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기능을 둘러싼 쟁점 고찰

        조국현 한국독어독문학회 2020 獨逸文學 Vol.61 No.3

        Es ist unumstritten, dass die Textfunktion eine der wesentlichen Eigenschaften eines Textes darstellt. Sie gilt dennoch als textexterne Kategorie, weshalb sie oft bei der Textbeschreibung zweitrangig behandelt oder sogar vernachlässigt wird. Die vorliegende Arbeit wurde konzpiert, um eine Antwort auf wichtige grundlgende Fragen nach der Textfunktion zu geben. Die Fragen lauten: (i) welche Eigenschaften sind der Textfunktion zuzuschreiben, (ii) wie werden Typen der Textfunktion klassifiziert und in welchen Beziehungen stehen sie zueinander, und (iii) in welcher Weise ist die funktionale Struktur eines Textes zu analysieren und zu beschreiben. Die vorliegende Arbeit berücksichtigt verschiedene funktionale Konzepte, vor allem die von Bühler(1934), Jakobson(1960), Brinker(1985), Roloff(1985) und Heinemann/Viehweger(1991). Die letzten beiden Namen vertreten die besonders aufschlussrecihe funktionale Textauffassung, nämlich die Sprechakttheorie und die funktional-kommunikative Sprachbeschreibung. Das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besteht darin, durch die Auseinandersetzung mit den funktionalen Konzepten eine plausible Antwort auf die genannten Fragen zu finden. 본 연구는 텍스트기능의 본질적인 속성, 텍스트기능의 유형 분류, 그리고 텍스트 기능의 실현 구조의 문제를 다룬다. 먼저 Bühler(1934), Jakobson(1960), Brinker(1985), Roloff(1985), Heinemann/Viehweger(1991) 등의 기능 구상을 살펴보고, 기존의 텍스트기능 규정에서 발화수반적인 측면에 머물렀던 시각을 확대해 발화효과적인 측면도 함께 고려한다. 다음으로 텍스트기능의 유형 분류를 일관된 기준으로 체계화한다. 화자, 세계, 청자의 연관 축에서 파생된 언어기능이 추가적인 기준에 따라 확대되는 현상을 포착한다. 먼저 <발화수반적 vs. 발화효과적>으로 이분하고, 발화수반적 텍스트기능은 다시 <제도연관적 vs. 제도 비연관적>으로 구분한다. 전자에 속하는 것이 선언기능이다. 후자는 다시 <정서지향적 vs. 관계지향적 vs. 과제지향적>으로 나눈다. 표현기능이 정서지향적이며, 접촉기능이 관계지향적이다. 끝으로 과제지향적 텍스트기능을 <화자초점 vs. 대상초점 vs 청자초점>에 따라 책무기능, 제보기능, 호소기능을 분류한다. 이어서 텍스트기능이 개별 텍스트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기술하는 모델을 화행론의 구상과 동독의 기능적-의사소통적 언어기술론에 따라 설명한다. 화행론의 경우 보조-중심의 위계적인 모델을 구상한다면, 기능적-의사소통적 언어기술론에서는 단순 언어행위와 복합 언어행위 사이의 포함관계 모델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학습자를 위한 학술논문 각주 분석 ­텍스트 기능과 기능별 언어표현을 중심으로-

        박나리 ( Na Ree Park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7

        본 연구는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각주 쓰기 교육방안의 기반연구로서 한국어 모어화자의 학술논문 각주에 나타나는 텍스트 기능을 유형화하고 그 기능에 따른 언어표현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는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술논문 각주에서 문식성의 오류를 심각하게 보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각주 자체가 본격적으로 논의된 연구가 없었던 까닭에, 각주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방안 마련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자체도 마련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학술논문의 각주는 목표하는 대상(object)에 따라 크게 텍스트에 대한 메타적 언급, 본문 텍스트 내용의 보충, 다른 텍스트의 제시와 언급이라는 기능으로 구분되었다. 텍스트에 대한 메타적 언급의 경우는 다시 대상이 포괄하는 영향권(scope)에 따라 전체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는 메타발화(텍스트 소개, 감사 표현, 텍스트 생산목적 재언급, 연구범위 한정 언급, 주요용어의 의미역 조정 언급, 텍스트 수용자의 비판 선취(先取), 연구한계 인정과 후속 연구 언급), 텍스트의 구성 및 형식을 언급하는 발화(텍스트 구성 언급, 약호나 표시에 대한 설명) 그리고 텍스트 수용자의 이해 맥락 조절과 관련된 메타발화로 다시 하위유형화 되었다. 한편 본문의 텍스트 내용을 보충하는 기능은 각론적인 용어의 개념상술, 각론적인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에 대한 상술, 다양한 예(例)의 나열, 사변적이거나 개인적인 내용 언급의 기능으로 다시 분류될 수 있었으며, 다른 텍스트의 제시와 언급의 경우에는 인용출처 단순 제시, 인용표지를 사용한 간접인용, 현(現) 텍스트 생산자의 기술 안으로의 융합(amalgam)이 직접인용에 비해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각주의 다양한 기능과 언어표현이 기능별로 학문목적 학습자에게 다변화되어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술논문 각주가 학술논문의 의사소통상황의 전반에 걸쳐 기능을 발휘하는 만큼, 학술논문의 내외적 의사소통상황에 대한 자동화된 인식의 훈련이 학습자들에게 필요하다고 보았다. 의사소통상황에 따라 각주를 다르게 변주할 수 있는 유연한 담화화용능력의 훈련도 요구된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henomenon of para-text ``footnote`` in academic theses and to categorize it according to its text functions. In the previous investigations, footnote has been underestimated as only para-text to the main text so its functions have not been researched specifically. However, footnote is one of the prominent text genre-based features of academic thesis and serious footnote errors made by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KAP) in their theses requires us to develop educational treatment of footnotes writing for KAP learners. As a fundamental study for the educational methods for footnotes writing, this study looks through and analyze 30 theses by Korean mother tongue writers in Korean Education academic areas. The conclusion is as followings. Text functions of footnote utterances in academic theses are largely divided into meta utterance as to its text structure and making-up utterance for its main text. The former is categorized as the whole text-scoped utterances(utterance of text introduction, gratitude utterance, re-utterance of text purpose, utterance of its research scope, terminological utterance), utterances as to its text structure(text deixis utterance, indication utterance) and text-receiver oriented utterance(text producer`s self-defence, preoccupation of text receiver`s criticism, in-advanced admittance of criticism, control of text receiver`s understanding context). The latter is dealing with mentioning source of the previous studies, explanation of numbers in the main text, explanation research methods and object, enumeration of many examples, description of writer`s highly individual opinion, specification of term. Whereas words and expressions according to each functions in footnote utterances are highly typical, its patterned items are to suggest in the textbook along with its functions.

      • KCI등재

        읽기-쓰기 통합 수업에서 학습자 글쓰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실현 양상 연구

        김은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텍스트를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수업을 실시한 후 학습자가 쓴 글에 자신이 읽은 텍스 트가 어떠한 기능으로 재구성되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학습자 텍스트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실현 양상을 자료 기능(source functions)에 따라 다섯 가지로 나눈 후 각각에 해당되는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 펴본 결과 다음과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학습자가 다른 텍스트에서 빌려 온 글은 새로운 텍스트의 배경이나 이야기 전개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사 용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화제에 주의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학습자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 기 위한 근거로 읽은 텍스트를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주장이 객관적이며 논리 정연함을 입증하였다. 셋째, 학습 자가 읽은 텍스트는 새로운 텍스트의 결론을 도출해 내기 위한 계기로 활용되었다. 넷째, 학습자는 배경지식 강화의 기능으로 자신이 읽은 텍스트를 활용하였다. 다섯째, 학습자가 읽은 텍스트는 아이디어를 제공해 주는 기능으로도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읽은 다양한 텍스트가 배경지식의 양적인측면과 질적인 측면에서의 변화뿐만 아니라 주장의 근거에 신빙성을부여하거나 결론을 논리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한 기능 등 텍스트 자체의 논리성을 확 보하기 위한 의도로도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른 텍스트에서 빌려 온 내용이 어떤 대상에 대한 개념일지라도 글의 도입과 전개 과정 중 어디에 사용되었는지에 따라 자료의기능이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nd for whatpurposes learners of Korean writing reconstruct reading texts through anintegrated reading-writing course. Patterns of intertextuality are firstcollected from students’ writings and classified into five source functions. Then the learners’ writings are specifically analyzed and the results aresummarized as follow:First, learners attempt to draw readers’ interest and attention by quotingthe reading texts to set up the background and plot of their new writingtexts. Second, learners use the reading texts in order to support theiropinions and prove their objectivity and logic. Third, the reading texts arequoted in order to lead readers to the conclusion of their new texts. Fourth, learners reconstruct the reading texts to enforce their backgroundknowledge. Finally, the reading texts also provide the learners with newideas for their writings. This study shows that learners’ various reading texts are used not only forimprovemen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of the learners’ backgroundknowledge, but also for the bases of credibility of the writers’ opinionsand logic. In addition, the analysis reaches the conclusion that eventhough quotations from different texts are stated in the similar ways, theyfunction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locations in thewritings.

      • KCI등재

        언어의 잉여성과 독자의 텍스트 이해: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4장 ‘언어학의 기본 전제들’을 토대로

        김도남 ( Kim Do Nam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4 한국초등교육 Vol.35 No.2

        이 논의는 독자와 텍스트 사이에 작용하는 언어의 잉여성을 탐구한다. 읽기는 독자와 텍스트 사이에 읽기 상황을 형성한다. 이 읽기 상황은 텍스트 밖에 존재하는 잉여적인 것과 관련된다. 들뢰즈와 과타리는 『천 개의 고원』(Deleuze, & Guattari, 1980/2003) 4장에서 우리의 언어 인식에 내재하는 네 가지 전제(공리)를 비판한다. 이 논의는 그 첫 번째, ‘언어는 정보 전달과 의사소통에 관련되어 있으리라’라는 전제에 대한 비판을 토대로 한다. 읽기는 언어로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이 읽기 행위는 텍스트와 독자 사이에 읽기 상황을 형성한다. 읽기 상황은 텍스트 내부의 언어 내적 기능에 의존하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텍스트 외부의 언어의 잉여적 기능에 의해 작용한다. 이 읽기 상황에 작용하는 언어의 대표적인 잉여의 기능이 명령어이다. 텍스트 내부의 언어 기능이 정보 전달과 의사소통과 관련되어 있다면, 텍스트 외부의 언어 기능은 명령어의 작용과 관련되어 있다. 독자의 텍스트 읽기는 생생한 읽기 상황을 형성하는데, 그 읽기 상황은 텍스트 외부에서 이루어진다. 이 텍스트 외부에 작용하는 언어 기능이 명령어의 작용이다. 독자는 이 읽기 상황에서 명령어를 인식한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는 이 명령어의 수용과 관련된다. 명령어는 독자에게 지시, 의문, 서약, 단언 등의 명령을 전달한다. 이 텍스트 명령은 텍스트마다. 독자마다, 읽는 상황마다 다르다. 텍스트 명령은 쉬울 수도 있고, 어려울 수도 있다. 당장 실행할 수도 나중에 수행할 수도 있다. 텍스트 명령의 수행은 독자의 의지에 달려있다. 텍스트가 독자에게 전하는 명령 중 본질적인 것은 자기 생성과 관련되어 있다. 독자가 텍스트 명령 수행으로 자기를 생성할 때, 고유한 자기를 가질 수 있다. 텍스트 읽기는 독자가 읽기 상황에서 전달된 명령어의 명령을 수행하여 자기를 생성하는 일이다. This discussion explores the language redundancy between a reader and a text. Due to the surplus that exists outside the text, a reading situation occurs between the reader and the text. In Chapter 4 of < A Thousand Plateaus >(trans, Kim Jae-in, 2003), Deleuze and Guattari criticize the four premises (axiom) inherent in the perception of language.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first criticism of the premise, which claims that “language is related to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Reading is performed through language and takes place between the text and reader. Although reading depends on the language system within the text, it is also essentially related to the language system outside the text, that is, the reading is achieved through the operations of the language system outside the text; therefore, its function is redundant. A representative language function outside the text is a command. The redundant language functions are revealed when a reader understands the content of the text. If the language function inside the text convey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 language function outside the text is related to command actions. Therefore,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creates a vivid reading situation related to the reading situation outside the text. As the language functions operating outside the text are command operations, such as instructions, questions, pledges, and assertions, the reader recognizes that their understanding is based on the acceptance of the command. Text commands vary from text to text, from reader to reader, and from reading situation to reading situation, and can be easy or difficult and impact the reading in the currently or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the execution of the text commands depends on the reader’s will. One essential command conveyed to a reader is related to self-creation. When a reader creates a self by executing text commands, a unique self develops. Therefore, the reader creates the reading texts by executing the commands for the particular reading situation.

      • KCI등재

        예보 담화의 문법교육용 텍스트화 방향 연구

        김호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6 국어교육연구 Vol.38 No.-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일기예보 텍스트와 실제 일기예보 텍스트 간의 비교·대조 분석을 통하여 문법교육용 일기예보 텍스트화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旣) 개발된 한국어 교재 8종을 대상으로 교육용 일기예보 텍스트의 기능별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교육용 텍스트의 유형화는 텍스트가 담당하는 기능과 텍스트의 내용적 특성에 따라 하위분류된다. 이에 따라 한국어교육용 텍스트를 ‘메타 텍스트’, ‘자료 텍스트’, ‘활동 텍스트’의 삼분 체제로 분류, 유형화한 뒤 ‘날씨/계절/여행’ 등의 주제로 일기예보 담화를 다루고 있는 단원을 대상으로 텍스트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가운데 일기예보 담화를 자료 텍스트로 다루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체계기능언어학 이론 가운데서도 ‘상호적 메타기능(Interpersonal Metafunction)’ 분석을 적용하여 문장유형, 종결형, 높임, 양태 표현 등의 문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TV 매체를 통해 사용된 일기예보 담화에 대해서도 ‘상호적 메타기능’ 분석을 실시하고 교육용 자료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 특징, 기능을 실제성, 적합성 측면에서 비교하며 논구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일기예보 담화의 문법교육용 텍스트화 방향을 메타 텍스트, 자료 텍스트, 활동 텍스트와 관련지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xtualized forecasts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For this purpose, it analyzes the types and features of weather forecasts modified for education in eight Korean textbooks. The educational texts are sub-classified by their function and contents. Therefore, texts for L2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subdivided into meta texts, material texts, and activity texts, and they are analyz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ather forecasts as material texts are also analyzed in terms of sentence type, sentence ending, honorification and modality to examine interpersonal metafunction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Weather forecasts on TV are analyzed in the same way to study interpersonal metafunction of the texts. The textualization of forecasts for Korean grammar educ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m in terms of meta texts, material texts, and activity texts.

      • KCI등재

        텍스트의 기능적 분석과 그 국어교육적 의미 : 동성(transitivity)을 중심으로

        박종훈 ( Jong Hun Park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3 No.-

        이 논문에서는 체계 기능 언어학의 관점에 따라 텍스트를 분석하는 것이 국어교육과 관련하여 갖는 의미를 텍스트의 동성 분석을 중심으로 탐색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우선 맥락과 텍스트의 언어 형식 선택 간에 밀접한 관계를 갖는 체계 기능 언어학의 기본 관점을 제시하고, 그 중 관념적 의미를 실현하는 언어 장치로서 동성의 개념과 유형, 구조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전직(당시 현직) 대통령의 설 메시지 텍스트를 사례로, 텍스트의 기능적 분석이 갖는 국어교육적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체계 기능 언어학의 관점에서 볼 때 의미에는 관념적 의미, 대인관계적 의미, 텍스트적 의미의 3가지 종류가 있고, 이들 각각의 의미를 언어 형식으로 실현하기 위한 언어 장치들이 존재한다. 이 중 동성은 관념적 의미 실현의 언어 장치이며, 관여항과 배경, 동사의 연속체로 구성된다. 그 유형으로는 행위 과정, 심리 과정, 존재 과정, 속성 과정 등이 있다. 이러한 동성이 구체적으로 텍스트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전직 대통령의 설 메시지를 사례 텍스트로 분석한 결과, 설득 텍스트라는 장르적 특성에 부합하게 심리 과정과 행위 과정이 주도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체의 능동성을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심리 과정보다는 행위 과정을 적절하게 사용해야 함도 알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은 이와 같은 동성 범주 선택의 맥락적 효과를 교육 내용으로 삼아 맥락에 가장 적절한 언어 형식으로 텍스트를 생산하는 능력과 그러한 언어 형식의 사용을 평가하며 텍스트를 이해하는 능력과 같은 고차원적인 국어 능력의 신장을 지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I discussed why we need to analyze text with a view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presented the basic view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nd discussed transitivity as linguistic realization of ideational meaning. Transitivity is composed of participant, circumstance and verb. As the processes of transitivity in Korean language, there are behavioral, mental, existential, attributive processes. In the analysis on sample text, mental and behavioral processes were mainly selected, which suggests the typical feature of persuasive text. The analysis also suggested that we should utilize more behavioral process than mental for accenting subject`s actional trait. I asserted that we need to teach students so that they can use language considering the function of transitivity in specific context.

      • KCI등재

        ≪독립신문≫ 논설의 텍스트유형론적 연구

        채규현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7 텍스트언어학 Vol.43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text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Editorials of ≪Dongnipsinmun≫. For this purpose I used Textlinguistic analysis methods. In this analysis, I identified text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Dongnipsinmun≫ and text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Editorials of ≪Dongnipsinmun≫ through analysis based on functional ‧ structural ‧ contextual criteri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ongnipsinmun≫ could be classified to three subdivision as Argumentative text, Descriptive text and Declarative text, And Editorials of ≪Dongnipsinmun≫ could be classified to three subdivision as Argumentative editorials of appeal function, Descriptive editorials of information function and Narrative editorials of emotion function. Especially, through analysis, we found that types of Editorials of ≪Dongnipsinmun≫ have distinctiv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we could find that Editorials of ≪Dongnipsinmun≫ had the first multi-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of enlighten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will contributes to identify the type of Editorials of ≪Dongnipsinmun≫ also to understand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ditorial text of the period of enlighte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독립신문》 논설의 텍스트유형론적 특징을 명확히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독립신문》 논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구조적·맥락적 기준을 중심으로 한 분석을 통해, 《독립신문》과 《독립신문》 논설의 텍스트유형론적 특징을 각각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독립신문》은 ‘논증형 텍스트’, ‘기술형 텍스트’, ‘선언적 텍스트’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독립신문》 논설은 호소기능의 ‘논증형 논설’, 제보기능의 ‘기술형 논설’, 감동기능의 ‘서사형 논설’ 유형으로 세부 분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분석을 통해 분류한 《독립신문》 논설의 이러한 세부 유형들은 구조적 특징에서도 각 유형별로 구별되는 특징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독립신문》 논설에 대한 텍스트유형론적 분석을 통해, 《독립신문》은 개화기 신문 최초로 다기능적 성격의 신문이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논의는 《독립신문》 논설뿐만 아니라 개화기 신문 논설의 텍스트유형적 특징을 이해하고, 개화기 신문들을 대상으로 한 텍스트유형론적 연구의 효용성을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판결문 텍스트에 나타난 지시 표현의 기능 연구

        유혜원 ( Yoo Hye-won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4 No.-

        이 연구는 판결문 텍스트에 나타난 지시 표현 양상을 분석하여 각 지시 표현의 특성과 기능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가 분석 대상으로 삼은 텍스트는 헌법재판소 판결문이다. 기존 연구에서 대표적인 지시 표현인 ‘이, 그’는 공간적 원근 개념을 기본으로 각각 화자의 영역과 청자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원근 개념을 기반으로 한 ‘이, 그’의 특성이 문어 텍스트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와 이 질문의 해답을 기반으로 한 ‘이, 그’의 분포와 기능이 어떤 체계에서 작동하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Eggins(2008)에서 제시된 지시 연쇄 분석을 차용하여 판결문 텍스트에 맞는 방식으로 변형하여 분석하였다. 판결문 텍스트 분석 결과 ‘이’와 ‘그’는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는 경우가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능과 분포에 몇 가지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 그’는 선행어를 지시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에 비해 멀리 있는 선행어를 지시하고 지시범위도 절이나 문장, 단락까지 넓게 나타났다. 또한 ‘이’와 ‘그’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분포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예시들은 텍스트를 구성하는 필자와 독자, 그리고 주제가 복합적으로 작동하여 나타나는 것임을 체계기능문법적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원근 개념과 화자 영역과 청자 영역으로 구분되는 ‘이, 그’의 작동 원리가 판결문 즉 문어 텍스트에도 유지되고 있음을 밝혔다. 이 연구는 판결문 텍스트 즉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이, 그’의 분포와 기능에 대한 특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ference expression aspects in the written text and research empirically the properties and functions of each reference expressions. Text used as research materials of this study is the Constitutional Court's ruling. In previous studies, the typical reference expressions ‘i(이), geu(그)’ has been divided into the area of the speaker and the area of the listener based on the spatial perspective concept. In this study, we discussed whether the properties of 'i, geu' based on the spatial perspective concept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could also be applied to the written text and how the distribution and function of 'i, geu' based on the answer to this question works in a system. To achieve this goal of the study, the method of reference chain analysis presented in Eggins (2008) was borrowed and analyzed in a way that fits the text of the ruling. Through analys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ruling, some salient differences were found, although 'i, gue' are often interchangeable. 'i, gue’ has the basic function of referring the preceding word, and ‘i’ can refer the preceding word that is far from it, and can refer a wide range of preceding word. It also suggested that there is a unique distribution each only 'i' and 'geu.' These examples can be explained from the systemic functional grammar point of view that the writers, readers and topics that make up the text are combined to work. This revealed that the spatial perspective concept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and the operating principle of 'i, gue' divided into the speaker area and the listener area are also maintained in the written tex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properties of the distribution and function of 'i, gue’ in the written text.

      •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의 <쓰기> 영역 내용 검토

        김정자 ( Jeong Ja Kim ) 한국작문학회 2006 작문연구 Vol.0 No.3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이 고시된 지 약 십여 년 만에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이 진행되어 2007년 초 새로운 국어과 교육과정이 공시될 예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중 <쓰기> 영역에 설정된 내용을 내용 요소 체계와 학년별 내용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개정 시안의 내용 요소 체계는 ‘텍스트’ 층위를 내용 요소 체계의 상위에 두고 이러한 텍스트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지식, 기능, 맥락’으로 구분하여 영역의 하위 범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내용 요소체계의 변화는 분절적이고 기능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탈피하여 통합적인 국어 교육을 강조하려는 데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식’과 ‘맥락’ 범주의 내용을 체계화, 위계화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정의적 영역인 ‘태도’ 범주를 삭제한 것에는 문제가 있다. 개정 시안에서는 국민공통 기본 교육 기간 10년 동안 학생들이 <쓰기> 영역에서 학습해야 할 텍스트를 ‘텍스트의 유형’ 란에서 제시하고 있다. ‘텍스트의 유형’을 제안함으로써 학생들이 텍스트 수용과 생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언어 경험을 중심으로 학습목표와 학습 과제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유용하다고 본다. 그러나 텍스트의 유형 구분, 학년별·영역별 개별 텍스트의 설정 등에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개정 시안에서 학년별 내용은 ‘내용 요소 체계’의 ‘지식’, ‘기능’, ‘맥락’ 범주별 교육 내용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성취 기준’을 제시하고, ‘성취 기준’에 대한 ‘수준과 범위’, 성취기준별 ‘텍스트’와 ‘내용 요소’를 제시했다. 7차 교육과정의 <쓰기> 영역의 학년별 내용이 개별 기능으로 분절되어 제시되어 있음에 비애 개정 시안의 학년별 내용은 텍스트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구체적이고 통합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텍스트에 따라 <내용 요소>의 제시가 체계적이지 않으며 내용의 위계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으며, 성취 기준과 함께 지식, 기능, 맥락에 해당하는 세부 내용인 <내용 요소>를 4~5가지 명기함으로써 학습량 과다의 문제도 제기될 수 있다. 국어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다매체, 디지털 시대의 언어 사용 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것은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 중 하나였는데, <쓰기> 영역에서 매체관련 교육 내용은 작문 환경과 도구의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지어 제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과 틀 아래에서 교육내용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유형과 구조에 대한 제반 이론, 텍스트 생산 과정에 대한 정치한 연구, 학습자가 지니고 있는 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ocument system and contents of the new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essed on revising lately. This review is focused on the contents for the domain of writing in the tentative plan of revis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new curriculum four categories of learning elements are text, knowledge, skill, and context. The category and structure of learning elements is designed on according to important factors of text production. But some problems exist in systematization and grading contents of the knowledge category and the context category. In ``the type of text`` many texts are proposed according to purpose of language which students should be learn from first grade to tenth grade to improve their ability for comprehending and producing text. But the theoretical basis of text selection is lack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As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proposed contents by synthesizing of knowledge, skill, and context category. In the 7th curriculum the contents are proposed as the simple skill and the divided act. In the new curriculum the contents are proposed in the concrete and synthetic statements on the basis of text. Four or five ‘learning elements`` by an Achievement standard are stated. This might raise the excess of the volume of learning. And the contents for e-writing are insufficient.

      • KCI등재

        독일어 수업에서 텍스트문법

        권영숙(Yeong Sook Kw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2 No.-

        현대 외국어교육은 창의적이고 주도적인 글로벌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며 학습자의 의사소통역량(kommunitative Kompetenz) 및 언어행위능력(sprachliche Handlungskompetenz) 그리고 문화간 역량(interkulturelle Kompetenz)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외국어 교육현장에서는 행위 중심적(handlungsorientiert) 이론을 중심으로, 학습자가 수업을 통하여 외국어를 주도적이고 창조적으로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행위 중심적 언어역량 및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논문은 현재 한국 독일어 학습현장에서의 문법수업이 현대 외국어 교육목표와는 달리 여전히 문장 내 언어요소의 의미 및 활용을 주요 문법학습내용으로 다루고 있다는 안타까운 우리현실과 아울러, 이러한 문법 수업으로는 학습자들의 창의적이고 주도적인 의사소통역량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사실에서 독일어 문법 수업에서의 텍스트 문법의 활용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텍스트 문법은 일상 언어생활에서의 언어행위가 문어나 구어형식의 텍스트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구두나 문구로 작성된 정보구조체로서 텍스트의 특성 및 지시적 구조 그리고 언어표현수단들의 기능을 주요내용으로 다룬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언어학을 바탕으로 하는 텍스트 문법이, 학습자가 텍스트내의 구조적 그리고 내용적인 연관성을 인지할 수 있게 하여 학습자의 텍스트 수용(Rezeption) 및 산출(Produktion) 등의 행위 중심적 언어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텍스트의 구조적·내용적 지시구조 및 텍스트구성 원칙 및 언어표현수단들의 텍스트 기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Contemporary foreign language lessons enable learners to acquire new language skills and use them creatively through lessons based on the behavior-oriented theory. Furthermore, the language lessons improve the learner"s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and multi-cultural capacity. Grammar lessons in foreign language classes are no longer independent learning objectives, but have become the basic language resources necessary for the learner to express written or orally in a given dialogue context with suitable vocabulary. For example, in the test of "Goethe Zertifikat B1", which can be taken since in 2013, the structure of the text grammar is evaluated as a basic language resource for solving communication problems in writing and speaking. The evaluation of writing and speaking is assessed by four points of view: achievement of given tasks, coherence of writing, grammar and vocabulary. The result are given in grades from A-E, depending on how much grammar errors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xtgrammar and its application in German classes. The textgrammar based on text linguistics enables the learner to recognize the content relevance and structure within the text.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arner"s behavier-oriented language ability such as acceptance and calculation of the text. At first, we will examine the nature of textuality as a content unit of learning in German language education. Secondly, we will introduce text models that represent the theme development in texts such as themes and lemmas as “In-Language Strategies” that express the association of sentences within the text. Our third objective is to examine the language tools used to express the development of topics in text and their functions. This paper will conclude by suggesting some practical exercises related to the textgrammar, which can be used in actual classes to enhance learner’s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