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光山 金氏 惟一齋 宗宅 소장 고전소설의 유전 양상과 성격

        한의숭(Han, eui-so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58 No.-

        본고는 惟一齋 金彦璣(1520-1588) 宗宅 소장 자료 가운데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고전소설 자료 2종을 소개하고 성격을 밝히는 차원에서 기획되었다. 유일재 종택에 소장 된 고전소설은 「金靑楠夢遊錄」과 「崔陟傳」이다. 「김청남몽유록」은 학계에 새롭게 소개되는 작품으로 작중 인물인 김청남이 조선과 중국의 역대 도읍지 및 절의를 상징하는 특정한 장소를 주유하고 이에 대한 감회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서술되고 있다. 이는 해당 장소나 공간이 지닌 장소성을 통해 작가가 작품을 통해 표출하고자 하는 내면적 지향을 은유적으로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조선과 중국의 왕조 도읍지 및 절의를 표상하는 핵심 장소와 공간을 주유하는 서사를 통해 역사적 장소에 대한 회고가 그것이다. 특정한 지역과 장소에 부여된 역사적 상징을 소환하는 방식으로 동일한 장소에 대한 현재적 상황을 환기시켜 상반된 현실의 부면을 자각하도록 하는 것이다. 작가는 몽유록이라는 우의적 서술 방식을 활용하여 당대를 바라보던 영남 사인의 시대 인식의 일단을 문학적으로 표출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새롭게 소개하는 「최척전」 이본인 유일재 종택 소장본은 佳野肯構堂宅이란 소장주기와 光山后人·金致祥甫·聖應家藏이란 方印이 찍혀 있어 주목된다. 소장자는 유일재 김언기의 5대손인 김치상으로 그의 생몰연대를 통해 유일재 종택본「최척전」이 17세기 중후반에서 18세기 초반에 필사된 이본임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본고는 새롭게 발굴, 소개된 가문 내 고전소설 자료를 통해 가문 중심 문헌 유전 양상과 장서인 문화를 전통시대 기록 문헌과 관련하여 주목하였다. 유일재 종택 소장본 「김청남몽유록」과 「최척전」은 가문 내 문헌의 유전 양상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자료인 장서인이 담겨 있다. 가문 내 문헌 전승과 장서인 문화의 관계는 전통시대의 기록문화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문헌 기록의 전승이 가문을 중심으로 이어지는 문화적 전통은 기록 문화의 한 축에 가문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전통시대 기록 문화를 교육하는 시각에 있어서 문헌 뿐만 아니라 문헌을 전승하던 주체에 대해서도 함께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introduce two types of classic novel material s unknown to academia and to reveal their character among the materials of Yoo-Il-jae, Kim Eon-ki’s old house. Classical novels housed in Yoo-Il -jae s Jongtaek include 「Kim-Cheong-Nam-Mong-Yoo-Rok(金靑楠夢遊錄) 」 and 「Choi-Cheok-Jeon(崔陟傳)」. 「Kim-Cheong-Nam-Mong-Yoo-Rok」 is a new introduction to academia and is described in a way that Kim, Ch eong-nam goes around certain places symbolizing integrity and capitals o f Joseon and China and records his gratitude for them. This can be said to be a metaphorical expression of the internal orientation that the writer wants to express in his work through the place or space. In other words, it is to recall the historical place through a narrative to go around the k ey places and spaces that represent Joseon and China s royal cities and i ntegrity. By summoning historical symbols granted to a particular region and place,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same place is evoked so that we are aware of the conflicting reality. The writer seems to have tried to ex press literary awareness of the era of the scholar of Yeong-nam, who w as looking at the times by using the narrative method called Mongyurok At the same time, the newly introduced copy of 「Choi-Cheok-Jeon」 of Yoo-Il-jae s Jongtaek is drawing attention as it has a record of the owner of Ga-ya-gueng-Gu-dang House and stamps of Gwang-san-hu-in, Kim-Chi-Sang-bo, and Seong-eung-ga-jang. The owner of the house is Kim, chi-sang, the fifth generation grandson of Yoo-Il-jae Kim, Eon-gi, an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Choi-Cheok-Jeon」 of Yoo-Il-jae s Jongtaek was transcribed from the mid-17th to early 18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which is newly discovered and introduced as classic novel materials in the family, focused on family-oriented literature and the culture of stamp of books in relation to traditional documentary education. The collection of Yoo-Il-jae s Jongtaek, 「Kim-Cheong-Nam-Mong-Yoo-Rok」 and 「Choi-Cheok-Jeon」 contains stamp of books, an important data to identify the genetic aspects of the family s litera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ture transmission within the family and the culture of stamp of books contains various import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historical culture of the traditional period. The cultural tradition of the transmission of literature records centered on the family shows that the famil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xis of record cultur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not only the literature, but also to the subjects who passed on the literature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ng the traditional recording culture.

      • KCI등재

        趙緯韓의 여성에 대한 인식

        민영대(Young-dae, Mi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1 No.-

        〈崔陟傳〉의 작가 조위한은 일생을 건전하게 살았던 인물이다. 임진왜란 때문에 단란했던 가정이 풍비박산되는데, 피난 다니던 중 어린 딸과 어머니를, 몇 년 후 정유재란 때는 아내를 잃는 커다란 슬픔을 겪는다. 이런 일들이 자연스럽게 여성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갖게 했는지 모른다. 평소 그가 친구의 아내나 어머니의 죽음을 당해 썼던 輓詞와 애도의 詩, 딸과 아들의 요사를 슬퍼하면서 지었던 詩와 祭文을 통해서 평소 그가 여성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가가 잘 드러난다. 특히 수십 년 전 이린 시절에 보았던 기생을 잊지 못하다가 뒷날 다시 만났을 때 인생의 회한을 노래했던 시에서 그의 여성관의 일면을 볼 수 있다. 작품의 명칭에서 보듯이 주인공은 분명 최척이다. 그러나 그보다는 오히려 여주인공인 옥영의 활약이 부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옥영의 어머니 심씨, 정 상사 부인, 홍도와 그녀의 이모와 같은 여성들로 하여금 이야기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게끔 역할을 부여했음을 본다. 이들 여성들의 언행을 통하여 이야기의 극적전환을 이룰 수 있도록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탁월한 작가의 기술태도를 볼 수 있다. 작가는 옥영을 한 집안의 며느리로서, 홀어머니의 딸로서, 한 남자의 아내로서, 또는 자식들의 어머니로의 역할을 매우 중요시하면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이 점에서는 며느리인 홍도의 인물됨을 기술하면서도 같게 나타난다. 조선시대 다른 작가의 작품 전반을 살펴본 후에야 보다 명확한 작가의 여성에 대한 인식이 드러나겠지만, 지금까지의 정리만으로도 男性中心社會였던 당시 대표적인 사대부의 한 사람이었던 그의 여성에 대한 태도가 그 누구에게서도 찾아보기 쉽지 않았던, 상당히 近代化된, 開放的인 것임은 확인한 셈이다. 중요한 것은 이런 여성에 대한 시대를 앞서는 인식이 그의 삶을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趙緯韓은 조선시대 그 어떤 작가보다도 시대를 앞서가는 뛰어난 작가정신을 가졌던 인물로 높이 평가받아야 할 작가임이 분명하다. Jo Wihan(趙緯韓) is a writer who has wrote Choicheokjeon(崔陟傳). He made this work in 1621. In that time is quite early time as a novel history. Before that time there were classical literatures these are Geumosinwha(金鰲神話) by Kim Siseup, Keejaekeei(企齊記異) by Shin Kwanghan, Jusaengjeont(周生傳) by Kwon Phil, and Hongkildongjeon(洪吉童傳) by Heo Kyun. These novels have many things in common which they have unrealistic and nonsensical story, also they seem likely to be affected by Chinese novel. Specially, in these novels, it is the hard to find writer’s positive-ness thinking about women. It is not uncommon thing when men were middle of the world. However, Choicheokjeon its main setting is Namwon(南原). This novel is developing as a realistic story with real person Choi Cheok(崔陟) who is the main character. This novel is showing our people’s suffering we should have had when we have had war. Actually, this novel is not be directly affected by Chinese novel. And the writer’s idea is totally different about women, in spite of who lives a same male-dominated society above different works. Writer Jo Wihan is a person who lived life very healthily as live long. But as Japanese invasion on Korea in 1592, his family went down. During the war his daughter who was born in lately would have be died by cold with starvation. After his daughter has gone, as they were going to mother’s home, Namwon, in there his mother has gone. After few years later in 1597 his wife was gone. In recent year he was gone with his family. Maybe these reasons made him to go his homeland with Myoung(明)’s forces after war has finish. But his elder brother made him not doing it. Maybe as he lost his wife and daughter in the war it made him to have positive thinking to women. But this work is finished after many years later with sadness. However, from this work we could see his life connected with the war and his sadness which he would have gone his lovely family to every where due to the war. Usually in his poet that sorry to his friends who has lost early his wife and daughter, in that poet’s writing style and words show what was his usual thinking to women. From in his poet that about to woman whom he has seen when he was young also can see his perception about women. As the title Choicheokjeon shows the main character is Choi Cheok, But in that novel woman character, Lee Okyoung, is better to be showed than Choi Cheok. Also the story is gone by women who are the Okyoung mother Ms Sim, Hongdo, and Ms Sim’s sister. Through these women’s speaking style, writer’s writing style is showed. Writer makes Okyoung to do very important work as a wife, mother’s daughter, children’s mother. Also she is showed at this work as a main character that is developing this story positively, Also from Hongdo’s character could see what writer idea is. Like this positive thinking about to women is the radical idea as a educated man. This work is clearly sure that writer Jo Wihan’s idea about to women is shown in this work. It is his limits about idea to women because he wrote woman character negatively whose name is Okyoung. She was the slave to Chunsaeng and die until she finishes her work.

      • KCI등재

        <최척전>의 창작 배경과 열녀 담론

        엄태식 ( Tae Sik Eo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4

        『菊堂排語』에 나오는 崔陟은 <최척전>의 최척과 동일인으로 보기 어려우며, <최척전>의 後識는 허구일 가능성이 높다. 또 <紅桃>와 <최척전> 사이에는 문헌 전승에 의한 영향 관계가 있다고 보는 게 타당한데, <홍도>와 <최척전> 간의 인명 표기, 서사의 합리성 등을 고려한다면, 조위한이 <홍도>를 변용하여 <최척전>을 창작했다고 보아야 한다.李民宬은 <題崔陟傳>에서 ``당시 商山의 어떤 士人이 스스로 <최척전>을 지었다고 말했다``고 썼다. 趙緯韓은 1622년에 맏형 趙繼韓의 訃音을 듣고 上京했다가 商山牧使였던 아우 趙纘韓과 함께 商山으로 갔다. 그렇다면 <제최척전>에서 말한 ``상산의 사인``은 결국 ``상산에 가 있었던 조위한``을 가리키는 것인데, 조위한이 상산에 있었던 시기는 1622~1623년이다. 이로써 볼 때, <제최척전>의 언급은 결국 조위한이 1622~1623년에 <최척전>을 지었다는 뜻을 담고 있다고 이해할 수 있는바, 그간<최척전> 後識에 의거, 조위한이 1621년에 南原의 周浦에서 <최척전>을 창작했다고 본 견해는 수정될 필요가 있다. 조위한이 <李生窺墻傳>·<萬福寺?포記>·<홍도>를 활용하여 <최척전>을 창작한 주된 이유는, 여주인공 玉英을 ``賊의 수중에 떨어졌다가 살아 돌아온 烈女``로 형상화하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옥영의 이야기는, 丁酉再亂때 남편 조찬한을 적의 포위망에서 벗어나게 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柳氏의 이야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조위한은 조찬한·유씨부부에 대한 연민 때문에 <최척전>을 지었지만, 그 역시 전란이라는 특수하고 불가피한 상황 속에서도 정절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는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It is difficult to say that Choecheok in Gukdangbaeeo is the same person as Choe Cheok in Choecheokjeon. The postscript of Choecheokjeon is likely fictitious.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Hongdo and Choecheokjeon can be defined as literature succession. Considering each character`s name in Hongdo and Choecheokjeon, the reasonability of narration, etc.,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Jo Wihan wrote Choecheokjeon by rewriting Hongdo. In Jechoecheokjeon, Yi Minseong wrote, "a scholar in Sangsan at that time said he wrote Choecheokjeon by himself." Jo Wihan came to Hanyang to attend the funeral of his eldest brother, Jo Gyehan. He then went to Sangsan with his younger brother Jo Chanhan, the governor of Sangsan. ``A scholar in Sangsan`` described in Jechoecheokjeon confirms that Jo Wihan was in Sangsan at that time. Jo Wihan stayed in Sangsan between 1622 and 1623, thus meaning that Jo Wihan wrote Choecheokjeon between 1622~1623. However, the postscript of Choecheokjeon states that Jo Wihan wrote Choecheokjeon in Jupo, Namwon, in 1621. This record needs to be revised. The main reason why Jo Wihan wrote Choecheokjeon essentially by using Isaenggyujangjeon, Manboksajeopogi, and Hongdo is to describe the heroine Okyoung as a virtuous woman who came back alive from enemies. Meanwhile, the story of Okyoung is similar to the story of Jo Chanhan`s wife, Yussi, who helped her husband escape from the camp besieged by enemies during the Jeongyu War and killed herself. Although Jo Wihan wrote Choecheokjeon to express his sympathy to this couple, he failed to be free from the conservative idea that chastity must be maintained, even in inevitable and special situations like war.

      • KCI등재

        <崔陟傳>의 虛實 논변

        신태수 한국고소설학회 2014 古小說 硏究 Vol.37 No.-

        Based on the intention to re-review on issues of truths and fabrications related to <Choicheokjeon>, this study focuses and reviews core issues of controversial discussions on fabrications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life trace and the work of Cheok Choi, an person who actually existed, the time of the story written and the authenticity of record at the end of work. Firs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life trace and the work of Cheok Choi, the authenticities of ① the truth on Cheok Choi's actual existence ② Cheok Choi's military service ③ Cheok Choi's return are verified. Next, for the time of the story written and the authenticity of record at the end of work, the fact that the issue on the fabrication of <Choicheokjeon> becomes extreme as the acceptance of truths regarding the meeting with Cheok Choi that is recorded at the end of work and the time of work written are developed to the argument on the written order and the impact relation between <Choicheokjeon> and <Hongdo> is critically re-reviewed. According to the discussion result, the study draws following conclusions. First, Cheok Choi is a real person actually existed. And Cheok Choi in 『Dotanjip』and in 『Gukdangbaeo』is the same person who is Cheok Choi of <Choicheokjeon>. Second, the record at the end of <Choicheokjeon> should be accepted as the truth. Third, <Choicheokjeon> may be viewed as a work in the characteristics of recluse’s life history. Fourth, the written time of good wishes of <Choicheokjeon> should be recognized as true. Therefore, <Choicheokjeon>'s creation time should be the second month of 1621 in lunar calendar and that of <Hongdo> should be considered as the summer of 1621. Fifth, <Hongdo> is a work that was written by Mong-in Yu after he indirectly learned on 'a story regarding Choicheok' or <Choicheokjeon>’s summarized and revised the story. 본고는 <최척전>의 허구성과 관련한 사실과 허구의 문제를 재검토하려는 의도에서 실존인물 최척의 행적과 작품의 상관성, 창작시기와 작품 말미 기록의 진위 등 허구성 논의에서 논란의 핵심이 되는 사안들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우선, 최척의 행적과 작품의 상관성에서는 ① 최척의 실존 여부 ② 최척의 종군 ③ 최척의 귀환 등의 허실 여부를 다루었다. 다음으로, 창작시기와 작품 말미 기록의 진위에서는 작품 말미에 기록된 최척과의 만남 및 창작시기에 대한 사실 인정 여부가 <최척전>과 <홍도>의 선후 및 영향 관계로 비화되면서 <최척전>의 허구성 문제가 극단으로 향하고 있는 점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였다. 논의 결과 본고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최척은 실존인물이며, 『도탄집』의 최척과 『국당배어』의 최척은 동일인이고, 그가 곧 <최척전>의 최척이다. 둘째, <최척전> 말미의 기록은 사실로 인정해야 한다. 셋째, <최척전>은 逸士傳의 성격을 지닌 작품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최척전> 후지의 창작시기는 사실로 인정해야 한다. 따라서 작품 창작시기는 <최척전>은 1621년 윤2월, <홍도>는 1621년 여름으로 보아야 한다. 다섯째, <홍도>는 유몽인이 ‘최척에 관한 이야기’ 혹은 <최척전>의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해 듣고 축약ㆍ변형하여 지은 작품이다.

      • KCI등재

        <최척전(崔陟傳)>, ‘희망(希望)’과 ‘연대(連帶)’의 서사 -‘불교적 요소’와 ‘인간애’의 의미층위에 대한 주제적 해석

        김현양 열상고전연구회 2006 열상고전연구 Vol.24 No.-

        조위한(趙緯韓, 1567-1649)에 의해 1621년에 창작된 <최척전(崔陟傳)>은 탁월한 사실주의적 성취를 보여주는 17세기 소설로 높이 평가되고 있는 작품이다. 그런데 기존 연구에서는 ‘전란의 고통과 주체의 극복 의지’를 주제로 내세우면서 ‘불교적 요소’와 ‘인간애’의 의미 층위를 주제 해석에서 배제하거나 부차적인 것으로 파악했다. 그렇지만 ‘불교적 요소’와 ‘인간애’의 의미 층위를 주제 해석에서 배제하거나 부차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것은 온당하지 못하다. <최척전>에서 ‘불교적 요소’와 ‘인간애’는 고통을 극복하고자 하는 ‘주체의 의지’를 서사적으로 추동하는 핵심적인 동력에 해당된다. <최척전>의 불교적 요소―‘장육불(丈六佛)의 음조(陰助)’는 고통 속에서 발견한 ‘희망’의 불빛이며, 이를 바탕으로 주체의 의지가 추동된다. <최척전>의 불교적 요소는 ‘자비(慈悲)’를 바탕으로 ‘희망’을 말하려고 하는 것이지 ‘운명론(運命論)’을 말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최척전>은 ‘인간애’를 통해 전란의 고통을 극복하는 방식으로서 ‘연대(連帶)’를 말하고자 한다. 동아시아 여러 나라, 여러 사람들의 무차별적 도움으로 주인공에게 가해진 역사적 고난이 극복되는 바, 이들의 도움은 ‘인간애’를 바탕으로 한 일종의 ‘연대’라 할 수 있다. <최척전>의 ‘인간애’는 국가[혹은 민족]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실현되고 있다. <최척전>의 인간애는 아무런 조건도 차별도 존재하지 않는 무연자비(無緣慈悲)의 경지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무연자비의 ‘인간애’는 작품에서 울려 퍼지는 핵심적인 주제적 의미이며, 창작의식의 요체(要諦)이다. 동아시아 전란에 의해 고통 받던 중민(衆民)의 삶을 바라보면서, 인간애를 바탕으로 한 동아시아인의 연대(連帶)가, 전란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하나의 희망임을 <최척전>은 말하고 있는 것이다. Choicheok-jeon[A Story of Choi Cheok], written by Cho Weehan (1567- 1649) in 1621, is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seventeenth century novel which shows the great achievement of realism. By proposing the sufferings of the war and the protagonist's will to overcome those sufferings as the main theme, the previous studies of the novel have put 'Buddhist element' and 'humanitarianism' aside as secondary or even excluded them in their discussions of themes, which is not right. In Choicheok-jeon, 'Buddhist element' and 'humanitarianism' are the central forces to operate the protagonist's will to overcome sufferings in the aspects of the narrative. The Buddhist element of Choicheok-jeon ㅡthe Buddha’s revelation in dreamㅡis the light of hope found in the suffering, and based on this the subject's will operates. It is to speak of 'hope' based on 'mercy', not of 'fatalism'. Choicheok-jeon wants to speak of 'solidarity' as a way to overcome the sufferings of the war through 'humanitarianism'. The protagonist's historical sufferings are overcome by unconditional assistance of many people from several countries in East Asia, and their help can be viewed as a kind of 'solidarity' based on 'humanitarianism'. Humanitarianism of Choicheok-jeon is realized across the boundaries of the nation. It can be said as a level of indifferent mercy which doesn't have any condition nor discrimination. And this humanitarianism of indifferent mercy is the main thematic significance which echoes throughout the whole novel, and also the hinge of the creating consciousness. Illuminating the lives of the people suffering from the war in East Asia, Choicheok-jeon is telling us that the solidarity of the East Asians, based on humanitarianism, is the only hope to get out of the sufferings of the war.'

      • KCI등재

        「최척전(崔陟傳)」 의 탈국가적(脫國家的) 면모와 그 의미

        최빛나라(Choi, Bitnara)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7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6 No.2

        본고에서는 「최척전(崔陟傳)」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행적을 통해 작품이 지닌 ‘탈국가적(脫國家的)’ 면모를 살피고, 그 의미를 도출해보고자 했다. 작자 조위한은 전쟁으로 얽혀 있던 16-17세기를 배경으로, 신변의 안위를 획득하고 이산한 가족을 봉합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인물들을 형상화했다. 이로써 탄생한 「최척전」은 당대 조선인이 체험한 전란의 현실과, 그 속에서 파생된 탈국가적 면모를 여실히 드러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최척과 옥영, 그리고 이들이 이방인으로 떠돌며 만난 동아시아 곳곳의 인물들은, 결코 전쟁이라는 국가 위기 앞에 목숨을 내걸고 투쟁하는 영웅호걸이 아니다. 오히려 자신의 목숨을 보존하고 가정을 존속하기 위해서라면, ‘조선인’이라는 국가정체성(國民正體性)을 버리는 데에 주저함이 없는 소인물(小人物)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인물들의 탈국가적 면모는 ‘국가 위기에 대한 무관심’, ‘생존 방편으로서의 국적 변경’, ‘다문화가정의 성립’ 등, 여러 방식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최척전」의 동아시아 연대 역시, 국가의 안위보다 개인과 가정의 생존을 우선하는 이들 소인물들이 그 주축을 담당한다. 「최척전」은 ‘전쟁’이라는 혼란기에 생성되고 자각되는 새로운 가치질서의 일면을 내보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최척전」의 탈국가적 면모는 당대인이 전란 시기를 살아낸 한 방식이자 현실의 삶, 그 자체였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onfirm the postnational aspect of the characters appearing in "Choicheokjeon". Author Cho Wihan created the novel in the background of the 16th and 17th century wars. So the characters in the novel struggle to survive and meet with their families. But the struggle is not for the sake of the nation, but for individuals and their families. This proves that "Choicheokjeon" is a novel with a postnational characteristic. "Choicheokjeon" is a novel that shows new values created during the chaotic era of war. That is, the postnational aspect of "Choicheokjeon" is a way of life, a way of surviving, and the actual appearance of life.

      • KCI등재

        「최척전」에 나타난 가족 서사의 특징

        김영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3

        Choicheokjeon is about Choi-cheok whose family suffer from a war, roaming around China, Japan, Vietnam, etc, returning to Namwon, his hometown after many twists and turns and meet together. This has the structure of “family restoration”, which reveals in the novel of family scattering and meeting again. But this hides another narrative strategy in the “narrative of family restoration”. It is Okyoung-centered narrative. Judging from the title, Choi-cheok is likely to be a protagonist but all the story goes on with Okyoung. Therefore, this novel is the narrative ‘for Okyoung, and of Okyoung’. Also the two narratives, that is Choi-cheok’s family one and Okyoung’s one, naturally adhere the her chastity. This is because family restoration narrative and a chaste woman’s narrative are accomplished through her chastity. Okyoung’s chastity is the most important premise for Choi-cheok’s scattered family to overcome the outer impact of a war, to meet again and to make a complete family, that is, the family restoration narrative. Being family members together doesn’t means the whole family restoration. If Okyoung survives and returns home after losing chastity and being pointed at with scorn as a “whore”, the family can’t be said to be fully restored. So she disguised herself as a man and tried to kill herself frequently. The chaste woman narrative of Okyoung’s story is seen in the “Hongdo’s story” in the Eouyadam. As a result, she becomes a woman who returns home with chastity and completes a family narrative in which family come together and stay happy. This study examines that Choicheokjeon has a chaste woman narrative in the surface of the family restoration narrative. It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ideology of chastity in the adhered narrative in the Choishekjeon. 「최척전」은 남원의 최척 가족이 전쟁을 만나 각각 중국, 일본, 베트남등지를 떠돌다가 결국 모든 가족이 우여곡절 끝에 고향 남원으로 돌아와만나게 되는 이야기이다. 가족의 이산(離散)과 만남을 다루고 있는 소설로, 서사적으로는 ‘가족 복원’의 구조적 특징을 보인다. 그런데 「최척전」은 ‘가족 복원의 서사’ 속에 또 다른 축의 서사 전략을 담고 있다. 그것은 바로옥영 중심의 열녀 서사이다. 소설의 제목만 봐서는 최척이 서사의 주인공이 될 것 같지만 실제로 「최척전」의 모든 이야기 전개는 ‘옥영 중심’으로진행된다. 「최척전」은 ‘옥영을 위한, 옥영의 서사’라고 할만하다. 그리고 이 두 축인 가족 서사와 옥영의 서사가 자연스럽게 교착될 수 있는 지점은 바로 옥영의 정절이다. 옥영의 정절을 통해 가족 ‘복원’의 서사와 옥영의 ‘열녀’ 서사가 이루어진 것이다. 전쟁이라는 외부 충격을 극복하고 국제적으로 이산했던 가족들이 다시만나 온전한 가족을 이루기 위해서, 즉 완전한 가족 복원의 서사를 위해옥영의 정절은 무엇보다 중요한 전제 조건이 된다. 가족의 완전한 복원은가족들이 다 모이기만 한다고 해서 가능한 것이 아니다. 옥영이 정조를 잃고 단순히 살아 돌아와 ‘환향녀’라고 손가락질을 받는다면 가족은 온전히복원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옥영은 정절 보존을 위해 남장을 해야 했고 그토록 빈번하게 자결을 시도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옥영은 정절을 지킨 ‘귀향녀’가 되어 헤어졌던 가족들이 다 함께 모여 행복해질 수 있는 가족 서사를 완성할 수있었다. 이러한 열녀 담론은 「최척전」처럼 일관되지는 않지만 어우야담‘홍도 이야기’에서도 일정 부분 드러난다. 본 연구는 「최척전」이 표면적으로 가족 복원의 서사 속에 또 하나의 열녀 서사를 내재하고 있음을 밝혔다. 「최척전」에 나타난 교착적 서사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표면 서사 구조 속에 감춰진 열(烈)의 이데올로기를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최척전> 국내 공간의 문학지리학적 연구

        김재웅 ( Jae Woong Kim ),권혁래 ( Hyeok Rae Kwon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2

        문학에서 공간은 작가의 경험과 삶의 인식이 발현되는 주요 소재다. 작가는 자신이 경험하거나 상상한 공간을 특유의 감수성과 방식으로 작품에 표현한다. <최척전>의 작가 조위한은 주인공들이 살던 남원을 중심으로, 한양, 나주, 순천, 섬진강, 은진 등의 다양한 공간을 배경으로 설정하며 스토리를 전개하였다. 본 연구팀은 문학작품을 공간 중심으로 사고하고 시각적 재현 위주로 탐구하는 문학지리학적 시각에서 <최척전>의 국내 공간과 서사 전개의 관계를 고찰하고 표현하였다. 첫째, 작가 조위한은 자신의 남원 체험을 바탕으로 작품의 서사 공간과 이동경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조위한은 임란왜란 때 남원에서 피난살이를 했을 뿐만 아니라 의병활동에도 가담했다. 더욱이 1618년부터 5년 7개월 동안 조위한은 가족을 데리고 남원의 주포에 내려와 살았다. <최척전>의 스토리와 서사공간은 이러한 조위한의 전란체험 및 남원 생활 위에서 만들어졌다. 둘째, 작품의 서두에 주인공 최척의 집이 남원성의 서문과 만복사의 동쪽 사이에 있다고 하였는데, 이를 토대로 고지도를 참조하고 현장조사를 하여, 최척 생가가 현 남원시 왕정동 지역에 위치하고, 옥영의 기거처는 성문 남쪽에 위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최척이 가족을 잃고 돌아와 명군을 만났던 금교의 위치도 비정했다. 옥영 모녀가 서울에서 배를 타고 강화도에 도착한 뒤, 서해안 해로를 따라 내려와 영산강을 거슬러 올라 나주 회진에 도착하고, 회진에서 육로로 남원까지 온 피난길을 고지도를 통해 파악했고, 이를 지도에 표현하였다. <최척전>에서 1597년 왜군에 의해 남원성이 함락된 후 최척 가족은 지리산 연곡사로 피난을 떠나야 했다. 왜병은 연곡사에 들어와 살인과 약탈을 자행하여 최척의 가족은 이별하게 된다. 옥영은 왜병의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잡혀갔고, 최척은 명군을 따라 중국으로 망명했다. 현장 답사 결과, 이 이야기가 실제 남원성 전투 및 지리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곡사는 현재 지리산 피아골에 있으며, 임진왜란 때 불에 탔는데 지금은 재건되어 있다. 옥영은 일본 군선에 실려 섬진강을 따라 남해로 빠져나와 대마도를 거쳐 일본나가사키로 잡혀갔다. 중국에 망명한 최척은 1601년 베트남의 한 항구에서 옥영을 만나 항주로 같이 돌아와 정착하였다. 1619년 최척은 명군의 일원이 되어 심하 전투에 출전하였다가 후금 군의 포로가 되었는데, 감옥을 탈출하여 만포를 거쳐 남쪽으로 내려와 고향집으로 돌아왔다. 옥영은 1620년 항주에서 배를 타고 귀국길에 올랐다가 서해안의 무인도에 표착한 뒤, 조선 무역선을 얻어타고 순천에서 내려 남원으로 돌아왔다. 본 연구팀은 현장답사를 통해서 옛 순천항의 위치가 현 ‘해창(海倉) 포구’임을 밝혔다. 본 연구팀은 고지도 및 현장답사를 통해 파악한 정보와 이해를 바탕으로 <최척전>에 등장하는 주요 공간과 이동경로를 문학지도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최척전>의 공간에 현실감과 상상력을 불어넣고, 공간과 서사의 관계를 새롭게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최척전>의 인물 및 사건의 사실성 여부는 선결 조건이 아니다. 개연성 정도면 충분하다는 점을 밝혀둔다. Space is the main subject that reveal author’s life and aspect of it in literature. Writer expresses one’s experience or imaginary space in the work with his or her unique sensitivity. Cho Wihan, writer of Choi-chuk Jeon, shows a variety of domestic space like Hanyang, Najoo, Soonchun, Sumjin River, and Eunjin and develops the story, based on their home, Namwon. I focused on domestic space in Chosun and trans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narration. Here are some results that analyzed space and road of the work in geographic way. First, writer Cho Wihan suggested narrative space of the work and moving route specifically, background of his experience in Namwon. Cho we-han had a refugee life in Namwon and participated civilian army activity during 1592, japanese invasion of korea. Also, since 1618, Cho we-han took his family to Joopo in Namwon and lived for 6 years and 9 months. These experiences of war and living in Namwon made story and narrative space of Choi-chuk Jeon. Second, based on content that Choi-chuk’s house located between Namwon castle of West and Manbok-sa of East, I found Choi-chuk’s house is now located in Wangjung-dong, Namwon city. I also judged the location Gum bridge where Choi-chuk lost his family and met a wise king. Through old maps and pictures, I found a refugee route where Ok-young mom and daughter leave from Seoul, pass Kwanghwa-do, Huejin, Najoo, and finally came back to Namwon, and I located it on the map. After Namwon castle was taken over by Japanese army in 1597, Choi-chuk family fled to Yun-gok temple in Jiri mountain. However, Japanese army broke into the temple, so the family had to separated each other. As a result of field investigation, this story was based on real Namwon castle battle and geography. Although Yun-gok temple was burn in 1592, it is now rebuilt in Pia valley, Jiri mountain. Ok-young was carried in Japanese battleship and was captured in Nagasaki, Japan. Exiled to China, Choi-chuk met Ok-young at a port in Vietnam in 1601 and came back to Hangzhou together. In 1619, Choi-chuk became the soldier of Ming, fought in Simha battle and being captured as a war prisoner of Qing. He excaped from prison, pass through Manpo, and arrived to his home. Ok-young took a ship in Hangzhou in 1620, took a merchant wessel of Chosun, arrived at Soonchun, and came back to Namwon. Through investigation, I revealed past Soonchun port ins now Haechang port. Based on knowledge and understand through old map and field investigation, I expressed main space and moving route in Choi-chuk Jeon to geographic map. Through this work, I added historical feeling and literature imagination to area of Choi-chuk Jeon.

      • KCI등재

        남원 선비 최척의 ‘망명자 귀환 서사’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 연구

        권혁래 ( Kwon Hyeok-rae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2 No.-

        필자는 이 논문에서 「최척전」의 남원 선비 최척의 ‘망명자 귀환 서사’를 활용하여 콘텐츠 개발 방안을 고찰하였다. 「최척전」의 콘텐츠 요소를 서사, 인물, 주제, 공간으로 나눠 고찰하였다. 「최척전」의 서사는 애정서사와 전란서사 등이 17세기 전란의 전개와 밀접히 연관되며 진행되기 때문에 매우 극적이다. 「최척전」의 인물은 남원 선비 최척, 옥영, 의병장 변사정, 명나라 장수 여유문, 항주의 사족 주우, 일본의 돈우 등 다양하고, 개성이 뚜렷한 편이다. 「최척전」의 주제는 ‘사랑’, ‘가족애’, ‘평화’라는 점에서 친근하고 보편성이 있다. 「최척전」의 배경 공간은 남원이라는 지역성과 동아시아라는 국제성을 띠고 있어 매력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척전」의 콘텐츠 제작 방향에 대해서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최척전」을 스토리텔링하고, 인문정보 및 시각적 표현을 부가하여 인문교양도서로 출판하는 방안이다. 이 출판 콘텐츠를 바탕으로 하여, 「최척전」 올레길 개발, 남원선비 최척의 평화 박물관 건립, 드라마 제작 방안에 대해 기술하였다.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by using the Story of a Refugee Returning Choi Chuk, a Schola from Namwon. The cultural content’s elements of Choi Chuk-jeon are narrative, characters, theme, and place. The narrative of Choi Chuk-jeon is very dramatic because affection and narra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17th century. The characters of Choi Chuk-jeon are various and distinctive such as Choi Chuk, Okyoung, Ming Dynasty soldier Yumoon Yeo etc. The theme of Choi Chuk-jeon is friendly and universal in terms of love, family love, and peace. The background place of Choi Chuk-jeon is attractive because it has Namwon area and East Asia. I presented four things about the direction of Choi Chuk-jeon's cultural contents production. First, it is a method of storytelling Choi Chuk-jeon and publishing it as a liberal arts book by adding human information and visual expression. Based on this book, I described how to develop Choi Chuk-jeon tour products, build a museum of peace themes, and produce TV dramas.

      • KCI등재후보

        문학 교육의 관점에서 본 고전소설의 '우연성과 초현실성' - <최척전>의 교사용 지도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종필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문교육 Vol.24 No.-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that happenstance and surreality, both popular characteristics of classic stories and folktales, are the main factors that promote prejudice against the tales themselves, and to seek proper education methods to fix this. In order to clarify the point at issue, the content of a teacher’s guide for a literature textbook that contains The Tale of Choi Cheok was examined. After a careful study, it became clear that the teacher’s guide claims that The Tale of Choi Cheok has significance in the literature history because, compared to the other existing classic stories, the tale enhanced reality in it by utilizing the war(丁酉再亂) as a historical event for narrative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however, it highlights that the story still has episodes that reveal happenstance and surreality, and analyzes and arranges the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olktales and classic stories. This kind of categorization of these attributes is problematic, as it defines happenstance and surreality, present in The Tale of Choi Cheok, as the same as those found in heroic fictions which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such factors are limiting element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e significance of literature history of The Tale of Choi Cheok, its securing realism. After all,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hat the teacher’s guide has implicit premise that only a story with realism more thoroughly embodied in it can reach the proper province of the genre of fiction. In addition, the point of view of this guidebook requires reflective introspection in that it classifies classic stories and their modern counterparts by the criterion of securing realism, which may result in emphasizing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 two. To overcome such problematic issues that may arise in the practical education field, it is necessary, above all, to have an educational perspective that can call attention to both the historical context and meaning that lie behind happenstance and surreality. In the case of The Tale of Choi Cheok, Buddha’s appearance in a dream or the dramatic reunion of once-separated family members should be taught not simply as accidental and surreal episodes used to develop the story, but as elements that enabled many people of the time who actually were suffering through a war to find literary comfort and peace of mind in it. Also, in order to secure such educational perspectives, hav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ther related references, such as journals and biographies reflecting the war experiences of the time, not to mention the fiction genre itself, is essential. It is key that teacher’s guides used to guide classroom curriculum contain a variety of materials that fully present the historical context surrounding the creation and consumption of literary works so that teachers are able to analyze and appreciate them in a more proper way. 본고는 고전소설의 일반적 특징으로 언급되고 있는 ‘우연성과 초현실성’이 고전소설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을 조장하는 주된 요소임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술되었다. 그리고 이상의 문제의식을 구체화하기 위해 <최척전>을 수록하고 있는 문학 교과서의 교사용 지도서 내용을 점검하였다. 점검 결과, 우선 <최척전>은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전쟁(정유재란)이 서사 전개에 활용되면서 기존의 소설에 비해 ‘사실성’이 강화된 작품이라는 점을 문학사적 의의로 강조하고 있었다. 한편 우연성과 초현실성을 드러내는 화소도 여전히 존재함을 부각하면서, 이를 ‘고전소설의 일반적 특징’ 차원에서 분석·정리하였다. 문제는 <최척전>에서 보이는 ‘우연성과 초현실성’을 곧바로 조선 후기에 유행한 영웅 소설의 그것과 동질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나아가 그러한 요소가 <최척전>의 사실성 확보라는 문학사적 의의와는 구별되는 일종의 텍스트적 한계인 것처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결국 사실성을 보다 철저하게 구현한 소설만이, 소설이라는 장르의 본령에 다가선 것이라는 암묵적 전제가 깔려있다는 점에서 재고의 여지가 있다. 더욱이 해당 지도서의 관점은 고전소설과 현대소설을 사실성의 확보라는 규준을 통해 구획함으로써 양자 사이의 이질성을 강조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반성적 성찰이 요구된다. 교육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의 문제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연성과 초현실성’의 이면에 잠복해 있는 역사적 맥락과 의미를 함께 환기할 수 있는 교육적 관점이 절실하다. <최척전>의 경우, ‘장륙불의 현몽’이나 이산을 겪었던 가족들의 극적인 재회는 단순히 사건 전개를 위한 우연적이고 초현실적인 화소가 아니라 실제로 전란을 겪었던 당대의 많은 사람들이 <최척전>을 통해 받았을 문학적 위안을 가능케 한 요소로서 교육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적 관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설 장르를 넘어 당대의 전쟁 체험이 반영된 일기와 전(傳) 등의 부대 자료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특히 많은 교사들이 수업 진행을 위해 자주 활용하는 교사용 지도서의 경우, 그 집필 과정에서 작품의 창작과 향유를 둘러싼 역사적 맥락을 충분히 조명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교사들이 보다 온당한 작품의 분석과 감상에 이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