르면 道家사상은 점차 융성하게 된다. 曹魏시기의 명사들은 儒家와 道家를 겸하는 경향성이 나타나는데, 그 경향성은 위로는 漢末까지 올라간다. 그런 경향성을 보이는 학자 중 하나가 바로 仲長統이다. 仲長統은 建安초기에 黨錮의 화와 黃巾賊의 난을 눈으로 목격한다. 그런 상황에서 仲長統은 자신의 힘으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현실에 대해 붓을 들어 胸臆을 토로한다. 그는 超塵拔俗과 避世高蹈의 입장에서 樂志論을 쓴다. 仲長統이 지향한 삶은 맹자가 말하는 ‘人生三樂’까지는 아니더라도 儒家에서 지향하는 전형적인 삶과 즐거움을 담고 있다. 仲長統은 背山臨流의 공간에서 樂山樂水하면서 ‘詠而歸’ 를 실천하고자 한다. 이런 점에서 仲長統의 은일적 삶은 공간적 차원에서는 일정 정도 현실과 거리감을 두는 점이 있지만 일단 유가의 삶의 틀을 크게 벗어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은사가 누릴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 독서와 다양한 예술향유다. 仲長統이 「樂志論」을 통해 隱逸을 말하지만 궁벽한 산속에서 홀로 고고하게 사는 삶이 아니다. 유가적 관계망을 버리지 않으면서 ‘詠而歸’를 추구하고, 아울러 독서와 예술향유 등을 통해 우주와 합일되는 정신적 逍遙自適을 추구하는 삶이 동시에 어우러진 삶이다. 이같은 仲長統의「樂志論」에는 漢末士人들이 물질적으로 풍요하고 정신적으로 자유롭고자 하는 이상생활이 담겨 있다. Hermit culture, as an essential par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Generally speaking A person who withdraws from the world to live in seclusion and often in solitude. But Zhongchang Tong hold differing views. Zhongchang Tong was the progressive thinker, writer and the last representative of the trend of social criticism in late Eastern Han Dynasty. Late Eastern Han Dynasty was a very confused period for kinds of social contradictions and the state apparatus could not function smoothly. In this situation Zhongchang Tong is tired of the ways of the world and wants desperately to live the life of a hermit. Zhongchang Tong had to settle for expressing his idea by writing the Essay of Lezhi. People living in seclusion generally don``t like to ask about trivial things happening in society. Zhongchang Tong lives fronting water and with hill on the Back. He built his own hideaway where he could entertain his friends. He led a joyous and secluded life, playing with instruments, contented, happy, asking nothing better. He did not gain fame and position. He take off the super popular and hope free and unfettered. From now on he was going to please myself and let the world go hang. He hope live forever and eternal life period. He did not pursued into the imperial gate. This attitude has Lao Zhuang philosophy of life interest.

      • KCI등재

        독일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 권력엘리트의 구조 변화

        마르쿠스 폴만,이종희 한독사회과학회 2010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0 No.3

        독일 통일은 40년 동안 지속된 동독사회주의의 붕괴와 구동독지역의 정치, 경제, 법률 등 사회구조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독일 통일 후의 구동독지역의 체제변동은 엘리트구조의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동독지역의 사회구조 및 체제변화는 체제전환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할 수 있다. 통일 전 동독 엘리트 구조인 중앙집권적이며 위계적이고, 정치 이데올로기적으로는 동질적인 독점엘리트 구조는, 통일 후 다원주의적인 분야별 전문엘리트 구조로 변해가고 있다. 독일에서의 엘리트 연구는 통일 후 구동독 지역에서 엘리트의 변화가 ‘특이한 경로’를 걷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독일 통일 후 구동독 권력엘리트의 변화는 소련식 인민민주주의를 구현했던 다른 구동구권 국가들과는 다른 양상을 띄게 된다. ‘이데올로기적 엘리트(Ideologische Elite)’의 몰락은 동독지역에서 하루 아침에 일어나게 된다. 서독에서의 동독으로의 엘리트의 이동은 특히 행정, 법조계에서 크게 관찰되고 있다. 통일 이후 동독 엘리트의 구조변동으로는 첫째, 엘리트에 있어서 행위주체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교회를 중심으로 하는 저항 운동의 중심에서 정치적으로 선도적인 위치에 있었으며, 독일 통일과정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던 정치가들이 1995년 경에 정치권에서 물러나는 권력이동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공학계열 및 자연계 출신들의 등장을 꼽을 수 있다. 구서독 정치인들이 법조계나 교육계 출신들이 많은 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셋째, 수직적인 엘리트의 재생산을 꼽을 수 있다. 통일 전 엘리트 계층의 자녀들이 통일 후 대폭적으로 권력엘리트 계층을 형성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독일통일 이후 한국에서의 독일통일 및 독일 엘리트 연구에 일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일 이후 동독지역에서 관찰된 권력엘리트 변화를 심층적으로 조망하여 구동독지역 권력엘리트의 구조적인 특성을 분석한다.

      • KCI등재

        조선통폐지인(朝鮮通幣之印) 연구

        문상련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2 No.2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ency (國幣) article in 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the ChoSonT`ongPaeJiIn (朝鮮通幣之印) was a seal that was imprinted on both ends of a piece of hemp fabric (布). It was used for the circulation of hemp fabric as a fabric currency (布幣). The issued fabric currency was used as a currency for trade or as pecuniary means to have one's crime exempted or replace one's labor duty. The ChoSonT`ongPaeJiIn would be imprinted on a piece of hemp fabric (布) to collect one-twentieth of tax. The ChoSonT`ongPaeJiIn (朝鮮通幣之印) was one of the historical currencies and seal materials used during the early Chosun dynasty. Its imprint was a means of collecting taxes; hence, it was one of the taxation research materials. Despite its value, however, there has been no active research undertaken on it. Thus, the investigator conducted comprehensive research on it based on related content found in JeonRokTongGo (典錄通考), Dae'JeonHu-Sok'Rok (大典後續錄), JeongHeonSwaeRok (貞軒瑣錄) and other geography books (地理志) as well as the materials mentioned by researchers in previous studies. The investigator demonstrated that the ChoSonT`ongPaeJiI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concept of circulating Choson fabric notes (朝鮮布貨) with a seal on ChongOseungp`o (正五升布) in entreaty documents submitted in 1401 and that the fabric currency (布幣) with the imprint of the ChoSonT`ongPaeJiIn was used as a currency for trade, pecuniary or taxation means of having one's crime exempted, or replacing one's labor, and as a tool of revenue from ships. The use of ChoSonT`ongPaeJiIn continued even after a ban on fabric currencies (布幣) in March 1516 due to a policy on the "use of Joehwa (paper notes)" in 1515. It was still used as an official seal on local official documents in 1598.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英祖), it was used to make a military service (軍布) hemp fabric. Some records of 1779 indicate that it was used as a means of taxation for international trade. It is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330 ChoSonT`ongPaeJiIn were in circulation based on records in JeongHeonSwaeRok (貞軒瑣錄). Although there was the imprint of ChoSonT`ongPaeJiIn in An Inquiry on Choson Currency (朝鮮貨幣考) published in 1940, there had been no fabric currencies (布幣) with its imprint on them or genuine cases of the seal. It was recently found among the artifacts of Wongaksa Temple. The seal imprint was also found on historical manuscripts produced at the Jikjisa Temple in 1775. The investigator compared the seal imprints found on the historical manuscripts of the Jikjisa Temple, attached to TapJwaJongJeonGji (塔左從政志), and published in An Inquiry on Choson Currency with the ChoSonT`ongPaeJiIn housed at the Wongaksa Temple. It was found that these seal imprints were the same shape as the one at Wongaksa Temple. In addition, their overall form was the same as the one depicted in Daerokji (大麓誌) and LiJaeNanGo (頤齋亂藁).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ChoSonT`ongPaeJiIn at Wongaksa Temple was a seal made in the 15th century and is, therefore, an important artifact in the study of Choson's currency history, taxation, and seals. There is a need for future research examining its various aspects. 조선통폐지인은 『경국대전』 「국폐조(國幣條)」의 예에 따라, 1필 내지 반 필의 포(布) 양단에 찍은 인신(印信)으로 포를 포폐(布幣)로 유통키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때 발행된 포폐는 매매를 위한 화폐 내지, 죄를 면제받기 위한 수속(收贖)과 노역을 대신한 신공(身貢) 등의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포에 조선통폐지인을 찍어 그중 20분의 1의 세(稅)를 수납한 조세 용도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조선통폐지인은 조선 초 화폐사 및 인신(印信) 자료 중 하나이며, 조선통폐지인 압인(押印)이 조세 수단이었던 까닭에 조세제도 연구자료 중 하나임에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이전 연구자에 의해 언급된 자료뿐만이 아닌, 『전록통고』와 『대전후속록』, 『정헌쇄록』, 몇몇 지리지(地理志)에 등장하는 관련 내용을 바탕으로 포괄적인 연구를 행하였다. 조선 태종 1년(1401) 정5승포에 인(印)을 찍어 「조선포화」를 유통하자는 유관의 상소를 착안해 조선통폐지인이 제작된 것임을 말하였으며, 매매를 위한 화폐 내지 수속(收贖)과 신공(身貢), 조세 수단뿐만이 아닌, 선척의 화매가 용도로 조선통폐지인을 찍은 포폐가 사용되었음을 기술하였다. 또한 중종 10년(1515) 「저화행용절목」 방침에 따라 1516년 3월 이후 포폐 사용이 금지된 후에도 만력 26년(1598) 지방 공문서의 관인으로 조선통폐지인이 사용된 예와, 영조 당시 포보가포(砲保價布)라는 명칭으로 군포(軍布) 제작의 예로 사용되었으며, 1779년 기록을 통해 무역에 따른 납세 수단으로 조선통폐지인이 사용된 예가 있음을 서술하였다. 『정헌쇄록』 기록을 통해 대략 330여과의 조선통폐지인이 유통되었을 것이며, 1940년 간행된 『조선화폐고』에 조선통폐지인 인영(印影)이 실려 있음에도 조선통폐지인이 답인(踏印)된 포폐 내지 조선통폐지인 실물은 발견된 바가 없다. 그런데 최근 원각사 소장 유물 중 조선통폐지인이 발견되었으며, 1775년 작성된 직지사 소장 고문서에 압인(押印)된 조선통폐지인 인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이에 직지사 고문서 및 『탑좌종정지』에 첨부된 인영, 『조선화폐고』에 실린 인영과 원각사 소장 조선통폐지인을 비교해 보았던 바, 위 문서에 압인된 인영은 원각사 소장 조선통폐지인과 동일한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체적인 형태 역시 『대록지』 내지 『이재난고』에 묘사된 모습과 비견되는 형태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원각사 소장 조선통폐지인은 15세기에 주조된 인신(印信)의 실물로, 조선의 화폐사 및 조세제도와 인신(印信) 연구의 중요 유물로 추후 다양한 측면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통일 인식 제고와 미디어의 역할

        정영주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6 언론정보연구 Vol.53 No.1

        북한 및 통일 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 형성에 있어서 미디어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우리 사회 미디어가 생산하는 북한 및 통일 콘텐츠에 대한 평가는 그다지 긍정적이지 못하다. 이 연구는 미디어가 한반도 평화와 통일기반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견인하는 실천적 방안으로서 통일 관련 미디어 지수의 도입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추상적인 개념을 계량적 방법을 이용해 숫자로 표현하는 지수의 활용은 특정 시기, 특정 매체, 특정 장르에 대한 단속적이고 간헐적인 북한 관련 콘텐츠 분석을 넘어 다양한 미디어가 생산하는 북한 및 통일 관련 콘텐츠의 총체적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디어의 통일 지향성을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미디어 통일 지향성 지수는 북한 및 통일 콘텐츠에 대한 기존의 비판점들을 지양하고, 분단 상황에서 북한 및 통일 소재가 갖는 특수성과 보도, 예능 등 개별 장르의 가치를 반영하는 지표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북한 및 통일 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 형성에 있어서 미디어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우리 사회 미디어가 생산하는 북한 및 통일 콘텐츠에 대한 평가는 그다지 긍정적이지 못하다. 이 연구는 미디어가 한반도 평화와 통일기반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견인하는 실천적 방안으로서 통일 관련 미디어 지수의 도입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추상적인 개념을 계량적 방법을 이용해 숫자로 표현하는 지수의 활용은 특정 시기, 특정 매체, 특정 장르에 대한 단속적이고 간헐적인 북한 관련 콘텐츠 분석을 넘어 다양한 미디어가 생산하는 북한 및 통일 관련 콘텐츠의 총체적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디어의 통일 지향성을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미디어 통일 지향성 지수는 북한 및 통일 콘텐츠에 대한 기존의 비판점들을 지양하고, 분단 상황에서 북한 및 통일 소재가 갖는 특수성과 보도, 예능 등 개별 장르의 가치를 반영하는 지표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북한 및 통일 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 형성에 있어서 미디어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우리 사회 미디어가 생산하는 북한 및 통일 콘텐츠에 대한 평가는 그다지 긍정적이지 못하다. 이 연구는 미디어가 한반도 평화와 통일기반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견인하는 실천적 방안으로서 통일 관련 미디어 지수의 도입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추상적인 개념을 계량적 방법을 이용해 숫자로 표현하는 지수의 활용은 특정 시기, 특정 매체, 특정 장르에 대한 단속적이고 간헐적인 북한 관련 콘텐츠 분석을 넘어 다양한 미디어가 생산하는 북한 및 통일 관련 콘텐츠의 총체적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디어의 통일 지향성을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미디어 통일 지향성 지수는 북한 및 통일 콘텐츠에 대한 기존의 비판점들을 지양하고, 분단 상황에서 북한 및 통일 소재가 갖는 특수성과 보도, 예능 등 개별 장르의 가치를 반영하는 지표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 “통일 목회”의 당위성, 그리고 이를 위한 “조선족”의 가치와 역할에 관한 연구

        신동욱(Shen, Dongxu),양현표(Yang, Peter Hyunphyo)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2

        한민족이 70여 년 동안 분단 된 것은 아픈 역사이다. 그렇기에 분단된 한반도의 통일은 한민족 모두의 소원이다. 그렇기에 지금은 통일을 열망하는 시대라 할 수 있으며, 이 시대의 교회의 중요한 목회가 “통일 목회”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한국 교회가 지향해야만 하는 통일 목회에 대한 정의와 통일 목회의 당위성, 그리고 통일 목회에 있어서 “조선족”의 가치와 역할이 무엇인지를 연구했다. “통일 목회”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통일 목회에 대한 전문가들의 정의가 하나로 수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몇몇 전문가들의 통일 목회에 대한 개별적 정의를 살펴보고 그것들의 약점을 분석했다. 그리고 개혁주의 신학에 기초한 통일 목회의 정의를 시도하였다. 필자는 “왜 한국 교회는 통일 목회 사역을 수행해야 하는가? 하나님께서는 통일을 어떻게 보시는가? 성경은 통일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하고 있는가? 통일 목회 사역이 어떻게 교회의 필수적인 사명과 관련이 있는가?” 등의 질문에 답함으로 통일 목회 사역의 당위성을 찾았다. 또한, 필자는 통일 목회를 위해 조선족의 가치와 역할은 무엇인지를 연구했다. 통일 목회의 대상에는 남북한 주민 8천만과 재외동포 700만이 포함된다. 이 재외동포에는 조선족이 포함되어 있다. 조선족이 특별한 통일 목회 대상이자 한반도 통일과 북한 선교를 위한 도구가 되는 이유는 조선족의 정체성과 그들의 역사 그리고 그들만의 독특한 선교자원 때문이다. 많은 한국 교회들이 통일 목회 사역을 하나님의 부르심으로 깨닫고, 그것을 시대의 사명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또한, 입양 아동과도 같은 “조선족”이야말로 한반도 통일을 위해 준비된 자원임을 인식하여 이들을 위해 사역하고 이들과 협력한다면 북한 선교와 한반도 통일 선교에 크게 유익할 것이다.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the hope of all Koreans. It has been a heartbreaking history for over 70 years since the division of the nation and the nation. If there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history of division, it is probably “unification”. Therefore, it is not wrong to say that the Korean Peninsula, which has walked to this day with a wish for unification, lives in the era of unification. And the Korean church pastoring in this era of unification is doing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Today, the Korean church should pay attention to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As a “Joseonjog,” I hope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 will be unified. At the same time, as a pastor, I hope to minister to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o I began to study the definition of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the justification of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and what the value and role of “Joseonjog” in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is. Unfortunately, there is no unified definition of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This seems to be because experts’ definition of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has not converged into on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rious definitions of several experts on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I found that there are some weaknesses in the areas of ministry and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Therefore, based on Reformed theology, I intend to unify and define aspects such as God’s sovereignty,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orientation to world mission with NK mission. And, why should the Korean church conduct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This can be obtained in part from the definition of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but it is not enoug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biblical basis for discussing the justification of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How does God view unification?” and “What does the Bible say about unification?” proves how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is related to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Furthermore, it will show what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and how North Korea is making change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church will accept the unification pastoral mission. In addition, through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I would like to share what the value and role of the “Joseonjog” is, thinking about “what important role will the ”Joseonjog“ play in North and South Korea.” In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80 million Koreans living in South and North must be the main target for the ministry. And we must not forget that all 7 million overseas compatriots wish for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However, if you look at the reason why the “Joseonjog” is the object of a special unification ministry here, it is because the identity and history of “Joseonjog,” and their own mission resource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no other oversea Koreans have. Through this paper, I hope that more Korean churches can realize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as God’s calling and accept it as the mission of the times. In addition, I hope that the “Joseonjog,” such as an adopted child, will be recognized as a resource for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and North Korean mission that God has prepared for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 believe that if we mission to these people, minister to them, and cooperate with them, we will glorify God through North Korean mission and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19~20세기 통영 · 거제 지방의 중소형 어선 어업과 그 특징

        오창현(Oh, Changhyun)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5 島嶼文化 Vol.0 No.46

        이 논문의 목적은 먼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사용되던 통영 · 거제 지방의 대표적인 중소형 어선인 통구민배 어업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다. 나아가 통구민배 어업의 특성을 토대로 20세기 전반기 통영 · 거제 지방의 중소형 어선 어업의 특징과 관행을 규명하는 것이다. 통구민배는 한국의 어업 선진 지역이었던 통영 · 거제 지방을 대표하는 재래 어선이고, 이 지역의 어업과 어민생활을 이해하는 데 가장 핵심적인 생업 도구이다. 먼저, 이 글은 통구민배 어업의 특질과 20세기에 일어난 어선 기술의 변화를 어민들의 생업 논리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것이다. 2장에서는 먼저 통구민배의 지역별 사용례를 조선 후기 사료를 통해 검토한다. “桶船”이라고 기재된 통구민배는 이미 18세기 『均役廳事目』에도 등장하고 19세기 말까지 경상도 수세대장에 널리 나타나고 있다. 이어 3장에서는 통구민배가 통영 · 거제 어민들의 구체적인 생업에서 사용되던 방식과 구조적 특성은 무엇인지 파악할 것이다. 이를 통해 통구민배의 효율성이 기술 자체의 효율성이 아니라 어민들의 구체적인 어로 활동 속에서 비로소 이해될 수 있는 것임을 보여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규명한 통영 · 거제 어민들의 통구민배 조업 방식이 洋中 어업이라는 조선 후기의 제도적 기반 위에 형성된 것임을 밝힐 것이다. 또, 20세기 전환기 통영 · 거제 지방의 중소형 어선 어업의 특징과 변화상을 검토해, 19세기 말 육지 주민들의 섬으로의 이주, 일본 수출 시장의 확대에 따른 새로운 어업의 도입, 새로운 기술의 도입 등이 경남 남안의 어촌사회에 미친 영향을 규명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fishery using tonggumin-bae, which is a representative small to middle-sized fishing boat widely employ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mid-20th century in Tongyeong and Geoje regions in Korea. Furthermore, traits and customs of fishery with small and medium sized fishing vessels of Tongyeong and Geoje regions will be determined based on the typical features of tonggumin-bae fishery. Tongyeong and Geoje were the most advanced regions in fishery across the country, and tonggumin-bae vessels were a quintessential livelihood tool that enables u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fishery practices in these areas and the lives of the local fishermen. First, this paper will investigate both traits of tonggumin-bae fishery and technical changes that occurred in fishing boats during the 20th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shermen"s livelihood. Next, the paper will review examples of the use of tonggumin-bae by region based on historical record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Noted as "桶船”, tonggumin-bae were already recorded in Gyunyeokcheongsamok (“Section for the Equalized Tax Agency”) in the 18th century and they were also recurrently mentioned in Susaedaejang(“the tax ledger”) of Gyeongsang province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Subsequently, the paper will explore bot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onggumin-bae and the ways in which the fishermen of Tongyeong and Geoje regions used this particular vessel in their actual livelihoods. Through this, the paper will show that the efficiency of tonggumin-bae can only be understood within the practical fishing activities of the fishermen rather than the technical efficiency itself. The fourth section will reveal that the fishery with tonggumin-bae in Tongyeong and Geoje regions was formed by the policy framework of the late Joseon and named offshore fishery. In addition to reviewing characteristics of and changes in small and middle-sized boat fishing in Tongyeong and Geoje regions in the 20th century transition period, the impacts of a series of social events will be examined, such as the immigration of inland inhabitants to island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introduction of new fisheries and techniques, and the expansion of Japan"s export market, on fishing villages along the south coast of Gyeongnam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