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내 충격소음 측정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송기혁(Kee-Hyeok Song),정성학(Sung-Hak Chu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170dB 이상의 고충격 소음원에서 실내 충격소음을 측정 평가 할 수 있는 측정시스템 구축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내충격소음 측정시스템용 시험장을 설계 및 구현하고, 충격소음 측정용 마이크로폰, Head & Torso Simulator, Ear Simulator를 구성하였다. 충격소음 측정 시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3가지 측정방법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으며, 정확성과 신뢰성을 위하여 3가지의 실내충격소음 측정값을 상호 비교하였다. 3가지 측정방법에 따른 최대 음압레벨과 옥타브 밴드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내 충격소음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반사파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시험장의 크기를 변형하면서 측정할 수 있도록 실내 충격소음 측정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 구현을 통하여, 충격 소음원의 특징분석과 해당 주파수별 스펙트럼의 반사파 영향들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실내 충격소음에 대한 데이터 획득 및 분석을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asurement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for the evaluation and measurement of the indoor-impulsive over 170 dB noise source.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impulse noise, design and implementation constructed followed subsystems of the testing center, microphone, ear simulator, head and torso simulator and so on. Measurement systems for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impulse noise are implemented when measuring 3 ways of measurements method by the simultaneous measurement system design. For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ree mutually indoor-impulse noise measurements were compared, three kinds of measuring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peak sound pressure level and octave band. Comparing the results of data, the indoor-impulse noise by analyz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was validated in difference fo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 are determined by the influence of the reflected wave. Therefore, the flexible size of the interior test site while interior impulse noise measurement system was constructed. Throughout this system can be affected by parameters that are the impulse noise source and the corresponding frequency-characteristic analysis to determine the spectrum of the reflected wave. And, in the near future, indoor impulse noise measurement systems for acquisition and analysis are utilized in useful data.

      • KCI등재

        Assessment of the Radiological Inventory for the Reactor at Kori NPP Using In-Situ Measurement Technology

        Hyun Chul Jeong,Sung Yeop Jeong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4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2 No.2

        원전 해체 시 원자력설비는 안전하게 해체되어야 한다. 고리 1호기나 월성 1호기와 같은 노후화된 원전의 경우 곧 원전 해체를 계획하고 있는 대상 원전이지만, 이 원전들의 가동 중단 후 해체 시 선원항 평가 기준, 제염 및 해체 기술 등의 독자적인 국내 기술 확보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전 선원항 평가 기술 중 하나로 In-Situ 기법을 이용하여 대형 원전 기기를 직접 측정하여 측정대상체에 대한 선원항 평가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원자로 헤드를 별도의 해체 없이 이동형감마핵종분석기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법으로 분석하고 간접 측정을 병행하여 측정 결과를 보완하였다. 그리고, 표면오염시료는 방사화학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확장하여 원자로의 핵종 재고량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핵종별 방사능량 변화에 따라 해체 시점을 결정할 수 있으며, 원전 해체 시 작업자의 피폭 저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In-Situ 측정법을 이용한 고리 원자로 방사선원항 평가

        정현철,정성엽,Jeong, Hyun Chul,Jeong, Sung Yeop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4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2 No.2

        원전 해체 시 원자력설비는 안전하게 해체되어야 한다. 고리 1호기나 월성 1호기와 같은 노후화된 원전의 경우 곧 원전 해체를 계획하고 있는 대상 원전이지만, 이 원전들의 가동 중단 후 해체 시 선원항 평가 기준, 제염 및 해체 기술 등의 독자적인 국내 기술 확보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전 선원항 평가 기술 중 하나로 In-Situ 기법을 이용하여 대형 원전 기기를 직접 측정하여 측정대상체에 대한 선원항 평가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원자로 헤드를 별도의 해체 없이 이동형 감마핵종분석기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법으로 분석하고 간접 측정을 병행하여 측정 결과를 보완하였다. 그리고, 표면오염시료는 방사화학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확장하여 원자로의 핵종 재고량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핵종별 방사능량 변화에 따라 해체 시점을 결정할 수 있으며, 원전 해체 시 작업자의 피폭 저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fter the expiration of operating license of a plant, all infrastructures within the plant must be safely dismantled to the point that it no longer requires measures for radiation protection. Despite the fact that Kori 1 and Wolsong 1 are close to the expiration of their operating license, sufficient technologies for radiological characterization, decontamination and dismantling is still under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ne of methods for radiological inventory assessment on measuring object by using direct measure of large component with In-Situ measurement technique. Radiological inventory was assessed by analyzing nuclide using portable gamma spectroscopy without dismantling reactor head, and the result of direct measurement was supplemented by performing indirect measurement. Radiochemical analysis were performed on surface contamination samples as well. During the study, radiological inventory of reactor vessel calculated expanding the result. Based on the result and the radioactivity variation of each radionuclides time frame for decommissioning can be decided. Thus, it is expected that during the decommissioning of pla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radiation exposure to workers.

      • KCI등재후보

        두경부 방사선 치료 환자에서 투과선량 알고리즘의 임상 적용시 불균질 조직 보정에 관한 연구

        김수지(Suzy Kim),하성환(Sung Whan Ha),우홍균(Hong Gyun Wu),허순녕(Soon Nyung H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2

        목 적: 두경부에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투과선량측정시스템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재현성과 선량 계산 알 고리즘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9월 5일부터 9월 18일까지 4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두경부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3회 이상의 측정을 시행하고 조사야의 중심이 차폐되지 않은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매일 환자의 치료 시작 전과 치료 중 한 시간 간격으로 10×10 cm2 개방 조사야에 100 MU을 조사하고 측정을 시행하여 시스템의 안정성 및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투과선량 계산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두경부 방사선치료 환자에서 투과선량의 예상치를 구하고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투과선량 예상치는 환자의 CT 또는 MR 영상과 모의치료 시의 X-선 필름을 사용하여 방사선 투과 부위의 골조직, 공기, 지방조직의 두께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불균질 조직의 영향을 보정하였다. 결 과: 10×10 cm2 개방 조사야에 100 MU을 조사하여 측정을 시행하였을 때 측정치의 일 중의 오차가 ±0.5% 이내이고 일간의 오차가 ±1.0% 이내로 시스템의 안정성 및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투과선량 예상치와 실제 측정치 간의 평균 오차는 뇌 부위 치료 환자에서는 ±5% 이하, 두부 치료 환자에서는 ±2.5% 이하, 경부 치료 환자에서는 ±5% 이하이었다. 결 론: 투과선량측정시스템의 안정성과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외부 형태가 불규칙하고 불균질 조직이 포함되는 부위에 대하여 CT, MR 등의 영상을 이용하여 불균질 조직에 대한 보정을 함으로써 정확한 예상치를 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To confirm the reproducibility of in vivo transmission dosimetry system and the accuracy of the algorithms for the estimation of transmission dose in head and neck radiation therap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5 to 18, 2001, transmission dos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when radiotherapy was given to brain or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The data of 35 patients who were treated more than three times and whose central axis of the beam was not blocked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reproducibility of this system, transmission dose was measured before daily treatment and then repetitively every hour during the treatment time, with a field size of 10×10 cm2 and a delivery of 100 MU. The accuracy of the transmission dose calculation algorithms was confirmed by comparing estimated dose with measured dose. To accurately estimate transmission dose, tissue inhomogeneity correction was done. Results: The measurement variations during a day were within ±0.5% and the daily variations in the checked period were within ±1.0%, which were acceptable for system reproducibility. The mean errors between estimated and measured doses were within ±5.0% in patients treated to the brain, ±2.5% in head, and ± 5.0% in neck.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reproducibility of our system and its usefulness and accuracy for daily treatment. We also found that tissue inhomogeneity correction was necessary for the accurate estimation of transmission dose in patients treated to the head and neck.

      • KCI등재

        조종면이 장착된 회전하는 발사체에서의 공력특성 분석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영하(Young-Ha, Park),제상언(Sang-Eon Je),조수용(Soo-Yong Cho)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1 No.5

        본 연구에서는 미사일형상의 몸체(쉘)와 쉘의 헤드부에 조종면을 부착한 발사체에서 힘과 모멘트를 측정하였다. 쉘과 헤드부는 상호 분리되어 있으며, 쉘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하였다. 헤드부는 쉘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로 회전하며, 헤드부의 회전은 한 쌍의 조종면에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각변위을 주어서 비행하는 경우에 자연적으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하였다. 실험에서의 유속은 40 m/s로 설정하였으며, 레이놀드수는 헤드직경을 기준으로 1.3x105 였다. 발사체의 자세제어 및 방향전환을 위하여 헤드부에 있는 다른 한쌍의 조종면은 각변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회전하는 발사체에서 힘과 모멘트의 변화가 측정되었으며, 측정된 결과로부터 FFT 분석을 통하여 영향력이 있는 진폭과 주파수를 얻었다. In this study, forces and moments were measured on a projectile which consisted of a missile configuration body(shell) and a head installed control fins. The shell and the head were separated each other and the shell was rotated by an electric motor. The head rotated reversely agains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hell. The rotational force on the head was obtained from a couple of fixed fins of which angular displacement were set to the rotational direction equally. The air velocity was 40m/s on the experiment and the Reynolds number based on the diameter of head was 1.3x105. The other couple of fins were used to control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projectile by changing the angular displacement. From this experiment, the variation of force and moment were measured on the rotating projectile, and the effective amplitude and frequency were obtained through the FFT analysis.

      • 로터리형 레피어 직기의 그립퍼 헤드 속도 측정에 관한 연구

        조규상 대구미래대학 2001 論文集 Vol.19 No.1

        The rapier loom with the rotary type drive machines was manufactured. The drive machines of rotary type rapier loom was made of crank gear, link, sector gear, and pinion gear, operated at the high speed compare to conventional rapier l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gripper head in the high speed rotary type rapier loom. Computer simulation of the displacement,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gripper head was performed at the various speed of drive gear using the four-bar mechanism kinematically. The experiment using the optical fiber and FFT analyzer was performed at the speed of 427 rpm of drive gear.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s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computer simulation. The results are closely consistent with both of them.

      • KCI등재

        일반 양질 토양 및 캘리포니아 모래 지반에서 현장 투수측정기를 이용한 투수속도와 정수위 포화투수계수 비교

        김경남 한국잔디학회 2022 Weed & Turfgrass Science Vol.11 No.2

        This research was initiated to compare water permeability rate measured by both on-site infiltrometer and constant-head permeameter under anysoil (loamy sand soil) and California systems and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applicable to turfgras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water infiltration rate with soil system, season and method. Overall water permeability rate measured by on-site infiltrometer was 397.15 mm h-1 in California system and 1.13 mm h-1 in anysoil system, being 396.02 mm h-1 in differences. This rate was 350 times higher in California system over anysoil system. Regardless of season, California system showed rapid infiltration rate from 195 to 1,398 times higher than anysoil system. Data from constant-head permeameter indicated that overall average values of saturated infiltration rate were 414.77 and 122.80 mm h-1 for California system and anysoil systems, respectively, which were 291.97 mm h-1 in differences between two soil systems. This data means 2.37 times faster in California system over anysoil system. From this study, water permeability rate greatly varied with soil system and methods. Specially, the rate measured by on-site infiltrometer was 108 times lower under anysoil system of loamy soil when compared with that by constant head method. Use of on-site infiltrometer is not recommended for anysoil system. Considering soil aeration and drainage capacity, a sand-based system was better for turfgrass quality than loamy soil. Accordingly, it should be improved by mixing sand to increase macropore content in rootzone layer under anysoil system of loamy soil. Information on seasonal water permeability rate and saturated infiltration rate under both soil systems practically useful for turfgras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본 연구는 일반 토양의 기존토 지반과 캘리포니아 모래 지반에 조성한 잔디밭에서 현장 투수속도기를 이용한 투수속도와 정수위 투수시험기를 이용한 포화투수계수를 비교해서 지반 및 측정방법에 따라 투수성능 차이를 파악해서 잔디식재 및 관리에 활용하고자 시작하였다. 일반 기존토 지반 및 캘리포니아 지반에서 현장 투수속도 및 포화투수계수를 분석결과 지반, 계절 및 측정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현장 투수측정기로 조사한 연중 전체 평균 투수속도는캘리포니아 모래 지반이 397.15 mm h-1, 기존토 지반이 1.13 mm h-1로 지반간 차이가 396.02 mm h-1로 나타나서, 캘리포니아 지반의 투수속도가 일반 토양에 비해 350배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절별 현장 투수속도도 캘리포니아 모래지반이 195-1398배 더 빠르게 나타났다. 전체 평균 포화투수계수는는 캘리포니아 지반 및 기존토 지반에서 각각 414.77, 122.80 mm h-1로 지반간 차이가 291.97 mm h-1로 캘리포니아 지반이 2.37배 정도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재층 지반 유형과 측정방법에 따라 투수성능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기존토 지반의 경우 측정 방법에 따라 투수속도 차이가 108배 정도 나타나서 현장 투수속도기를 일반 토양에 사용하는 것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잔디밭에서 통기성 및 배수성능을 고려 시 일반 양토의 기존토 지반에 비해 캘리포니아 모래 지반이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기존토 지반은 잔디밭 시공 및 관리 시 모래 혼합을 통해서 식재층의 대공극 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험을 통해 밝혀진 지반에 따른 계절별 투수속도와 포화투수계수 데이터는 잔디밭 설계, 시공 및 관리에 실무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TOFD UT 기법을 활용한 원자로 상부헤드관통부 J-groove 용접부 결함 검출 가능성 평가

        이정석,이태훈,김용식,Lee, Jeong Seok,Lee, Tae Hun,Kim, Yong Sik 한국압력기기공학회 2015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Vol.11 No.2

        A failure or degradation of reactor upper head penetration is a troublesome problem at Nuclear Power Plants. A flaw in the reactor upper head penetration can result in unplanned plant shutdown for repair, and cause serious economic losses on the plants. Consequently, a detection of flaws is a matter of more importance. Until now, only the base metal, not including J-groove weld, in reactor upper head penetration has been inspected in accordance with 10 CFR 50.55a and ASME code case N-729-1 requirements. Accordingly, it is rather difficult to detect manufacturing defects and repair defects in J-groove weld.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ime of Flight Diffraction UT technique to examine the J-groove weld in reactor head penetration using reactor head penetration mockup with artificial flaws. We expect that this study result will offer a way to understand the non-destructive examination technology for J-groove weld in reactor upper head penetration.

      • KCI등재

        3D 측정치를 활용한 한국 성인남성의 연령대별 머리 및 얼굴형태 비교 분석 -20~60대 남성을 중심으로-

        김지민(Kim, Ji M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한국 남성의 머리와 얼굴에 착용하는 제품 설계 시 필요한 머리 부위 치수와 형태를 연령대별로 분석하여 관련 제품의 착용감과 맞음새 적합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연령대별 머리 관련 제품의 개발과 착용 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되고, 머리 관련 치수규격의 체계적인 성립을 통한 제품의 성능 강화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인 남성의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의 3D 형상자료 중 20-69세 성인남성의 머리와 얼굴 부위 자료를 SPSS 프로그램으로 F-test, Duncan-test 요인분석등을 실시하여 연령집단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3차원 측정치 결과, 총28개 항목 중 오른쪽 눈초리-뒤통수돌출 수평길이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연령대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수직크기에 해당하는 항목이 수평크기에 해당하는 항목보다 연령증가에 따른 노화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총 7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총 설명력은 82.208%로 나타났다. 요인1은 ‘머리와 얼굴수직크기’의 요인, 요인2는 ‘머리둘레를 포함한 뒤통수 돌출점 기준 수평크기’의 요인, 요인3은 ‘귀구슬점 기준 머리와 얼굴형태’의 요인, 요인4는 ‘코뿌리 아래 얼굴 수직크기’의 요인, 요인5는 ‘얼굴의 이목구비 너비’의 요인, 요인6은 ‘머리너비 비율 관계’의 요인, 요인7은 ‘얼굴의 하관너비’의 요인이다. 연령대별 요인점수를 비교하면, 요인4를 제외한 여섯 요인에서 연령증감에 따른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anthrop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in men’s head and facial dimensions and shapes with age to help design better fitting head-related products for target age groups and improve their wearing satisfactions. Manufacturing industries can use such information to establish sizing systems to improve the fit and performance of their product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The study utilized 3D head-related measurements of men aged between 20 and 69 from the 6th Korean Human Body Measurement Investigation. The data was arranged by age groups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SPSS WIN 22.0. to identify the variations between the age groups. The study conducted F-test and Duncan-test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measurements between the age group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ead-related 3D measurements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s of 28 items, except for occiput to ectocanthion distance. In addition the vertical measurements were more susceptible to change and more easily affected with aging. Factor analysis identified 7 factors with eigenvalues greater than 1.00 and explained 82.208% of the total variance; Factor 1, heights of head and face; Factor 2, vertical distances from opistocranion and head circumference; Factor 3, head and facial measurements from right tragion; Factor 4, face heights below sellion; Factor 5, Widths of face features; Factor 6, measurements related to horizontal size of the head; Factor 7, facial widths below the nose. The factor scores indicates that all of the six factors, except for Factor 4, were influenced by the aging process, increased or decreased with age.

      • KCI등재

        여성 모자 패턴제작을 위한 측정방법과 디자인 개발 연구

        김차현(Cha Hyun Kim),안영실(Young Sill Ah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성장하고 있는 모자산업에 발맞추어 한국 성인여성의 착용감이 좋은 모자패턴 및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함에 목적에 있다. 모자 기본원형 제작의 기초가 되는 머리둘레는 모자 형태나 쓰는 방법의 변화에 따라 차이를 두어야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류된 각 대표 모자의 기본원형을 3D 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디자인한 모자 4가지를 제작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에서 정의한 각 머리둘레는 모자 쓰는 위치와 디자인에 따라 모자둘레와 차별을 두어 사용하여야 하며, 두상의 앞면에서는 이마시작점, 이마중간점, 눈살점이, 옆면에서는 귀바퀴위점, 뒷면에서는 뒤통수돌출점, 뒤통수점이 모자 패턴제작을 위한 주요한 계측점으로 지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의 1차적인 머리 두께 및 너비길이에 근거한 머리둘레의 Master Oval Pattern 제작에 비하여 3D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제작방법이 보다 더 쉽고 정확하게 구할 수 있었으므로 앞으로 대량생산 모자의 패턴제작에 있어서는 3D 계측방법의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제작된 모자 디자인에 따라 정확한 머리둘레 위치 및 형상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넷째, 모자 형태의 분류에 따라 반구형, 원기둥형, 원반형, 무 크라운 모자의 기본원형을 제시하여 다양한 디자인 전개에 활용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growing millinery industry of Korea with basic patterns and design for Korean women`s hats. We begin with the idea that measurement and shape of head circumference is dependent upon hat design and ways of wearing hats. Accordingly, we categorize hats according to their forms and shapes. Then we present basic patterns for selected hats from each category based on 3D scan data of head block models. We also made four sample hats using the basic patterns we developed. Main results are: First, principal measurement points should include glabella, the mid point of forehead, and crinion in the frontal head, occiput and inion at the back of the head, euryon on the side. Second, 3D scan data provides easier and more exact measurement and shape than the head circumference based on the uni-dimensional measurements of head length and head width for making the master oval pattern. We suggest that measurements based on the 3D scan data should be used widely for pattern-making, especially in mass production of hats. Third, the richer and more flexible set of measurements based on the 3D scan data resulted in a better fit of hats with different designs. Forth, our four basic hat patterns(domed, cylinder, discus, and non-crown) served well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hat plans and desig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