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속도로 토석류 산사태 예방적 방재 정책

        김경석,이상래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본 논문에서는 토석류로 인해 발생하는 도로 피해를 예방·저감시키기 위한 도로관리기관의 방재정책과 예방적 방재를 위해 필요한 기술 그리고 사업의 실행과정에서 발생하는 타 기관과의 조정 및 협력방안에 대한 내용을 소개한다. 최근 우리나라의 여름철 강수특성은 집중강우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집중강우 시 경사가 급한 산지부에서 발생하는 토석류 산사태로 인한 도로 피해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토석류로 인한 도로 피해예방과 저감을 위해서는 토석류가 가능한 구간에 대하여 예방적인 재해저감시설을 설치하거나 모니터링을 통해 도로 이용 차량의 대피 또는 토사퇴적물의 신속한 제거와 같은 대응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토석류는 자연재해의 일종으로서 정확한 발생시기와 발생위치 및 규모 예측이 어려우므로 토석류 방재를 위해서는 일정수준의 방재목표 설정과 예측기술의 확보 그리고 대책시설의 설치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토석류 방재목표는 근본적으로 토석류 발생시 도로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며, 강우의 규모에 따라 토석류 발생규모와 피해규모가 달라지므로 정량적인 목표기준은 강우를 토대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과거사례를 토대로 토석류 유발강우를 분석하고 방재목표 강우기준을 재현주기 50년의 강우시에 도로 피해가 발생하지 않고, 재현주기 100년의 강우시에는 피해최소화, 그 이상의 강우에서는 신속대응을 방재목표로 설정하였다. 토석류 방재를 위해서는 토석류 위험성이 있는 위치를 선정하는 기법과 기준을 필요로 하며 본 연구에서는 과거 토석류 발생사례 분석을 통해 유역단위로 토석류 위험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방재목표에 사용되는 강우기준와 연계시켜 위험정도를 등급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고속도로 인접 유역별 위험 등급을 결정하여 설정된 방재목표에 따라 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기술기반을 마련하였다. 토석류 재해는 산지에서 시작하지만 피해는 도로에서 발생하므로 피해 복구 또는 예방사업은 토석류가 시작-이동-퇴적되는 구역별 담당기관 간의 업무에 대한 조정과 협력이 필요하다. 국내는 산지소유 또는 관리권한에 따라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로 업무가 나뉘어져 있으므로 도로관리기관에서 토석류 방재정책을 수립할 때는 이들 기관과 업무추진 방식, 예방사업의 주체, 실제 사업시행 시 상호협조사항 등에 대한 사전 조율과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산림청과 협업 체계를 마련하고 고속도로 노선별 단계적인 공동조사와 사업추진방향 회의를 통해 고속도로 토석류 예방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 KCI등재

        토석류 취약지역의 위험성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류지협(Ryu Ji Hyeob),서상훈(Seo Sang Hun),김상규(Kim Sang Kyu)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5

        본 연구에서는 매년 장마철에 큰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키는 토석류 취약지역의 위험성 평가방안을 개발하였다. 토석류의 위험성 평가에는 산지사면과 계류의 토석류 발생 가능성을 나타내는 토석류 불안정지수, 토석류 발생시 계류 하부 위험구역를 설정하는 파급도 및 위험구역내 주택 등을 고려하는 최대손실액이 사용되었다. 위험성평가는 정성적으로 이루어지는 전문가의 판단능력을 정량적인 가중치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토석류의 불안정지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전문가의 경험과 함께 토석류 판정표 등을 이용하였다. 토석류 위험성 평가의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과거 토석류 발생지역과 토석류 취약지역 10개소의 현장조사 결과가 평가에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토석류 위험성 평가기준은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토석류 취약지역의 효율적인 관리 및 사방사업의 투자우선순위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The criteria of risk assessment that can assess the risk for the vulnerable district to debris flow to be damaged the large scale loss of life and properties in rainy season every year are developed in this paper. The risk assessment of debris flows involve the degree of instability means the possibility of debris flows of natural slope and valley in the vulnerable district to debris flow, the possible travel distance of debris flows, and anticipated loss of life and properties of the residential area and so on. With this risk assessment, the weighting index was used to express quantitatively the judgement of an expert and the degree of instability of debris flows. The weighting index was derived from an decision table for debris flows together with the experience of an expert. This criteria of risk assessment has been examined for 10 debris flows which have been failed or shown a possibility of failure. With this examination, the reliability to assess the risk of debris flows can be presented and it is proven that the risk assessment are useful in managing effectively the vulnerable district to debris flows and determining the priority of investment for erosion control works.

      • KCI등재

        토석류 수치해석을 통한 건물의 물리적 취약곡선 연구

        강효섭,김윤태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5

        Residential areas and buildings located in vulnerable areas of landslide are commonly subjected to debris flow hazards. Recently,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researches on risk assessment. For a risk assessment,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the elements at risk in debris flow is required. Vulnerability assessment of elements at risk is a key component for risk assessment. Vulnerability assessment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azard and the exposed element. This interaction can be expressed as a vulnerability curve. In this study, back analysis performed from total 4 cases of debris flow disasters occurred in between July and August, 2011. The appropriate input parameters were determined through the quantitative index analysis and survey data of debris flow affected areas. Numerical analyses were also carried out for each of the study area, Disaster-induced factors(debris flow height, velocity and impact pressure) were calculated on the damage of building. Physical vulnerability functions of masonry buildings were obtained from the relationship of the degree of building damage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obtained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The proposed physical vulnerability functions could be used as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structural resistance of building affected by a debris flow event, and a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urban debris flow. 산사태 취약 지역에 위치한 주거지나 건물은 보통 토석류 위험의 대상이다. 최근 리스크 평가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리스크 평가를 위해 토석류의 위험 요소에 대한 취약성 평가가 요구된다. 위험 요소에 대한 취약성 평가는 리스크 평가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취약성 평가는 토석류의 물리적 특성과 위험에 노출된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취약곡선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7-8월에 발생한 4개 토석류 재해지역에 대해 FLO-2D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역해석을 수행하였다. 조사된 토석류 재해영역과 정량지수 분석을 통해 입력변수를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토석류 재해 발생 지역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피해건물에 미치는 재해 유발인자(토석류의 높이, 속도 및 충격압)를 산정하였다. 또한 토석류 재해 사례 분석을 통해 얻어진 건물손상 정보와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통해 얻어진 토석류 재해 유발인자와의 관계를 통해 조적식 건물에 대한 취약함수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토석류에 의한 건물취약함수는 토석류 재해로 피해 발생 가능성이 있는 지역의 건물손상 정도를 추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도심지 토석류 재해 취약성 평가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토석류 유동 해석을 위한 침식모형 평가

        이승준 ( Seungjun Lee ),안현욱 ( Hyunuk An ),김민석 ( Minseok K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산 경사면에서 발생하는 토석류는 지형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자연재해 중 하나다. 특히, 도심지역 및 산림지역에서 발생된 토석류는 유동 및 퇴적과정에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여러 선행연구들에선 수치모형을 활용하여 토석류의 유동과정과 피해규모를 분석하여 토석류로 인한 피해를 예측하고 이를 저감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10년 동안 정화도 높은 예측을 위해 토석류의 침식 및 연행작용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침식 및 연행작용은 토석류의 유동과 퇴적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 토석류 분석 및 예측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하는 요소이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침식 및 연행작용 알고리즘(이하 침식모형)을 고려하여 분석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침식모형과 유동모형을 선택하여 각 침식모형에 따른 토석류의 유동과 피해규모를 분석하였다. 토석류 분석에는 국내에서 개발되어 여러 유동 및 침식모형을 선택하여 모의·분석할 수 있는 Deb2D 모형을 활용하였다. Deb2D 모형은 2차원 수치해석 모형으로 적응형 격자를 기반으로 토석류를 구현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선 유동 모형으론 Voellmy, Bingham 그리고 Coulomb-viscous 모형을 선택하고, 침식모형으론 Sovilla, Frank 그리고 Medina 모형을 선택하여 모의하였다. 2011년 우면산에서 발생한 일련의 산사태를 대상으로 토석류의 유동과 피해규모를 구현했으며 수치모형의 정확성 판단을 위해 현장 조사를 통해 얻어진 토석류의 피해 범위, 총 퇴적량 그리고 특정 지점에서 관측된 최대 퇴적 높이 및 최대 속도를 비교자료로 활용하였다. 특히, 연구지역의 토석류 발생 전·후 DEMs(Digital Elevation Models)을 활용하여 공간에 따른 침식 깊이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Deb2D 모형을 통해 분석된 침식깊이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Deb2D 모형을 통한 토석류 모의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피해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선 침식모형의 선택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 토석류 위험구역 설정과 재해 후 항공사진을 이용한 유효성 검토

        이광연,장수진,서기범,김석우,김경남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우리나라의 토석류 위험지 관리는 산림청의 산사태 위험지 관리제도와 구 소방방재청의 급경사지 관리 제도를 준용하고 있으나, 토석류 위험지를 구체적으로 관리하고 있지 못하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토석류 발생지의 대부분이 황폐산지의 반복되는 토석류 발생지가 아니라,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돌발적으로 발생되는 토석류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위험지 관리 대책을 수립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는 지형 및 입지특성에 근거한 기준점 설정을 통해 토석류 위험구역 구획방안을 제시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자 시행되었다. 2011년 7월 토석류 피해지역인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일원의 퇴적토사량과 토석류의 도달거리를 산정하여 위험구역을 구획하였다. 실제 피해 대상지인 2개의 유역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산정된 침식가능토사량(지질·계류 차수별 원단위 기준 산정법)과 운반가능토사량(총수량·용적토사농도 이용 산정법)을 현지 측량에 의해 얻어진 퇴적토사량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침식가능토사량은 실측에 의해 얻어진 토사량과 유사한 범위에 있었고 운반가능 토사량은 과대치가 산정되었다. 토석류의 도달거리는 경험식에 지질·계류 차수별 원단위 기준 산정법으로 계산된 침식가능토사량으로 산정하였다. 경험식으로 산정된 도달거리는 수해 직후 촬영된 항공사진의 판독으로 산정한 도달거리와 비교한 결과 유사 범위에 위치하였다. 수해 직후 촬영된 항공사진을 판독하여 구획된 토석류의 퇴적범위는 구획된 토석류 위험구역 내에 위치하여 이 방법이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토석류 발생 지형과 유발 강우 특성 분석

        김경석(Kim Kyung-Suk)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28 No.5

        토석류 위험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토석류가 발생하는 위치의 지형 및 지질 그리고 유발요인 같은 토석류 특정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5년간 고속도로에 피해를 유발시킨 48개소의 토석류에 대하여 유역의 지형 및 토석류 유발 강우자료를 조사, 분석하였다. 토석류는 0.01~0.65㎢의 크기를 갖는 규모의 유역에서 발생하였고 집중강우 시 약 29~55° 지형경사를 갖는 자연사변의 표면 파괴에 의해 주로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석류 유발강우의 경우 재현빈도 2년에서 5년의 강우에도 토석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토석류의 규모는 통일한 유역이라도 강우강도 및 누적 강우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debris flow characteristics such as basin topography, geologic conditions of initiation location and triggering rainfall are required to systematically mitigate debris flow hazard. In this paper, 48 debris flows which had caused some damages to the highway in the past 5 years are investigated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basic topography and triggering rainfall are analyzed. Debris flows are found to occur in small basins having the area of 0.0l~0.65㎢ range and mostly initiated by the surficial failure of natural slope having the inclination of 29~55 degree during the intense rainfall. As for the triggering rainfall, rainfall of 2 to 5 year recurrence frequency are found to be able to trigger the debris flow and magnitude of debris flow in a basin could depend on the rainfall intensity and cumulative amount.

      • KCI등재

        Estimation of the Debris Flow Lo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Debris Flow Impact Pressure Model

        Dong Ho Nam,Dong Ho Kang,Byung Sik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11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 및 무분별한 산지 개발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산사태, 토석류와 같은 토사재해에 의한 인명⋅재산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산지에서 발생하는 산사 태는 계류로 유입되면서 토석류로 발달하여 하부로 유하하게 되며, 토석류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 은 구조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주요한 원인이다. 이러한 토석류에 대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토석류의 충격력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사방시설 및 위험지역의 구조물을 평가하 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토석류로 인해 발생하는 구조물 피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충격력 기반의 토석류 흐름특성을 반영한 충격력 산정 모형 Type-1과 산지유역의 지형특성을 반영한 충격력 산정 모형 Type-2를 개발하였으며, 상용모형인 토석류 유출모형 RAMMS 모형의 충격 력을 기준으로 Type-1과 Type-2의 충격력을 비교하여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산정된 충격력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손상률을 산정하고, 최종적으로 토석류 피해로 인한 구조물의 토사피해액을 산정 하였다. 토사피해액 산정 결과 RAMMS 모형을 기준으로 서울시 우면산의 Type-1은 10% 과대 산정되 었으며, Type-2 4% 과대 산정되었다. 춘천시 마적산은 Type-1이 3%, Type-2는 2% 과대 산정되었다. Recently, human and property damages have been frequently reported by debris disaster such as debris flow and landslide, which were caused by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intensive rain due to climate change and thoughtless development of mountainous areas.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by such debris flow, it is required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impact pressure of the debris flow and to evaluate the structures in the hazardous areas and the surrounding facilitie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impact pressure model Type 1 reflecting the debris flow characteristics and an impact pressure model Type 2 reflecting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 watershed. The reliability of the Type-1 and Type-2 impact pressure models was verified based on the impact pressure of the commercial model RAMMS.

      • KCI등재후보

        RAMMS 모형을 이용한 경북 소규모 산지 유역의 토석류 모의

        장형준(Hyung-Joon Chang),이호진(Ho-Jin Lee),김성구(Seong-Goo Kim) 한국방재안전학회 2024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7 No.1

        산지가 국토의 60%를 차지하는 우리나라는 집중호우, 태풍 등의 토석류가 발생 할 수 있는 요인들이 증가하여, 산사태, 토석류와 같은 재해의 위험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피해를 예방하기 보다 피해 후 복구에 편중되어왔으며, 토석류 발생지역에 대한 현장조사 및 토석류 수치해석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위험구간 분석을 위해서 실제 토석류가 발생한 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 및 드론측량을 실시하여 정밀도 높은 지형 데이터를 구축하고 수치해석 프로그램 RAMMS 모형을 활용하여 토석류 발생 유역을 대상으로 토석류 흐름 분석을 수행하고 실제 발생한 토셕류 분포를 비교 분석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RAMMS 모형으로 산정된 토석류 발생면적은 실제 면적보다 18% 크게, 이동거리는 10% 작게 산정되었으나, 모형으로 계산된 토석류 발생 형상과 발생 이동경로가 실제자료와 유사하게 모의되어 모형을 통한 토석류 이동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향후, 국내에 적합한 모형 검증 및 미계측 유역에 대한 토석류 해석을 통한 피해 예상 지역의 선정 등의 추가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In Korea, mountainous areas cover 60% of the land, leading to increased factors such as concentrated heavy rainfall and typhoons, which can result in debris flow and landslide. Despite the high risk of disasters like landslides and debris flow, there has been a tendency in most regions to focus more on post-damage recovery rather than preventing damage. Therefore, in this study, precise topographic data was constructed by conducting on-site surveys and drone measurements in areas where debris flow actually occurred, to analyze the risk zones for such events. The numerical analysis program RAMMS model was utilized to perform debris flow analysis on the areas prone to debris flow, and the actual distribution of debris flow was compared and analyz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As a result, the debris flow generation area calculated by the RAMMS model was found to be 18% larger than the actual area, and the travel distance was estimated to be 10% smaller. However, the simulated shape of debris flow generation and the path of movement calculated by the model closely resembled the actual data. In the future, we aim to conduct additional research, including model verification suitable for domestic conditions and the selection of areas for damage prediction through debris flow analysis in unmeasured watersheds.

      • KCI등재

        항공LiDAR 자료를 이용한 토석류 침식 및 퇴적모델 분석

        원상연(Won, Sang Yeon),김기홍(Kim, Gi H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6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4 No.3

        2011년 발생한 서울시 우면산의 토석류는 과거 산간지역 피해와는 달리 도심지역에서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산사태 및 토석류는 산악지역과 도심지역에 관계없이 다양한 지역에서 빠른 속도로 발생하여 엄청난 피해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토석류의 영향범위를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토석류의 영향범위 예측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복잡한 3차원 지형에서의 토석류 거동 및 퇴적 메커니즘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퇴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토석류의 거동에 따른 에너지량과 침식량이 산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에 개발된 토석류 모델들은 토석류의 침식량을 산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1년 도심지의 대규모 토석류가 발생한 서울시 우면산 지역을 대상으로 항공사진, 항공 LiDAR 자료로부터 생성된 토석류 피해 전과 후의 DEM을 활용하여 토석류의 피해규모를 산정하였으며, 에너지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침식량을 산정할 수 있는 토석류 거동 해석 모델을 개발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동일지역에 대하여 기존의 토석류 모델(RWM, Debris 2D)도 함께 시뮬레이션 하여 종합적으로 토석류 지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The 2011 debris flow in Mt. Umyeonsan in Seoul, South Korea caused significant damages to the surrounding urban area, unlike other similar incidents reported to have occurred in the past in the country’s mountainous regions. Accordingly, landslides and debris flows cause damage in various surroundings, regardless of mountainous area and urban area, at a great speed and with enormous impact. Hence, many researchers attempted to forecast the extent of impact of debris flows to help minimize the damage. The most fundamental part in forecasting the impact extent of debris flow is to understand the debris flow behavior and sedimentation mechanism in complex three-dimensional topography. To understand sedimentation mechanism,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amount of energy and erosion according to debris flow behavior. The previously developed debris flow models, however, a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calculate the erosion amount of debris flow. This study calculated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a massive debris flow that occurred in 2011 in Seoul’s urban area adjacent to Mt. Umyeonsan by using DEM, created from aerial photography and airborne LiDAR data, for both before and after the damage; and developed and compared a debris flow behavioral analysis model that can assess the amount of erosion based on energy theory. In addition, simulations using the existing debris flow model (RWM, Debris 2D) and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debris flow-stricken areas were performed in the same study area.

      • KCI등재

        지형학적 특성과 물리 기반 모델을 이용한 토석류 발생원 예측 기법 개발

        송창호(Song, Chang-Ho),이지성(Lee, Ji-Sung),김윤태(Kim, Yun-Tae)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2

        토석류는 강우로 인해 토사와 물이 섞여 산지 아래의 유하부까지 흘러내리는 현상으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유발한다.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대부분의 토석류는 집중강우 시 얕은 사면파괴가 발생된 지점에서 계곡부를 따라 토석류로 전이되었다. 따라서 토석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토석류 발생 위치를 정확히 식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에 많은 피해가 발생했던 서울 우면산을 대상으로 지형학적 특성과 물리 기반 모델을 결합하여 토석류가 발생할 수 있는 위치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우선 국내⋅외 토석류 발생 위치의 지형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연구대상 지역의 지형학적 특성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물리 기반 모델과 당시의 누적강우량 자료를 활용하여 안전율 지도를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 토석류 지형학적 특성과 안전율이 1.2 이하인 곳이 중첩되는 셀을 추출함으로서 토석류 발생원 예측 기법을 개발하였다. 정량지수분석을 통해 검증을 수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토석류 발생원 예측 기법의 순 성공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토석류의 발생 위치를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debris flow is a phenomenon in which sediment matter and water become mixed and flow down to a deposition area, thereby causing significant damage to people and property. In Korea, majority of the past debris flows initiated in the form of shallow landslides during rainfall. To address the hazards associated with debris flow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thod for predicting the location of the debris flow initi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for predicting the source of a debris flow by incorporating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signing a physically-based model.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initiation area of the debris flow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previous literature. The physically-based model was developed by incorporating landslide inventory data, rainfall data, and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ap of safety factor less than 1.2 was thereby established. Furthermore, the region prone to the occurrence of debris flows was identified by the superposition of each unstable pixel obtained from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hysically-based model. The proposed method was validated through quantitative index analysis. The obtained results indicate that compared to other methods, the proposed method has a high success index and a low error index for predicting the source of a debris f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