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연계형 중국어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 사례 연구

        이지원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4 중국어교육과연구 Vol.0 No.42

        본 연구는 대학 유연 학기로 진행된 중국어 P-실무프로젝트 수업에 지역사회 연계형 캡스톤디자인 교육을 적용하여 수업을 설계 운영하고, 참여 학습자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캡스톤디자인을 적용하여 지역공동체에서 필요로 하는 학습 결과물을 만드는 중국어 P-실무프로젝트 수업은 수업 도입 단계, 프로젝트 수행 계획 및 준비 단계, 프로젝트 결과물 제작 단계, 프로젝트 결과물 발표 및 평가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캡스톤디자인 교수법을 중국어 전공교과목인 P-실무프로젝트 수업에 적용하고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업 만족도를 설문 조사하여 교육효과를 확인하였다. 설문 문항의 내용은 크게 캡스톤디자인 수업방식에 대한 만족도, 캡스톤디자인 수업 진행에 대한 만족도, 캡스톤디자인 학습 성과에 대한 만족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5문항이다. 평가 문항을 살펴본 결과 본 수업은 전반적으로 우수하다는 평가가 나왔으며 특히 캡스톤디자인 수업 진행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본 수업은 학습자 개개인의 작업이 아니라 철저하게 협력 학습을 통해 진행된다는 점에서 협업을 기반으로 한 팀 학습에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 Chinese project course in a university flexible semester by applying community-based capstone design education,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The Chinese P-Project class, which applies capstone design to create learning outputs needed by the local community,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tages: class introduction, project planning and preparation, project output production, and project output presentation and evaluation. In addition, this study applied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method to the P-Project class and surveyed learners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mainly composed of satisfaction with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with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proc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capstone design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questions,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class was very good, especially the satisfaction with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process. Since the course is a thoroughly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 rather than individual work, it is clear that the learners are satisfied with the collaborative team learning.

      • KCI등재후보

        3-Tier 캡스톤디자인 : SW 개발 캡스톤디자인 사례 연구

        오형준 ( Hyungjun Oh ),김준형 ( Junhyung Kim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0 창의정보문화연구 Vol.6 No.3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공학 분야에서 SW 개발 중심의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의 사례를 제시하고 해당 사례를 통한 3-Tier 캡스톤디자인 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공학계열의 학과들이 대부분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운영하고 있으나 많은 경우 졸업학년도에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경우 팀 프로젝트 수업 운영에 따른 협업과정과 함께 실제 코딩을 하고 구현을 하는 과정에서도 애로사항을 겪고 있지만 이러한 어려움 이전에 구현 가능한 아이디어의 도출과 검증 및 아이디어의 구체화 과정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캡스톤디자인의 운영과 성과 창출을 위해 졸업학년도 이전 2학기에 학생과 교수, 산업체 인사의 멘토가 함께 진행하는 아이디어톤 경진대회 등을 통해 아이디어 도출 및 구체화 과정을 거치고 졸업학년도 1학기와 2학기에 거쳐 해당 아디이어의 고도화와 도출된 아이디어의 실제 구현 및 구현에 대한 고도화를 진행할 수 있는 3-Tier 캡스톤디자인 모델을 제안한다. In this study, the case of capstone design course operation for the execution of SW development-oriented projects in the field of computer engineering is presented, and a 3-tier capstone design model is proposed through the case. Recently, most engineering departments operate capstone design classes, but in many cases, capstone design courses are generally operated in the graduation year. Students taking these capstone design cours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actually coding and implementing together with the collabo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team project class operation, but before these difficulties, derivation and verification of possible ideas and concrete ideas It is showing mor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In this study, in order to efficiently operate the capstone design and create results, in the second semester prior to graduation, students, professors, and mentors from industry mentors will work together to develop ideas through an idea tone contest, etc. Through the second semester, we propose a 3-tier capstone design model that can advance the idea and actual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derived ideas.

      • KCI우수등재

        지역사회협력 기반 문헌정보학 캡스톤 교과목 개발과 운영에 관한 연구 - 휴먼라이브러리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21세기 학습 기술 강화를 중심으로 -

        이지수 한국문헌정보학회 202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7 No.2

        This case study reports on the redevelopment of a course, Local Culture Information Theory offered by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t C University, into a capstone design course using a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In collaboration with a local community youth organization, the redesigned course provided an opportunity for LIS students to develop and implement a digital literacy program that enabled high school students to use a variety of digital multimedia technologies to complete a project of digital Human Library featuring video, audio, and digital are such as webtoons.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5 students and 3 staff from partner organizations, this study reports on course development process, the establishment of local partnerships, project outcome, as well as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In addition,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interview responses using the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P21) found they developed and improved 11 skills across three core areas: life and career skills including self-direction, project management, collaboration with diverse teams, flexibility, responsibility, leadership; learning and innovation skills includ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problem-solving,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and information, media, and technology skills through media creation. Lessons learned and recommendations from this case study may be useful for other LIS programs and faculty interested in implementing project-based learning or developing capstone design courses. 본 연구는 C대학교 문헌정보학과에 기개설된 <지역문화정보론> 교과목을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을 활용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으로 구성하여 운영한 사례에 관한 연구이다. 해당 교과목에서는 지역사회 청소년 특화기관과 연계하여 지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을 수행하고 휴먼라이브러리 콘텐츠를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진행하였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수강생 5명과 협력기관 업무담당자 3명과의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개발과 운영의 특징 및 성과를 보고하고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또한, 21세기 학습 프레임워크(P21)를 사용하여 수강생들과의 심층면담 내용을 분석하여,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수강생들은 P21의 3가지 기술 영역 전반의 11가지 학습 기술-자기주도, 프로젝트관리, 다양한 팀과의 협력, 유연함, 책임감, 리더십(삶과 경력 기술 영역)과 의사소통과 협업, 문제해결력, 창의력, 비판적 사고(학습과 혁신 기술 영역), 그리고 미디어결과물생성 기술(정보미디어테크놀로지 기술 영역)-을 강화했음을 확인했다. 본 사례연구는 지역사회협력에 기반한 문헌정보학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개발과 운영에 참고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의 적용을 통한 커리큘럼 개발에 관심있는 교수자 및 연구자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의 중국어 번역수업 적용에 관한 연구

        강수정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3

        Capstone Design is a demand-oriented education that focuses on the industry demands. Capstone Design is being opened by universities based on demand-oriented education, which focuses on industry demand, which is demanded by industry, and discussions based on the demand for completion of courses. Translation education has also evolved based on the application of language and industrial demand.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 decided that Capstone design was similar to translation education and applied Capstone Design to Chinese translation education. Especially, for the first time applying capstone design in the Chinese translation process, the capstone design instruction model that can be applied in Chinese translation is given priority. The evaluation of this model measures students' satisfaction after the cours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key to Capstone Design was how to produce industrially relevant results. The students accepted the results as new knowledge and showed high satisfaction. The students'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the performance process, the teaching method, and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ing achievement. The basic direction of research is quantitative study based on case studi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캡스톤디자인은 산업 수요를 중심으로 교육하자는 수요지향적 교육과 그에 따른 교과목 이수 요구 논의에 기반해서 대학별로 개설이 되고 있다. 번역교육 역시 언어의 활용적 측면과 산업적 수요에 기반해 발전해 왔다. 이러한 점에서 연구자는 번역교육과 캡스톤디자인 간에 유사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중국어 번역교육에 캡스톤디자인을 적용하였다. 특히 중국어번역 과정에서는 캡스톤디자인 방식을 처음으로 적용하는 관계로, 중국어 번역에서 적용가능한 캡스톤디자인 수업모델을 우선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모델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과정을 완료한 이후 학생들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캡스톤디자인의 핵심은 어떻게 하면 산업적으로 연관성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가에 있었다. 학생들은 이 결과물을 새로운 지식으로 받아들이고 높은 만족감을 표시했다. 학생들의 만족도는 수행과정, 수업방식, 학습성과의 만족도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는데, 모두 기존의 연구들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연구의 기본 방향은 사례연구와 기초 통계에 기반한 양적 연구이다.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캡스톤 디자인 회의프로젝트 교과목 사례연구

        고현미,조영아 한국비서학회 202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최근 대학에서 혁신교수법으로 강조되는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을 대면 및 비대면으로 병행하여 실시한 비서전공 대학생들의 학습성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H여대 비서인재과 전공과목인 캡스톤 디자인 회의프로젝트 교과목에서 ‘하이브리드형(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취업박람회 기획’을 주제로 PBL 교수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 학생들의 성찰일지 및 학습 제작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PBL 학습효과로는 팀워크 중요성과 문제해결능력을 경험했으며, 실무능력(실제적 경험)과 소통 능력이 향상됨을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과 관련하여 결과물을 도출, 실무능력 향상 면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PBL 교수 학습 방법을 활용한 비서전공 수업에 대한 설계를 구성한 연구로써 캡스톤 디자인 회의프로젝트 교과목에서 회의 개최 및 기획 문제해결에서 학생들의 적극성과 실무 경험을 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실무중심의 비서 교육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비서 교육에서 PBL과 캡스톤 디자인을 접목한 수업이 더욱 확대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산학연계형 디자인프로젝트 수행사례 연구

        김홍규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2

        This study is on the cases of execution of industry-academia customized collaboration design project through Capstone design classes as an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type study executed with corporation.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study executed industry-academia customized corporation-linkage program along with CJ Freshway. For this purpose, design process was inspected first for the tasks requested by the corporation and aspects of the design and product that could be optimized in the classroom processes including production measures, etc. were considered. Classes (4 hours per week) that were conducted with the measures that can be pursu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the corporation and university as the project proved qualitative excellence with increase in the objective values through lecture evaluation and Capstone design evaluation. Outstanding prototypes produced were selected by holding open CJ Freshway design competition. Royalty was collected through registration of 5 case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the tasks selected by the industry and participating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elevate their practical capabilities through field-customized product development. 본 연구는 기업과 진행한 산학연계형 연구로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통한 산학맞춤형 연계 디자인프로젝트 수행사례 연구이다. 프로젝트 수행사례 연구는 CJ프레시웨이와 함께 산학 맞춤형 기업연계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기업이 요구한 과제에 대하여 디자인 프로세스를 먼저 점검하였고 제작방안 등 수업 과정에서 최적화할 수 있는 디자인 및 제품에 대한 부분을 고찰하였다. 기업과 대학이 협력 가능한 방안을 프로젝트로 진행한 수업(주4시간)은 강의평가와 캡스톤디자인 평가를 통하여 객관적인 수치가 상승하는 질적인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제작한 시제품은 CJ프레시웨이 디자인 공모전을 시행하여 우수 아이템을 선발하였다. 산업체에서 선정한 과제는 지식재산권 5건이 등록되어 기술료를 징수하였으며, 참여 학생들은 현장 맞춤형 제품개발을 통하여 실무역량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디자인 액티비즘 교육 모델 설계 연구

        한희석,박상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4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7 No.1

        사회 수요와 산업구조 및 기술의 변화에 따라 본질적인 사고와 고안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시하는 캡스콘 디자인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본 연구의 교육 모델은 디자이너가 주체적으로 현 상태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하나의 실천적 방법론이자 사회적 활동으로 도출하고 수행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1년부터 진행되어 왔던 교과목을 바탕으로 디자인 액티비즘의 개념과 유형을 접목하여 개발된 독자적인 교육 모델 다답(DA+R DA+B) 프로젝트의 설계와 지도 방법론을 다룬다. 이를 위하여 디자인학과의 캡스톤디자인 과정에 PBL 모델의 설계를 정교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와 환경, 경제 등 SDGs 관점의 변화로 유도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본질적 행위의 디자인 액티비즘 교육 모델 기반의 새로운 프로젝트로 재정의하고 설계하였다. 더불어 본 모델의 목표 달성에 필요한 요소, 환경, 운영을 위한 지침 등에 대한 학습자 설문으로 프로젝트의 전 과정에서의 검증 및 분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 액티비즘 교육 모델을 통해 사회의 변화 및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의 디자인 교육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field of design, in response to changes in social demand, industrial structure, and technology, the importance of Capscon design is increasing to present solutions to discover and solve various problems based on essential thinking and design rather than just visual or formative expressions of the past. has come to the fore. This study elaborated the design of the PBL model in the capstone design course of the Department of Design and redefined it as a new project based on the design activism education model of the essential behavior of design to induce and improve changes in the perspective of SDGs such as society, environment, and economy. and designed it. The purpose of this educational model is to derive and perform the process of designers independently discovering and solving current problems as a practical methodology and social activity. This study deals with the design and guidance methodology of the DA+R DA+B project, an independent educational model developed by combining the concepts and types of design activism based on the Capstone Design subject of the Department of Design, which has been in progress since 2021. In addition, through a survey on the elements necessary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educational model,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practical guidelines, we conducted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how learners carry out projects and produce results over the course. Through this model, we aim to present design education and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creative problem solving that can respond to social changes and demands.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수업에서의 디자인씽킹을 이용한 온택트 프로젝트 수업 설계 사례

        정순여,곽민철,김대훈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4 경영컨설팅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방법론을 이용하는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비대면 상황(온택트)에서 어떻게 설계・운영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연구이다. 스탠퍼드 디스쿨(Stanford d.school)에서 제시하는 DT 프로세스인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 프로토타입, 테스트의 다섯 단계를 온택트 협업도구(ALLO)에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COVID19 상황인 2020년부터 2022년까지 J대학에서 온라인으로 개설・운영되었던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설계과정과 운영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본 사례연구는 기존의 면대면 수업을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일반 교수자가 문제해결 프로세스에 따라 교수활동 및 학습활동을 어떤 절차로 진행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참고자료가 되므로 교수자들의 교수법 역량 증진에 도움이 된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기에 대면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습자의 수업자료를 아카이빙할 목적을 가진 교수자들에게도 유용한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showing how a capstone design class using design thinking methodology is designed and operated in a non-face-to-face situation (on-tact). We introduce how to design and operate classes by reflecting the five stages of the DT process presented by Stanford University's D.school - empathy, problem definition, idea, prototype, and testing - in the on-tact collaboration tool (ALLO). We specifically introduce the design proces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Capstone Design class that was opened and operated online at J University from 2020 to 2021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This case study serves as a reference material that shows how general instructors who want to convert existing face-to-face classes to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can proceed with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ereby helping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 capabilities of instructors. It's helpful. In addition, it will serve as a useful database for instructors who aim to archive learners' class materials while conducting face-to-face classes in the post-corona period

      • KCI등재후보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LINC 사업에서의 캡스톤 디자인교육 운영 만족도 조사 연구

        장승환 ( Seung-hwan Jang ),임진혁 ( Jin-hyuk Rhim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21 혁신기업연구 Vol.6 No.2

        4차 산업혁명 시대 및 국내외 다양한 사회 환경 변화 속에서 오늘날 대학과 기업에서는 단순한 지식보다는 다양하고 융합적인 산업 분야에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부에서는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을 시작하였고 대학에서는 현시대가 원하는 실제 현장에 적절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다양하고 새로운 교육 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LINC 사업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중 캡스톤 디자인에 참여하면서 느꼈던 점이나 의견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내용 실효성 측면, 교육 운영 적절성 측면,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측면으로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LINC 사업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연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추후 LINC 사업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계획 수립 및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oday, universities and companies want talented people who can demonstrate their capabilities in diverse and convergent industrial fields rather than simple knowledge in various social environment changes such as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background, the government started the LINC project for leading university in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and the university has developed and operated a variety of new education systems to foster appropriate human resources in the actual field that the current era w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oints and opinions of participating in capstone design amo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operated by LINC project and to improve it to more effective program. In addition, this study summarized the results in terms of content effectiveness, educational operational appropriateness, and satisfaction with capstone design subjects, suggesting ways to revitalize capstone design subjects in LINC project.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apstone design plans in the LINC project in the future.

      • KCI등재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을 적용한 영작문 수업모델의 개발

        김인영(Kym I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5

        Teaching engineering design through capstone design course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in an effort to better prepare students for the engineering industry. The trend toward helping students for the industry practices is now not limited in engineering majors, but expanding into nearly every discipline, including arts,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This article aims to develop a project-oriented capstone design course for English major students to enhance their practical English writing skills and key vocational competency. For course development, ADDIE instructional model was adopted, and five steps were taken starting from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to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First, the analysis of environment and educational needs shows that English major students need to improve both their English productive skills and key vocational competence since they tend to start their career in diverse industries. Second, based on the needs analysis of the first step, course design adopts dual tracks of individual portfolio task and team project task. For the individual task, the process-based writing approach was taken, students completing six topics of essay writings following brainstorming, first draft writing, revision, peer feedback, and final writing. For the team task, the Project-Based Learning(PBL) approach was taken, each team producing story-telling based digital contents for young children. Third, evaluation tools were developed to measur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and writing skills. Evaluation tools included written tests, writing performance tests, portfolio check and team-project evaluation. After implementing the instructional model, lastly, the educational effect was investigated, and suggestions for better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ere given. 본 연구는 외국어전공 대학생의 실무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전문대학 외국어전공학과에서는 전공역량과 함께 직업기초능력의 신장을 위한 특성화된 교육과정으로 재학생의 취업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수업모델을 개발,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영작문 수업모델을 개발한 후 이를 연구자가 진행한 2015년도 1학기 H 여대 영어과 전공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은 듀얼트랙으로 진행되었고 첫 번째 트랙에서는 학습자가 개별적으로 영어 에세이 쓰기과업을 수행하며 각 단계별 과정을 담은 영작문 포트폴리오를 제작하였다. 두 번째 트랙에서는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팀 단위로 스토리텔링 형식의 영어컨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디지털화하는 작업에 참여하였다. 수업모델의 효과는 학기 중 각각 2회에 걸쳐 진행된 영작문 수행평가와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를 통해 검증하였다. 수행평가 결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영작문 수행능력은 내용과 구성, 문법과 어휘영역에서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또한 학기초와 학기말의 진단평가에서는 문제해결능력과 대인관계능력 등 7개 영역의 직업기초능력에서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본 수업모델의 교육적 효과와 활용가능성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