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사회불안에 대한 취약성-스트레스 모델 : 대인불안과 수행불안을 중심으로

        이경은,하은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1 인지행동치료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에 기초하여 청소년 사회불안의 취약성 요인, 스트레스, 그리고 취약성 요인과 스트레스의 상호작용이 사회불안과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사회불안에 대한 취약성 변인으로 행동억제기질을 설정하고 스트레스 변인으로 외상경험, 또래관계, 부모양육태도와 생활 스트레스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고등학생 637명(남자 296명, 여자 341명)으로 이들의 사회불안과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 수준과 심리사회적 변인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대해 행동억제 기질이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스트레스 변인군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한 결과 외상경험, 생활 스트레스, 또래관계, 양육태도-과보호 순으로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취약성 요인인 행동억제 기질과,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의 상호작용이 청소년 사회불안과 대인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취약성-스트레스 모형이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행불안에 대해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청소년 사회불안 총점과 대인불안에 대한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을 지지하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sychosocial variables which were defined as vulnerability factors and stresses on the adolescent’s social anxiety based on the vulnerability-stress model. The psychosocial variables were consisted of vulnerability factor which was behavioral inhibition and stress factors which included traumatic experience, peer relationship, parental attitude, and life event stress. The study sample was 637 adolescents(296 boys, 341 girls) from junior and high school, and they were assessed on the measures of interpersonal and performance anxiety, retrospective account of behavioral inhibition, parental attitude, traumatic experience in social situations, peer relationship, and life event stresses. The results showed that behavioral inhibition, stress and interactions of vulnerability and stress all accounted for 53.4% of the variance in social anxiety and 49.9% in intrapersonal anxiety. Particularly interactions of behavioral inhibition with traumatic experience and peer relationships highly affected total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anxiety in adolescents. Overall, the results supported the vulnerability-stress model and implications for prevention of adolescent social anxiety were discussed.

      • KCI등재

        취약성-스트레스로 인한 조현병 유발요인 탐색 : 영화 ‘샤인’을 중심으로

        이형진(Lee Hyung Jin),이현심(Lee Hyun S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2

        본 연구는 영화 ‘샤인’을 통하여 부모의 양육방식과 환경여건이 자녀의 조현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장면에서 나타난 아버지와 아들 간 의 대화와 태도 그리고 주요 생활사건에 해당되는 텍스트를 ‘매트릭스(Matrix)’ 분석 방법으로 정리하고, 언어적, 행동적 특징을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에 적용하여 유 발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버지(피터)의 ‘거부적-통제적’, ‘애정적-통제적’ 양육방식이 주인공(데이빗)의 정서적인 취약성에 영향을 미치고, 결정적 생활사건 인 ‘미국유학의 좌절’, ‘왕실학교 입학반대’, ‘졸업연주’, ‘케더린의 죽음’, ‘아버지와의 단절’ 등의 환경 스트레스가 상호작용하여 조현병 유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육자의 “애정적-자율적” 양육 태도의 습득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조현병의 취약성에 노출된 자녀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 그램 개발 및 상담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styl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n children’s schizophrenia through analyzing the movie ‘Shine’. The dialogues and attitudes displayed between the father and son in major scenes along with texts of main life events were summarized using the ‘Matrix’ analysis method. Linguistic as well as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explored using the ‘vulnerability-stress model’ to analyze causal factors. Results showed that the father’s ‘rejective-control’ and ‘affective-control’ parenting styles affected the emotional vulnerability of the protagonist (David), which interacted with decisive life events such as ‘failing to study abroad in United States’, ‘opposition to Royal Academy admission’, ‘graduation performance’, ‘death of Katherine’, ‘severance from his father’ as well as environmental stress, inducing schizophrenia. Therefor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need to implement “affective-autonomous” parenting methods and develo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the stress coping ability of children vulnerable to schizophrenia.

      • KCI등재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와 평가위험 스트레스가 수행불안에 미치는 효과

        표경식,조용래,이무석,김학렬,박상학,김상훈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목적: . 취약성 -스트레스 모델에 입각하여 과제수행중의 불안수준(정서적. 인지적 및 행동적 측정치)이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심리적 취약성 변인)와 평가위협 스트레스(=스트레스 유발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행불안의 발생기전을 밝히며. 더 나아가서는 수행 불안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적절하게 예방하기 위한 심리학적 대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자기 불일치 고 집단과 저 집단에 속하는 대학생을 각각 40명씩 선발하여 각 집단별로 절반씩 평가위협조건과 중성적인 조건에 무선 할당한 후 지적 능력 과제(언어추리검사와 바꿔쓰기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평가위협 조건에서 자기 불일치 고 집단이 저 집단에 비해 과제 수행동안의 상태불안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을 뿐만 아니라.자기 불일치 고 집단의 경우 중성적인 조건에 비해 평가위협 조건에서 상태 불안수준이 더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향성을 보였다. 그 반면에,중성적 조건에서 두 집단간 차이와. 자기 불일치 저 집단에서 스트레스 수준간의 차이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자기 불일치 고 집단이 저 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에 상관없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인지적 방해를 더 많이 받았다. 자기 불일치 고 집단이 저 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에 상관없이 바꿔쓰기검사에서 더 낮은 수행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나. 언어추리검사에서는 어떤 효과도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수행불안은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와 평가위협 스트레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 두 가지 변인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발생할 것이라는 가설은 수행불안의 정서적 측정치에서 비교적 강하게 지지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가설은 수행불안의 인지적 및 행동적 측정치에서도 역시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수행불안의 발생과정을 이해하고 이런 불안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 변인과 평가위협 스트레스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0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if the levels of anxiety(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measures) during performance are influenced by interaction of both achievement related self discrepancy( = psychological vulnerability variable) and evaluative threat stress(=stressor) based on vulnerability-stress model in order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development of performance anxiety and futhermore to suggest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ies to reduce and prevent it effectively. Method : High and lows self discrepancy subjects consisted of students from the upper(n=40) and lower 15%(n=40) on achievement related self discrepancy scale, respectivel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valuative threat condition or neutral condition, and then all subjects took intellective task(verbal reasoning test and digit symbol test).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11ows : 1) High self discrepancy subjects under evaluative threat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tate anxiety during performance than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under any condition and also experienced higher degreee of state anxiety with marginal significance than high self discrepancy subjects under neutral condition,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anxiety level of group variable under neutral condition or of stress variable in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2) High self discrepancy subjects reported more cognitive interference during performance than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regardless of the level of stress. 3) High self discrepancy subjects performed marginally significantly more poorly in digit symbol test than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regardless of the level of stress,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verbal reasoning test. Conclusion : The hypothesis that performance anxiety could be affected by achievement related self discrepancy and stress, and specially by interaction between self discrepancy and stress was relatively strongly supported by the results on emotional measure of performance anxiety. In addition, this hypothesis received partial support by the results on cognitive and behavioral measures. We might conclude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achievement-related self discrepancy and evaluative threat stress togeth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development of performance anxity and to reduce or prevent this anxiety effectively.

      • KCI등재

        아내가 부정망상을 가진 중년기부부의 부부치료 사례연구 -MRI가족치료이론 및 취약성-스트레스모델에 기반하여-

        전혜성 한국가족치료학회 2015 가족과 가족치료 Vol.23 No.3

        본 연구는 아내가 부정망상을 가진 부부를 대상으로 부부치료를 진행한 사례연구로, 부인의 부정망상 발생과정을 생심리사회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을, 부부관계상의 문제해결 및 관계증진을 위해서 MRI가족치료이론을 적용하여 부부치료를 시행하였다. 대략 매 회당 120분으로 총 8회를 진행하였다. 상담의 사전사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치료초기에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달성을 확인하였고, 매 회기마다의 내용을 녹취 및 분석하여 질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변화의 양적인 측정을 위해 사전사후의 결혼만족도의 변화 수준도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아내의 부정망상 증상의 빈도 및 심각성 정도가 현저히 감소하였고, 또한 부인의 부정망상이 발현되더라도 남편이 새로운 대처방법을 사용하고 부인도 자기조절방법을 적용함에 따라 망상 증상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변화를 가졌다. 결혼만족도 측정을 통한 양적 평가에서도 부부 모두 상당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부정망상을 단순한 의료적 질환으로 한정짓지 않고 생심리사회적 관점의 취약성-스트레스의 모델을 근거로 부정망상을 개인이 갖는 취약성과 다양한 스트레스가 반영된 복합적인 증상으로 조명하였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MRI가족치료이론에 기반하여 부부 상호작용을 변화시켜 부정망상에 대한 부부의 조절력을 증진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부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대처전략은 부정망상의 내용 자체를 논하지는 않지만, 부인의 부정망상과 관련된 부부의 의사소통 과정 및 상호반응을 변화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부인의 부정망상의 강도와 빈도를 낮추고 부정망상으로 인한 부부갈등을 완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use of marital therapy for a middle-aged couple who were struggling with the wife’s intense suspicions about infidelity. The therapist used a bio-psycho-social, vulnerability-stress model to explore the pathogenesis of the delusional jealousy. For solving conflicts and promoting the marital relationship, the therapist used an MRI approach. Method: Eight 180-minute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the couple. The researcher undertook a process-and-change analysis of the transcript and conducted qualitative post-session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Quantitative analysis relied on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to identify before-and-after differences of counseling. Results: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the wives’ delusions of infidelity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changing the communication pattern and coping skills of the husband. The couple’s satisfaction improved meaningfully. Conclusions: MRI-based marital therapy and the vulnerability-stress model effectively reduced symptoms and increased marital satisfaction in a couple with a wife who had a delusion of infidelity.

      • KCI등재

        공황장애 아내의 부부치료 사례연구: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 및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을 기반으로

        이화자 한국가족치료학회 2016 가족과 가족치료 Vol.24 No.4

        Objectives: This study was a single case study of a couple therapy whose wife was suffering from panic disorder. Methods: Vulnerability stress model was used to understand social- psychologically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wife's panic disorder, and structural family therapy theory was applied and the couple therapy was given to solve the problem between the wife and the husband, to enhance the relationship of the couple and to reduce the symptoms for about 90-120 minutes per each session for a total of 17 sessions. All the contents of each session was recorded and analyzed to check the qualitative change by the method of case stud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major influence factor of the wife’s panic disorder was the interaction of family structure. Second, the treatment model of four steps based on the structural family therapy was appli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was verified. Third, independent self image was recovered through restructuring and the interaction of the couple was changed positively. As the session proceed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uple was enhanced, the symptoms was reduced and the relationship of the couple and the family was changed to function right. Conclusions: Based on this resul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therapists to widen understanding of the family structure to establish firm relationship of the couples and the family who have difficulty in handling the stress from the family member's panic disorder or emotional vulnerability and therefore whose symptoms get worse, using structural family therapy and the vulnerability stress model in future counseling field. 본 연구는 공황장애 아내의 부부를 대상으로 부부치료를 진행한 단일사례연구로, 아내의 공황장애 발생과정을 심리사회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을 활용하였고, 부부관계상의 문제해결 및 관계증진, 증상완화를 위하여 구조적 가족치료이론을 적용하여 부부치료를 회기당 90분 혹은120분으로 총 17회기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 방법을 취하여 매 회기마다의 내용을 녹취 및 분석하여 질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아내의 공황장애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가족구조의 상호작용이었다. 둘째, 구조적 가족치료이론을 기반으로 4단계 치료모델을 응용하여 그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재구조화를 통해 주체적인 자신의 모습을 회복하고 부부간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회기가 진행될수록 부부 간의 상호작용이 향상되어 증상이 완화되고 부부관계와 가족관계가 순기능적으로 변화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상담현장에서 구조적 가족치료와 취약성-스트레스모델을 활용하여 공황장애와 유사한 정서적으로 취약한 가족이 각종 스트레스를 잘 대처하지 못하고 그 과정에서 부적응을 가져와 더 증상이 악화되며, 무기력해지는 부부와 가족을 세울 수 있는 가족구조의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생활 스트레스와 지각된 불안 통제감 및 대처양식이 대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최미경,조용래 한국임상심리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4 No.2

        Based on the stress-vulnerability model, we hypothesized that life stress, perceived anxiety control, and coping style would significantly affect anxiety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and that perceived anxiety control and coping style would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anxiety symptoms. To examine these hypotheses, cross-sectional and short-term longitudinal studies were conducted with 335 and 280 college stud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cross-sectional study revealed that life stress and perceived anxiety control independently affected anxiety symptoms. In addition, perceived anxiety control was found to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anxiety symptoms, whereas coping style was not. Next, the results of the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revealed that after controlling for anxiety symptoms at Time 1, life stress significantly affected anxiety symptoms at Time 2. Coping style was shown to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anxiety symptoms at Time 2, whereas perceived anxiety control was not. These findings provide general support for the proper theoretical application of the stress-vulnerability model to anxiety symptoms of non-clinical college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스트레스-취약성 모형에 근거한 대학 생활 적응 척도 개발: Y대학교 대학생을 중심으로

        박정미,김소라,박준우,임종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Y대학교 대학생을 중심으로 스트레스- 취약성 모형에 기반한 대학 생활 적응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스트레스- 취약성 모형의 이론적 배경에 따라 대학 생활 적응 척도를 대학생활 스트레스, 심리적 대처 자원, 정신건강의 세가지 차원으로 구성하고,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각 차원을 평가하기 위한 하위 요인을 선정하였다. 이후 각 차원 및 하위 요인의구성개념을 대표하는 문항을 중심으로 예비 척도를 개발하였다. 예비 검사는 382명을 대상으로 예비 척도의 요인 구조를 탐색하여최종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 검사는 대학생 539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요인 구조의 타당도, 준거 타당도,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영역은 4가지, 심리적 대처 자원 영역은 5가지, 정신건강 영역은 4가지의 하위 요인이 도출되었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세 가지 영역 모두 오차항 간의 상관을 가정하는 수정 모형의 요인 구조가 자료를 타당하게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척도의 정신건강 영역은 BSI-18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의 내적합치도를 확인한 결과, 심리적 대처 자원 영역의 회피적 대처를 제외한 모든 영역의 하위 요인은 신뢰도가 양호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Y대학교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 심리적 대처 자원, 정신건강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부모양육 행동과 부적응 도식의 효과

        정연옥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oderation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s and maladjustment schema on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mal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9 children aged 12 years (90 boys and 89 girls). They were assessed by self-report on parental behaviors (warmth, supervision),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stressful life events and maladjustment schema.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ps on clinical level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ree groups with high internalizing and high externalizing, and co-morbidity groups were compar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on effects of parental behaviors and maladjustment schema on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maladjustment.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the vulnerability-stress model.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간의 관계에서 부모양육 행동과 부적응 도식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양 부모가정 자녀 총179명(남90 여89)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부모양육 행동(온정, 지도감독), 부적응 도식, 내재화(위축, 신체증상, 우울/불안) 및 외현화 문제행동(공격성, 비행)을 측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부모양육 행동과 아동의 부적응 도식은 스트레스가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변인은 스트레스가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유의미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에 입각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와 평가위협 스트레스가 수행불안에 미치는 효과

        표경식,조용래,이무석,김학렬,박상학,김상훈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목적: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에 입각하여 과제수행중의 불안수준(정서적, 인지적 및 행동적 측정치)이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심리적 취약성 변인)와 평가위협 스트레스(=스트레스 유발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 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행불안의 발생기전을 밝히며, 더 나아가서는 수행불안을 효과적 으로 감소시키고 적절하게 예방하기 위한 심리학적 대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 법: 자기 불일치 고 집단과 저 집단에 속하는 대학생을 각각 40명씩 선발하여 각 집단별로 절반씩 평가위협 조건과 중성적인 조건에 무선 할당한 후 지적 능력 과제(언어추리검사와 바꿔쓰기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평가위협 조건에서 자기 불일치 고 집단이 저 집단에 비해 과제 수행동안의 상태불안수준이 유의하게 높 았을 뿐만 아니라, 자기 불일치 고 집단의 경우 중성적인 조건에 비해 평가위협 조건에서 상태불안수준이 더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향성을 보였다. 그 반면에, 중성적 조건에서 두 집단간 차이와, 자기 불일치 저 집단에서 스트레스 수준간의 차이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자기 불일치 고 집단이 저 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에 상관없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인지적 방해를 더 많이 받았다. 자기 불일치 고 집단이 저 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에 상관없이 바꿔쓰기검사에서 더 낮은 수행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 으나, 언어추리검사에서는 어떤 효과도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수행불안은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와 평가위협 스트레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 두 가지 변인의 상호작 용에 의하여 발생할 것이라는 가설은 수행불안의 정서적 측정치에서 비교적 강하게 지지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가설은 수행불안의 인지적 및 행동적 측정치에서도 역시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 아 수행불안의 발생과정을 이해하고 이런 불안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성취관련 자 기 불일치 변인과 평가위협 스트레스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if the levels of anxiety(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measures) during performance are influenced by interaction of both achievement related self discrepancy(=psychological vulnerability variable) and evaluative threat stress(=stressor) based on vulnerabilitystress model in order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development of performance anxiety and furthermore to suggest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ies to reduce and prevent it effectively. Method:High and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consisted of students from the upper(n=40) and lower 15%(n=40) on achievement related self discrepancy scale, respectivel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valuative threat condition or neutral condition, and then all subjects took intellective task(verbal reasoning test and digit symbol test). Results: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igh self discrepancy subjects under evaluative threat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tate anxiety during performance than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under any condition and also experienced higher degreee of state anxiety with marginal significance than high self discrepancy subjects under neutral condition,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anxiety level of group variable under neutral condition or of stress variable in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2) High self discrepancy subjects reported more cognitive interference during performance than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regardless of the level of stress. 3) High self discrepancy subjects performed marginally significantly more poorly in digit symbol test than low self discrepancy subjects regardless of the level of stress,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verbal reasoning test. Conclusion:The hypothesis that performance anxiety could be affected by achievement related self discrepancy and stress, and specially by interaction between self discrepancy and stress was relatively strongly supported by the results on emotional measure of performance anxiety. In addition, this hypothesis received partial support by the results on cognitive and behavioral measures. We might conclude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achievement-related self discrepancy and evaluative threat stress togeth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development of performance anxiety and to reduce or prevent this anxiety effectively.

      • KCI등재

        성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김효창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2 No.1

        There are less studies on the adult suicide even though it's steep increase and negative effect on person itself, family and socie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adult suicide and to categorize it. Using a case-study approach, a total of 61 cases were analyzed. Specifically, on the basis of the stress-vulnerability model, I scrutinized vulnerability factors(classified personal, family- environment, and social-environment factors) and precipitating events(classified personal, interpersonal events) influencing on the adult suicide.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dult suicide classified into 3 types, that is, ‘risk type suicide’, ‘event-response type suicide’, ‘complex type’. And then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icidal types and the method for reduction of adult suicide. 성인 자살의 폭발적인 증가와 부정적 파급효과에도 불구하고 성인 자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취약성 모델을 토대로 성인 자살의 독특한 원인과 특성을 살펴보고, 성인 자살의 유형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자살의 취약성 요인으로는 개인적 요인, 가족환경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이 밝혀졌다. 개인적 요인은 개인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로 개인의 정신건강문제, 신체건강문제, 문제행동으로 나뉘어졌다. 가족환경적 요인은 취약성 요인 중, 가정환경과 관련된 요인들로 이는 가족관계문제와 경제적 문제로 나뉘어졌으며, 사회환경적 요인은 사회적 관계와 관련된 문제로 직업을 가지고 있지 않는 무직이 포함되었다. 자살의 촉발사건은 촉발사건의 성격에 따라 좌절경험이나 개인적 문제 행동에 의한 개인적 위기사건과 대인관계와 관련되어 있는 대인관계적 사건으로 분류되었다. 개인적 위기사건은 좌절사건과 문제 행동으로 나뉘어졌으며, 대인관계적 사건은 자살자가 자신에게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의 죽음이나 관계단절 등을 경험하는 대인관계상실 사건과 대인관계상 갈등으로 인해 자살을 하게 된 대인관계갈등 사건으로 분류되었다. 취약성 요인과 촉발사건의 상호 영향력의 정도에 따라 자살을 유형화하였으며 자살의 촉발사건은 언급되지 않고 취약성 요인만 언급된 취약형 자살, 촉발사건만이 언급된 사건반응형 자살, 그리고 취약성 요인과 촉발사건이 동시에 언급된 복합형 자살로 분류하였다. 자살유형에 따른 특성과 각각의 자살예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