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문화를 통한 산업진흥정책 연구

        강성우(Kang, Sung-Wo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51

        본 논문은 문화가 “삶의 방식”에서 “창조적인 산업”이라는 경제적인 가치로 인식이 확장되었고, 이 시기부터 무형의 지식기반 산업이 유럽의 경제적 경쟁력을 높이는 활동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어 창조산업이 문화산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에 착안하여 일본의 문화산업을 분석한 것이다. 일본정부는 일본이 가진 문화와 가치를 산업으로 변화시키고, 일본의 주요 산업에 구조적인 변화를 추구하려고 한다. 일본의 정책 전개과정에서 문화정책에 관여하는 정부기관은 문화청, 경제산업성, 총무성, 외무성, 국토교통성 등으로 광범위하고 관계성청이 함께 대응하는 소위 “All Japan”체계로 진행하고 있지만, 본고에서는 문화와 산업화전략을 중심으로 경제산업성의 활동과 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특별히 2000년대 시작된 「쿨재팬」정책과 이를 바탕으로 문화를 일본의 주요 산업에 적용하여 문화산업을 진흥, 육성하기 위해 추진된 주요 정책인 「신일본양식(新日本樣式, Japanesque Modern)」과 「감성가치창조 이니셔티브(感性価値創造イニシアティブ)」를 주요 연구 주제로 설정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Japanese government initiated to promote cultural industries by implementing cultural policies. The Japanese government has paid attention to the restructuring of industries, which thereby enabled to promote the high tech and high value-added industries. For promoting the Cultural Policy, relevant ministries, such as the Agency for Cultural Affairs(bunkachō),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Sōmu-shō), Ministry of Foreign Affairs(Gaimu-shō),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Kokkō-shō) in the government have worked together, the so-called All Japan system, to seek an effective system of management. In particular, cultural industries as creative industries has come into the spotlight. The term “culture” was used to refer to as ways of life or values; yet, its meaning has been expanded beyond its original one. Culture is intertwined with economic values, so that the meaning of culture has become as a source of creative industries. ‘culture industry’ has been used to describe the commodification of culture.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policies of the METI(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Keizai-sangyō-shō). The METI has been promoting the creative industries by implementing cultural policies, such as “Cool Japan,” “Japaneseque Modern,” and “Kansei Initiative.”

      • KCI등재

        쿨재팬이 일본 영화산업 발전에 미친 영향

        강성우 ( Kang Sung-woo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9 No.-

        본고는 2000년대 일본영화산업의 약진에 대한 것이다. 1990년도에 사양길에 들어섰다는 진단을 받았던 일본영화가 2000년대에 들어서 내수 시장에서 관객 수와 흥행에서 “방고외저 (국내영화가 외국영화보다 수익과 흥행이 높아지게 된 현상)”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착안하여 일본 영화의 부활을 추적하기 위함이다. 일본영화산업은 1990년대 후반으로부터 2000년초반에 두 가지 의미있는 변화를 경험한다. 구조적인 변화(시네마 콤플렉스의 급증)와 제작방식 (제작위원회 방식)의 변화가 바로 그것이다. 두 가지 변화 모두 시장의 영향에 의한 것이고, 일본의 전통적인 영화생산과 유통 방식과 배치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전통적인 유통과 생산방식의 변화는 일본영화산업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 넣어주었다. 공교롭게도 일본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문화정책인 쿨재팬은 2000년대로부터 시작되었다. 이에 일본 영화산업의 동향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면서 2000년대 일본 영화의 부활의 배경을 살펴보고 아울러 쿨재팬으로 대표 되는 일본의 문화정책에서 영화 정책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한다. This paper intends to trace the reason for the resurgence of film industry in Japan in the 2000s. The film industry in Japan was in a severe recession in the 1990s; yet, it is increasing in popularity, not only in the international market but also in the Japanese market in the turn of 2000s. In order to examine the recent upsurge of Japanese films, this paper investigates changes of market structure (the emergence of cinema complex) and production environment (Japanese film production consortia). Also, the upsurge of Japanese films coincided with the Japanese cultural policies, as known as Cool Japan polices. Although the increasing popularity in Japanese films is not necessarily bolstered by the Japanese Cool Japan policies, the Japanese cultural policies in relation to film is still meaningful that they look toward the future of film industry.

      • KCI등재

        쿨재팬과 당면한 문제: 일본의 문화정책 분석

        강성우 ( Sungwo Kang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쿨재팬 이니셔티브 정책을 통해 일본의 문화산업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쿨재팬 이니셔티브는 음식문화로부터 패션과 같은 삶의 양식부터 애니메이션과 드라마 게임, 영화, 음악과 관광과 같은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포함한 일본문화에 산업적인 가치를 더한 일본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이후 장기침체를 경험한 일본은 일본 정부는 경제부흥과 산업구조의 변화를 꾀하고자 문화산업에 주목하여 진흥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국민총매력지수(GNC)가 높은 일본은 국가브랜드의 매력을 통해 부를 창출하는 소프트 파워의 경제모델을 만들어내고 있다. 하지만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쿨재팬이니셔티브는 엄청난 도전에 직면하고 있고, 일본정부는 이러한 도전들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ultural industries in Japan via Cool Japan initiatives. In order to stimulate its economy and transform the structure of industries, the Japanese government plays important roles in promoting cultural industries. The “Cool Japan” initiative refers to Japanese government’s strategy to promote Japanese culture and lifestyle into added value. However, in applying policies into practice, the Cool Japan initiatives encountered tremendous challenges, and how these challenges would be solved and overcome by the Japanese government still await answers.

      • KCI등재후보

        일본의 외래문화 유입요인으로 분석한 한류산업의 형성과 발전 연구

        박동렬(Park, Dong Rhyul)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우리나라 경제발전구조는 제조업중심의 수출주도형 구조로부터 시작하여 고부가가치 지향형 중화학공업 내지 개방형 자본-기술집약적 산업형태로 급속히 발전되어 왔다. 식민지 지배를 받은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첨단기술 집약형 산업구조를 갖게 된 한국경제는 21세기에 이르러 제3차 초부가가치형 서비스산업으로의 진입이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서비스 산업중에서도 국제경쟁력을 갖춘 IT산업과 더불어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가 국가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콘텐츠 산업은 한국경제의 기본이 되는 철강 산업 부문을 능가하고 있으며, 예상 밖의 이러한 한류산업의 형성은 직접적인 효과 이상의 시너지(파급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새로운 연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아시아문화의 유입에 폐쇄적인 경향이 보이던 일본이 어떻게 한류산업을 꽃피우게 되었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함에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일본이 외래문화, 특히 한류문화를 유입하게 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민족문화상품론, 경쟁우위론, 대체적 서브컬처론, 퇴줄-항의 이론에서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콘텐츠산업은 타국에게 자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게 하여 엄청난 파급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일본의 외래문화 도입형태를 영국이나 필리핀과 같은 다른 섬나라 국가와 구분하여, 일본인 내지 일본문화의 독자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근-현대사적 역사에서 볼 때 일본의 외래문화 유입은 구미 중심이었지만, 오늘날 일본은 아시아 문화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외래문화 다양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셋째, 일본의 콘텐츠산업의 발전현황을 케릭터나 애니메이션, 영화, 만화등 다양한 장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한국의 콘텐츠산업이 발전하게된 동기와 현황등을 소개하고, 한류산업이 성공하게된 요인을 서술하였다. 특히, 한국드라마인 경우에는 퇴출과 항의 이론에 근거한 분석을 시도했다. 마지막으로, 한류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을 제시함과 더불어, 일본에서의 한류산업의 발전을 위한 문제점과 금후의 전망등을 논하였다. This paper present the motive of importing Korean wave in terms of the theories of national cultural good, competitive superiority, alternative subculture and exit-protest as well.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a huge influence on making a foreign country introduce the products of another country. Secondly, this paper explains the Japanese form of introducing foreign culture. Formerly, Japan concentrates on introducing Western culture, however, today Japan is actively introducing other Asian culture and is making then the foreign culture in Japan more multi-national. Thirdly, this paper surveys the current situation of industries that deals with animation and movie characters. Fourthly, this paper introduces the rise and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nd discusses the factors which have led to its success. Also, the Korean drama industry is analyzed in terms of exit-protest theory.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vision of the Korean wave industry and discusses both it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우리나라 경제발전구조는 제조업중심의 수출주도형 구조로부터 시작하여 고부가가치 지향형 중화학공업 내지 개방형 자본-기술집약적 산업형태로 급속히 발전되어 왔다. 식민지 지배를 받은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첨단기술 집약형 산업구조를 갖게 된 한국경제는 21세기에 이르러 제3차 초부가가치형 서비스산업으로의 진입이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서비스 산업중에서도 국제경쟁력을 갖춘 IT산업과 더불어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가 국가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콘텐츠 산업은 한국경제의 기본이 되는 철강 산업 부문을 능가하고 있으며, 예상 밖의 이러한 한류산업의 형성은 직접적인 효과 이상의 시너지(파급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새로운 연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아시아문화의 유입에 폐쇄적인 경향이 보이던 일본이 어떻게 한류산업을 꽃피우게 되었는지를 연구해 보고자 함에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일본이 외래문화, 특히 한류문화를 유입하게 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민족문화상품론, 경쟁우위론, 대체적 서브컬처론, 퇴줄-항의 이론에서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콘텐츠산업은 타국에게 자국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게 하여 엄청난 파급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일본의 외래문화 도입형태를 영국이나 필리핀과 같은 다른 섬나라 국가와 구분하여, 일본인 내지 일본문화의 독자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근-현대사적 역사에서 볼 때 일본의 외래문화 유입은 구미 중심이었지만, 오늘날 일본은 아시아 문화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외래문화 다양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셋째, 일본의 콘텐츠산업의 발전현황을 케릭터나 애니메이션, 영화, 만화등 다양한 장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한국의 콘텐츠산업이 발전하게된 동기와 현황등을 소개하고, 한류산업이 성공하게된 요인을 서술하였다. 특히, 한국드라마인 경우에는 퇴출과 항의 이론에 근거한 분석을 시도했다. 마지막으로, 한류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을 제시함과 더불어, 일본에서의 한류산업의 발전을 위한 문제점과 금후의 전망등을 논하였다. This paper present the motive of importing Korean wave in terms of the theories of national cultural good, competitive superiority, alternative subculture and exit-protest as well.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a huge influence on making a foreign country introduce the products of another country. Secondly, this paper explains the Japanese form of introducing foreign culture. Formerly, Japan concentrates on introducing Western culture, however, today Japan is actively introducing other Asian culture and is making then the foreign culture in Japan more multi-national. Thirdly, this paper surveys the current situation of industries that deals with animation and movie characters. Fourthly, this paper introduces the rise and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nd discusses the factors which have led to its success. Also, the Korean drama industry is analyzed in terms of exit-protest theory.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vision of the Korean wave industry and discusses both it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 KCI등재후보

        일본 창조산업 정책의 동향과 시사점

        성미나,박아름,박치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5

        It has been over a year since Park Keun-hye administration announcedplans for creative economy. People have paid attention to the economicparadigm. Nevertheless, there are intention point and road-map of thepolicies in constancy. A road map suggested by the government hasfoundation based on idea, overseas expansion and increase of ability ofventure, medium and small business, and plans for economic growth basedon basic original technology. According to the suggestion, we can see thatdirection of the policies focuses on activation of a small scale of economicfield in which technology and foundation are emphasized. However, a question of whether these policies cover diverse fields thatare relevant to creative economy can be raised. In addition. it may be askedwhether in-depth approach and understanding to current circumstances ofeconomy are reflected in the road map suggested by the government. Incased of Japan, they take soft power to brand new driving force ofeconomy growth. Based on this, policies associated with creative industryhave been established and developed be getting to the core of the currentcircumstance in economy fields. In order to suggest what political endeavor is required for Korean creativeeconomy, this study draws implication, thoroughly analyzing the politicaltrend related to creative economy in Japan. 창조경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박근혜 정부가 이를 정책기조로 제시한 이래 1년이 흐른 지금까지, 그 지향점과 로드맵에 대해 의구심을 갖는 이들이 적지 않다. 로드맵을 구체적으로 보면 아이디어를 통한 창업, 벤처·중소기업의 해외 진출과 역량 증대, 기초·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성장 도모 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는 정책의 방향이 기술과 창업 중심의 소규모 경제 영역 활성에 집중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이 과연 창조 경제와 관련된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의문이 제기된다. 뿐만 아니라 정부가 제시하는 로드맵 속에 우리 경제의 현주소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과 이해가 녹아든 것인지도 의문이다. 반면 일본의 경우 장기불황을 벗어나기 위한 경제성장의 신 동력으로 소프트 파워를 인식하고 이를 중심으로 각 경제 영역이 안고 있는 현안들을 정확히 진단하여 정책을 수립·발전시켜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본의 창조산업과 관련된 정책의 동향을 심찰(審察)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해 한국형 창조경제의 수립과 실천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정부 차원의 조치들이 무엇인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일본 문화유산의 연속적 활용에 관한 연구- ‘군마 실크유산’과 세계유산, 일본유산 사업을 중심으로

        이정선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2 No.1

        In March 2015, The Agency for Cultural Affairs of Japan implemented a project called “Japan Heritage,” which aims to promote the unique narratives of cultural properties of the region by branding the locality for revitalization in preparation for the 2020 Tokyo Olympics and Paralympics. This bottom-up approach of cultural policy has been called a “Cool Japan Strategy of Cultural Heritage” in the 21st century, which effectively incorporates local cultural heritage and tourism. However, although a total of 67 Japan Heritage projects have been designated as of December 2018, almost none has been introduced in the academic forum in Korea. On the basis of this background and a lack of academic awareness in Korea on Japan’s recent cultural policies, this research aims to focus on the three cases of Gunma Prefecture implemented in local, global, and glocal aspects. To specify, the cases are the “Gunma Silk Heritage” project, implemented in 2011, the “Tomioka Silk Mill and Related Sites” project that was includ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2014, and “The Best Wife in the World - Silk Story of Gunma,” case certified as the first project of “Japan Heritage” launched in 2015. Based on the questionnaire method conducted with the World Heritage Registration Promotion Division in Gunma Prefectural Government, as well as a literature view,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consecutive implementation of a series of cultural heritage projects in Gunma is not coincidental, but rather a strategy aiming to create a synergism where each project complements the others. Moreover,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Gunma Prefecture has been utilizing the local silk industry as a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source in multi-layered heritage projects, resulting in a “spiral synergy effect” and a “chain of the recognition process.” In conclusion, it illustrates the recent trend of utilizing cultural heritage in the context of the Cool Japan strategy, which seeks to move away from the administration of maintaining the status quo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to a proactive one with greater potential growth. This research may thus provide meaningful insight into the utilization of domestic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s well as related policy-making, in that it will ultimately promote the chain effect of linking the multiple heritage policies and projects at the local, global, and glocal levels. 2015년 3월 일본 문화청은 2020년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개최까지 각 지역의 매력적인 유·무형 문화재를 종합적으로 활용하고 스토리텔링적 요소를 가미하여 홍보하는 ‘일본유산 매력 발신 추진사업(日本遺産魅力発信推進事業, 이하 ‘일본유산 사업’)’을 도입했다. 이는 문화청에서 표방하고 있는 21세기 “문화재판의 쿨 재팬 전략(文化財版のクールジャパン戦略)”으로, 지역의 문화유산과 관광을 효과적으로 접목한 하의상달식 문화정책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2018년 12월 현재까지 4회에 걸쳐 총 67건의 일본유산 프로젝트가 공식 인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학계에 소개되어 연구된 사례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 같은 배경과 일본유산 사업에 관한 국내 학술적 연구 부족을 전제로 본고는 군마현(群馬県)의 세 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011년 지역의 로컬리티 관점에서 출범한 ‘군마 실크유산(ぐんま絹遺産)’과 글로벌리티 관점에 서 2014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도미오카 제사장과 실크산업 유산군(富岡製糸場と絹産業遺産群)’, 그리고 글로컬리티 측면에서 이듬해 2015년 3월 최초의 일본유산 사업으로 인증된 “부인 천하 -군마의 실크 이야기-(かかあ 天下 -ぐんまの絹物語-)”의 스토리를 활용한 지역성과 세계성의 융합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각각의 유산 사업 간의 연계성을 논고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사업의 실무 부서인 군마현 기획부 세계유산과와의 서면 질의 및 문헌조사를 통해 군마현의 제각기 다른 일련의 문화유산 활용 사례는 결코 우연히 출범한 것이 아니라 서로를 보완하고 상승작용을 지향하는 전략임을 발견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군마현의 사례가 명주실과 비단산업에 스토리를 가미한 유·무형의 콘텐츠로 나선형 시너지 효과와 “인정의 연쇄”를 지향한 사실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본 사례는 쿨 재팬 전략의 맥락에서 “문화재 보호라는 현상 유지의 행정에서 더 나아가 성장성을 지닌 적극적인 문화행정으로서의 전환”을 모색하는 최근 문화유산 활용의 동향을 제시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지역적·글로벌·글로컬 차원의 중층적인 유산 제도와 사업을 긴밀히 연결시키는 연쇄사슬적 효과를 촉진한다는 점에서 국내 역사문화자원의 활용과 관련 정책 입안에 유의미한 통찰을 제공한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에서 ‘쿨‧재팬’의 현황과 전망 : 일본대중문화 개방 이후를 중심으로

        박용구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1 일본사상 Vol.0 No.21

        本稿では、日本大衆文化の開放により韓国内に流入したクール․ジャパンの現況と展望について文化産業的側面から考察する。研究範囲はクール․ジャパンのうち、開放対象に当たった「映画․出版(漫画)․アニメ․音楽․ゲーム․放送」とする。日本大衆文化の開放をめぐって韓国内では、クール․ジャパンが国内に入ると我々の精神世界を支配されるという文化的側面、我々の文化商品が枯死するという文化産業面から懸念する声が高まった。しかし、開放後10年余りたった現在、憂慮したほどクール․ジャパンが勢力を振るうことはない。むしろ、開放政策は禁止されていたクール․ジャパンの陰性的かつ違法的な国内流入を阻んだのみならず、韓流の対外競争力の強化にも役立ったという肯定的評価を受けている。それだけでなく、日本の競争力が遥かに高いアニメーションとゲーム分野においても市場蚕食の効果より市場拡大を通じ我が文化産業の発展可能性を高めるという見通しもある。その理由として、まず、‘韓日の不幸な歴史と関係の遠い分野、文化的価値が高い分野、競争力のある分野から軟着陸させるという政府の段階的開放の戦略がうまく働いた点があげられる。さらに、急成長した我が文化産業界の競争力、個別化したクール․ジャパンについての非好感、領土と歴史をめぐった両国の葛藤も原因の一つである。他方、本文では取り扱わなかった韓流ブームから生じた文化的自信感、圧縮高度成長を成し遂げた経済発展、自力で勝ち取った民主化に基づいて韓国社会がもはや模日から脫日へ向けている時代状況もあげられる。しかしながら、現在まで開放の失より得が際立っているものの、依然としてクールジャパンの潜在力は言い切れない。これからの行方は見つめるべきであ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