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저수지 축조 재료특성 분류를 위한 실험적 연구

        김우용(Kim Woo Yong),김남룡(Kim Nam Ryong),임정열(Lim Jeong Yeul)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2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발생 빈도가 높아진 태풍과 국지성 호우 등의 기상이변은 다양한 자연재해의 원인이고, 특히 저수지의 붕괴는 심각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일으킨다. 국내 70% 이상의 농업용 저수지는 1945년 이전에 축조되어 노후화가 진행 중이며, 제체의 열화, 방류능력 부족 등으로 심각한 재해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요인에 따른 저수지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축조 당시의 설계자료, 시공기준, 재료물성 등의 기초정보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대다수의 노후 저수지는 기본 자료 또는 기준이 없어 축조 특성을 고려한 평가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의 지반공학적 위험도 분석시 요구되는 물성값의 확보를 위하여 국내 저수지의 10개소에 대한 축조재료 특성을 조사ㆍ분석하고, 댐 설계 기준과 비교하여 저수지 위험도 분석 및 평가를 위한 입력변수로 활용할 수 있는 대표물성 값을 분류ㆍ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성과는 지반공학적 물성 정보가 불충분한 저수지의 위험도 평가에 활용하여 위험도 범위를 보수적으로 산정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Extreme rainfall events by typhoon or monsoon, which are more critical by recent climate change, induce various natural disasters. Damages or breaches in rural reservoirs may cause lots of economic loss and casualties. Currently more than 70 percent of rural reservoirs in Korea have been built before 1945, and the embankments have serious hazard risks such as aging and/or structural deteriorations, insufficient discharge capacity, etc. Geotechnical information of the reservoirs such as geometric design, material properties, construction conditions are mandatory for safety assessment and evaluation. Especially, geotechnical risk assessment of reservoir is not applicable where material properties are not suffici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construction materials of reservoirs, and propose the representative parameter for the analysis and estimation of the risk analysis. This result could be effective to estimate the risk conservatively for small dam.

      • KCI등재

        국가등록문화재 옛 담장의 구조별 정비 양상

        소현수,정명석 한국전통조경학회 202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1 No.1

        This study identified the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of ‘Old Wall’ in 13 villages which were designated as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at the time of designation and examined the their structural changes based on field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 ‘Old Wall’ consisted of 10 Soil-Stone Wall and 5 Stone Wall. At the time of designation, Stone Wall, which was built irregularly by dry-construction of natural stones, is similar in shape, but Soil-Stone Wall showed difference by the construction method of making used stones, joints, and faces. Second, the study extracted the changes of ‘Old Wall’ by repair and examined the changes of construction methods as well as the substitution and addition of materials of structure. The wall-roof was built with cement roof-tile and asbestos slate which have the advantage improve durability and cost-effectiveness. In addition, tile-mouth soil was added to korean traditional roof-tile to prevent rainwater from flowing in. Besides, to improve constructional convenience, the natural stone of the wall-body was replaced with blast stone, float stone and cut stone. Cement block, cement brick and cement mortar were frequently used to repair as well. As Soil-Stone Wall was transformed from irregular pattern-construction to comb pattern-construction and wet-construction was changed to dry-construction, it caused landscape and structural problems. Also, the layer of cement mortar applied to wall-foundation blocked the flow of rainwater that was induced by dry-construction of natural stones. Third, the study regarded that the problem with the repair of ‘Old Wall’ may occur as it is located in living space, because the owner of the wall could repair for the minor damages without technical knowledg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repair companies in charge of maintenance of Cultural Heritage to supply local materials, and it is differential construction specifications are not applied. 본 연구는 13개 마을 옛 담장의 국가등록문화재 지정 당시 사용된 재료와 축조법을 파악하고,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정비에 따른 옛 담장의 구조별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옛 담장은 토석담 10개소와 돌담 5개소로 구성되었으며, 지정 당시 자연석 메쌓기로 막쌓은 돌담은 비슷한 형태를 유지하는 비율이 높았지만, 토석담은 사용한 돌과 줄눈 및 맞댄 면 축조법에 따라서 담장별로 다양하게 변형되었다. 둘째, 옛 담장의 정비로 인해서 변화된 구간을 추출하고 재료의 대체와 첨가, 축조법의 변형 양상을 파악하였다. 지붕부는 내구성과 가격의 효율이 높은 시멘트 기와나 석면 슬레이트로 대체되고, 우수 유입을 막고자 한식 기와에 와구토가 첨가되었다. 벽체부의 자연석은 시공 편의에 따른 발파석, 마름돌, 가공 석재로 대체되고, 보수에 시멘트 블록, 시멘트 벽돌이 사용되었으며, 시멘트 모르타르가 도포되었다. 토석담의 막쌓기가 빗쌓기로 변형되고 찰쌓기는 메쌓기로 바뀌어 경관적, 구조적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한 기초부에 시멘트 모르타르층이 시공되어 자연석 메쌓기로 유도했던 우수의 흐름을 막아버렸다. 셋째, 이러한 정비 양상은 주거공간에 배치된 옛 담장의 속성상 소유주가 일상적 훼손에 대한 비전문적 보수를 반복하고, 문화재 지정으로 인하여 정비를 담당한 수리업체가 지역 재료를 수급하기 어려우며, 옛 담장에 대한 차별성있는 수리시방서가 적용되지 않는 환경에서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풍납토성 성벽 토양의 성분 특성 연구

        서민석,이한형,허준수,김수경,유영미,이성준 국립문화재연구원 201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chromaticity, granulometry, main chemical composition and mineral crystal structure of wall soils excavated from Poongnatoseong Earthen Castle using color reader, XRD, particla size analyzer. The analysed soils of Poongnatoseong Earthen Castle were yellowish brown and isabella. All samples were sands or sands including silty soil(SW~SC) and showed similar granulometry, chemical composition and mineral crystal structure, which wer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materials suitable for modern road or airstrip. As resulting in comparison with 4 factors from chromaticity, granulometry, main chemical composition and mineral crystal structure, we decided that the control soils(PNS) near by Poongnatoseong Earthen Castle were not to be used for the castle wall construction We presumed that there was a huge soil distribution area for the wall construction around Poongnatoseong Earthen Castle. For further study, we will make a comparison analysis all kinds of soil characteristics. And then we can understand correctly about wall soils producing area, construction method, repair method and time of Poongnatoseong Earthen Castle. 본 연구에서는 풍납토성 동성벽 내부토양을 대상으로 색도색차계, XRD, 입도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색도, 입도, 주요화학조 성, 광물결정구조 등을 분석하였다. 성벽토양은 황갈색, 회황색의 모래 또는 실트질 모래(SW~SC)로 분류되고, 입도와 화학ㆍ 광물학적 특성이 유사하며, 도로나 활주로 등의 성토재료로 적합한 특성임이 확인되었다. 색도, 입도, 화학조성, 강열감량의 4인 자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풍납토성이 위치한 지역의 대조군 토양(PNS)은 성벽축조에 사용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한다. 모든 토양은 풍납토성이 위치한 지역과 지질학적으로 유사한 곳에서 채굴되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성벽 축조 이전에 분포했 던 구지표면의 토양과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유적 주변에 대량채굴이 가능했던 토양분포지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 다. 향후 성벽 축조재료의 여러 특성들을 비교ㆍ분석하면, 성벽 내부토양의 산지, 축조방법, 보수방법 및 시기 등을 보다 종합적 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