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HIBITORY EFFECT OF LACTOCOCCUS LACTIS 1370 ON THE FORMATION OF DENTAL PLAQUE IN CHILDREN

        Lee, Lan-Young,Lee, Chang-Seop,Lee, Kwang-Hee,Oh, Jong-Suk,Lee, Sang-Ho 大韓小兒齒科學會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4

        치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Lactococcus lactis 1370으로 제조한 양치용액이 실제 소아들의 구강내에서 치태의 형성을 억제하는지 여부와 이들 균주의 시간경과에 따른 구강내 잔류율을 알아보고자 소아 30명을 대상으로 위양치액(Lactobacillus casei)과 유산균 양치액(Lactococcus lactis 1370)으로 양치하도록 한 뒤 시간경과에 따른 치태지수, 치태부착면적율, 그리고 Lactococcus lactis 1370의 생균수를 count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24시간후 치태지수는 각각 평균 2.43과 2.06으로 양치에 의해 치태지수는 평균 0.37 감소하였으며 치태형성억제율은 약 15%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0.05). 2. 48시간 후 치태지수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평균 2.95와 2.17로 양치에 의해 치태지수는 평균 0.78 감소하였으며 치태형성억제율은 약 26%로 24시간후에 비해 좀더 많은 감소를 보였다(P<0.05). 3.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24시간후 치태부착면적율은 각각 평균 21.2%와 15.6%로 양치에 의해 치태부착면적율은 평균 5.63% 감소하였으며 치태형성억제율은 약 26%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4. 48시간후 치태부착면적율은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평균 33%와 17.8%로 양치에 의해 치태부착면적율은 평균 15.1% 감소하였으며 치태형성억제율은 약 46%로 24시간 후에 비해 좀 더 많은 감소를 보였다.(P<0.05). 5. 양치후 시간에 따른 구강내 생균수를 count한 결과 1시간 이후까지는 급격한 감소를, 3시간 후에는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며 3시간부터 6시간 사이에는 약간의 증가추세를 보였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 of inhibiting plaque formation of Lactococcus lactis 1370, a acid producing bacterium residing in the mouth. 30 children were asked to use 10ml of control mouthwash and mouthwash containing Lactococcus lactis 1370. The plaque index and plaque area rate at 24h and 48h after the use of the mouthwashes were measured. And the number of Lactococcus lactis 1370 was counted at 1h, 3h, and 6h in the mouth.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 mean plaque index at 24h after the use of the control mouthwash and the mouthwash containing Lactococcus lactis 1370 were 2.43 and 2.06, respectively. The inhibiting rate of plaque formation was 15%(P<0.05). 2. The mean plaque index at 48h after the use of the control mouthwash and the mouthwash containing Lactococcus lactis 1370 were 2.95 and 2.17, respectively. The inhibiting rate of plaque formation was 26%, showing more decrease than at 24h(P<0.05). 3. The mean plaque area rate at 24h after the use of the control mouthwash and the mouthwash containing Lactococcus lactis 1370 were 21.2% and 15.6%, respectively. The inhibiting rate of plaque formation was 26%(P<0.05). 4. The mean plaque area rate at 48h after the use of the control mouthwash and the mouthwash containing Lactococcus lactis 1370 were 33.0% and 17.8%, respectively. The inhibiting rate of plaque formation was 46%(P<0.05). 5. The number of Lactococcus lactis 1370 in the mouth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mouthwashing to 3h, but increased slightly between 3h and 6h. As seen with the above results, we think that using the mouth wash with Lactococcus lactis 1370 would prevent the formation of plaque in the mouth and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prevent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 KCI등재

        수종 복합레진에 대한 치태 부착도 비교

        김영종,김신,정태성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4

        본 연구는 복합레진에서 치태 생성에 영향을 주는 표면 거칠기 및 표면 자유에너지를 나타내는 물방울 접촉각을 측정하고, 치태 부착실험을 통해 두 가지 요소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4종의 복합레진(Z-100, Filtek supreme, Durafil, Clearfil AP X)을 비연마군과 연마군으로 각각 5개씩 시편을 제작하였다. 표면 거칠기는 표면조도형상측정기를, 접촉각은 접촉각측정기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치태부착 실험은, 시편을 배양액에 넣고 Streptococcus mutans Ingbritt을 접종하여 부착된 치태의 양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1. 표면조도는 연마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Z1, DF, CA)>FS의 순, 연마된 실험군에서는 CA>Z1>(FS, DF) 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표면 조도를 보였다(p<0.05). 2. 접촉각은 대조군에서는 CA>(FS, DF, Z1) 의 순, 실험군에서는 (CA, DF)>(FS, Z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접촉각을 보였다(p<0.05). 3. 치태침착은 대조군에서는 Z1>(DF, FS)>CA 의 순, 실험군에서는 Z1>FS>(CA, DF)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치태 침착이 더 많았다(p<0.05). 4. 치태 부착도에 대해서 표면 조도는 상관성이 없고, 접촉각은 강한 반비례 관계를 보였다(p<0.05). 즉 치태 부착에 대해 접촉각이 표면 조도 보다 더 큰 관련성을 보였다.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restoration such as surface roughness and droplet contact angle are important part for the process of bacterial adhe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laque adhesion by measuring roughness, droplet contact angle, and amount of accumulated plaque on the surfaces of composite resins. Four kinds of composite resins, Z-100(Z1), Durafil(DF), Filtek supreme(FS), Clearfil AP X(CA) were used. Ten samples were divided into unpolished and polished group. Surface roughnesses and droplet contact angles were measured by profilometer and goniometer. Plaque weight gains a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were rougher than the control group. Surface roughnesses were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Z1, DF, CA)>FS in the control group, and CA>Z1>(FS, DF) in the experimental group(P<0.05). 2. The control group showed larger contact angle than the experimental group. Contact angles were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CA>(FS, DF, Z1) in the control group, and (CA, DF)>(FS, Z1) in the experimental group(P<0.05). 3.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much plaque than the control group. The amounts of plaque accumulation in vitro were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Z1(DF, FS)>CA in the control group, and Z1>FS>(CA, DF)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latter showed more much plaque than the former(P<0.05). 4. There were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plaque deposition and contact angle (P<0.05) than that of plaque deposition and surface roughness.

      • KCI등재

        소아·청소년기 교정 환자의 음파 칫솔과 일반 칫솔의 치태 제거 효과 비교

        김지연,신철환,박기태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청소년기 교정환자에 있어서 음파칫솔과 일반칫솔의 치태 제거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치과에서 고정식 교정 장치 치료를 받는 건강한 소아·청소년 환자 21명 (여자: 10명, 평균나이 14.57±2.28년; 남자: 11명, 평균나이 13.04±1.55년)을 대상으로 음파 칫솔(Sonicare^(?), Optiva Corp., 미국)과 교정용 일반 칫솔(Orthocare^(?), Tomy International Inc., 일본)을 사용하여 총 4회의 내원 시 각각 2회씩 회당 2분간 칫솔질을 하도록 하였다. 칫솔질 전과 후의 치태지수를 Ainamo와 Bay의 Visible Plaque Index를 변형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전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음파 칫솔이 61.79%(±7.95%), 일반 칫솔은 69.19%(±10.08%)의 치태 감소율을 나타내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음파 칫솔의 경우 남자에서 63.07%(±8.64%), 여자에서 60.39% (±7.30%)의 치태 감소율을 나타냈고(p>0.05), 일반칫솔의 경우 남자에서 69.33%(±10.14%), 여자에서 69.03%(±10.55%)의 치태 감소율을 나타내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연령에 따른 치태 제거 효과 실험 대상자들의 연령범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할만한 연관성이 없었으며 (p>0.05) 음파 칫솔의 경우와 일반칫솔의 경우에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할 만한 연관성이 없었다(p>0.05). 본 연구에서, 고정식 교정 장치를 부착한 소아·청소년기 환자에서 일반 칫솔의 치태 제거 효과가 음파 칫솔의 치태 제거 효과보다 컸다(p<0.0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sonic and manual toothbrush in decreasing plaque accumulation in young orthodontic patients. Twenty one healthy orthodontic patients attendi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t Samsung Medical Center were chosen for the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sonic or manual toothbrush and instructed to brush for 2 minutes. Plaque score was assessed with the modified Visible Plaque Index (VPI) before and after brushing. Each brush was repeated twice. A mean plaque reduction of sonic toothbrush was 61.79%(±7.95) compared to 69.19%(±10.08) of manual toothbrush(p<0.05). With the sonic toothbrush, male presented a mean plaque reduction of 63.07%(±8.64) while female presented 60.39%(±7.30). For manual toothbrush, male presented 69.33%(±10.14) and female presented 69.03%(±10.55) reduction of plaque accumulation(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ge and plaque removal efficacy in this study(p>0.05). Manual toothbrush was significantly more efficient in removing plaque than the sonic toothbrush in young fixed orthodontic patients.

      • SCOPUSSCIEKCI등재

        한국인 고정식 교정 환자의 치태, 치은염 및 탈회의 초기 변화에 관한 연구

        강국진,손병화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3

        구강내 고정식 교정장치의 장착으로 인해 치은염 및 치주염, 법랑질 탈회 및 치아 우식증, 치근 흡수, 치수변화 등 일시적 혹은 영구적 손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발생의 원인으로 치태의 증가, 세균수의 증가와 조성의 변화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변화는 치은의 염증과 탈회를 유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환자에서 장치장착 전후의 치태, 치은염 그리고 탈회의 변화를 시간에 따른 변화, 남녀간의 차이 그리고 좌.우 소구치 부위간의 차이를 통해 알아보고자 전신질환이 없고, 여자의 경우 초경이 지난 사람을 대상으로 대조군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생48명(남자 26명, 여자 22명)과 실험군으로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료할 환자 73명(남자 36명, 여자 37명)을 모두 잇솔질교육(TBI)을 실시한 후, 치태치수, 치은염지수 그리고 탈회지수에 대하여 대조군은 3주 간격으로 2회를, 실험군은 최초측정을 하고 공정식 교정장치를 부착한 뒤 3주, 6주, 9주에 걸쳐 총 4회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태지수(PI)는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후 3주의 측정 이후 서서이 증가하였다. 2. 치은염지수(GI)는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후 3주의 측정 이후 치태 지수의 증가보다 좀더 바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3. 탈회는 3주와 6주 사이에서 발생하기 시작하며, 탈회지수(DI)는 처음과 비교하여 6주 측정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는 없었다. 4. 좌.우 소구치 부위의 비교에서는 실험군의 치태지수와 치은염지수에서 우측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Intraoral fixed type of orthodontic appliance can cause reversible or irreversible damages such as gingivitis, periodontitis enamel decalcification, dental caries, root resorption, and pulpal changes. Such adverse effects are brought by increase in dental plaque as well as oral flora. Such an increase cause gingival inflammation and enamel decalc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knowledge on initial changes in dental plaque, gingivitis, and enamel decalcification after bonding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according to time flow, gender, and sides(right/left) of premolar region. For control group, 48 students of dental college, Yonsei university(26 males, 22 females) were chosen; for experimental group, 73 orthodontic patients(36males, 37 females) who will be treated with fixed appliances were chosen. All the subjects had no systemic disease, juvenile periodontitis and all the females had passed their menarche. Tooth brushing instruction was given to all the subjects prior to the experiment. for control group, plaque index, gingival index, and decalcification index were measured twice at 3 weeks interval ; for experimental group, the same was done prior to, 3, 6, 9 weeks after bonding fixed applianc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plaque index 3 weeks after placement of appliances, and it showed gradual increase afterwards. 2. In gingival index 3 weeks after placement of appliances, and afterwards it showed increase at a faster rate than plaque index. 3. Enamel decalcification began to show between 3 and 6 weeks after bonding fixed appliances. Decalcification index began to increase 6 weeks appliance placemen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4. When the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wo sides of premolar region, the right side showed greater index in plaque and gingival index of experimental group.

      • KCI등재

        A study on the plaque removal efficiency of new and worn toothbrushes

        남세진,양병근,김태일,설양조,이용무,구영,류인철,백대일,정종평,한수부,Nam, Se-Jin,Yang, Byung-Kun,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Rhyu, In-Chul,Paik, Dai-Il,Chung, Chong-Pyoung,Han, Soo-Boo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2005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5 No.1

        3개월 동안 사용한 마모된 칫솔의 마모 정도와 양상을 관찰하고, 새 칫솔과 마모된 칫솔의 잇솔질 전 ${\cdot}$ 후 치태제거효율을 single-use design으로 비교 ${\cdot}$ 평가하여 3개월 주기의 칫솔 교체 주기의 근거를 임상적으로 확인 해보고자 하였다. 치주적으로 건강한 치과 대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잇솔질 습관을 조사하고, 3개월간 동일한 칫솔과 치약을 사용하게 하였다. 3개월 후 피시험자를 무작위로 두 군(I, II)으로 나누고, 치석제거술을 시행한 뒤 2주후에 내원하도록 하였으며 내원 전 48시간동안은 잇솔질을 하지 않도록 지시하였다. 2주후 I군은 새 칫솔을, II군은 마모된 칫솔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잇솔질 전 ${\cdot}$ 후에 각각 구강 내를 erythrosin으로 염색한 후 6개의 Ramfjord 치아의 plaque score를 Patient Hygiene Performance (PHP) index로 측정하였다. 2주간의 washout period 후에 다시 치석제거술을 시행한 뒤, I군이 마모된 칫솔을, II군은 새 칫솔을 사용하게 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PHP index를 각각 측정하였다. 마모된 칫솔은 수거하여 brushing surface area의 면적으로 마모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는 paired t-test와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로 통계처리 하였다. 2명이 탈락하였고 잇솔질 전 ${\cdot}$ 후에 대한 전체 부위, 치간 부위, 변연치은 부위의 plaque score는 두 칫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p<0.0001), 두 칫솔을 비교한 경우에는 새 칫솔이 마모된 칫솔보다 치태 감소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많았다 (p<0.0001). 칫솔의 마모도는 평균 50.6% 증가하였으며, 마모도 증가에 따른 치태 감소량에는 직선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전체 부위 r=-0.58, p=0.72 / 변연치은 부위 r=-0.50, p=0.76). Single-use design에서 3개월 동안 마모된 칫솔은 치태제거 능력에 있어서 새 칫솔보다 덜 효율적이였다. 칫솔의 마모도는 구강 위생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마모된 칫솔은 정기적인 교체가 요구된다. 또한, 치간 부위를 포함한 변연치은 부위의 치태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치태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 KCI등재

        Real-time PCR을 이용한 치주질환 원인균의 정량적 분석

        김선미,양규호,최남기,강미선,오종석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3

        Real-time PCR 기법을 이용하여 구강내 치태에서 특정 세균의 존재여부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real-time PCR 기법을 이용하여 8-18세의 청소년에서 치주질환 원인균의 조성을 알아보고자 전신질환이 없는 어린이 및 청소년 65명을 대상으로 치은연하의 치태를 채취하여 5종의 치주질환 원인균의 출현율과 그 양을 측정하고,또한 함께 측정한 치태지수 및 치은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태지수의 평균은 1.33이었으며,치은지수의 평균은 0.97이었다. 치태지수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p<0.05). 2. 치주질환 원인균의 출현율은 P. gingivalis 61.5%, T. forsythia 53.8%, T. denticola 29.2%, A. actinomycetemcomitans 15.4%. F. nucleatum은 100%였다. P. gingivalis, T. denticola는 10세 이후 출현율이 증가하였고 A. actinomycetemcomitans는 8-10세 군에서 출현율이 높았다(p<0.05). 3. 정량적 분석에서 치태지수와 치은지수는 F. mucleatum의 양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며,치태지수는 치은지수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T. forsythia는 A. actinomycetemcomitans, T. denticola양과 강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T. denticola양과 A. actinomycetemcomitans도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The detection of special bacteria of oral plaque and quantitative analysis are possible through the real-time PCR techniqu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the amount of five periodontopathic bacteria using real-time PCR, and evaluate the relationship among amount of bacteria, plaque index and gingival index. Sixty five subjects ranging from 8 to 18 years old were enrolled. Plaque index and gingival index were examined and five pehodontopathic bacteria were surveyed in subgingival plaque sample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The prevalence of P. gingivalis was 61.5%, T. forsythia was 53.8%, T. denticola was 29.2%, A.actinomycetemcomitans was 15.4% and F. nucleatum was 100%. Plaque index and gingival index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amount of F. nucleatum. The amount of T,forsythia has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amount of T, denticola and A, actinomycetemcomitans(p<.0.05).

      • KCI등재

        A Study of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on orthodontic brackets

        Yang,Kyu Ho,Oh,Jong Suk 大韓小兒齒科學會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1

        구강내의 교정 장치는 미생물 전파에 있어서 다양한 장소를 제공한다. 치태는 차아 우식증 발생에 있어 매우 큰 역할을 하며 미생물,비세포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외에서 교정용에서의 인공 치태 생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Streptococcus mutans type c는 CO₂incubator내의 37℃에서 brain heart infusion broth에서 배양 되었다. 중절치에 사용하는 9개의 .018″×.025″standard edgewise brackets을 3개씩 비이커의 배양액에 매달았다. 3개 비이커의 배양액 pH는 각각 pH 5.5,7.0 그리고 8.5로 조절되었다. 5시간 후에 비이커에서 각각의 brackets을 꺼내서 , bracket의 평균 무게를 측정하였다. 배지의 stirring effect를 측정하기 위하여 3개씩 .018˝×.025˝standard edgewise brackets을 2개의 비이커에 위치시켰다. 12개의 brackets을 CaCl₂(0.25,1.0,4.0 그리고 16.0mM). KCI(2.5,10,40 그리고160mM)그리고 MgCl₂(0.1,0.4,1.6, 그리고 6.4mM) 용액에 각각 매달았다. 6개의 .018˝×.025″standard edgewise brackets, 6개의 .022″×.028″Roth brackets과 6개의 .022″×.028″Broussard brackets을 각각의 비이커 내에 매달았다. 배양액 내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각의 brackets을 근사값의 milligram 단위로 측정하였다. 그룹 사이의 차이는 Mann-Whitney와 Kruskal-Wallis tests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p value<0.05의 조건에서 이들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갖는다. 5시간 동안 pH 5.5에서 배양된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해 형성된 인공 치태는 pH 7.0이나 pH 8.5에서 배양된 것보다 작았다(p<0.05). 인공 치태는 배양하는 동안 저어졌을 때 더 많이 형성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bracket에 형성된 인공 치태는 좀 더 높은 알칼리성 배지에서 배양됨으로써, 그리고 배양 동안 배지를 저어줌으로써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배지의 CaCl₂,KCI,MgCl₂의 농도와 상업적으로 다른 종류의 이용 가능한 교정용 bracket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임상검사 및 설문조사를 통한 청소년의 치주상태 연구

        김태형,이대우,김재곤,양연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1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3 No.3

        Periodontal disease, one of the most common oral diseases, has been widely researched. However, in the face of increasing incidence of adolescent periodontitis, there has been only little concern about the periodontal conditions in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iodontal health and assess the prevalence of the periodontal disease and its causing factors among adolesc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ubjects ranging from age 10, 13 and 16 years old in Jeonju by clinical examination and survey.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and plaque index value were higher in male than female (p < 0.05). The group of 13 years old subjects had the highest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73.3%) and plaque index value (p < 0.05). Among the plaque index of each individual tooth, mandibular central incisor showed the highest value. The survey relating anticipated risk factors demonstrated that the group of 13 years old subjects had the least care for oral hygiene. Also, patients who received the treatment of scaling exhibited high plaque index (p < 0.05), and adolescents with great stress loads showed calculus deposition and increased plaque index (p < 0.05). 치주질환은 3대 구강질환으로 성인 대상으로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청소년의 경우 치주질환이 증가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치주상태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치주상태와 치주질환 유병률을 조사하고 그 기여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전주시 10세, 13세, 16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임상 검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주질환 유병률과 치태지수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관찰되었고(p < 0.05), 13세에서 가장 높은 치주질환 유병률(73.3%)과 치태지수가 관찰되었다(p < 0.05). 치아별 치태지수의 경우 하악 중절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예상위험요인과 관련한 설문조사에서 13세의 구강 위생관리가 가장 부족하게 나타났다. 스케일링을 받은 환자에서 치태지수가 높게 관찰되었으며(p < 0.05), 스트레스가 많은 청소년에게서 치석 침작 및 치태지수가 증가하였다(p < 0.05).

      • KCI등재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환자에서 슬림모 칫솔과 V형 교정칫솔 간의 구강위생관리 효과 비교

        최진휴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6

        본 연구는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환자에서 V형 교정칫솔과 비교하여 슬림모 칫솔의 구강위생관리 효과를 평가해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고정식 교정장치를 장착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34명(평균연령 21.9 ± 7.5세)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슬림모 칫솔(Nano silver slim care.34, Aiio, Seoul, Korea)을 사용한 군과 V형 교정칫솔(Oral-B Laboratories Ltd., P&G Korea, Seoul, Korea)을 사용한 군으로 구분한 후 연구시작 시(Baseline), 2주 후, 4주 후 및 6주 후에 걸쳐서 하나의 칫솔을 교환하지 않고 변형 바스법으로 하루 2회 2분씩 닦도록 하여 치태지수, 치은염지수 및 치은출 혈지수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6주간의 실험기간에 걸쳐 슬림모 칫솔군과 V형 교정칫솔군 간에 치태지수, 치은염지수 및 치은출혈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시기에 따른 변화에 대해서 두 칫솔군 모두 치태지수와 치은염지수는 연구시작 시를 기점으로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4주 후에 저점을 보이고 6주 후에는 다시 상승하였고, 치은출혈지수의 경우는 V형 교정칫솔군의 경우 2주 후에 최저점을 보이다가 4주 후와 6주 후에는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슬림모 치솔군의 경우 연구시작 시부터 6주 후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령에 따른 두 칫솔군 간의 구강위생 관리 효과 비교에서 슬림모 칫솔군은 치태지수와 치은염지수에서 20대가 10대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수치를 보였다 (p < 0.013). 이상의 연구 결과로 고정식교정장치로 치료받는 환자에서 두 칫솔 모두 구강위생관리에 동일하게 효과적이었으나 20대 이상의 성인 교정환자에서 슬림모 칫솔이 V형 교정칫솔보다 치태제거 효과가 더 우수함을 보여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slim bristled toothbrush compared with a V-shaped orthodontic toothbrush in patients wi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Methods: Thirty four orthodontic patients receiving edgewise treatment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a slim bristled toothbrush (Nanosilver slim care) and a V-shaped toothbrush (Oral-B). Plaque index, gingival index and bleeding index were recorded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baseline), 2 weeks, 4 weeks and 6 weeks after new toothbrushes were suppli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plaque index, gingival index and bleeding index between toothbrush groups during the 6 weeks. Plaque and gingival indices were decreased at 2 weeks and 4 weeks but increased at 6 weeks in both toothbrush groups. Bleeding index in the V-shaped toothbrush group showed the lowest value at 2 weeks then increased at 4 weeks and 6 weeks but in the slim bristled toothbrush group decreased from 2 weeks through 6 weeks to under baseline levels. Patients in their twenties had significantly lower values than teenagers in the slim bristled toothbrush group (p < 0.013). Conclusions: The results would suggest that both of the toothbrushes are equally effective but the use of a slim bristled toothbrush may be of benefit in promoting gingival health for fixed orthodontic appliance patients in their twenties and over.

      • KCI등재

        수종 의치세정제의 세척 효과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비교 연구

        윤보혁,윤미정,허중보,전영찬,정창모,Yun, Bo-Hyeok,Yun, Mi-Jung,Hur, Jung-Bo,Jeon, Young-Chan,Jeong, Chang-M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9 No.1

        연구 목적: 증류수, 차아염소산나트륨 성분의 가정용 살균소독 표백제 그리고 국내에서 판매중인 세 가지 의치세정제의 세척 효과를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을 통해 상호 비교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부산대학교병원 치과보철과에서 총의치 또는 국소의치를 제작했거나 제작 중인 연구대상자 5명의 상, 하악 임시 의치 협면에 금속 원판 시편을 식립 하였다. 연구대상자로 하여금 48시간 동안 임시 의치를 장착하게 한 후 회수하여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증류수, 차아염소산나트륨 희석용액, $Polident^{(R)}$, $Cleadent^{(R)}e$, $Bonyplus^{(R)}$) 중 하나의 세척 방법으로 실온에서 8시간 동안 세척하였다. 실험에는 직접 참가하지 않았으나 치과적 지식이 있는 10명의 panel을 구성하였고, panel은 한 부위에서 얻어졌으나 다섯 가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처리된 시편들의 세척도를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깨끗한 순으로 1, 2, 3, 4, 5의 순위를 기록하게 하였다. 결과: 세척 효과는 차아염소산나트륨 희석용액, $Polident^{(R)}$, $Cleadent^{(R)}e$, $Bonyplus^{(R)}$, 증류수 순으로 우수하였으나 차아염소산나트륨 희석용액과 $Polident^{(R)}$, $Polident^{(R)}$와 $Cleadent^{(R)}e$ 그리고 $Bonyplus^{(R)}$와 증류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5). 차아염소산나트륨 희석용액으로 세척한 시편의 표면에서는 거의 모든 치태가 제거되었으나, 의치세정제의 경우에는 대부분 세척 후에도 잔류 치태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축적된 치태가 두꺼울수록 남아있는 치태가 더 많았다. 차아염소산나트륨 희석용액 (0.08% 이상)은 비귀금속 시편의 표면 부식을 유발하였다. 결론: 적절한 화학적 세정제의 선택 사용은 신체장애가 있거나 고령인 의치 환자의 구강 위생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알칼리성 과산화물 계열의 의치세정제의 경우 의치 세척 효과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가능한 칫솔질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eansing performance of a distilled water, a diluted solution of sodium hypochlorite as a household bleaching cleanser and three alkaline peroxide cleansers in vivo plaque deposits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Materials and methods: Five individuals were selected from department of the prosthodontics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each of them was inserted with specimens for plaque accumulation in their temporary dentures for 48 hours. The specimens were removed and cleaned by each cleansing agents for 8 hours.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were made from the specimens at a magnification of ${\times}2,000$. A panel of ten persons with a dental or paradental background, but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study, was selected to analyze the photomicrographs to determine which denture cleanser was more effective in removing plaque. Results: Diluted solution of sodium hypochlorite was the most effective at removing plaque following $Polident^{(R)}$, $Cleadent^{(R)}e$, $Bonyplus^{(R)}$ and distilled water in ord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leansing efficacy between diluted solution of sodium hypochlorite and $Polident^{(R)}$, $Polident^{(R)}$ and $Cleadent^{(R)}e$, $Cleadent^{(R)}e$ and $Bonyplus^{(R)}$, respectively (P > .05). Alkaline peroxide cleansers by themselves cannot adequately remove accumulated plaque deposits, especially if the deposits are heavy. Corrosion could be seen on the surface of non-precious alloy specimens immersed in diluted solution of sodium hypochlorite.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o use of alkaline peroxide type cleansers with brushing whenever possible, since denture cleanliness is often poor due to the relative inefficiency of these clean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