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초급 한국어 쓰기 지도 제안 연구 : 학습자 요구 조사를 기반으로

        Wanvaja Suketsa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수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태국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고, 한국어 쓰기 수업에 대해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태국 내 대학교의 한국어과 졸업생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 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고 태국의 쓰기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3장에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수업에 대해 몇 가지를 제안하였으며, 그 제안을 토대로 쓰기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학생들이 쓰기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초급 쓰기 주제는 일상생활과 연관된 주제이다. 이는 학습자가 쓰기를 어렵게 느끼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학습자의 관심을 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쓰기주제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해서 정해야 하며,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 초급의 주제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 주제부터 시작하여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학문적인 글쓰기로 이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쓰기 수업은 한국인-태국인 교수가 모두 협동하여 이루어지는 수업 방식이 가장 이상적이다. 특히 초급반에서는 도입과 글에 대한 설명은 태국인 교수에 의해서 진행되고 실제 쓰기 과정과 숙제 점검은 한국인 교수의 지도 아래에서 운영하는 것이다. 쓰기 교재는 삽화가 들어있는 교재로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이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쓰기 교수 학습방법은 학습자 중심이고 과정 중심 그리고 문형 활용이 아닌 텍스트의 구성과 흐름 등을 중요시하는 텍스트 중심 교수 방식이 활용되어야 한다. 쓰기 수업 진행 시 반드시 모범 텍스트를 제공 해 주어야 하며, 아이디어 창출 과정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끼리 오류를 교정해 줄 수 있도록 하면서 마지막으로 교사가 오류 교정을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교수는 반드시 오류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해 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eaching methods in Korean writing for beginner Thai learners. In order to progress, the researcher first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writing in universities in Thailand and, in the second chapter, conducted a survey regarding the demand of learners about Korean writing. Next, the writing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odel are presented in the third chapt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First, to help the learn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writing, the class should start with a topic related to daily life to educate them that actual writing is not only for examination purposes but it can also be used in our general life. Second, beginner writing classes should be taught by both Korean and Thai teachers together because beginners need to understand the language’s structure and all of its components; these should be described to them in their mother tongue to facilitate understanding. Third, it is suggested that the learners use writing textbooks that focus on Thai learners, and that include many pictures, to encourage their learning motivation. The topics of writing should be considered to be at the learners’ level, which should start with those related to everyday life. Last, during the writing class, before giving an assignment, the teachers should present an example text and provide enough time so that the learners are able to gather their ideas for writing. Afterward, the teachers should give individual feedback on assignments and give as many explanations as possible about the discovered errors to help the learners clarify error corrections.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연구

        타나폰빠리깜신 ( Tanatporn Parikumsi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9 한국어와 문화 Vol.25 No.-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실현 양상을 분석한 연구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양상이 한국어 모어 화자, 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했을 때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 변인에 따른 불만스러운 상황을 설정하여 세 집단 간의 불만 평가, 반응 방식, 불평화행 유형 사용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 태국어 모어 화자 30명,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30명 총 90명으로 대상으로 서면 담화 완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사회적 변인인 사적 상황과 공적 상황, 사회적 거리, 권력에 따라 한국어 모어화자, 태국어 모어 화자,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세 집단이 불만 평가, 반응 방식, 불평 화행 유형 사용 양상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에 더 가까운 지 아니면 태국어 모어 화자에 더 가까운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세 집단 모두 불만 평가, 반응 방식, 불평 화형의 사용 양상 이 조금씩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의 연구 대상인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사회적 변인에 따른 반응 방식이 모국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지만, 불평 화행 실현 양상 대부분은 한국어 모어 화자처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유형 빈도는 항상 한국인과 태국인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불만을 표현해야 할 상황에 처했을 때 한국인에게 예의를 지키는 선에서 적절하게 불평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성이 있으며, 불필요한 갈등 방지하기 위해 한국인이 불평을 할 때 어떤 의도를 함의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ree groups on dissatisfaction assessments, response methods and complaint speech act type patterns and analyze them by setting up unsatisfactory situations according to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to see how the complaint speech acts are different when comparing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ai native speakers. This study has conducted DCT test of a total of 90 people to observe the differences of the groups on dissatisfaction assessments, response methods, and complaint speech act usage patterns among Korean native speakers, Thai native speakers, and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depending on social factors such as private and public situations, social distance and power, and see if Thai Korean-language learners are closer to Korean native speakers or Thai native speakers. As a result, it confirmed that all three groups were a bit different in their dissatisfaction assessments, respond methods and complaint speech act usage patterns.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ed that their response methods according to social factors were affected by their native language, but showed that they use most of their complaint speech act realization patterns similar to Koreans. According to the analysis, we can see that in many cases it i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complaint speech act patterns for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was in between Koreans and Tha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m to appropriately express their complaints while still being polite to Koreans when they face a situation where one needs to express dissatisfaction, and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conflicts, it is necessary to have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that what intensions speakers have when Koreans complain.

      • KCI등재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 분석 연구

        Patee, Isariya,Samipak, Wissuta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5 No.-

        This study explores the anxiety that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encounter when speaking Korean by identifying the different factors that lead to Korean speaking anxiety in Thai learners with low-level, intermediate-level and high-level Korean proficiency. The factors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communication apprehension, fear of teacher evaluation, fear of peer evaluation, anxiety related to practicing methods, and anxiety in Korean speaking class. After conducting a survey on 140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result suggests that low-level learners are not much affected by anxiety related to practicing methods, but rather significantly affected by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highly affected by fear of teacher 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anxiety in Korean speaking class. 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and high-level learners were found to have a high level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but they are not much affected by fear of teacher evaluation, peer evaluation, anxiety related to practicing methods, and anxiety in Korean speaking class. Moreover, this study also measured the level of anxiety in each question that is related to each of the five factors. The findings substantiate the types of anxiety factors that really affected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suggest that these factors must be handled so that the anxiety of the learners will subside. 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에 초점을 두고, 말하기 불안의 유형별로 초급과 중·고급 학습자가 어떠한 유형의 불안을 더 크게 느끼는지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말하기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따라 말하기 불안은 크게 “의사소통 관련 불안”, “교사 평가 관련 불안”, “동료 평가 관련 불안”, “한국어 말하기 연습 방식 관련 불안”, “한국어 말하기 수업 관련 불안”, 총 5가지로 구분된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총 14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불안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초급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 말하기 연습 방식 관련 불안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 평가, 동료 평가, 한국어 말하기 수업 관련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사소통 관련 불안은 다른 요인의 불안보다 더 높았다. 중·고급 학습자의 경우 의사소통 관련 불안은 높은 편이었으나 교사 평가, 동료 평가, 한국어 말하기 연습 방식 관련 불안, 한국어 말하기 수업 관련 불안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별로 태국인 학습자가 어떤 상황에서 높은 불안감을 느끼는지 문항별로 확인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태국인 학습자가 불안을 느끼는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불안이 높은 요인에 초점을 두고 불안감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A Study on Errors in Thai Learners’ Korean Usage by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윤경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0 東南亞硏究 Vol.20 No.2

        제 2언어 학습자가 목표 언어를 학습할 때에는 학습자의 머리속에 이미 모국어의 언어체계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필수적으로 목표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모국어의 특징을 목표어에 적용시키는 것을 전이라 한다. 현재의 학습에 도움을 주는 것을 긍정적 전이라 하고 이전의 지식이 현재의 학습에 방해가 되는 경우를 부정적 전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부정적 전이를 간섭이라고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목표로 하는 태국인 학습자들이 문법, 어휘, 그리고 구문상에서의 모국어 간섭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를 분석하여 오류의 원인과 양상 그리고 학습상의 문제점을 알아봄으로써 태국인 학습자들과 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조 분석(contrastive analysis)의 방법을 따랐다. 대조 분석은 두 언어의 음운론적, 형태론적, 통사론적 구조를 비교해서 두 언어 사이에 존재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봄으로써 언어를 학습하는 사람에게 어떤 점이 쉽게 습득되고 어떤 점이 습득되기에 어려운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 2 장에서는 한국어와 태국어의 음운 상의 차이점에서 오는 모국어 간섭에 의한 오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태국어와 한국어의 문장 체계에 따른 오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의 연구에서 태국인 학습자가 음운 환경의 차이에서 오는 발음 상의 오류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국어 자음 체계에서 평음의 음운 상의 특징을 이해하지 못하고 이에 대한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 그리고 모음 체계에서는 한국어의 자음과 이중 모음의 결합을 태국어의 음운 체계의 간섭으로 인해 겹자음의 형태로 받아들이게 되고 이에 따라 발음상 오류를 범하고 있다. 문장 체계에서는 주로 조사의 사용에 많은 오류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태국인 학습자들이 조사 사용에 익숙하지 못한 이유도 있고 한국어와 태국어의 구조 상의 차이에서 오는 모국어 간섭의 이유도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있어서 한국어 사용의 오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오류를 줄이고 보다 정확한 한국어 사용을 위해서는 두 언어의 대조. 분석을 통해 두 언어 간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익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적 거리와 지위에 따른 한국어 모어 화자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유도 화행별 비동의 화행 연구

        이혜원,김은정,윤영심,이명지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4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disagreement strategie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KNS) and Thai Korean learners(TKL) in response to specific types of preceding utterances depending on intimacy and social status. To this end, KNS and TKL were asked to complete a written Discourse-Completion Task(DCT) and their responses were cross analyzed with a multiple response analysis. We found that KNS used various strategies depending on the prior utterance and social variables to ease the burden of disagreement in conversation, however, TKL showed limited use of such strategies. In particular,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of disagreement strategies such as ‘declaration’ and ‘silence’—which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social context of the individuals in question—can lead to misunderstanding among interlocutors. Our research suggests that proper education for expressing disagreement in the classroom is needed to avoid misunderstandings. 본 연구는 유도 화행별로 사회적 거리와 지위에 따라 한국어 모어 화자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동의 화행 전략 차이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어 모어 화자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간 유도 화행별 비동의 화행 실현은 사회적 거리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한국어 모어 화자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간 유도 화행별 비동의 화행 실현은 사회적 지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TKL)와 한국어 모어 화자(KNS)를 대상으로 서면 담화 완성형 과제(DCT)를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다중반응 교차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거리에 따른 두 집단 간 유도 화행별 비동의 화행 실현은 대부분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던 것에 반해, 사회적 지위에 따른 유도 화행별 비동의 화행에서의 전략 차이는 크지 않았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 비동의 화행 시 상대방의 체면 손상 정도를 완화시키고자 유도 화행 및 사회적 변인에 따라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으나,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경우 제한적인 전략 사용 양상을 보였다. 특히 해당 학습자들의 사회적 맥락이 고려되지 않은 '단언하기' 및 '침묵하기' 등의 비동의 전략 사용은 대화 참여자들 간의 오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적절한 비동의 화행 실현을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과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동향

        한선경(Sun-Kyoung Han) 우리말학회 2023 우리말연구 Vol.72 No.-

        이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연구한 학위논문을 분석하여 동향과 내용을 파악해 봄으로써 태국인 학습자 연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대상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2001년부터 2019년까지의 석박사 학위논문으로 총 95편이다. 메타분석방법과 텍스톰(Textom)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태국인 학습자 연구에 나타나는 특징과 주요 내용을 살펴보았다. 메타분석 결과를 시기별로 살펴본 결과, 2013년~2016년 동안 가장 많은 학위논문이 배출되었고 주제(영역)별 분석 결과, 문법, 발음, 어휘, 말하기, 쓰기, 화행, 교재, 교육과정, 문학, 문화, 기타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연구방법 분석 결과는 실험과 설문조사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분석방법은 대조분석과 오류분석이 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어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빈도 분석, 연결중심성 분석, TF-IDF분석을 실시하고 N-gram값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시각화와 단어빈도를 바탕으로 에코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LDA토픽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10위 안에서 유의미한 키워드로 ‘분석, 사용, 표현, 태국어’가 추출되었다. 주목할 만한 연결중심성 키워드로는 빈도분석 결과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차이’가 추출되어 언어와 학습자 간 ‘차이’를 연구한 연구의 차별화를 추론할 수 있게 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ai learners’ researches and to seek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by analyzing degree papers on Thai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understanding current trends and contents. 95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rom 2001 to 2019 have been researched, targeting Thai learners. Using the meta-analysis method and Textom program, the characteristics and main contents of the study on Thai learner researches were examined. Subsequently, Frequency analysis, Degree centrality analysis, and TF-IDF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network visualization was performed based on N-gram values and eco-network analysis based on word frequency. Lastly, LDA topic modeling was conducted.

      • KCI등재

        태국인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어중파열음의 음향적 특성 연구 ― 모음 사이 초성 파열음을 중심으로

        박정은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79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word-internal plosives in the Korean language as pronounced by Thai learners. While analyzing the word-internal plosives, this study focused o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l plosives between vowels.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twenty Thai learners.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centered at the closure duration of voice onset time (VOT) and fundamental frequency (F0), and voicing of plain according to the phonation type. First, Korean subjects displayed the longest closure duration of word-internal plosive, followed by fortis, aspirated, and plain consonants. In case of Thai subjects, however, the closure duration of plain consonants was as long as that of fortis and the closure duration of the aspirated sounds were shorter than that of plain consonants. Next, word-internal plain consonants were voiced in 80% out of the total phonetic data in case of Korean subjects. Thai subjects exhibited lower voicing rate of 51%, indicating that only half of the word-internal plain consonants among the phonetic data is voiced. Korean subjects displayed a difference of VOT between aspirated and fortis consonants, however, in Thai subjects there was no evidence of such differences. Finally, Korean subjects displayed that plain consonants had a low F0, while Thai subjects display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s study, it was proven that Thai learners pronounce the Korean language without being abl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word-internal plosives of the Korean language.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F0 indicate that the Thai learners were unaware about not only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plain consonants, but also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fortis as observed from the results of the closure duration and VOT. 본 연구는 태국인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의 어중파열음의 음향적 특성을연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의 어중파열음 중에서도 모음 사이 초성 파열음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20명의 태국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발성유형별 폐쇄지속구간 및 VOT와 F0, 평음의 유성음 실현 여부를 중심으로 음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어중파열음의 폐쇄지속구간은 한국인의 경우 경음이 가장 길고 격음과평음은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태국인은 평음이 경음만큼 길고 격음이 평음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국인은 80%가 어중평음을 유성음으로 실현하였으나, 태국인은 51%로 한국인 화자에 비해 유성음 실현율이 낮았다. 또한 한국인은 격음과 경음의 VOT가 차이를 보였으나, 태국인들은 경음의 VOT 특성을 알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F0의 경우 한국인은 평음을 낮은 F0 으로 발음하는 데 반해, 태국인은 발성유형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태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어중파열음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채 발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F0의 결과를 통해 평음의 특성을, 그리고 폐쇄지속구간과 VOT의 결과를 통해 경음의 특성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태국인 근로자 대상 입국 후 단기 한국어 프로그램 개발 및 앱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이주희,정예린,Sotthianan Jeeranan,양지현,강승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2004년 고용허가제 시행 이후 매년 10만 명 이상의 외국인 근로자가 국내에 입국한다. 그러나 입국 후 이들은 불규칙적인 근무 시간과 지리적인 위치의 한계로 인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프로그램이 유학생, 결혼이주민을 위한 프로그램보다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도 한국어 학습의 방해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한국에 입국한 태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단기 한국어 프로그램을 개발 및 앱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 ‘한국어표준교재1, 2’를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기존 EPS-TOPIK 학습용 앱을 분석하였다. 셋째, 기존 교재와 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한국에 입국한 태국인 근로자 대상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이들의 요구를 살펴보았다. 이후 분석 결과를 토대로 태국인 근로자를 위한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앱에 적용하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소외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n 2004, more than 100,000 immigrant workers have been entering the country every year. However, after entering the country, they have difficulty learning Korean due to irregular working hours and limited geographic mobility. The relative lack of Korean language programs for immigrant workers compared to thos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marriage immigrants is also a hindrance to Korean language learning.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needs analysis and develop a short-term Korean language program for Thai immigrant workers who have entered Korea. To this end, three needs analysis were performed. First, the existing textbooks for immigrant workers, textbook for EPS-TOPIK was analyzed. Second, the existing EPS-TOPIK learning app was analyzed.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textbooks and apps, we surveyed Thai workers who actually entered Korea to examine their needs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ministry sought to develop a curriculum to design teaching requirements for Thai immigrant workers and use them in actual applications. In this manner, the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immigrant workers who have been alienated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s.

      • KCI등재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연구에 나타난 문법 오류 연구 고찰

        한선경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22 東南亞硏究 Vol.32 No.3

        This paper examined the grammatical error patterns of Thai learners of Korean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by analyzing academic papers and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that studied grammatical errors of Thai Korean learners. As a result of the integrated analysis, the grammar items that accounted for the most in error research topics were case particles, followed by tenses and connective endings. As for the research analysis method, error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with 17 cases, and contrastive analysis, and acquisition analysis were occupied. As for the error types of Thai learners, substitution type accounted for the majority, and there were many omission type. The error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were errors in the use and acquisition of case particles and auxiliary particles, past tense and future tense and errors in the use and acquisition of connective endings with similar meanings. The error due to Thai interference of mother tongue was the verb 'mii' error that required object particles(-eul/leul). In Korean, an adverbial particales(-ea/-eseo) including place meaning, future tense markers(-gess-, -(eu)l geosi-) including intention and supposition, and connective endings(-ko, -eoseo)with cause and order meaning have a grammatical category that can be translated into Thai, but the Korean meaning was more detailed, which could confuse Thai Korean learners. In particular, some case particles in Korean and Thai prepositions are often omitted, and the Thai language structure in which object cannot come to the first place in the sentence caused errors for Thai learners.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오류를 연구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41편을 살펴 태국인 학습자의 문법 오류 양상과 그 결과 해석을 살펴보았다. 오류 연구 주제에서 가장 많이 차지한 문법 항목은 ‘조사’였으며 ‘시제’와 ‘연결어미’가 뒤를 이었다. 연구 분석방법은 오류 연구가 17편으로 가장 많았고 해당 주제의 기술과 대조, 습득 분석이 이어졌다. 오류 유형은 대치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누락도 다수 나타났다. 한국어의 특징으로 인해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는 두드러진 오류는 격조사와 보조사 사용 및 습득 오류, 비슷한 의미를 가진 연결어미의 사용 및 습득 오류로 나타났다. 태국어 간섭으로 인한 오류는 목적격 조사 ‘-을/를’을 취해야 하는 동사 mi: 오류가 있었다. 한국어에서 장소 부사격 조사, 의도와 추측 의미를 포함한 미래시제, 계기와 순서 뜻을 가진 연결어미는 태국어로 번역할 수 있는 문법 범주가 있지만 한국어 의미가 더 세부적이어서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더 혼란을 줄 수 있었다. 특히 한국어에서 자주 일어나는 일부 격조사 생략 현상, 태국어 전치사 생략 현상, 문장 내 첫 자리에 목적어가 올 수 없는 언어 구조는 태국인 학습자에게 오류를 유발시켰다.

      • KCI등재후보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연구 -국내 편찬 교재를 중심으로-

        한선경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3 한국어문화교육 Vol.17 No.1

        본고는 한국 내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용으로 편찬, 출판된 교 재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교재 현황을 살핀 결과 1998년부터 2010년 까지 출판된 4권의 교재가 선정되었고 교재의 특징과 내적, 외적 구성 분석의 결과는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재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Korean textbooks published for Thai Korean learners in Korea.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extbooks, four textbooks published from 1998 to 2010, namely two conversation textbooks, one introductory book, and one Thai translation version, were selected. The characteristics, external composition, and internal composition of the textbook were analyzed. The external composition looked at the cover, illustration (picture/photo), etc., and the internal composition analyzed and compared the overall compositions of Text, the order of present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unit composition, topic, grammar, culture, and assignment performances of Tex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textbooks for Thai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