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 섬유브랜드제품에 관한 연구

        박상오(Sang Oh Park),박혜신(Hae Shin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산업 전반에 나타나고 있는 친환경 트렌드는 자연주의를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자연주의를 표방하는 각종 제품들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트렌드의 영향으로 섬유브랜드제품에 있어서도 생산성, 기능성, 디자인 측면에 생산에서 폐기까지 환경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중시한 친환경 섬유브랜드제품이 나타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섬유산업적 측면으로 주류를 이루고 있는 친환경 섬유브랜드제품을 파악함으로서 새로운 섬유브랜드제품 개발을 위한 정보 제공 및 관련 학문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을 제공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와, 국내·외 관련 서적, 패션정보 서비스기관의 문헌정보를 근거로 연구, 고찰하였으며, 연구범위는 친환경의 개념과 기원, 친환경의 개념이 적용된 산업부분의 성장배경 및 현황을 고찰하였다. 또한 친환경 섬유브랜드제품의 개념을 정립하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제품을 문헌자료와 전문연구소의 연구 분석결과자료를 토대로 분류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으로 첫째, 친환경 섬유브랜드제품은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하이테크와 신소재를 활용한 기능과 기술, 그리고 감성, 즉 디자인이 결합된 섬유제품으로서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방안과 자연과 과거로의 복귀, 정신과 육체의 건강추구, 여유로움과 편안함, 쾌적함의 추구 등의 경향이 관련제품에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친환경 섬유브랜드제품의 종류 및 특성을 고찰한 결과 열적 산화나 방사선, 빛 등에 의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가공기술을 활용 한 제품들과 화학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된 농지에서 농약이나 화학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농으로 생산된 면화를 활용한 유기농 면제품들이 주를 이루어 세계적으로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들로 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첨단 친환경 섬유브랜드제품 개발에 일익을 담당하여 경제 및 섬유산업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Under the ``Green`` trend phenomenon, the various goods related with ``Green`` are being produced to keep pace with changing of eco-friendly life style to return the nature. This thesis is designed to explore the definite concept of green textile brand products and it`s industrial situation follows economic, culture, and social expanding in domestic and global market, and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nd the development of green textile brand products industry. For theoretical basis in this study, it was researched through some precedent thesis, proceedings, related articles, internet sites, technical magazines, product catalogs, etc. As a result, it is figured out that eco-friendly products and health-functional items are sharing each other`s functions and reproduction of these items as detailed and specialized products. Tendency of green textile brand products present the attempt of using environmental embody ``Green`` in design and material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and effective when used as source of theoretical data and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the material, design, and marketing, and will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marketing and merchandising by development of green textile brand products.

      • KCI등재

        친환경라벨이 역효과를 가져올 때 : 쾌락재와 실용재에 대한 친환경라벨의 차별적 효과

        박지혜,이유재 서비스마케팅학회 2022 서비스마케팅저널 Vol.15 No.2

        As it becomes necessary to respond to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global environmental policies and businesses have been increasingly emphasizing eco-friendliness. Nevertheless, little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eco-friendly communication strategies in deliver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us eliciting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Thu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how eco-labeling, as an eco-friendly communication tool, can effectively induce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duct type and eco-label. Specifically, we suggest that the influence of eco-labeling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differs according to whether products offer hedonic or utilitarian benefits. Study 1 demonstrated that eco-labeling increased (decrease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r hedonic (utilitarian) products. Study 2 showed that the observed effects still occurred when we manipulated hedonic or utilitarian consumption types for the same product category. Also,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co-labeling o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product type were still significant when control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and environmental concern.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eco-labeling can backfire for utilitarian products. We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and policy makers that are interested in motivating consumers to engage in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오늘날 환경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가운데, 친환경에 중점을 두는 국제 환경정책과 기업활동은 점점 더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이 실제 소비자행동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환경정보를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친환경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친환경라벨의 효과를 높이는 요인을 고려하여 소비자들의 친환경행동을 고취시키는 방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고찰하지 않았던 제품유형과 친환경라벨 간 상호작용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즉, 친환경라벨이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제품이 제공하는 편익이 쾌락적인지 실용적인지를 고려해야 함을 상정하고, 그 영향이 제품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했다. 실험 1은 제품유형이 쾌락재(향수)인 경우 친환경라벨의 제시가 제품 구매의도를 증가시킨 반면, 제품유형이 실용재(세제)인 경우 친환경라벨의 제시가 제품 구매의도를 감소시킴을 보였다. 실험 2는 동일한 제품(액체 비누)에 대해 쾌락소비와 실용소비로 다르게 조작하였을 때도 제품유형에 따른 친환경라벨 효과 차이가 유지되는지를 검증하여 본 연구결과의 내적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제품유형에 따른 친환경라벨 효과 차이는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친환경성향을 통제하였을 때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무엇보다 본 연구는 친환경라벨에 대한 일반적인 기대와 상충되는 결과로서, 제품이 실용적 편익을 제공하는 경우 친환경라벨의 제시가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의의를 제공하고,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기업의 친환경전략과 함께 정부의 친환경정책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에 관한 연구

        엄경희(Eom, Kyoung Hee),김형주(Kim, Hyung J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최근 국내외 블라인드 업체에서는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이슈화되고, 쾌적한 삶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환경 친화적이고 에너지 효율성이 우수한 소재와 기술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 생산 및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신기술 적용을 통해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효율적인 친환경 실내 환경 구축이 절실한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 업체의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 동향 및 사례연구로 친환경 블라인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디자인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자료와 인터넷 자료를 통해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의 개념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블라인드제품 국내외 업체사이트와 브로슈어(Brochure) 그리고 블라인드 취급점과 생산업체를 방문하여 국내외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을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중소기업청 선정 우수기업이자 국내 매출순위 상위 2대 업체이며, 친환경블라인드 생산 개발을 하고 있는 한국윈텍, 윈플러스와 국외 매출순위가 높은 업체 중 친환경블라인드 생산에 주력하는 2대 업체 미국 헌터더글라스(Hunterdouglas), 네델란드 콜리세(Coulisse)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각 업체의 2012년에서 2015년 현재까지 데이터를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친환경 블라인드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유해물질을 줄여 건강한 생활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다. 친환경 블라인드의 유형은 소재, 조직, 구조, 시스템으로 나뉘며, 친환경 소재와 메탈릭사를 활용한 에너지 절감형 소재의 블라인드, 암막 조직, 콤비 블라인드, 트리플 블라인드, 벌집 형태 셀의 허니콤 블라인드가 있다. 그리고 에너지 효율성이 높고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전동 모터 시스템 블라인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의 한국윈텍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으로는 소재와 시스템 측면에서 무코팅 원단 롤 블라인드와 전동 모터 블라인드가 있고, 윈플러스는 소재, 조직, 구조 측면에서 닥섬유, 한산모시의 친환경 소재, 원착사, 메탈릭사를 활용한 삼중직 암막블라인드와 에너지 절감형 콤비 블라인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국외 미국의 헌터더글라스는 전제품이 그린가드 친환경 인증을 받았으며, 소재와 구조 측면에서 항균처리 및 정전기 방지 원단처리 ‘패브릭 더스트 쉴드(Dust Shield)’가 되어있고, 에너지 효율성이 좋은 허니콤 블라인드가 개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네델란드 콜리세는 소재 측면의 아마, 종이로 블라인드를 제작하여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두 업체 모두 시스템 측면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무선 전동 친환경 블라인드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소재, 조직, 구조와 시스템 구축을 통한 친환경 블라인드 개발이 절실한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고품질의 친환경블라인드제품 개발을 위한 관련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친환경블라인드제품 관련 연구개발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Recently, the domestic and overseas blind manufacturers have been making efforts to produce and develop eco-friendly blind products based on environment-friendly and excellently energy-efficient materials and technologies with the global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increase of consumers’ demands for a pleasant life. Thus, at this point of time when it is urgently necessary to reduce energy loss through applying new design technologies and construct efficient, eco-friendly interior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about eco-friendly blinds through a study of the trends and cases of eco-friendly blind products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companies and help develop designs. As for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blinds through bibliographic data and materials on the Internet. In addition, by visiting the websites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blind products, looking at their brochures and visiting distributors and manufacturers of blinds, this study looks into and analyzes the domestic and overseas eco-friendly blind products.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limited to Wintec Korea and Winplus, the top two domestic companies by the order of the sales, which produce and develop eco-friendly blinds, and Hunter Douglas of the United States and Coulisse of the Netherlands, the top two companies that concentrates on the production of eco-friendly blinds, of the overseas companies ranking high in sales. In addition, each company’s data from 2012 through 2015 were examin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n eco-friendly blind is a design that reduces harmful substances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llows a healthy living space to be provided. The types of eco-friendly blind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aterial, texture, structure and system. They include blinds made with eco-friendly materials and eco-friendly materials using metallic yarn, blackout texture, combo and triple blinds and honeycomb blinds. In addition, there are electrically-powered motor system blinds that have high energy- efficiency and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Second,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material and system, the main eco-friendly blind products developed by Wintec Korea of South Korea include not coated fabric roller blinds and electric motor blinds, while in terms of material, texture and structure, Winplus concentrates on the development of triple-woven blackout blinds and energy-saving combo blinds using mulberry fabric, eco-friendly material of Hansan ramie, dope-dyed yarn and metallic yarn. Third, in foreign countries, Hunter Douglas of the U.S. obtained green guard eco-friendly certification for all of its products, and in terms of material and structure, the products go through antimicrobial treatment and ‘fabric dust shield’ treatment that prevents static electricity, and it concentrates on the development of honeycomb blinds with high energy-efficiency. In addition, in terms of material, Coulisse of the Netherlands manufactures blinds with flax and paper and presents designs, which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eco-friendly. Also,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the system, both companies provide eco- friendly blind products for their consumers, developing wireless electrically-powered blinds which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t this point of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co-friendly blinds through building up materials, textures, structures and systems, it is judg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a related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quality eco-friendly blind products, and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eco-friendly blind products will be vitalized in the future.

      • KCI등재

        친환경제품 구매시 매장 선택요인

        이인영(In Young Lee),주영진(Young Jin Joo) 한국유통학회 2018 流通硏究 Vol.23 No.1

        친환경제품 구입을 위한 소비자의 매장 선택폭이 넓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매장을 선택하는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친환경제품을 구입하기 위한 매장선택 영향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제품 구입을 위한 매장선택 영향요인을 친환경성과 점포속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소비자의 그린의식에 의한 영향도 함께 분석하였다. 친환경제품뿐만 아니라 매장의 친환경적 이미지도 친환경제품 구매를 위한 매장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친환경성을 제품친환경성과 매장친환경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점포속성은 친환경성 외에 소비자가 친환경제품 구입을 위한 매장 선택시 영향을 줄 수 있는 매장특성요인으로 거리, 규모, 가격매력도 등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친환경제품 구매를 위해 친환경전문매장과 대형할인마트와 같은 일반매장 중 어떤 매장을 선택할 것인지를 조절회귀모형과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조절회귀분석결과 제품친환경성과 매장친환경성은 친환경전문매장과 일반매장 이용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점포특성요인들 중에서 거리와 매장규모는 일반매장 이용의도에, 가격매력도는 친환경전문매장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소비자의 그린의식은 친환경전문매장 이용의도를 유의하게 높이거나 일반매장 이용의도를 유의하게 낮추는 반면 친환경성 및 점포속성에 대한 조절효과는 가격매력도와 결합된 경우에만 나타났다. 이항로짓분석결과 친환경전문매장의 매장친환경성, 매장규모, 가격매력도가 높거나 일반매장의 제품친환경성, 매장친환경성, 거리, 매장규모가 낮을수록 일반매장에 비해 친환경전문매장이 유의하게 선호되었다. 친환경제품 구매매장의 친환경성과 점포속성이 해당 매장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소비자의 그린의식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친환경제품을 구입하기 위해 소비자가 점포를 선택할 때 점포의 친환경성 뿐만 아니라 거리, 매장규모, 가격매력도와 같은 점포속성들도 중요하게 작용함을 제시함으로써 친환경제품을 취급하는 점포의 소매마케팅전략 수립에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은 친환경 제품의 구매로 이어지는가?

        이성균 ( Seong Kyun Lee ),권익현 ( Ickhyun kwon ),이진석 ( Jin Suk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4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이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과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왔다(김경훈 외2000; Langerak et al. 1998; Menon et al. 1999; Menon and Menon 1997; Russo and Fouts 1997). 그러나 한 UN보고서에 따르면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보이는 사람은 전체 소비자의 40%에 이르지만 실제로 구매하는 소비자의 비중은 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5).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 수준이 친환경 제품의 구매로 실제로 이어지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 수준이 친환경 제품의 구매로 이어지는 정도가 제품군(주요 속성평가의 강도가 강한 vs. 약한 제품)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이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친환경 제품에 대한 자신의 구매행위가 타인에게 노출되는지, 노출되지 않는지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두 차례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1차 실험에서는 2(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 강/약)*2(구매행위의 노출여부: 노출/비노출)의 집단 간 설계를 활용한 실험을 실행하였다.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의 강도는 가상의 제품 (가정용 표백 세제 vs. 가정용 주방 세제)을 개발하여 조작하였고, 구매행위의 노출여부는 가상의 구매상황(온라인 쇼핑/오프라인 쇼핑)을 통해 조작하였다. 그리고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으로 친환경 제품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제품력 지각 그리고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친환경 의식 수준이 친환경 제품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제품력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친환경 의식 수준은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은 구매행위의 노출여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구매행위가 노출될 때, 노출되지 않을 때보다 친환경 의식 수준이 친환경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추가 실험은 1차 실험에서 기각된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의 조절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제품을 Luchs et al(2010)의 연구에서 활용한 차량용 vs. 아기용 바디 샴푸로 변경하였다. 분석 결과,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의 조절적 효과는 제한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친환경 제품에 대한 필요성인식에 미치는 친환경 의식 수준의 영향은 제품의 속성 강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제품력 지각에 미치는 친환경 의식 수준의 영향은 제품의 주요 평가속성 강도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rior research showed that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attitudes toward pro-environmental behavior suas purchase intention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Kim et al. 2000; Langerak et al. 1998; Menon et al. 1999; Menon and Menon 1997; Russo and Fouts 1997). According to one UN report,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their actual purchase behavior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5). This study focuses on such a gap. The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consumer responses toward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uthors also predict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eir responses toward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can be moderated by two factors: one is strength of the product main attribute, the other is social desirability. In order to exam these notions, the study conducts two experiments: one main experiment and another additional experiment. Main experiment uses a 2(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strong/week)*2(purchasing situation: exposed/unexposed) factorial design. Fictitious environment-friendly products(bleaching detergent/dishwasher detergent) and purchasing situations(online shopping/offline shopping) are adopted as treatments. Results of the main experiment show that the higher people``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s, the more likely they tend to recognize need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to perceiv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to performbetter. However, the moderating role of 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is not supported. The experiment also reveals that consumers with high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re more willing to purchas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desirability is also found. The effect of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purchase intention is higher in a exposed purchase situation than in a unexposed purchase situation. Additional experiment is conducted to retest the moderating role of 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since it is not supported in the main experiment. It uses a one-way ANOVA (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strong/week). Products adopted in Luchs et al(2010)(car body shampoo and baby body shampoo) are also used in this experiment. Results support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trength of product main attribute marginally. It is supported for consumers`` recognition of need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statistically, but for perceived performance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it is supported directionally only not statistically.

      • KCI등재

        소비자 니즈파악을 통한 친환경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김경신(Kyung Shin Kim)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6 창조와 혁신 Vol.9 No.1

        본 연구는 현재 기업에서 사용하는 제품 전과정에 걸친 환경성을 평가하는 친환경제품 개발 전략의 수정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소비자는 사용단계에서의 환경성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원료 채취, 운송, 제조, 사용 및 폐기 등 복잡한 과정의 환경영향 측정을 통한 전과정평가를 이해하기 어렵다.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 단계에서의 필요를 알고자 구체적인 제품으로 친환경기저귀를 선정하여 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성공적인 시장진입을 위한 제품 개발 전략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평상시 가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친환경제품에 대한 긍정적 수용도가 높았고 직접적인 제품 구매와 연관이 있었으며 제품 구매 시 직접적 혜택을 주는지 여부와 기능을 만족시키는 제품력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었다.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친환경성’은 기업에서 전과정 평가를 통해 도출되는 정량적인 환경성이 아니고 기능적 차원에서 제품의 주 속성과 연관되어야 하고 제품 사용을 통한 실질적 가치와 연관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친환경제품이 시장에서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기업에서 친환경제품 개발 시 제품의 환경성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소비자 니즈를 파악하고 친환경제품이 주는 가치와 혜택을 소비자의 언어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need for modification relating to a current company's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 development that i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idering the life-cycle of the products. Consumers often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life cycle assessments because they think environmental attributes pertain to the "most important" stage, the usage stage. In order to explore consumer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s and their needs during product usage stages, a consumer survey is conducted with mothers who use diapers and the results will be applied to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 development. This study found that those who showed high acceptability of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s had relatively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nd that providing direct benefits or excellent product quality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making purchases. Consumers’ cognitive environmental attributes are no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by life cycle assessment but impact assessments due to the specific attributes relating to the main function and the actual value of the product used. In order to be selected by consumers in the future, consumer needs analysis has to be integrated with the company’s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the value/benefit from the product should be provided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understand.

      • KCI등재

        소비자들은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해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가? : 친환경 제품 종류에 따른 소비자 반응을 중심으로

        김석호,김나민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5 마케팅논집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해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남들에게 제품의 구매나 소비를 보여줄 수 있는 공적 친환경 제품과 그렇지 않은 사적 친환경 제품에 대해 소비자가 어떻게 다른 구매의도를 보이는지를 살펴본다. 이 때 타인의 시선을 중요하시하는 체면민감성과 타인에 대한 관심과 공적인 측면을 중요시하여 친사회적 행동을 하는 도적적 정체성 성향이라는 소비자 특성에 따라 구매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병행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은 사적 친환경 제품보다 공적 친환경 제품을 더 선호하였고, 체면민감성과 도덕적 정체성이 낮은 소비자들은 공적/사적 친환경 제품 종류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관점에 따라 친환경 제품의 구매의도가 달라진다는 점을 검증함으로써 친환경 제품에 관련된 실무자들과 기업 마케팅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The present study tried to investigate if consumers purchase green products to show to others. specifically,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roduct type(public versus private) and consumer characteristics(social face sensitivity and the importance of moral identity) on the purchase intentions of green products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 using print ad revealed that respondents generally prefer public green products to private green products. Also, respondents with high levels of face sensitivity and moral identity have more intention to purchase green products when the product was public whereas respondents with low levels of face sensitivity or moral intensity do not show difference i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product type.

      • KCI등재

        친환경 제품 구매는 착한 마음으로 충분하지 않다: 이타적/이기적 동기가 친환경 제품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배세하(Bae, Se-Ha) 한국마케팅학회 2021 마케팅연구 Vol.36 No.1

        사회가 복잡해지고 환경문제가 부각 되면서, 친환경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의향이 있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소비자들의 구매 의도를 확인하기 위해 소비자의 동기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친환경 연구, 더 나아가 윤리적 소비연구 분야의 많은 연구가 동기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으나, 개인의 도덕성이나 윤리적 자아정체성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착한 소비자들만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전제하고 친환경제품을 구매하는 이타적 동기뿐만 아니라 이기적 동기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친환경제품 구매에 대한 이타적 동기와 친환경 제품 구매 의도 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이기적 동기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타적 동기는 친환경 제품 구매 의도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가진다. 둘째, 이타적 동기와 친환경 제품 구매 의도와의 관계에 있어 이기적 동기의 매개효과는 가격 공정성 지각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격 공정성 지각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이타적 동기가 친환경 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고, 가격 공정성 지각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 이기적 동기가 친환경 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이로써 친환경 제품 구매 과정을 동기적 관점에서 확인하고, 가격 공정성 지각에 따라 친환경 제품 구매의 주 동기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 구매에 대한 실증적 연구로 다양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무엇보다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데 있어 이기적 동기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소비자의 착한 마음을 기대하는 것 만으로는 친환경 제품 구매를 촉진하기에 충분하지 않고, 소비자에게 친환경 제품의 정당한 가치를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우고 있다. 이는 그동안 연구되었던 친환경 소비자의 특성을 밝히는 것보다 더 중요한 연구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뿐만 아니라 실무에서도 소비자의 더 큰 동기가 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As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and more environment problems arise, consumers are willing to pay to buy products and services that positively affect society and environment. This study attempted analyzing a motivational approach by consumers to increase their willingness to buy. Many studie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studies, and more importantly ethical consumption studies, are trying to take a motivational approach, but rely on either individual morality or ethical self-identity.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not only altruistic motives but selfish motives for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assuming that ‘good’ consumers are not the only ones buying eco-friendly products. This study’s results are based on a survey method with 208 consumers and presents several important findings. First, egoistic motivations partially med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ltruistic motivation and the willingness to purchase eco-friendly products. In other words, altruistic motivations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egoistic motivations are controlled by perceptions of price fairness. In more detail, a higher perception of price fairness weakens the impact of altruistic motivation on egoistic motivations. Third, if the perception of price fairness is too high, the impact of altruistic motivation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is insignificant. In addition, if the perception of price fairness is too low, the impact of the selfish motivation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was also minor.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eco-friendly consumption motivation on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from a process perspective may differ and that the main motivation of eco-friendly consumption can also vary depending on price fairness. This study provides a wide range of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a process approach study on eco-friendly consumption motivation. Above all, it was confirmed that egoistic motives play an important role in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In other words, it is not enough to promote the purchase of eco-friendly products just by anticipating the benevolent or altruistic nature of eco-friendly consumers. Instead, the focus should be on awaken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ng the legitimate value of eco-friendly products to consumers. This is more important than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consume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 strategic approach is needed to explore and effectively communicate factors that may be more motivating to consumers in both research and practice.

      • KCI등재

        친환경인증마크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우성,박윤서,이승인 韓國商品學會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중요 소비 트랜드로 주목받고 있는 ‘웰빙(Well-being)’과 ‘로하스(LOHAS)’를 주제로, 친환경인증마크유무와 유형(로하스 인증마크 vs. 웰빙 인증마크)에 따른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가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 중 친환경제품 구매 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소비자의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에 따라서 어떻게 조절되는가를 살펴보았다.연구 설계 및 방법론: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친환경인증마크 유무 및 유형에 관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두 가지 다른 친환경인증마크 유형에 따라 두 가지 버전으로 작성되었으며, 응답한 설문 중 총 287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분석 및 연구 결과: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친환경인증마크가 부착되지 않은 제품보다 인증마크가 부착된 제품에 대해서 보다 긍정적인 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증마크의 유형(로하스 인증마크 vs. 웰빙 인증마크)은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차이를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친환경인증마크 유무와 제품태도의 관계에 있어서 환경의식 수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증마크 유무와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환경인증마크 유형(로하스 인증마크 vs. 웰빙 인증마크)과 제품태도,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에서는 인증마크가 구매와 관련한 위험 지각을 감소시키고, 제품에 대한 품질의 단서로 이용되며, 더불어 구매시점에서 구매에 대한 자신감을 증대시켜 매출 증대에 기여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면서, 친환경제품을생산하고 판매하는 기업의 마케팅 담당자에게 상품에 대한 인증마크 부착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에서는 인증마크와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단지 환경의식 수준 과 이타주의 성향만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소비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성별, 지역,소득수준 등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공헌점: 본 연구는 최근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트랜드를 반영하여 친환경인증마크의 유형을 나누고 환경의식과 이타주의 성향을 통해 친환경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Purpose: As consumers have recently started to become interested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refer eco-friendly products, companies are putting more effort into showing that their products are eco-friendly. A typical way to do this is to attach certification marks. Since this helps consumers make rational decisions by providing them with a type of external condition that can solve problems related to the asymmetry of information, i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both companies and consumers. Though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related to brands or countries of origin as external conditions, researches on certification marks are relatively insufficient. Focusing on 'Well-being' and 'LOHAS'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as an essential consumption trend, this paper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s eco-friendly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 existence and type of eco-friendly certification marks. It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onsumers' environment consciousness and altruistic tendency that are expected to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onsumers' purchase of eco-friendly products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Design/methodology/approach: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cre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roducts have environmentally-friendly certification labeling and what types of labels are put on the products. The questionnaires were divided into two versions depending on the types of labeling and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complete one of the two versions randomly. In both versions, the respondents gave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s products without certification. Of 320 questionnaires, 287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existence of certification marks(products with certification marks vs. products without certification marks) on th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s eco-friendly products, first,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s towards products with certification marks than products without certification mark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the type of certification marks(Well-being certification marks vs. LOHAS certification marks) on th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s eco-friendly products, second, the two types (Well-being and LOHAS certification marks) had no difference in influencing the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s eco-friendly product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level(high/low) and altruistic tendency(high/low),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level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existence of certification marks and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s products, 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altruistic tendenc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existence of certification marks and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s products,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level and altruistic tendency were all shown to be significant. While,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level and altruistic tendency was not all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certification marks and consumers' attitude as well as purchase intention.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Supporting the existing studies which found that certification marks reduce the risk perception related to purchase, and can be used as a clue of the product quality and contribute to the sales increase by increasing confidence in purchase, this study also place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ttaching eco-friendly certification marks to products for the people in charge of

      • 친환경 제품 개발 프레임워크 사례 연구 : 전기전자 산업을 중심으로

        양인목,박철 한국환경경영학회 2012 환경경영연구 Vol.10 No.1

        제품 환경 규제와 환경, 에너지 관련 비용 증가로 인해 친환경 제품 개발의 중요성과 필 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 개발을 추진하려는 기업에게 체계적인 계 획 수립을 위한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전기전자 분야 친환경제품 개발 선진기업 들의 사례를 기업 관점, 제품 관점, 제품 사슬 관점에서 탐색해 보았다. 국내 선두기업인 LG전자를 중심으로 해외 선진기업인 필립스, 후지쯔, 휴렛팩커드 4개사의 사례를 분석해 본 결과, 선진 기업들은 친환경 제품 개발을 위한 비전과 목표를 수립하고 에코디자인 프 로세스와 제품 환경성 평가 기준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고 있었다. 협력회사 평가 시스템 과 환경 인증, 폐제품 회수 시스템도 공통적으로 갖추고 있었다. 반면, 국내 기업에 비해 해외 기업들은 환경 부문을 메인 프로세스에 내재화시키는 모습과 제품의 환경속성으로 수명을 고려하는 노력이 엿보였다. 친환경 제품 개발을 추진하려는 기업은 무엇보다도 먼저 목표 제품에 대해 ‘어떤 제품 이 친환경 제품인가'의 정의를 구체적으로 수립하여야 한다. 이 정의는 전과정 사고를 바 탕으로 제품에 대한 환경 리스크 요인을 파악하는 것과 연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친환경 제품 개발 계획은 내재화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포함하여 수립하여야 한다. 향 후 타 산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사례 연구, 나아가 친환경 제품의 시장 성공 사례에 대 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