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최적성이론과 언어의 위계구조

        문승철 한국항공대학교 2000 論文集 Vol.38 No.-

        본 논문은 언어 내의 여러 가지 위계구조(Hierarchy)의 종류와 그 특성을 관찰분석하고 그 일반화된 위계구조를 최적성이론(Optimality Theory)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1장은 서론을 제시하고, 2장은 위계구조들의 존재와 그 역할들을 살피고 3장은 위계구조가 기존의 문법이론에서 하나의 정립된 가정으로서 사용될 수 없었던 이유가 지나친 제약의 위반불가능성 때문임을 주장한다. 따라서 4장은 이러한 위계구조의 사용불가능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위계구조의 새로운 역할의 정립을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5장은 제약위반가능성을 허용하는 최적성이론이 위계구조의 활용과 더불어 더욱 우수한 이론으로 정립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린다. This paper explores various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hierarchies in languages and proposes a method in which hierarchy concepts within language can be applied in Optimality Theory. Section 1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is paper. Section 2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he hierarchies proposed in the previous literatures. Section 3 argues that the inapplicability of the hierarchy concept to the linguistic theory derives from the extreme rigidity of the grammatical constraints. Section 4 suggests a violable hierarchy concept in linguistic theory in order to overcome its inapplicability problem due to the inviolability of constraints. Section 5 concludes this paper.

      • KCI등재

        憲法觀과 敎育者의 敎育權으로서의 敎授의 自由

        尹在萬(Yun Jae-Man) 한국비교공법학회 2006 公法學硏究 Vol.7 No.5

        헌법이론들은 기본권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에 법실증주의적 헌법이론은 국가의 권력을 절대적으로 이해하기 때문에 국가는 국가영역 내에 있는 기본권에게 임의적인 한계를 설정하여, 즉 기본권을 임의적으로 한계를 설정하는 규칙으로 이해하여, 한정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를 기속하는 기본권성이 인정될 수 없다. 그러나 소위 ‘결단주의’라고 칭하여지는 부분성 헌법이론은 법실증주의와 같이 국가권력의 절대성을 인정하면서도, 절대적인 국가영역 내에서가 아닌 국가이전적인 성격을 가진 자유권만을 기본권으로 이해함으로써 기본권을 국가영역 밖으로 끌어내어 국가영역 외에서만 기본권을 내재적 한계가 없는, 즉 원칙으로 이해하여, 기본권성을 인정하고, 국가영역 내에서는 기본권성을 인정하지 않고, 기본권을 기본권이 아닌 제도로서 이해함으로써 기본권성을 부인한다. 이에 반하여, 통합론으로 대표되는 한계성 헌법이론은 기본권에게 더 이상 증명이 필요 없이 ‘자명한’, 공동체를 위한, 기본권에 내재적 한계가 존재하며, 즉 기본권을 내재적 한계를 가진 규칙으로 이해하여, 이 한계 내에서만 기본권은 보장되며, 이 한계내에서만 국가권력은 기본권에 기속되며, 기본권의 기속성 내지 기본권의 기본권성을 인정하는 이론이다. 마지막으로 최적성 헌법이론은 기본권을 국가이전이나 이후, 국가내외의 영역을 구분하지 아니 하고, 모든 영역에 있어서 내재적 한계가 없는 원칙으로 이해하고, 기본권의 이러한 원칙으로의 이해는 - 헌법을 해석자의 주관적 요소의 개입을 피하기 위하여 - 자유로워야 할 기본권권리자의 기본권의 자기이해를 의미하며, 최적성 헌법이론은 이러한 기본권권리자의 기본권의 자기이해에서, 기본권의 최적보장을 위해, 가능최소한 제한되어야 할 것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부분성ㆍ한계성 헌법이론에 따른 교수의 자유에 대한 학설들을 분석ㆍ비판하고, 최적성 헌법이론에 따라 교육자의 교육권을 최적보장 하기위한 연구이다.

      •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의 상호최적성이론 적용 연구

        김충실 ( Jin Zhong Shi ),고륙양 ( Gao Lu Yang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11 No.1

        지금까지 말하기 교육에서 그라이스주의(Gricean Maxims, 格萊斯主義) 대화격률을 금과옥조로 받아들여 문법과 같이 ‘화’의 ‘법’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상 대화의 실제 발화들은 이러한 격률을 엄격하게 지킨 담화로만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대화의 격률이 말하기의 이론으로 직접 대입될 수 없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없음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논문은 이러한 이론에 기대어 말하기 교재와 교육에서는 아래와 같은 두 가지 문제를 제기했다. 첫째, 대화에서는 현실 생활에서 가능한 여러 가지 변이형들을 제시되어야 하는데 말하기 교재는 일반적으로 일문일답의 형식으로 대화 예문을 제시하였다. 이런 대화는 그라이스(1975)의 질의 격률과 양의 격률에 맞으며 문법이나 상황에도 맞는 대화이지만 현실생활에서 이탈된 것이 많다. 둘째, 대화에서 상황 제시나 스키마 교육 등과 같은 언어 외적 요소(言語外的要素)에 대한 설명이 결여되어 있다. 이런 대화도 문법이나 상황에 맞고 또 그라이스(1975)의 관련격률에도 맞는 대화이지만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들이 많았다.. 논문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세 개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먼저 국내 상호최적성이론의 선행 연구를 돌아보고 그 한계와 말하기 교육에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상호최적성 이론의 발전 배경과 그 특징 및 분석모형을 소개하고 상호최적성이론의 틀 속에서 한국어 말하기에서 화자와 청자의 대화를 실례로 구문 제약, 화용론 제약 및 억양제약을 표현과 이해의 측면에서 제약의 순위를 살폈다. 마지막으로 교재에 대화 내용을 입력할 때 다양하고 현실성이 강한 담화모형 제시, 언어의 산출과 이해에 적용되는 화용적 제약에 대한 설명 제시, 억양제약이 작용되는 담화형태의 제시와 설명 등의 제안을 제기하고 상호최적성이론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일정한 부분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Recently, Korean conversation teaching field Generally accept the Conversational Implicature of Grice Maxims. However, real life conversation does not strictly adhere to these rules. Therefore,It can't get good teaching results by Rigidly applying Conversational Implicature in Korean conversation teaching. In view of this, This study point out the following problems of Korean conversation text books and the process. Firstly, Conversation teaching should provide the diversified form that used in real life. However, the conversation text book generally provide the form in “one answer for one question” type. This kind of form conforms to the Grice Maxims Conversational Implicature, but out of touching with reality. Secondly, Conversation teaching lack of The explain of external factors of language, such as context and schema. This kind of form May not be able to reach effective communication, even if it conform to the Grice Maxims Conversational Implicature. This study discussed the problems in three aspects. Firstly, reviewed the advanced research Bi-directional Optimality Theory in China, and pointed out its limitations and the applicability in Korean conversation teaching. Secondly, introduced the development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Finally, discussed problems of how to input conversations, put forward the proposals as providing more diverse and more realistic examples, providing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pragmatics, providing intonation examples and instruction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ointed out that Bi-directional Optimality Theory also play a positive role in Korean conversation teaching.

      • KCI등재

        최적성이론에 의한 나가사키방언 복합어 악센트의 분석

        이병훈(Lee, Byeong Hoo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59

        본 연구는 일본어 나가사키방언의 복합어 악센트를 최적성이론의 틀 속에서 설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나가사키방언의 복합어는 전부요소가 악센트를 지닐 경우, 복합어에 악센트가 나타난다. 그러나 전부요소가 악센트를 가지더라도 3모라 이상일 경우는 복합어에 악센트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복합어의 악센트가 형태소의 경계에 위치하기를 요구하는 복합어 악센트(CA) 제약으로 설명한다. 나가사키방언에서 단어 악센트는 유표성제약 FtBin과 LeftMost, 그리고 *[Lapse]HdFt에 의해 어두 2모라 이내에 위치한다. 그러나 복합어의 전부요소가 3모라 이상일 경우, CA제약에 의해 악센트가 2모라 이내에 위치할 수 없다.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전부요소가 악센트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복합어에는 악센트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ccent pattern of compound words in Nagasaki Japanese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Generally, an accent appears on a compound word when the first element would have an accent on its own in Nagasaki Japanese. Yet an accent does not always appear on the compound word when its first element contains three or more morae, even though the first element may have an accent. I account for this phenomenon with the compound accent (CA) constraint, which requires that the compound accent be located on the last mora of the first element or the first mora of the second element. The word accent should be located within the first two morae based on the markedness constraints FtBin, LeftMost, and *[Lapse]HdFt in Nagasaki Japanese. If the first element of the compound word contains three or more morae, the compound accent cannot be located within the first two morae, due to the CA constraint. Therefore, no accent appears in the compound word in this case, even though the first element has an accent.

      • KCI등재

        최적성이론에 의한 국어 움라우트 현상 분석

        조성문 ( Cho Sung-moo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1 No.-

        이 연구는 국어 움라우트 현상의 변화를 정밀하게 고찰하고, 그 결과를 최적성이론(Optimality Theory)의 제약 등급의 변화로 설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근대에 들어 활발히 전개된 움라우트 현상은 그 기제에 대해 엇갈린 논의들이 있지만, 그것은 시대와 방언에 따른 범위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 움라우트가 동화 현상이라는 데 초점을 맞추어 이제 중부방언 및 국어어문규정에서도 그 현상을 어느 정도 인정해야 한다는 논의를 진행하려는 것이다. 왜냐하면 중부방언에서도 움라우트 현상의 예들이 조건에 상관없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는 연구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어어문규정에서 다루고 있는 움라우트는 이 현상이 동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의미적 기준에 의해서 구분을 짓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동화 현상이 일반적인 것이 되어서 굳어져 있는데 일부 단어만 동화를 인정하고 나머지는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그 규정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되어 있다. “기술자에게는 ‘-장이’, 그 외에는 ‘-쟁이’가 붙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라고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규정은 더욱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본다. 움라우트는 ‘ㅣ’ 모음 역행 동화 현상, 즉 말 그대로 발음에 관한 동화 현상인데도 불구하고 의미적인 기준으로 예외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 규정 역시 수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개재자음 제약이 지닌 성격을 밝혀 움라우트 현상의 적용 조건을 보다 명확하게 하려는 것이다. 그것을 종합하여 최적성이론의 제약과 등급의 변화를 통해 설명함으로써 일반 언어학적 보편성과 개별 언어학적 특수성을 모두 설명하였다. 특히 충실성 제약인 Ident-IO(F)와 유표성 제약인 IC-vowel[back], *UMLAUT-coronal의 상호 작용에 의해 중부방언과 남부방언의 움라우트변화 양상을 세밀하게 관찰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세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이 제약들의 등급이 변화해서 마지막 단계로 다다르게 되었다는 것도 함께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 of the ‘umlaut’ phenomenon in Korean with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Especially, it examined the exceptions of the ‘Intervenient Consonant Constraint’ of the umlaut rule focusing on the Central dialect. It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ient consonants of umlaut and determined the application level. Besides, it discussed various conditioning factors of the umlaut rule.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ly, umlaut can occur without an intervenient consonant in the Central dialect. Secondly, umlaut can occur even if the central consonants intervene between an assimilated vowel and its assimilator in the Central dialect. This is because examples of umlaut phenomena in central dialects are found regardless of conditions. The umlaut, which is cover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grammar rules, distinguishes this by semantic criteria even though it is an assimilation phenomenon. Already a fairy tale phenomenon has become common and hardened, but some words only assimilate assimilation and the rest are not accepted in principle. Therefore, this regulation seems to have a more serious problem. Because Umlaut is a fairy tale about pronunciation, but an exception is made as a semantic criterion. Therefore, these regulations should be amended. Thirdly, considering the examples, it is supposed that the umlaut rule applies in every Korean dialect. Thus, it can be argued that there is a marked constraint, which governs the umlaut. The ‘Intervenient Consonant Constraint’ is ‘Identical cluster-vowel[back]’. It is not an ‘inviolable constraint’ but a ‘violable constraint’ which merely reflects a ‘tendency’. Finally, a set of constraints which are involved in umlaut are ‘Identical cluster-vowel[back], *Umlaut-coronal, Ident-IO(F)’. The variat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umlaut results from the interaction among the constraints.

      • KCI등재

        일본어 어말 자음의 통시적 변화

        이병훈(Lee, Byeong Hoo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5 일본문화연구 Vol.0 No.56

        일본어 어말 자음의 통시적 변화를 최적성이론의 틀 속에서 설명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상대일본어에서는 음절말 자음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추정되고 있다. 최적성이론의 틀속에서 논하자면 이는 유표성제약 NoCoda가 충실성제약인 Max-IO나 Dep-IO보다 상위에 위치했기 때문으로 풀이할 수 있다. 이후 NoCoda 제약의 강등에 의해 일본어에도 음절말 자음이 발생했고, 중세일본어에서는 어말 자음으로 [t]와 [n]이 존재했다. 이에 반해 현대일본어에는 어말 자음으로 [N]만이 존재하는데, 본고에서는 제약순위 변경(constraint re-ranking)으로 이러한 통시적 변화를 설명한다. 중세일본어에서는 Dep-IO 제약이 [NoCoda & *Cor]seg 제약보다 상위에 위치해 설정음인 [t]와 [n]이 어말 자음으로 존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대일본어에서는 [NoCoda & *Cor]seg 제약이 Dep-IO 제약보다 상위에 위치해 설정음인 [t]나 [n]은 더 이상 어말에 올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현대일본어에서는 조음위치가 없는 비음 [N]만을 어말 자음으로 허용하게 된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diachronic changes in word-final consonants in Japanese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In Old Japanese,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there was no coda consonant. It is caused by a markedness constraint called NoCoda. In Old Japanese, NoCoda was more highly ranked than the faithfulness constraints Max-IO and Dep-IO, so consonants could not stand in the coda position. However, due to the demotion of NoCoda, Japanese began to allow coda consonants. There were two word-final consonants [t] and [n] in Late Middle Japanese, while there is only one word-final consonant [N] in Modern Japanese. I account for this diachronic change with constraint re-ranking. In Late Middle Japanese, Dep-IO was ranked higher than [NoCoda & *Cor]seg, so coronal consonants [t] and [n] were allowed as word-final consonants. However, because [NoCoda & *Cor]seg are ranked higher than Dep-IO in Modern Japanese, coronal consonants [t] and [n] are no longer allowed in word-final positions. Therefore, Modern Japanese allows only a placeless nasal [N] as a word-final coda.

      • 산포이론에 의한 제주방언의 구개음화 분석

        조성문 同德女子大學校 2013 人文科學硏究 Vol.2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제주방언의 구개음화 현상에 대한 변이를 산포이론을 적용해서 새로운 해석을 하는 것이다. 산포이론은 음성학적 분석 방법을 최적성이론에 적용시킨 이론이다. 제주방언의 구개음화에는 ㄷ, ㄱ, ㅎ의 구개음화가 존재하는데, 그 각각이 어떠한 변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제주방언은 음운론적으로 중앙방언과는 많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서 제주방언만의 특성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 젋은 세대의 언어에서 그러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제방언의 이러한 특성을 구개음화의 변이 양상을 통해 고찰해 보고, 산포이론이 제시하고 있는 대조의 수를 최대화하려는 경향에서 그 원인을 찾아 패턴 평가의 방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This paper provides a new account on the palatalization of Jeju dialect. For this purpose, we employ the frameworks of Optimality Theory and Dispersion Theory(Flemming 1995). The palatalization of Jeju dialect has changed to /t/ palatalization from /t/, /k/, /h/ palatalization. Also, the point of change are definitely different in age. But for the change of palatalization, articulation place of consonants increase to bilabial, palatal, velar, glottal. Here I propose a pattern evaluation procedure for explaining the consequence of palatalization change. Finally, I show that the change of palatalization can be better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two stages and that each stage requires a different constraint ranking accounting for its change more precisely.

      • KCI등재

        최적성이론에 의한 야쿠시마방언의 장모음화 분석

        이병훈(李炳勳) 한국일본어학회 2013 日本語學硏究 Vol.0 No.37

        본 연구는 일본어의 야쿠시마방언에 나타나는 단음절어와 2음절어의 장모음화를 최적성이론의 틀 속에서 분석했다. 야쿠시마방언에서 단음절어의 장모음화가 발생하는 것은 운율단어(prosodic word)가 2모라 이상이기를 요구하는 단어의 최소 크기(길이)에 대한 제약 때문이다. 운율단어는 최소 하나의 운각(foot)을 지배해야 하며 운각은 최소 2모라가 되어야하나 단모음으로 끝나는 개음절 하나로 이루어진 단음절어는 전체가 1모라로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 때문에 1모라 1음절의 개음절어가 장모음화를 통해 2모라가 되어 운율단어로서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다. 2음절어의 장모음화는 2개의 경음절(light syllable)로 이루어진 [(L.L)]형 운율단어에서 첫음절이 장모음화해, [(L.L)]형 운율단어가 보다 무표적인 [(H).L]형 운율단어로 바뀌는 현상이다. [(L.L)]형 단어는 어말에 주운각(head foot)이 오는 것을 금하는 NonFinality 제약을 위반하게 되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첫음절에서 장모음화가 발생하는 것이다. 같은 가고시마현에 속하는 가고시마시방언에서는 단음절어의 장모음화는 일어나나 2음절어의 장모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방언 간의 차이는 NonFinality 제약과 NLV(No Long Vowels) 제약 간의 위계 차이로 설명할 수 있다. 야쿠시마방언에서는 어말의 주운각을 금하는 NonFinality 제약이 장모음을 금하는 NLV 제약을 지배해 장모음화가 일어난다. 반면 가고시마시방언에서는 NLV 제약이 NonFinality 제약을 지배, NLV 제약의 위반을 e래하는 2음절어의 장모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 KCI등재

        최적성이론에 의한 도호쿠 남부방언 유성음화와 무성음화의 분석

        이병훈(Lee, Byeong-Hoo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일본문화연구 Vol.0 No.63

        일본어의 도호쿠방언에서는 무성폐쇄음이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한다. 그러나 같은 환경에서 무성마찰음은 유성음화하지 않는다. 이러한 비대칭성은 음절초 자음의 유표성 위계에 기인한다. 음절초 자음으로서 유성마찰음은 유성폐쇄음보다 유표적이다. 때문에 무성마찰음은 무성폐쇄음과 달리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하지 않는 것이다. 이 방언에서, 2개의 무성자음 사이에 낀 고모음은 후속 음절의 모음이 비고모음일 때 무성음화한다. 그러나 후속 음절의 모음이 고모음일 때는 무성음화하지 않는다. 대신 이러한 환경에서는 모음 간 무성폐쇄음이 유성음화한다. 본 연구는 도호쿠 남부방언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유성음화와 무성음화에 대한 통일적인 설명을 최적성이론(Optimality Theory; Prince & Smolensky 1993)의 틀 속에서 제시한다. In the Tohoku dialect of Japanese, voiceless stops are voiced in an intervocalic position. However voiceless fricatives are not voiced in the same position. This asymmetry is caused by the onset markedness hierarchy. Voiced fricatives are more marked as onsets than voiced stops. Therefore, voiceless fricatives are not voiced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unlike the voiceless stops. In this particular dialect, high vowels between two voiceless consonants are devoiced when a non-high vowel follows in the next syllable. However, they are not devoiced when a high vowel follows. Instead, the intervocalic voiceless stops are actually voiced in this environment. This study offers a unified explanation of these voicing and devoicing patterns in the southern Tohoku dialect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Prince & Smolensky 1993).

      • KCI등재

        포르투갈어의 비강이중모음

        현기홍 부산외국어대학교 이베로아메리카연구소 2014 이베로아메리카 Vol.16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Optimality-Theoretic account of a rare and, therefore, important but not much studied phonological phenomenon, portuguese nasal diphthong.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Ⅰ) I classify the portuguese nasal diphthong into 3 groups on the phonetic representation level; false, true regular and true irregular. (Ⅱ) I propose as input for each of the 3 groups an underlying form with empty segment and zero gender morpheme by the means of /VNV/ analysis based on the bimorphemic analysis and morphological structure. (Ⅲ) I conclude that the nasal diphthongs derived from /VNV/ have ṼμĞμ as the mora structure, being all of them given thereby 2 moras. (Ⅳ) Finally I provide a unified Optimality-Theoretic account of regularity vs. irregularity and trueness vs. falseness that the 3 groups of portuguese nasal diphthong imply, in terms of a minimized set of restrictions, which, as a result, contributes to maximize the explanatory force. Key Words: Nasal Diphthong, Portuguese, Optimality Theory, Gender Morpheme, Regularity, Exceptionality, Unified Account <국문요약> 본 논문은 희소성과 중요성을 가지면서도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던 포르 투갈어의 음운현상, 비강이중모음을 분석대상으로 일관적이고 경제적인 논 리에 의한 최적성이론적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아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포르투갈어의 비강이중모음을 음성표시층위에서, 규칙적 참 비강이중모 음, 불규칙적 참 비강이중모음 및 거짓 비강이중모음으로 구분하였다. 2. 형태표시층위에서 비강모음에 대한 2음소분석 및 통시적 형태구조에 기 초한 /VNV/분석을 방법으로 하고, 공 분절음이론에 의거하여 영 형태소 를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로 각각의 구분에 대해 입력형을 설정하였다. 3. 첫째, /VN/의 어중 변이형은 ṼμNμ, 어말 변이형은 ṼμØμ의 모라구조를 가 지며, 둘째, /VNV/에서 도출된 비강이중모음은 ṼμĞμ의 모라구조를 가지 며, 셋째, 따라서 모두 2모라를 가진다는 결론을 내렸다. 4. 최적성이론을 토대로 제약들을 최소한으로 설정하여 규칙적 참 비강이중 모음, 불규칙적 참 비강이중모음 및 거짓 비강이중모음을 설명하였다. 주제어: 비강이중모음, 포르투갈어, 최적성이론, 성 형태소, 규칙성, 예외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