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컨버전스 관점으로 본 가전제품 디자인 특성과 동향 연구: 국내 가전사례를 중심으로

        정진수,이길옥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7 No.1

        Background Home appliances, which used to be called white appliances, have recently been making repeated attempts to stimulate consumer sentiment. Although diverse types of convergence are occurring in the industry from conceptual to functional and physical convergence, systematic and analytical studies that try to understand these phenomenons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base of convergence study related to home electronics products. Method First,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s home electronics and convergence design has been stud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Next, case studies were done to discover specific convergence phenomenons. Lastly, by apprehending the purpose and frequency of the phenomenons, the overall design trends were derived. Results 5 convergence types were derived: functional convergence between electronics, physical convergence between electronics, convergence between ICT technology, convergence between fashion, and convergence between furniture. According to the purposes, convergence in the home appliance industry could be classified differentl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discovering specific convergence phenomenons of modern home appliances and trends from the perspective. Concerning and applying different types of convergence will be needed within a home appliance design process. 연구배경 백색가전으로 불리던 가전은 최근 소비자의 감성 요소를 자극하기 위한 시도를 거듭하고 있다. 이때 ‘가전의 가구화’와 같은 개념적 컨버전스부터, 기능적, 물리적 컨버전스 등 다양한 유형의 융복합 현상이 가전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으나,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디자인적 연구가 미흡하여 본 연구를 통해 가전제품 영역에서의 컨버전스 관련 연구의 기초를 확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연구를 토대로 국내 가전의 역사와 컨버전스 디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사례 조사분석을 통해 가전제품의 디자인 요소와 특징을 파악하여 가전 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컨버전스 유형을 세분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컨버전스 현상의 목적과 빈도를 파악해 가전제품의 디자인 동향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가전 제품군 내 컨버전스 현상은 가전 간 기능적 컨버전스, 가전 간 물리적 컨버전스, ICT 기술과 컨버전스, 패션과 컨버전스, 가구와 컨버전스 총 다섯 가지 유형이 관찰되었으며 가전의 지능화, 맞춤화 그리고 경험 확장의 목적에 따라 그 구분을 달리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현대 가전의 디자인적 이해를 돕기 위해 가전의 컨버전스 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동향을 살펴본 데에 의의가 있다. 가전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서 컨버전스라는 디자인 수단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다양한 컨버전스 현상을 복합적으로 고려 및 적용하려는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컨버전스 제품의 사용자 가치 탐색 ‑ 컨버전스 가전을 중심으로

        양서희(Yang, Seohee),류한영(Ryoo, Hanyo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1

        연구배경 최근 가전 업계에서는 산업, 기술, 제품 간 영역의 경계를 허물어 하나의 가전으로 수렴한 컨버전스 제품을 다수 출시해 오고 있다. 초기에 등장한 컨버전스 제품의 원동력은 과학 기술의 발전이었다. 그러나 컨버전스 제품은 점차 기술의 발달뿐만이 아니라 인간, 그리고 환경과도 상호작용하며 발전하고 있다. 특히 최근 가전 업계는 이같이 확장된 컨버전스 제품의 패러다임을 잘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점차 확장되어 가는 컨버전스 제품을 디자인할 때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용자 가치가 무엇인지를 컨버전스 가전을 중심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먼저 컨버전스 제품과 사용자 가치 유형에 관련한 문헌을 고찰하여 컨버전스 제품의 확장에 따른 사용자 가치 탐색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문헌 고찰과 사용자 조사를 바탕으로 사용자 가치를 도출하기 위한 설문에 활용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상에서 개발된 문항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컨버전스 가전에 대한 사용자 가치를 도출하고, 각각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조사 결과, 도출된 컨버전스 가전에 대한 사용자 가치는 효용성, 혁신성, 조화성, 소통성, 당위성, 고유성, 관리성으로 총 7가지였다. 이는 컨버전스 가전이 (1) 다른 일반적인 제품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효용 가치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2) 새로운 기술, 기능, 가치 등을 토대로 기존 가전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혁신을 사용자에게 어필할 수 있어야 하고, (3) 배치될 외부 환경 및 제품 내부적으로 조화로워야 하며, (4) 시스템 이해와 더불어 좀 더 확장된 소통의 가치를 포함해야 하고, (5) 무차별적인 결합이 아닌 합리적인 결합을 전제로 해야 하며, (6) 기존의 가전 경험을 포함하는 친숙함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하고, (7) 관리에 용이하고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확장된 정리정돈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결론 본 연구는 컨버전스 제품이 점차 새롭게 확장되어 가는 시점에서, 컨버전스 제품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용자 가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 고찰과 사용자 조사를 진행하여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이상에서 개발된 문항을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컨버전스 가전에 대한 7가지의 사용자 가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컨버전스 가전에 대한 사용자 가치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이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Recently, the appliance industry has been releasing a number of convergence products. The driving force behind early convergence products was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Convergence products, however, are increasingly being developed not only by technology but also by interacting with humans and the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appliance industry shows the paradigm of convergence products that have been expanded recent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ser value to consider in order to provide a successful user experience when designing ever-expanding convergence product, focused on convergence appliance. Methods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literature on convergence products and user value to identify the need for user value exploration as convergence products expand. Next, it developed a questionnaire that can be utilized in the survey to derive user valu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user research. After conducting the survey based on the above-developed questions, it conducted a factor analysis to derive user value for convergence appliance and examined their implications. Result As a result of survey, seven user values for convergence appliance were derived: utility, innovation, harmonious, communication, justification, uniqueness, and manageability. This means that convergence appliances should: (1) be able to provide utility value to users like any other common product, (2) appeal to users to innovations, (3) be internally harmonized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product in which they will be deployed, (4) include a more extended value of communication with system understanding, (5) be reasonable, not indiscriminate combination, (6) be able to convey familiarity that includes existing home appliance experiences, and (7) be easy to manage and hygienic, as well as supporting extended cleanup. Conclusion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user value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user experience design of the convergence product at a time when the convergence product is gradually expanding. To this end, it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and user research to develop questionnaires, and conducted factor analysis based on questions developed in the above. As a result, seven user values for convergence appliance were deri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explored the user value of convergence appliance and laid the foundation for user experience design of convergence appliance.

      • KCI등재

        컨버전스 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한 디자인 콘텐츠 발전방향 연구

        유성호 ( Sung Ho Yu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4 No.-

        본 연구는 컨버전스 디자인의 이해와 응용분야에 대해 선행연구를 하였고 디자인이 타 분야와 어떻게 융합하여 새로운 콘텐츠로 적용되었는지에 대한 사례분석과 컨버전스 디자인 트랜드 보고서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컨버전스 디자인의 트랜드와 발전 방향을 예측해보고 디자이너들의 대처 방안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컨버전스 디자인은 고령화 사회로 인한 유니버셜화, 여성 지위 향상에 따른 여성취향화, 에너지 효율이 높은 디자인, 웨어러블 형태, 센서기술 및 IT기술이 적용된 형태 등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또한 컨버전스 디자인의 영역이 점점 넓어지고 역할 또한 커지고 있으며 디자인 분야가 타 산업과 연계될 때 좀 더 창의적이고 혁신 적인 디자인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므로 디자이너들은 항상 새로운 기술과 타 분야를 포용하며 학습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디자이너들은 새로운 가치를 부여 할 수 있는 타 분야의 기술이나, 서비스, 새로운 아이템들을 찾아 좀 더 새롭고 큰 시장,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나가도록 준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evious researches on convergence design, case analysis, and reports on convergence design trend comprehensively to predict the trend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convergence design and studied the ways for the designers to cope with it.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onvergence design is developing in the following directions: universalization caused by aging society, female-oriented trend due to the elevated status of women, high energy-efficient design, wearable design, and design in which sensor and IT technology are applied. Also, with the area and role of convergence design expanding, more creative and innovative design is possible when the area of design is combined with other industries. Since this trend also gives an opportunity to create new service, designers need to study how to embrace new technology and other areas. Designers need to try hard to create a new and large market and eventually a better future through finding new service, items and technology from other areas that can create new values.

      • KCI등재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 표현특성 기반의 가습기 및 다리미 겸용 제품 디자인 개발

        박서현,유상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and to designing a convergence product for humidifier and iron. For this purpose, first, characteristics of major expressions of digital convergence were derived through case study. Secon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opinions on the need and functions of convergence applianc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collected, analyzed, and specific design targets were selected. Third, we analyzed the present statu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related product functions selected in the preliminary survey. Fourth, based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case studies and preliminary surveys, three designs for convergence products were derived. Fifth, the general presentation characteristics for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and the preferences for the three types of convergence design proposals with specific target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convergence product are expressed by the analog interface, the digital interface, and both mixed interfaces in terms of convenience in use.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formative union, it is divided into parallel union, mixed union, and fusion union.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product that the subjects conceptually prefer are the combination of digital interface-applied fused configurations. However, when the design proposal for convergence of humidifier and iron combined product is presented in detail, it can be seen that the combining function and usage characteristics are taken into account. The final selected humidifier and iron combined product was applied with digital convergence representation with mixed binding and mixed interface, which reflects the value and benefits sought by users, such as exposure of heating parts and the use of hot steam, efficiency of water filling, etc. Thus, for the application of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reasonable convergence products, specific use environments and user needs of products subject to convergence should be identified and developed.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표현특성을 고찰하고 가습기 및 다리미 겸용 컨버전스 제품 디자인을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사례조사를 통하여 디지털 컨버전스의 주요 표현특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예비조사를 통하여 1인 가구의 컨버전스 가전제품의 필요성 및 기능에 대한 의견을 수집 분석하고 구체적인 디자인 대상을 선정하였다. 셋째, 예비조사에서 선정된 결합 대상 기능들의 유관제품 현황 및 표현특성을 분석하였다. 넷째, 사례조사 및 예비조사를 통해 도출한 표현특성을 바탕으로 컨버전스 제품 디자인 3개 시안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일반적인 표현특성과 구체적 대상이 적용된 3종의 컨버전스 디자인 시안에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표현 특성은 첫째, 사용 편익 관점에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와 디지털 인터페이스 그리고두 가지 모두 탑재된 혼합적 인터페이스로 표현된다. 둘째, 조형 결합 관점에서 병렬적 결합조형과 혼합적 결합조형 그리고 융합적 결합조형으로 구분된다. 조사결과 피조사자들이 관념적으로 선호하는 컨버전스 제품의 표현특성은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융합적 조형의 결합이지만, 구체적으로 가습기 겸용 다리미의 컨버전스 디자인시안을 제시하였을 때에는 결합하는 기능과 사용 특성 등을 고려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종 선정된 가습기 겸용스팀다리미 디자인은 혼합적 결합 조형과 혼합적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디지털 컨버전스 표현특성이 적용되었으며, 이는 발열부 노출 및 고온의 스팀 사용, 물 채움의 효율성 등과 같은 사용자가 추구하는 가치와 편익이 반영된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합리적인 컨버전스 제품의 표현특성 적용을 위하여 컨버전스 대상 제품의 구체적인사용 환경 및 사용자 니즈 등을 파악하고 반영하는 디자인 전개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

        태양광 방음벽 디자인 분석 및 CIGS기반 가설방음벽 디자인 개발 연구

        오준호,고지윤,남원석,장중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방음벽은 소음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소음으로부터 주거 시설이나 공공시설 등 주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소음억제 시설을 의미하며, 소음억제를 위해서 시설 환경을 구성할 때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소음억제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높이가 필요해 주변 환경의 조망권, 일조권 방해뿐만 아니라 도시미관에 상당한 저해요소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태양광 방음벽에 대한 설치환경과 기능에 따른 디자인 분석을 실시하고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CIGS 박막 태양전지를 이용한 모듈형 방음벽을 디자인 개발해 방음벽이 지니고 있던 조망권, 일조권 방해 및 미관 저해요소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고 방음벽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분석으로 분석 기준이 될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선정된 디자인 분석 기준에 따라 국내외 태양광 방음벽 디자인의 심미성과 환경에 따른 기능요소를 분석하였다. (결과) 외관 형태는 혼합형 3종과 단일형 2종이었으며, 복합 기능이 가능한 혼합형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태양광 전지 소재는 대부분 불투명 실리콘으로, 짙은 파랑계열이었다. 불투명성과 어두운 색상은 시각적으로 자유로운 색상 활용이 어려움을 보여주며, 보행자 시야를 차단하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안이 요구되었다. 방음벽의 구조는 모두 직립형으로, 구조적으로도 단일종은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적응력이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방음벽이 설치된 설치 환경은 대부분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실제 공사현장이나 생활환경 기반의 분석이 부족하고 제한적이었으며, 기능 측면에서는 대부분 기본적인 에너지 생산 기능과 방음 기능만 갖추고 있었다. 또한 유지 및 보수 측면에서는 효율적인 설치 편의성과 생산 비용을 중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실제 공사 현장을 선정하여 설치된 방음벽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3D 디자인 도구인 라이노 및 그래스호퍼를 이용해 패러메트릭 기법으로 방음벽을 디자인 개발하였다. 연구 분석한 내용 및 개발된 디자인 결과는 3D 렌더링 도구 및 코드 기반의 분석 도구를 이용해 디자인 평가 및 실험을 진행하여 향후 생활 공간을 중심으로 태양광 방음벽을 디자인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디자인 분야에 나타난 매시업(Mash-up) 표현 연구

        이수철(Soo Cheol Rhee),김주연(Joo Yeo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최근 디지털 시대를 맞아 컴퓨터와 온라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새로운 트렌드가 생겨나고 있으며, 인간의 보다 편리한 생활을 추구하는 미래지향적 개념으로의 발전이 기술적으로 많은 기능의 융합을 가능하게 한다. 그 중 융합의 의미를 갖는 매시업(Mash-up) 개념을 정의, 분석하고 디자인 분야에서의 사례를 조사하여 디지털과 디자인의 융·복합에 대한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을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트렌드 및 매시업에 관한 보고서, 전문학술지 등 매시업 사례 분석 자료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의 연구범위는 매시업의 개념 및 융·복합 트렌드들의 고찰, 매시업 개념이 적용된 시각, 섬유·패션, 제품 디자인 영역과 예술작품 및 디자이너에서 나타난사례 분석에 대해 연구범위를 설정하였다. 그 결과 매시업의 개념은 기술과 산업, 공학, 라이프스타일,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를 결합시켜 사용자와생산자, 시간과 공간을 아우르는 새로운 차원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여러 분야에서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매시업의 가치는 이제 시작이라는 점에서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연구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디자인 분야에서 매시업 된 사례를 시각, 섬유·패션, 제품디자인과 예술작품 및 디자이너로 분류, 분석한 결과, 시각디자인 분야에서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발달로 인해 기존의 서비스인 지도(Map)와 결합되어져 인간의 라이프스타일을 실시간으로 파악가능한 비즈니스가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소셜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표현되어 생성된새로운 비즈니스의 시작임을 알 수 있다. 섬유·패션디자인 분야에서는 의식주에서의 단순한의복의 형태나 기능을 떠나 개인화된 일상을 표현한다. 일상적인 관습이 자유로운 문화의 변화에 의해 융합, 절충되고 즐기고 표현하는 인간의 감성 표현이 새로운 스타일과 기능을 갖는 디자인으로 나타난다. 제품디자인 분야에서는 기술과의 융합이 제일 눈에띄게 나타나며 과거의 감성을 재현하는 기술, 편리함을 넘어서 사용자의 새로운 생활 패턴을 만들어 내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술작품에서는 다양한 소재와 기술의 매시업으로 예술로써의 미학을 기본으로 작품이 시대의 일부로써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현 시대를 보여주는 디자인으로 승화된다. 예술의 각 분야를 넘나들어 표현되는 작품들은 인간의 문화와 감성, 시간과 공간을 매시업하여 디지털 기술에 따라 물질적 편리함으로 훼손될 수 있는 인간 본성을 디자인에 대한 감성과유희로 서로 조화시켜 정서적, 정신적 안정을 줄 수있으며 만족한 삶의 질을 갖게 한다. 지금은 디지털 매시업 트렌드가 시작하는 첫 단계이기 때문에 무조건 혁신적이고 유희적인 디자인 보다는 기능에 맞는 컨셉을 지니고 사용자에 충분한 배려가 되며, 디지털 기술의 멀티미디어적 환경을 수용할 수있는 기술력을 갖춰 부가적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디지털 융합 디자인에 의한 디자인 산업의 기반을 더욱 탄탄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드는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A new trend has been emerging based on the computer and on-line network in line with the digital age and the development towards the future oriented concept for pursuing more convenient life of human facilitated the convergence of diversified functions technically.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creating new business for the fusion and convergence of digital and design through defining and analyzing the concept of mash-up implying the meaning of convergence and investigating the cases in design field. The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ferences such as the reports about trend and mash-up, papers about case analysis by mash-up, and to ewview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periodicals, book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cope of this study covers the concept of Mash-up, the study of convergence trends, and the case analysis on visual, textile, fashion, and product design, artworks and designer based on applying the concept of Mash-up. In result,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ncept of mash-up sets forth the possibility of new dimension across the user, producer, time and space through combining the diverse field such as the technology, industry, engineering, lifestyle and design. The value of mash-up which has been positioning as a global trend in many fields has a value for studying as well as it is interesting in the viewpoint of commencing from now on. It was found that the business which can identify the human lifestyle in real time has appeared in combination with the map of traditional service owing to the development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in the visual design part from the analysis on the case of mash-up in design field by classifying into the vision, textile, fashion, product design, artworks and designer. The individualized daily life is expressed apart from the shape and function of simple clothes from the necessities of life in the textile-fashion design part. The daily custom has combined and compromised by the change of free culture and the human emotion expression of enjoying and expressing is appeared as a design with new style and function. The convergence with the technology is appeared as the most distinctively in the production design part and it is visible to make the new life pattern of the user beyond the technology and convenience which realizing the emotion of past time. Finally, the works are sublimated into the design showing the current age which can represent the culture as a part of the time based on the various materials and aesthetics as an art by the mash-up of diverse material and technology. The artworks which are expressed crossing over the each part of the art may deliver the emotional and mental stability and facilitate to have the satisfactory quality of life through harmonizing the human nature which can be impaired with the materialistic convenience due the digital technology into the emotion and play for design together. The expectation of additional synergy effect by equipping the technology competence to accept the multi media environment of digital technology which considers the user fully with the concept to the function rather than the unconditionally innovative and playful design since now is the first step of starting the digital mash-up trend will harden the base of the deign industry with digital convergence design and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play the key role to make new business as well.

      • KCI등재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컨버전스와 디자인 연구

        노찬숙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3

        Modern society has been represented in a digital civilization, even in real life digital is becoming the essential part of human life. Of course, there exist a positive function and dysfunction of the digital life at the same time, which brings a variety of effects on human life. And the technology that is based on humanism, such as universal design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se technologies have the goal of coordinating the opposing aspects of the digital life to which they can bring convenience to human life. Also the convergence or fusion is the most important topic of the digital age as of now. This is because we want to create the technology for a better life through exchanges and convergence with other sectors in all areas, including the design as well as engineering. As of now digital convergence has created a useful devices to life by a variety of ways. In other words, digital convergence is the fusion of media, contents and digital technology based on the people-oriented thinking. This fusion phenomenon is taking place in every field, and it is not too different in design disciplines. This study is primarily to investigate about the digital related design through fusion appeared in the design field in this present digital convergence era. It discusses the transition and change in culture in the digital age, as well as changes in digital convergence and design. And finally discusses the types of convergence in current design which appears through the actual case studies. 현대사회는 디지털 문명으로 대변되고 있으며, 실제 생활 속에서도 디지털은 인간 삶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물론 여기에는 순기능과 역기능이 동시에 존재하며, 인간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가져오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양방향적인 측면을 조율해 인간 삶의 편의를 만들고자하는 목표로써 유니버설 디자인과 같은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하는 기술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와 함께 디지털 시대에서 대표적으로 중요시되는 것이 컨버전스 이다. 이는 공학뿐만이 아니라 디자인을 비롯한 전 분야에 걸쳐 타 분야와의 교류와 융합을 통해 보다 나은 삶을 위한 기술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기도 하다. 현재 진행형으로써 디지털 컨버전스는 지금도 다양한 방식으로써 생활에 유용한 기기(器機)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는 인간 중심의 사고를 바탕으로 미디어와 콘텐츠, 그리고 디지털 기술의 융합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융합 현상은 각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디자인 분야 역시 다를 것이 없다. 본 논문은 디지털 컨버전스로 대변되는 현 시대에 디자인 분야에서 나타나는 융합을 통한 디지털 관련 디자인들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디지털 시대로의 전이와 문화의 변화와 디지털 컨버전스와 디자인의 변화를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실제 사례조사를 통해 현재 나타나고 있는 컨버전스 디자인의 형태에 대해서 논의하려 한다.

      • KCI등재후보

        디자인산업의 미디어 생태 변화와 실무 사례

        최소현,정혜욱 한국영상학회 201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9 No.4

        본 논문은 특별히 진화하고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사회를 되돌아보며 디자인 산업 부분에서의 생 태계의 변화 양상을 짚어보고자 한다. 미디어 그 자체의 고유한 특성이나 힘에서 비롯되는 영향력에 앞서 미디어 간의 융합 그리고 그것이 만들어내는 제2, 제 3으로 확장되는 요인들이 어떠한 변화의 흐름 속에 서 장단점을 창출하고 있는지에 주목했다. 디자인 생태계는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확장과 컨버전스 (convergence)로 인해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서 글로벌 네트워크를 창출하며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가고 있 으며, 미디어의 발달은 생산과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을 1인 체제로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디지털 생산 환경을 열어나가고 있다. 이로 인해 생산자와 소비자의 구별은 모호해졌고, 시공간의 초월은 개인의 영역 과 자유를 침해 할 만큼 새로운 개념의 구속을 낳고 있다. 어느 때보다 미디어와 인간의 우호적인 상호작 용을 고려해야 할 때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모션그래픽 디자인의 시각 정보 표현과 정보전달 장점에 관한 연구

        마효욱,신인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3

        디지털 기술로 인해 미디어의 발전과 디지털 기술의 혁신, 정보전달 형식에 변화가 생겼고, 날로 증가하는 심미적 욕구에 따라 모션그래픽 디자인도 끊임없이 혁신하고 있으며, 다양하고 다양한 동적 카테고리와 동적 표현 형식은 정보를 받아들이는 방식을 즐거운 경험으로 만들었다. 본문은 시각적 표현 및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모션그래픽 디자인의 정보 표현 과정과 전달 방식을 분석하고, 디지털 미디어 영역의 모션그래픽 콘텐츠의 표현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그 흐름과 응용 가치를 탐구했다. 모션그래픽 디자인은 정보전달 언어로서 정보에 대한 수용 방식, 정보전달, 사고의 업데이트를 조용히 변화시키고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느낌을 주고 있다. 또한 다차원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시각적 흥미를 높이고 정서적 교류를 증대시키고 있다. 모션그래픽 디자인은 새로운 기술, 새로운 미디어에 적응하는 새로운 시청각언어 규칙을 선보일 것이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은 모션그래픽의 시각적 언어 표현의 차원과 깊이를 확장하고 새로운 미디어의 새로운 방식을 결합하여 창작함으로써 여러 감각이 협동하여 정보의 커뮤니케이션을 완성하며, 상호 작용과 몰입식 체험 등의 방식을 융합하여 정보의 전달와 소통을 가속화 시켰으며 현대 시각 영역의 관건이 된 부분이기 때문에 모션그래픽 디자인 언어와 정보전달 방식을 연구하는 것은 현실적인 의의가 있다. Due to digital technology,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development of media, innov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form of information delivery, and motion graphic design is constantly innovating according to the ever-increasing aesthetic desire. made it an enjoyable experience. This study analyzed the information expression process and delivery method of motion graphic design for the purpose of visual expression and information delivery, and explored the flow and application value by analyzing the expression method of motion graphic content in the digital media area. Motion graphic design, a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language, quietly changes the way of receiving inform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updating of thinking, giving users a more intuitive feeling. In addition, it provides a multi-dimensional experience to increase visual interest and increase emotional exchange. Motion graphic design will introduce new technologies, new audiovisual language rules that adapt to new media.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expands the dimension and depth of visual language expression of motion graphics and combines new methods of new media to create and cooperate with multiple senses to complete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o converge methods such as interaction and immersive experience. This accelerated the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nd since it is a key part of the modern visual field, it is meaningful to study motion graphic design language and information delivery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