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축산물 중 농약(살충제) 안전관리를 위한 시험법 개발연구

        장희라 ( Hee-ra Chang ),유정선 ( Jung-sun You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농림축산식품부는 축산법 개정(2020. 2. 28. 시행)에 따라 농약을 가축에 사용하여 축산물위생관리법제12조에 따른 검사시 축산물이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가 추가되어, 행정처분의 세부기준을 마련하여, 가축사육 및 축산물 생산과정에서 축산물의 안전성을 높여 소비자가 지속적으로 신뢰할 수 있게 하여 축산물 안전관리의 선진화를 도모하고 있다. 현재 농산물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은 509성분이지만, 축수산물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은 100성분으로 축산물 중 농약의 안전관리를 위한 농약성분수가 적어 축산물 중 잔류농약 분석을 위한 대상농약의 확대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 유통되는 축산물의 잔류농약 안전관리 강화를 위하여 Codex 및 EU에서 축산물 중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관리하고 있는 농약 중 국내 축산물 중 잔류허용기준 미설정 농약인 cyflumetofen, fluensulfone, thiodicarb, cycloprothrin, bensultap, spirotetramat, acequinocyl 및 mectin 계열농약에 대하여 국제적 수준의 분석법을 개발하고, 개발된Benzoylurea 계열 8종 (chlorofluazuron, diflubenzuron, flufenoxuron, hexaflumuron, lufenuron, noval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및 Nicotine(cotinine) 분석법의 실험실간 교차검증을 수행하여 표준화된 SOP를 마련하고자 한다. 축산물시료는 대표시료로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및 우유의 5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Codex 및 식약처 가이드라에 근거하여 정량한계, 직선성, 정확성 및 재현성을 확인하였고, 회수율은 정량한계, 정량한계의 10배 및 정량한계 50배의 3개 농도 수준에서 분석법 개발시 5반복으로, 실험실간 교차검증은 3수준 3반복으로 수행하여 분석법 개발에 따른 적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KCI등재

        축산물 신고포상금에 관한 연구

        홍완식(Hong, Wan-Sik) 한국토지공법학회 2015 土地公法硏究 Vol.72 No.-

        민간감시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신고포상금 제도가 도입된 이후에 공무원에게 신고포상금을 지급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특히 범인 검거가 주 업무인 경찰이 포상금을 받는 것이 합당한가를 놓고 논란이 일었으며, 부정 축산물 신고 포상금의 절반 이상을 경찰이 수령한 사실이 문제되기도 하였다. 부정식품을 신고하는 경우와 부정축산물을 신고하는 경우에는 신고포상금이 지급되는데, 부정 축산물 신고포상금은 공무원에게 지급되고, 부정식품 신고포상금은 공무원에게 지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식품위생법령에서는 지급대상 및 지급제외대상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는 반면에, 축산물위생관리법령에서는 지급대상 및 지급제외대상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신고포상금제도는 민간감시기능을 촉진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이기 때문에, 본연의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에게 신고포상금이 주어지는 것은 신고포상금의 도입 취지에 위반되는 것이다. 즉, 법위반 행위를 적발하는 것은 경찰을 포함한 공무원의 본연의 직무에 포함되는 것이다. 공무원이 이러한 직무를 모범적으로 수행하여 격려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러한 일반적인 신고포상금제도가 아니라 상훈·표창이나 승진 또는 공무원에게 주어지는 포상금 등을 통하여 격려하는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옳다. 「식품위생법」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은 포상금지급 대상을 ‘불법 행위 신고(고발)자’로 한정하고 있다. 또 하위 법령은 ‘식품위생공무원 등 직무상 인지해 신고한 자’에 대해서는 포상금을 지급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반면 「축산물위생관리법」은 지급 대상 자체를 ‘불법 행위를 신고 또는 고발하거나 검거한 사람, 검거에 협조한 사람’으로 규정하고 있다. 지급 제외 대상에 관한 규정은 없다. 따라서 축산물 신고포상금제도를 부정·불량식품, 건강기능식품 신고포상금제도와 같이 운용할 필요가 있다. 즉, 관련 법령을 조속히 개정해 포상금 지급 대상에서 공직자를 제외하고 신고자로 국한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신고포상금 지급대상에서 관련 공무원을 제외하는 규정을 두는 입법작업이 필요하다. 이 경우 지급제한 규정을 위반하여 포상금이 지급된 경우에 포상금 환수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듯이 지급대상이 아닌 사람에게 포상금이 지급된 경우에도 포상금 환수에 관한 규정을 두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port reward system in several Korean acts. The report reward system is one of the law reinforce system to give a financial incentives to the reporter against a person who violates Acts to the administrative agency. The aim of the report reward system is to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of the livelihood of citizens and the establishment of transparent and clean social climate by protecting and supporting those who have reported any conduct that is detrimental to public interest. The Minister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y give a report reward to any person who reports a complaint against a person who violates Acts to the relevant administrative agency or investigation agency. The report reward system is regulated in the Livestock Products Sanitary Control Act as well as in the Food Sanitation Act. The report reward should be granted to not the public servants but the citizens. Therefore the report reward could be granted to not the public servants but to the citizens according to the Food Sanitation Act. But the report reward could be granted to the public servants according to the Livestock Products Sanitary Control Act and the Decree. This Act and Decree should be revised.

      • HPLC-MS/MS를 이용한 축산물 중 농약(살충제)의 다종다성분 동시시험법 개발 연구

        장희라 ( Hee-ra Chang ),유정선 ( Jung-sun You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축산물 중 농약이 국내외에서 가축농가에서 방제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사료섭취 등의 비의도적 경로에 의하여 잔류할 가능성이 있어, 소비자에 대한 위해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축산물 안전관리가 중요하다. 이에, 소비자의 축산물 중 살충제 농약에 대한 불안감 해소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검사 대상 농약성분의 확대와 상시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국제적으로 신뢰성있는 표준화된 분석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유통되는 축산물의 잔류농약 안전관리 확대를 위한 국제적 수준의 동시분석이 가능한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체계 개발 및 확립을 하고자, 국내의 기준 미설정 농약 중 살충제에 대한 HPLC-MSMS의 다종다성분 동시시험법을 개발하고, 교차검증을 수행하여 표준화된 SOP를 마련고자 한다. 대상농약은 Codex 및 EU에서 축산물 중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나, 국내 축산물 중 잔류허용기준 미설정 농약으로 acetamiprid 등 44종 및 대사산물 14종을 선정하여, 축산물 대표시료 5종인 소, 돼지, 닭, 계란 및 우유를 대상으로 CODEX CAC/GL 40 guideline에 적합한 시험법을 개발하고, 실험실간 교차검증을 수행하여 표준화된 분석법을 한다. 분석법 개발 및 검증항목은 국외 잔류분의 정의에 따른 대상화합물에 대하여 정량한계, 직선성, 정확도 및 정밀도 확인을 수행하며, 분석법 개발에서 회수율은 정량한계, 정량한계의 2배 및 정량한계 10배의 3수준 5반복, 실험실간 검증은 3수준 3반복으로 수행하여 guideline에서 제시하는 평가기준 적합한 분석법 개발 및 검증을 수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축산물 브랜드의 소비자 태도와 구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상훈(Sang Hoon Rhee),최일도(Il Do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0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0 No.4

        본 연구는 축산물이라는 제품영역에 브랜드 구축의 논리를 적용하려는 시도가 발현되기 시작한 것을 기점으로 축산물이 지니는 제품영역 차원의 특성과 시장 상황의 변화라는 변수를 소비자행동의 차원에서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단순한 식품의 개념으로 생각했던 축산물 영역에 FTA 협정 등에 의한 시장 개방 영향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라는 사회적 변동요인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태도와 구매행동의 결정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축산물 브랜드 구축과 적용 및 확장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사대상 공중으로서의 표본은 구매행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주부 계층인 KT 경기지사 소속설계사 중에서 선정했다. 표본의 크기는 전체 237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축산물제품 브랜드 가격의 차이와 원산지 및 품질 관련 요인은 소비자 구매행동에 있어서 신뢰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축산물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는 다른 공산품 영역과는 달리 건강과 직결되는 부분으로 보편적 가치의 범위를 넘어서는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ing factor formation process of stock farm products brands. So this study intended to show the influence and process of brand attitude factor between brand purchasing as decision factor formation on stock farm products brand. Therefore, survey go side by side will conducted for the consultants in a governor of Kyounggi belong to the KT. For the research sample was consists of 237 persons.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ce of price in a stock farm product brand and provenance factors are most important means for purchasing factor formation process. Moreover, this study met with significant results when maintained the consistency of stock farm products brands strategy between personality factor and attitude formation process. So this study may give useful guide for communicators to stock farm products brands strategy using various communication tools about appeal range and message construct in brand perspective.

      • KCI등재

        축산물 소비에서의 사회적 선호 분석

        장재봉,박성진,우병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9 농촌경제 Vol.42 No.3

        사람들의 행동 실험을 통해 경제 주체들이 사회적 선호를 가진다는 것은 많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이 되어 왔다. 본 논문은 축산물 구매행위에서도 소비자들이 사회적 선호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자, 축산물을 구매함으로써 유발되는 환경친화적 혜택, 동물복지 혜택, 축산농가의 이윤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축산물을 구매하여 소비할 때 사회적 선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사회적 선호로 설명되는 소비자들의 효용함수는 일정 수준의 외적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사회적 선호는 유기인증 축산물과 동물복지인증 축산물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지불하고자 하는 가격 프리미엄에서 일정 비중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ubstantial experimental and economic game research has attempted to explain people’s prosocial behavior. To test whether such social preferences exists in the field of purchasing livestock products, we estimated consumers’ preferences for environmental benefits, animal welfare concerns, and livestock farmers’ profits. We discovered that consumers are concerned about social benefits resulting from their purchase of livestock products. We also determined the extent to which people’s measured preferences for social benefits can explain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for environmentally-friendly livestock products or those certified for animal welfare. Our results indicate: 1) social preferences explain a non-trivial portion of people’s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for livestock products mentioned above; and 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stimated premium and people’s stated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concerns for social benefits can be observed in consumers’ behavior of purchasing livestock products.

      • KCI등재
      • 축산물 중 기준설정 잔류농약 재평가를 위한 실태조사/단성분 농약시험법 개선 및 실태조사

        장희라 ( Hee-ra Chang ),곽혜민 ( Hye-min Gwak ) 한국환경농학회 2022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2 No.-

        축산물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는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확성과 재현성이 보증된 신뢰할 수 있는 분석법 확립을 통해 축산물 중 잔류농약을 검출하고 기존에 있던 기준에 대한 재평가 또한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 축산물의 잔류허용기준과 국제기구인 CODEX 기준이 상이한 농약을 선정하여 기존의 분석법을 활용하거나 분석법이 없는 경우 개발 및 교차검증을 통해 분석법을 확립한 후 기준 재평가를 위한 잔류농약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잔류농약의 실태조사를 위해 특별시와 광역시를 포함하여 총 24개의 시에 총 인구수를 바탕으로 구매건수를 결정하여 시료를 수집하였으며, 해당 축종으로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알, 우유, 부산물(포유류, 가금류)를 선정하였다. 총 구매건수의 경우 소고기는 64건, 돼지고기는 71건, 닭고기, 알, 우유는 70건, 부산물은 64건으로 총 409건으로 진행하였다. 단성분시험법 대상농약으로 식품공전에 분석법이 없는 clofentezine 및 대사체(4-OH-clofentezine)에 대하여 대표 시료인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알, 우유에 적용가능한 분석법을 개발 및 검증하였고, Clofentezine 및 대사체(4-OH-clofentezine)의 개발기관 회수율 시험 결과 시 70∼120% 이내 및 변이계수 CV(%) 20% 이내로 기준에 적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Inter-laboratory 검증시 회수율 60∼120%이내 변이계수 CV(%) 20% 이내로 평가 기준에 적합하였고, 개발 및 검증기관 간의 변이계수 CV(%)의 경우 30% 이내로 정확성과 재현성을 확인한 분석법을 적용하여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농약 중 식품공전에 분석법이 있는 procloraz와 glyphosate는 분석법 검증을 진행하였고, procloraz와 glyphosate 및 대사체(N-acetlyglyphosate)의 경우 대표 시료인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알, 우유에서 회수율 70∼120%이내 변이계수 CV(%) 20% 이내로 평가 기준에 적합하여, 유통 축산물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를 위한 409건의 시료구매건수 중 clofentezine, procloraz 및 glyphosate 각각 100%, 93.9% 및 34.2% 완료하였으며, 분석이 완료된 시료는 모두 정량한계 이하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의 실태조사에 따른 축산물 중 농약 잔류량은 기준이 설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잔류농약의 재평가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축산물 중 Fenpropimorph와 대사체 Fenpropimorph-acid 동시분석법 개발

        김선욱 ( Seon Wook Kim ),임다정 ( Da Jung Lim ),김영은 ( Young Eun Kim ),윤지현 ( Ji Hyun Yoon ),김희경 ( Hee Gyung Kim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Fenpropimorph가 사용된 곡류들은 가축의 사료로서 사용되어 축산물에서 잔류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산물 잔류농약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소고기(등심), 돼지고기(삼겹살) 닭고기(닭다리살), 우유, 계란과 부산물인 소지방 및 돼지지방등이었다. QuEChERS 방법에 준하여 시료를 전처리한 후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법은 7가지 축산물 시료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였다. 분석법 검증을 위해 회수율 시험 및 상대표준편차(RSD), 매질효과를 통한 ion suppression 또는 enhancement 정도를 시험하였다. 분석법 정량한계 (Method Limit of Quantitation; MLOQ) 는 0.005 mg/kg 이었으며 축산물 중 fenpropimorph 회수율은 MLOQ, 2MLOQ, 10MLOQ 수준에서 평균 69.1~92.5%,76.6~90.2%, 82.6~100.6%이었다. Fenpropimorph-acid의 회수율은 MLOQ, 2MLOQ, 10MLOQ 에서 평균 69.3~111.1%, 76.3-100.7%, 70.1~111.2%이었다. 회수율의 상대표준편차 (RSD)는 20% 미만이었으며 분석성분의 매질효과는 -4.410~11.821%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축산물 중 fenpropimorph와 대사체 fenpropimorph-acid 동시분석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 KCI등재

        가수분해 후 GC-ECD를 이용한 축산물 중 살균제 Prochloraz 및 그의 대사물의 동시분석

        박지수 ( Ji-su Park ),최훈 ( Hoon Choi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20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3 No.2

        축산물 중 살균제 prochloraz 및 그의 대사체의 잔류량을 함께 정량분석할 수 있는 단성분 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축산물 중 prochloraz의 잔류분의 정의가 ‘prochloraz와 2,4,6-trichlorophenol기를 포함하고 있는 대사산물의 합을 prochloraz로 함’이기 때문에 prochloraz 및 대사산물을 모두 2,4,6-trichlorophenol (2,4,6-TCP)로 분해시킨 후 GC/ECD로 정량하는 정밀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대표 축산물인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우유 및 계란 중 prochloraz 잔류분을 acetone으로 추출하고 2,4,6-TCP로 분해한 후 dichloromethane으로 분배하고 aminopropyl SPE로 정제한 다음 2,4,6-TCP를 정량하였다. 본 분석법을 통한 기기정량한계와 분석법정량한계는 prochloraz의 경우 각각 0.01 μg/mL과 0.02 mg/kg이었으며 2,4,6-TCP는 0.005 μg/mL과 0.01 mg/kg이었다. 2,4,6-TCP를 이용한 표준검량선은 0.005-0.2 mg/L 범위에서 결정계수(R<sup>2</sup>) ≥0.995으로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분석법의 회수율은 분석정량한계 및 정량한계의 10배 처리수준에서 실시하여 모두 90% 이상이었고 변이계수는 10% 이하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된 분석법은 축산물 중 prochloraz 및 대사체를 정량분석하는데 우수한 정확성 및 정밀도를 보였으며, 축산물 중 prochloraz 잔류분석을 위한 정밀시험법으로써 분석개발기준을 충족하였다. The analytical method was establishe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ungicide prochloraz and its metabolites in several animal commodities using gas chromatography (GC) coupled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ECD). Samples including beef meat, pork meat, chicken meat, milk, and egg were hydrolyzed with pyridine hydrochloride which converts prochloraz and its metabolites to 2,4,6-trichlorophenol (2,4,6-TCP) because residue definition for prochloraz was ‘sum of prochloraz and its metabolites containing the 2,4,6-trichlorophenol moiety, expressed as prochloraz’, for compliance with MRLs from animal commodities. Therefore, residual prochloraz was extracted with acetone, decomposed to 2,4,6-TCP, partitioned with dichloromethane, purified with aminopropyl SPE and quantified as 2,4,6-TCP with GC-ECD. The instrumental limit of quantitation and method LOQ (MLOQ) was 0.01 μg/mL and 0.02 mg/kg for prochloraz and 0.005 μg/mL and 0.01 mg/kg for 2,4,6-TCP, respectively. The linearity of the calibration curve was good with R<sup>2</sup>>0.995 in the range of 0.005- 0.2 μg/mL. Fortification levels of prochloraz were 0.02 mg/kg (MLOQ) and 0.2 mg/kg (10MLOQ) for recovery tests. Overall recoveries of prochloraz were >90% with <10% of coefficient variation (C.V.). This established analytical method was fully validated and could be useful for quantification of prochloraz and its metabolites in animal commodities as official analytic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