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네팔의 카스트 제도와 소득 및 사회적 자본 상관관계 연구 -티카플 지역 사례연구-

        김장생 한국종교학회 2019 宗敎硏究 Vol.79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caste system in Nepal correlates with the income and the social capital. This paper analys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ste system in Nep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ste system and inco me and social capital in Tikapur, Nepa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lower caste has the higher proportion of farmers. Agricultural income is lower than other occupations, so the lower caste has the lower income. Second, the caste system strengthens social cooperation and trust within the lower group. Unfair treatment and oppression from the higher castes strengthens the co-operation and cohesion within the lower castes. Third, the caste system does not affect community identity and value sharing. The inter cooperation among castes is weakened due to the exclusive attitude to other castes. Finally, the faith is manifested not through social relations, but through the inner religiosity of the individuals. This study contribute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ste and income and also extends the scope of the research on income and the caste to the agricultural sector. 카스트 제도는 베다와 마누 법전에 뿌리를 두고 있는 힌두교 사회신분제도로서 네팔 주민들의 경제 및 사회적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까지 네팔의 카스트 제도와 관련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으나, 농업 소득 및 사회적 자본과 카스트 제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발표되지 않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네팔의 카스트 제도가 주민들의 소득 및 사회적 자본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논문은 첫째, 네팔 카스트 제도의 현황 및 특징을 알아보았고 둘째, 주제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티카플에서 수집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카스트와 소득 및 사회적 자본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위 카스트 일수록 농민이 많고 농업 소득은 타직종에 비하여 낮음으로 결국 하위 카스트일수록 소득이 적었다. 둘째, 카스트 제도는 주민 간 협동과 협력 그리고 신뢰에 음으로 영향을 미쳤다. 상위 카스트로부터의 부당한 대우가 하위 카스트의 내적 응집력을 높여 집단내의 상호 협동과 협력이 강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카스트 제도는 지역사회의 정체성과 가치 공유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카스트 내 응집력이 카스트간 응집력으로는 발전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힌두교 신앙심은 사회적 관계 보다는 개인의 내적 종교심과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아직 까지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카스트 제도와 사회적 자본의 상관관계를 실증연구를 통하여 분석하고 또한 주로 임금 노동이 주를 이루는 카스트와 소득의 상관관계의 연구 지평을 농업소득까지 확장함으로서 네팔 주민들에게 미치는 힌두교 카스트 제도의 영향을 더욱 정교화 할 수 있었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인도 센서스』와 식민 지식의 구축 : 19세기 인도 사회와 정립되지 않은 카스트

        이지은(Lee Ji eu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6 역사문화연구 Vol.59 No.-

        영국은 인도라는 복잡하고 거대한 식민지를 직접 통치하게 되면서 인도인들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들을 조사, 범주화, 계량화하는 『인도 센서스』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인도인들을 구분하는 범주 중 가장 큰 중요성을 갖는 것은 카스트였는데, 기존의 유럽 사회나 다른 지역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사회제도라는 이유 때문이기도 했다. 19세기 후반의 센서스에 나타난 카스트의 개념은 매우 불명확하며 지방화된 지식들이 상충하여 개념상의 혼란을 가중시켰다. 인도인구의 카스트에 의한 범주화는 기본적으로 바르나-자띠라는 브라만적인 질서에 의해 시행되었다. 그러면서도 복잡하고 다양한 카스트의 양상은 직업, 종파, 종교와 같은 요소들을 카스트의 범주화에 끌어들이면서 카스트를 더욱 복잡하고 알기 어려운 ‘인도만의’ 제도로 고착화시켰다. 그러나 19세기 인도 사회에서 카스트라는 집단적 정체성은 보편적인 사회제도로서의 의미를 가지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카스트는 다수의 하층카스트나 비(非)힌두 사이에서는 존재하지 않았거나, 존재했더라도 일관된 개념으로 이해되지 않았거나, 중요한 집단 정체성을 이루지 못했던 것이다. 카스트는 오히려 영국의 식민통치와 센서스에 의한 인구의 수량화, 범주화와 함께 대다수의 인도인들 사이에서 중요하게 자리 잡기 시작했다. The British lauched ‘Cenus of India’ project to get better understandings on Indian people when they directly ruled India, the huge and complex colony. Census of India was thorough surveys, class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Indian people carried out once every ten years. Caste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category to classify Indian people because it was a uniqe social institution in India. The concept of caste appeared in the Census of India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as very vague and confusing due to the conflicting local knowledges. Classification of Indian people by caste was carried out basically by the Brahmanical order, varna-jati. Occupation, religion and sect were also involved in the definition of caste at the same time and caste was defined as a complex and obscure institution existing ‘only’ in India. Group identity of caste did not seem to be universal social institution, therefore insignificant in the nineteenth-century Indian society. Caste did not exist among the majority of lower castes or non-Hindu population; or was not understood under the consistent concept; or did not form the meaningful group identity. Caste became significant social institution among Indian population with the class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Indian people by Census of India project under the British colonial rule.

      • KCI등재

        인도 교육(영어) 과 사회 (카스트 제도) 시스템에 대한 영국 식민 통치이후 남겨진 유산

        나라얀,히리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3 No.-

        영국의 식민 통치는 인도 대륙에 중대한 영향을 받았고, 이러한 영향의 대부분은 현대 인도에서 계속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유산은 영향의 양쪽 측면.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내 목표는 그 유산의 영향의 본질에 대해 논의하자는 게 아니라 그것의 일부 오늘날 인도에서 존재하는 방식과 유지하고 있는 모습에 대한 상황을 탐구하는데 있다. 이 논문은 인도교육제도에 있어서 영국영어교육이 끼친 영향과 인도 사회제도에 있어 영국사회 제도와 행정정책에 대해 논의 하고자한다. 특히, 인구조사작업을 통해 인도 카스트제도를 논의하고자한다. British Colonial Rule had a number of significant impacts on the Indian subcontinent, and many of these impacts have legacies that continue in modern day India. There is no denying to the fact that these legacies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impacts. My aim is not to get into the discussion of its nature of impact but to see the some of those legacies the way it is existing in present-day India. This paper traces the legacies of British English Education imposed on Indian Education System and the administrative policies on Social System, especially, on Caste System of India through census operations.

      • KCI등재

        인도 달릿의 정체성 문제와 효과적인 선교 방법 연구

        이재한(Jae Han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0 선교와 신학 Vol.50 No.-

        인도는 지금도 종교적 사회적 차별이 드러나는 카스트 제도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계급 배경 속에서 달릿은 종교적 사회적으로, 정치적 경제적으로 불이익을 당했고, 차별을 받아왔다. 그들은 불가촉천민 또는 카스트 밖의 사람들로 여겨지고 노예와 같은 삶을 살았다. 인도 선교 초기부터 선교사들의 선교대상은 주로 달릿 계층이었다. 선교사들이 달릿 계층을 중심으로 선교하는 것은 그들이 사회적으로 억압받고 천대받는 존재였고, 상층 카스트에 비해 접근하기 쉽고 개종이 쉬운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기독교는 힌두들에게 천민의 종교로, 또한 서양의 종교로 여겨졌다. 기독교 선교로 인해 그리스도인이 된 달릿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인종적, 계급적, 배경적 차별이 없어야 함이 당연하다. 그러나 카스트로 인한 달릿 차별의 문제는 인도교회 안에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문명과 문화가 발전하고 현대화된 시대에서도 달릿은 여전히 낮은 자존감과 패배감, 심리적으로 억눌림 가운데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달릿의 정체성과 연관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체성의 문제는 달릿과 달릿 기독교인들의 삶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달릿의 사회 종교적, 정치 경제적 문제는 이들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선교에 걸림돌이 되는 요소가 되었다. 달릿이 복음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자존감을 회복하지 않는다면 그들은 지속적으로 노예근성을 가지고 살게 될 것이며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도 가지고 살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달릿선교의 효과적인 선교방법은 복음 전도의 성육신적 선교, 성령운동을 통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자존감 회복, 기독교 세계관에 입각한 기독교인 지도자를 양육하는 것이다. A caste system which has a religious and social discrimination still exist in India. In this hierarchical context, Dalits suffered religiously, socially,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Dalits regared as a untouchable or outcastes and were treated like slaves in discrimination. They were the depressed and the oppressed people. Since the early days of mission in India, missionaries focused on Dalits mission. because they were easier than high castes to evangelize. Therefore christianity was regared as a religion of the untouchable or western religion. It is natural for Dalits to get an equality without race, caste and politic discrimination. But caste discrimination on Dalits still exist in indian church. Dalits lives in low self-confidence, depression, oppression environments even this developed and civilized modern period. This problem is related to dalits’ identity. And this problem of identity has a great influenced on the lives of Dalit and Dalit Christians. Also this problem of Dalit become a stumbling block on christian mission. If Dalits could not restore their dignity as a human being and a self-confidence as children of God through the gospel, they will live in slavery consciousness without an identity of Christian. Dalit mission will be important factors not only to evangelize Dalits but also to help to overcome problems of Dalits. Therefore, effective missional strategies for the recovery of identity as God’s people are an incarnated mission for Evangelism, recovery of self-confidence through the Holy Spirit, making chrisitian leaders based on christian world view.

      • KCI등재

        바티 커(Bharti Kher) 작품의 반힌두교적 페미니즘 성향에 관한 연구

        백연수 ( Yun Soo Baek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5 동양예술 Vol.27 No.-

        본 논문은 인도라는 국가의 절대적 종교인 힌두교에 대한 비판적 성향 중에서도 페미니즘적인 특징을 가진 바티 커(Bharti Kher, 1969- )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바티 커는 당대의 애니쉬 카푸어(Anish Kapoor, 1954- ), 수보드 굽타 (Subodh Gupta, 1964- ) 같은 아시아권 인도 작가 중에서도 유일하게 사회·종교적으로 억압 받고 외면당하는 인도 여성들에게 시선을 돌리고 있다. 그녀의 작품 전반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반 힌두교 반 카스트 제도적이라는 점이다. 이는 그녀의 작품에 사용되는 제 3의 눈인 정자모양의 ‘빈디’와 인도여성들의 억압을 상징하는 ‘사리’ 등 다양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오브제와 더불어 남성과 가정을 위하여 희생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도록 설정되어진 인도의 ‘여신상이미지의 차용’ 등에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불완전하고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인도 여성들의 모습을 비유한 ‘반인반수의 형상’과 같은 신체적 결함을 지닌 여성의 모습 그리고 신체의 중요한 부위를 일부러드러내고 기괴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나체의 여신상 등에서 이러한 특징이 직·간접적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그녀는 단순히 인도적인 감각이나 물질을 가지고 작품을 진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않은 인도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문제점들에 관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따라서 그녀의 작업을 연구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사료되어 진다. 현재바티 커에 대한 국내의 학술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해외 학술자료와 작가 인터뷰 등을 중심으로 이 논문을 작성하였다. This thesis is on the artist Bharti Kher, who stands against Hindu, the absolute religion in India, and is famous for her feminist features. Bharti Kher is the only contemporary India artist that concerns about the India female being oppressed from the society and the religious womanhood of India. She tries to cover the not-yet-solved matter in Indian culture in her work. Kher works has some properties in common that agger to be anti- Hindusim and anti-caste. Objects in her works covers some symbols such as sperm-like bindi, the third eye and sari taken on the oppression at Indian women. The exploitation of Hindu goddess whole honorable roles arr as well characterized as a sacrifice for their men and home as well. Physical deformities of body of women that is described as the therianthropic figures. Signifies the defective and unprotected Indian women. We can see also this characteristics from the bizarre posture of the nude statue of Hindu goddess baring the specific parts of her body as well. Thu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worthy. The status of any domestic studies on this artist is not developed enough yet, so this thesis is mostly based on the interviews of her work and stories with her.

      • KCI등재

        인도의 지참금 죽음에 대한 법사회학적 연구

        백좌흠 ( Jwa Heum Baek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22 No.3

        전통적으로 인도에서 지참금은 결혼 시에 신부, 신랑 및 신랑가족에게 자발적으로 주는 선물을 의미했다. 그러나 오늘날 지참금은 신랑가족이 신부가족에게 거액의 현금 및 귀중품을 강요하는 ‘괴물’로 변화되었다. 지참금 관습의 이러한 변화는 신부가족에게 결혼은 경제적 긴장의 근원이 되었고 딸들을 결혼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는 불충분한 지참금 또는 신랑가족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흔히 신부에게 모욕과 상처를 주고 극단적으로는 신부의 고문 및 죽음을 초래한다. ‘신부를 불태워 죽이는 행위’ 또는 기타 지참금과 관련된 학대 행위에 대한 기사는 신문에 매일 넘쳐난다. 인도 전국범죄기록국의 통계에 의하면 2012년에 인도 전체에 ‘지참금 죽음’으로 희생된 여성이 총 8,233명으로 기록되고 있다. 이는 하루에 평균 23명이 지참금으로 인해 죽었다는 것으로, 매일 거의 한 시간마다 인도의 어딘가에서 젊은 기혼 여성이 산채로 불타고 있거나 맞아죽고 있거나 자살하도록 내몰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부지참금 문제는 근대 이후 서구화된 인도에서 소비주의가 증가하고 사회적인 지위를 물질적인 대상과 동등시하는 경향이 커진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인도에서 아직도 일반적인 집합가족제도와 힌두상속법제 하에서 여전히 여성의 지위가 남성보다 낮은 것이 근본적인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고 그 위에 힌두의 혼인제도와 카스트 요인이 이를 강화하는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결과로 보인다. 지참금이라는 사회적 악습을 금지하고 이를 처벌함으로써 지참금 관행을 철폐하기 위해서 인도 의회는 1961년에 지참금 금지법을 제정하였으나, 법 위반이 끊임없이 증가하고, 나아가 ‘지참금 죽음’이 급증하자 인도 의회는 1983년과 1986년에 인도형법전에 304B조(지참금 죽음)와 498A조(지참금과 관련한 학대 행위)를 새로 삽입하고 아울러 인도형사소송법 및 인도증거법의 관련조항들을 이에 맞추어 새로 규정하여 지참금 죽음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였다. 인도사회에 뿌리 깊은 사회적 악인 ‘지참금 죽음’의 문제가 힌두상속법, 인도 형법전, 지참금 금지법, 형사소송법 및 증거법 등을 개정하고 경찰의 적절한 수사와 법원의 효과적인 법집행 등 법적 조치들만을 통해 해결될 수 없을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결국은 당사자인 모든 여성들이 이 악습의 퇴치에 전투적으로 나서서 어떠한 희생을 치루더라도 스스로 지참금을 거부해야 한다. Traditionally, dowry denoted the gifts voluntarily presented to the bride, groom and his family in marriage. Today dowry, however, turned into ‘a monstrosity’ by which the bridegroom’s family forces the bride’s family to give the huge amount of cash and valuables. Due to the change of the customary form of dowry, marriages have become a source of financial strain for the bride`s family and dowry makes it difficult for daughters to be married off. Inadequate dowry or the failure to meet the demands of the bridegroom’s family often causes humiliation, trauma and at the extreme end, the torture and death of brides. Reports of ‘bride-burning’ or other dowry related cruelties abound everyday in newspapers. According to data compiled by the National Crime Records of India, a total of 8,233 female victims of dowry deaths were reported in 2012. This means that an average 23 Indian women died everyday over dowry disputes and that everyday, almost every one hour, somewhere at some place in India, a young married woman is being burnt alive or beaten to death or being pushed to commit suicide In modern India after Westernization, growing consumerism and the increasing tendency to equate social status with material objects has act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owry system. And it is submitted that relatively low status of women both in the joint family system and the Hindu succession laws is providing necessary social background to the prevalence of the dowry system and moreover, socio-cultural factors like the Hindu marriage system and caste system strengthen its rigidity, particularly in India. The Dowry Prohibition Act of 1961 was brought in with the objective of prohibiting the evil practice of dowry and making it punishable to eradicate it. Despite this Act, the increasing number of dowry deaths led to the Indian Parliament to make two important amendments in 1983 and 1986 respectively which have inserted new Articles of 304B(Dowry death) and 498A(Husband or relative of husband of a woman subjecting her cruelty) in the Indian Penal Code as well as to make certain necessary changes in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and the Indian Evidence Act with a view to making punishment of the offences of dowry death more severe. It is quite clear that ‘dowry death’ problem being deep rooted social evil in Indian society can`t be solved only through legal measures of amending the Hindu Succession Act, the Indian Penal Code, the Dowry Prohibition Act,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the Indian Evidence Act etc., as well as of securing speedy police investigation and effective enforcement of justice of the judiciary. Ultimately, the very concerned all the women must come forward to combat against this evil and to deny the dowry at all cost.

      • KCI등재

        로힌턴 미스터리의 『적절한 균형』: 전지구적 자본주의와 자급적 공간

        김임미 ( Kim Immi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논문은 인도 작가 로힌턴 미스터리(Rohinton Mistry)의 소설 『적절한 균형』을 통해 1970년대 중반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된 상태의 인도 사회에서 다양한 모순과 억압체계로 고통 받는 하층민들의 삶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전지구적 자본주의 체제가 이전과는 양상을 달리하며 심화됨에 따라 더욱 비참해진 상황 속에서도 인도 하층민들이 능동적으로 삶을 생산하는 자급적 공간의 창출 양상과 과정을 조명한다. 결국 주인공들이 함께 모여 음식과 서로에 대한 안부와 웃음을 나누는 디나의 오빠네 부엌은 이 하층민들의 의지 회복의 장소이자 생명 생산의 자급적 장소라 할 수 있다. 일상화된 제도적 차별 속에서도, 국가사업의 폭력적 수행으로 신체가 훼손당하고 목숨을 잃는 현실 속에서도, 서로에게 선물인 존엄한 인간관계는 가능하고, 이 관계는 자율적인 삶의 생산이 가능한 자급적 공간에서만 가능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자존과 자급의 삶을 위한 자급적 공간의 모색은 우리의 지속적인 과제일 수밖에 없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ves of subalterns suffering from various contradictions and oppressive systems in Indian society under the Emergency in the mid-1970s in the Indian novel, A Fine Balance by Rohinton Mistry. More specifically, as the contradictions of global capitalism have intensified with its faces and colors timely changing, the aspects of the creation and the process of the subsistence space reflecting the subsistence perspective which promotes the autonomous production of life in the novel can be found. After Dina, Maneck, Ishivar, and Om who lived together in Dina`s old apartment were robbed of the house and the tailoring work, and mutilated their bodies, and even Maneck committed suicide, they gather in the kitchen of Dina`s elder brother`s in every weekday, along with Dina`s old apartment, where transforms into a space for humanity, self-pride, and subsistence perspective. In addition, this can be solely possible in the subsistence space for an independent and autonomous production of subsistence life. The search for a subsistence space, hence, for the subsistence perspective is a lifelong task.

      • KCI등재

        Kamaiyas in Nepal and the Role of ex‐Kamaiyas in the Development of Western Nepal

        김판석,라왈 비카스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2 남아시아연구 Vol.18 No.2

        For years, the landlords in Nepal have suppressed the main factor of production in agriculture. The “Kamaiya” system is a form of bonded labor and the decision on July 17, 2000 not only declared the end of the bondage, but it also put the ex‐Kamaiyas in an equal position with the landlords in the social hierarchy. This article reviews the situation of ex‐Kamaiyas before and after their freedom. Social exploitation and unequal income distribution by the landlords invited conflict in the region and finally, in the year 2000, the government declared freedom for the ex‐Kamaiyas and held the system illegal. However, after the passing of several years th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Social and economic freedom has yet to come to these people; somehow they are still attached to the old kind of problems. This paper highlights some socio‐economic indicators and analyses the role of ex‐Kamaiya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gion and further suggests that ex‐Kamaiyas are a potential of the region and that they should not be neglected even if they belong to a minority. Finally, it discusses some areas where intervention should be done to provide a better life to ex‐Kamaiyas.

      • KCI등재

        바가바드기따(Bhagavadgītā)의 보편성 : 까르마요가(karma-yoga)를 중심으로

        이거룡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29

        The Bhagavadgītā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Gītā) is perhaps the most famous, and definitely the most widely-read, religious text of ancient India, which is contained in the Bhīṣma-parva of the Mahābharata, the greatest Sanskrit epic. The Gītā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xts that define the essence of Hinduism, and all over the world Hindus chant from The Gītā during most of their religious ceremonies. Mahātmā Gāndhi calls it "the universal mother whose door is wide open to anyone who knocks," and further says that "a true votary of the Gītā does not know what disappointment is. He ever dwells in with perennial joy and peace that passeth understanding." The Gītā deals with metaphysics, religion and ethics, and has been rightly called the 'Gospel of Humanity.'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popularity of the Gītā in India as well as throughout the world, centering on karma-yoga,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essages of the Gītā. First of all, we can find out the basis of universal popularity of the Gītā lies in the characteristics of Kṛṣṇa, the most venerated and popular of the incarnations of Lord Viṣṇu. Because Kṛṣṇa was originally a primitive non-Aryan god and became an avatāra of Viṣṇu, he could be acceptable to both Aryans and non-Aryans. Also, as Puruṣottama, Kṛṣṇa in the Gītā has dual characteristics of Īśvara and Brahman, and therefore He is regarded as the meeting point of personal theism and impersonal monism which are the two mainstream of Indian philosophy. Karmayoga makes the Gītā the 'Gospel of Humanity.' As the Gītā said, "None can ever remain really actionless even for a moment." It is not possible for us to abstain from action. The universe itself depends on actions. Work keeps up the cycle of the universe and it is the duty of every individual to help it. Karmayoga is the way of renunciation in action. The Gītā points out that the binding quality of an action does not lie in its mere performance but in the motive or desire that prompts it. Karmayoga is not negation of action, but performance of actions in a detached spirit. Again, karmayoga in the Gītā is not opposed to jñānayoga. In fact, the former is possible only when the latter is attained. The Gītā represents a unique synthesis of action and knowledge. I also pointed out that because The Gītā instructed niṣkāmakarma (desireless action) or karmayoga on the basis of the law of karma it could get the universal popularity. 이 논문의 목적은 바가바드기따가 인도에서 뿐만 아니라 서양과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읽히는 근거를 규명하는 것이다. 우선 기따가 인도 안에서 계급과 지역을 초월하여 널리 읽힐 수 있는 근거는 무엇보다도 기따의 주신(主神)인 끄리슈나(Kṛṣṇa)가 지닌 보편성에서 찾을 수 있다. 끄리슈나는 아리야(Ārya)적인 요소와 토착적인 요소를 동시에 지니며 또한 인도의 유신론전통과 초신론(超神論, super-theism)전통을 동시에 지닌다. 이런 까닭에 끄리슈나는 인도의 모든 사람들에게 거부감이 없는 신일 수 있었으며, 기따의 가르침 또한 인도의 모든 대중들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로 다가갈 수 있었다. 기따의 뿌루숏따마 개념이 궁극적 실재의 인격적 측면과 중성적 형이상학적 실재로서의 측면을 구유(具有)한다는 점에서 보면, 기따의 궁극적 실재는 인도뿐만 아니라 동서양의 모든 종교전통이 추구해온 궁극적 실재 개념의 접점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기따가 인도를 넘어 범인류적인 구제의 도를 전하는 고전일 수 있는 근거는 기따의 주요 가르침인 까르마요가(행위의 길)에 있다. 까르마요가는 행위 속에서 행위의 초월 또는 행위로 업을 없애는 ‘행위의 기술’이다. 살아있는 한, 행위는 모든 사람이 겪는 보편적인 현상이며, 까르마요가는 지식이나 신에 대한 헌신이 아니라 행위를 통하여 삶의 궁극적 목적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범인류적인 보편성을 지닌다. 해탈에 이르는 길이라는 점에서 까르마요가는 까르마의 법칙과 상충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으나, 까르마요가는 오히려 까르마의 법칙을 그 전제로 수용하면서 까르마의 초월을 가르친다는 점에서 보다 광범위한 보편성을 지닐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