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부부가계를 위한 노후 월평균생계비 산정 : 최저생계비, 표준생계비, 유락생계비의 산정

        이선형,이연숙 대한가정학회 200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0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living cost for the elderly couple living in a city in Korea. Living cost means expenditure per month for elderly couple. It was assumed that the elderly couple will need different living cost according to their circumstances. The circumstances are health status, retirement status, and the level of living they want. The subjects were the elderly couple households over the age 65 of household head. Total number of subject was 1,649 households. Used data was Annual Report survey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n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Analysis of data was done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means, median using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ir standard living cost was 844,980 won by pure relative standard line and 842,300 won by quasi relative standard lines. And minimum living cost was 713,400 won by the former, by the latter was 557,600 won (2/3 of median). And abundant living cost was 1,068,020 won by the former, by the latter 1,263,450 won. The living cost of elderly households was about 81∼83%, comparing with non-elderly households. Among the item of expenditure, the proportion of housing and medical care cost was larger than any other items.

      • KCI등재

        한국 최저생계비 결정의 쟁점과 과제: 「최저생계비체험 프로그램」의 체험 결과를 중심으로

        허선 한국사회정책학회 2009 한국사회정책 Vol.15 No.2

        The minimum cost of living is used as a criteria of allocation and provision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in Korea since 1999. This study explores an urgent problems of the minimum cost of living to analyse 'program to learn by direct and actual experience of the minimum cost of living', co-sponsored by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PSPD) and The Beautiful Foundation. The consequence is that it has problem in the items of non-consumption expenditure,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others consumption expenditure, and housing expense. The measurement of the minimum cost of living requir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adjustment. 1999년 최초로 최저생계비가 공표된 이래 ‘최저생계비가 과연 합리적으로 결정되는지, 혹은 그 수준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계속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도에 있었던 참여연대와 아름다운재단이 공동으로 진행한 최저생계비체험 프로그램의 진행과 결과를 중심으로 최저생계비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히 교통통신비, 비소비지출, 기타소비지출, 주거비 항목에 있어서 최저생계비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또한 현행 최저생계비는 아주 열악한 주거환경, 부실한 식사, 낮은 문화생활, 사회생활의 포기가 있어야 생활이 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최후의 안전망으로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최저생계비가 결정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식의 도입에 대한 검토가 시급하다.

      • KCI등재

        일본 지역별·산업별 최저임금제도에 대한 고찰

        김환일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69 No.-

        The Japanese minimum wag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ral minimum wage deliberation committee proposes a regional standard, and then the regional minimum wage deliberation committee of 47 prefectures deliberates and decides on the revision of the wage every year. However, as the regional wage gap continues to widen, the labor and management are strongly arguing that reform should be done, questioning the original attitude of the Minimum Wage Deliberation Committee. Recently, the labor and bar associations insist that the Minimum Wage Deliberation Committee is difficult, but it is necessary to gather wisdom on how to balance the minimum wage increase to secure employment and livelihood stability for low-wage workers. On the other hand, employers strongly insist on freezing the minimum wage in order to continue business and maintain employment, as it has a huge impact on local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nd small business owners with a weak management b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ctive policies such as tax and social insurance premium reduction and subsidy suppor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at are difficult to raise the minimum wage. To this end, if we look at the tasks of the Japanese minimum wage system, first, the significance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minimum wage system, second, the principle of disclosure in the non-disclosure of the minimum wage council, third, the limitations of the regional minimum wage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a nationwide minimum wage system, Fourth, diversification and strengthening of representativeness of the members, and fifth strengthening the role of public interest members. Therefore, in order to introduce the minimum wage system by region and industry in Korea,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rational improvement plan for the minimum wage system suitable for Korea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Japanese minimum wage system. 일본 최저임금은 중앙최저임금심의위원회에서 지역기준액을 제시한 다음 47개 도도부현의 지방최저임금심의위원회가 매년 임금액의 개정을 심의·결정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지역별 임금격차가 계속 확대되면서 최저임금심의위원회에 본연의 자세에 대해 의문을 갖고 개혁해야 한다고 노사 간에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최근 노동계 및 변호사연합회 측에서는 최저임금심의위원회가 어렵지만 저임금 근로자의 고용 확보 및 생활안정을 위한 최저임금 인상을 어떻게 실시할 것인지에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사용자 측에서 최저임금 인상은 경영기반이 취약한 지방중소기업·소규모사업자에게 큰 영향을 미치므로 사업계속과 고용유지를 위해 동결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최저임금의 인상이 어려운 중소영세기업에 대해 세금 및 사회보험료의 감면, 보조금 지원 등 중소영세기업의 비용경감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 최저임금제도의 과제를 살펴보면 첫째, 최저임금제도의 존재 의의 및 올바른 이해, 둘째, 최저임금심의위원회의 비공개에서 공개 원칙, 셋째, 지역별 최저임금제도의 한계와 전국일률최저임금제도의 도입, 넷째, 위원의 다양화 및 대표성 강화, 다섯째 공익위원의 역할 강화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지역별·산업별 최저임금제도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일본 최저임금제도의 경험을 토대로 우리나라에 적합한 최저임금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최저생계비 결정의 쟁점과 과제

        허선(Sun Huh) 한국사회정책학회 2008 한국사회정책 Vol.15 No.2

        1999년 최초로 최저생계비가 공표된 이래 `최저생계비가 과연 합리적으로 결정되는지, 혹은 그 수준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계속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도에 있었던 참여연대와 아름다운재단이 공동으로 진행한 최저생계비체험 프로그램의 진행과 결과를 중심으로 최저생계비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히 교통통신비, 비소비지출, 기타소비지출, 주거비항목에 있어서 최저생계비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또한 현행 최저생계비는 아주 열악한 주거환경, 부실한 식사, 낮은 문화생활, 사회생활의 포기가 있어야 생활이 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최후의 안전망으로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최저생계비가 결정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식의 도입에 대한 검토가 시급하다. The minimum cost of living is used as a criteria of allocation and provision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in Korea since 1999. This study explores an urgent problems of the minimum cost of living to analyse `program to learn by direct and actual experience of the minimum cost of living`, co-sponsored by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PSPD) and The Beautiful Foundation. The consequence is that it has problem in the items of non-consumption expenditure,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others consumption expenditure, and housing expense. The measurement of the minimum cost of living requir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adjustment.

      • KCI등재

        A Study on the Minimum Cost of Living by Household Type Using Deprivation Indicators: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by Benefits Baselines

        이주미(Lee, Jum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8 No.-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cheme)는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공공부조제도로 본 제도의 수급자 선정기준인 ‘기준중위소득’은 기타 복지급여 선정에도 준용되고 있다. 이 기준선은 2015년 7월 맞춤형 급여체계로 개편되면서 기존 마켓바스켓을 활용하여 산출하던 절대적 방식에서 통계청의 공식 통계자료의 중위소득을 활용하는 상대적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최저생계비 계측 방식 중 본 연구는 상대적 방식 중 하나인 박탈지표방식을 활용하여 판별분석 방법을 통해 가구특성별·생활영역별 최저생계비를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가구유형별로 박탈지표를 활용한 최저생계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유형별로 박탈지표방식을 활용한 최저생계비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노인가구와 3인 한부모가구의 경우 절대적 박탈 기준선이 현재 교육급여 기준선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소득’만을 활용한 기준선은 다양한 가구유형의 빈곤을 정의하기 어려운 점과 저소득층에서 적정한 급여가 지원되고 있는지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의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가구기준의 급여선정 및 급여기준선을 개인기준으로 변경하는 등 가구유형별·영역별 맞춤형 제도 설계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cheme is currently a representative public assistance system in Korea, and the standard for selecting beneficiaries of this system, “standard median income”, is also applied to the selection of other welfare benefits. The standard for selecting beneficiaries was reorganized into a customized benefit system in July 2015, changing from the absolute method used to produce using existing market baskets to the relative method of utilizing the median income. Among these various methods of measuring the minimum cost of living, this study estimated the minimum cost of living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living areas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using one of the relative methods of deprivation indicator. Through this, the study wanted to verify that the minimum cost of living using deprivation indicators varies by household typ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inimum cost of living using the deprivation indicator method was different for each household type, especially for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 and single-parent households with three members, the absolute deprivation standard was higher than the current education benefit standard. In other words, the baseline using only “income” found that it was difficult to define poverty of various types of households and that various approaches were needed to assess whether appropriate benefits were provided for low-income famili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give implications to the design of customized systems for each type of household and area of living, by changing the criteria for selecting beneficiaries according to the current household standards to individual standards.

      • KCI등재

        빈곤선 측정방식에 대한 비교 연구

        문진영(Moon, Jin-Yo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6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제정된 1999년부터 최저생계비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빈곤’과 ‘공공부조제도’에 대해서 다양한 입장을 가진 사람들이 최저생계비의 개념과 기능 그리고 수준에 대해서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보수진영 사람들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들에게도 지나치게 높은 최저생계의 수준을 보장함으로써 근로의욕을 감퇴시켜서 빈곤의 덫에 빠지게 한다고 공격하고 있다. 한편으로 진보 진영에서는 현재 최저생계비의 수준이 헌법에서 규정한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기에 턱없이 낮기 때문에 대폭적으로 상향조정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같은 빈곤이라는 현상과 최저생계비의 수준을 놓고서 이념에 따라서 전혀 상반된 해석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의견 차이가 한 단계 높은 빈곤논쟁으로 발전하지 않은 채, 이념적 공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 사회가 복지국가를 지향한다면 빈곤에 대한 논쟁을 비켜갈 수 없다. 최저생계의 보장이 복지국가의 도덕적 토대라면, 최저생계비는 바로 복지국가의 문을 여는 열쇠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빈곤선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5가지 측정방식(정책빈곤선, 가계표준예산 빈곤선, 통계적 빈곤선, 주관적 빈곤선, 박탈지표 빈곤선)을 설명하고, 각 측정방식을 과학성, 자의성, 측정편의성, 제도정합성, 발전가능성이라는 기준으로 비교할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장에서는 빈곤선과 최저생계비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제3장에서는 빈곤선 측정의 역사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본문에 해당하는 제4장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5가지의 빈곤선 측정방식의 성격을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빈곤선의 성격에 대한 이해가 증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t is widely accepted that Korean society entered the era of social rights with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1999) which guarantees the minimum living standards for all, irrespective of their age, sex, and working ability. At the heart of social rights lies the minimum cost of living (poverty line) in that it works as the eligibility criteria and,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with the guideline for benefits as well. In other words, it is the key to open the gate of the welfare state. Thu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re has been fierce debate on the amount of the minimum cost of living between market liberals and progressive commentators since its enactment of 1999.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e debate was mired in exhaustive ideological brawls. It has not yet developed to productive debate with a solid theoretical foundation. It is in this regard that this paper purports, first of all, to explain five different measurements of poverty line (administrative lines, budget standards, statistical lines, subjective lines, and deprivation indicator, and secondly, to compare and evaluate them into five perspectives (scientific validity, non-arbitrariness, convenience to measure, conformity to program, and prospect to develop). For this purpose, the chapter 2 explains the concept of poverty line and the minimum cost of living stipulated in the Act and, consequently the chapter 3 deals with the history of poverty studies since the monumental social research of S. Rowntree in 1899. The chapter four compares and evaluates the five measurements of poverty line. This study hopefully contributes to deepen our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poverty in modern capitalist society.

      • KCI등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최저생계비 결정에 있어서 행정재량의 통제

        김창조,손윤석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법학논고 Vol.0 No.35

        The minimum cost of living is used as a criteria of allocation and provision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in Korea. It also became an important index in deciding the eligibility of personal social services and in discussing the adequacy of social insurance benefit. In decision of the minimum cost of living, there are many constituents such as social, economical, and political factors. So its process has many possibilities that administrative discretion intervenes. And it is the reality that wide discretion is recognized by the administration deciding cost of living at least hereby, and our constitutional court recognizes this, and reduce the possibility of the judicial review in the extreme. However, the purpose that relieves the poor can't be achieved if recognized administrative discretion isn't controlled. So it is important to control administrative discretion. 현대 국가의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발전할수록 부유층과 빈곤층의 괴리가 커지고 있고, 거의 모든 국가에서 빈곤층의 문제는 단순한 개인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차원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대응하기 위하여 각국은공공부조제도를 실시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통하여이를 시행하고 있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통한 빈곤층 구제에 있어서의 준거점으로 작용하는 것이 최저생계비이다. 최저생계비는 우리나라의 빈곤관련 정책에 있어서 기준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빈곤층에 대한 최저생활의 보장을 위한각종 공공부조급여의 기준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있다. 이러한 최저생계비의 결정에 있어서는 과학적 수단을 이용한 최저생계비의 계측과정에 덧붙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와 의결 및 보건복지부장관의결정이라는 행정적 과정을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때 행정적 과정에서는사회적․정치적․경제적 여러 요인들이 반영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최저생계비를 결정하는 행정기관에 광범위한 재량이 인정되고 있다. 우리 헌법재판소도 이를 인정하여 사법심사의 가능성을 극도로 축소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최저생계비가 가난한 국민들의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이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인정되는 행정재량에 대한 적절한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 행정재량에 대한 적극적인 통제가 이루어져야만 빈곤층에 대한 구제라는 공공부조의 목적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요건에 관한 검토

        김종수(金鍾守) 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12 사회보장법연구 Vol.- No.2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는 법임에도 불구하고 수급요건이 엄격해서 국민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지도하는 원리를 최저생활보장원리, 자활조성원리, 보충성원리, 개별성원리로 파악하고, 각 원리적 측면에서 현재의 수급요건을 검토한 결과, 현재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요건인 부양의무자, 소득인정액, 최저생계비 등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첫째, 최저생활보장원리는 최저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최저생계비의 적정한 결정에 달려 있는데, 현재 그 결정이 행정재량에 일임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저생활기준 그 자체를 법률 등에서 정하기는 어려우나 최저생계비를 계측하는 방법 및 계측의 원칙 등은 법률에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자활조성원리와 관련해서는 취업수급자의 자활을 위한 여러 제도가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우선 취업수급자를 위한 자활지원사업이 마련되어야 하며, 소득평가액 공제와 관련해서도 취업에 의한 근로소득의 경우에 자활근로에 의한 근로소득보다 더 많은 소득평가액 공제를 부여하여 취업의 유인을 주어야 한다. 셋째, 보충성원리와 관련하여서는 성년 자녀와 부모 사이의 부양의무를 경감하고, 부양의무자 기준을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산의 소득환산율 제도 등을 원래 취지에 부합하게 재산의 처분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재산의 장기적인 소득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방향으로 개선하여, 보충성원리의 강조로 최저생활보장원리와 자활조성원리가 침해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개별성 원리와 관련하여 현행법이 소득평가액 산정 시 가구특성에 따른 지출요인을 고려하고 있지만, 부족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원래 법률의 취지에 따라 급여의 기준을 수급자의 연령, 가구 규모, 거주지역, 그 밖의 생활여건 등을 고려하여 급여의 종류별로 정하고, 최저생계비를 국민의 소득·지출 수준과 수급권자의 가구 유형 등 생활실태,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하여 정하는 등, 국민의 구체적인 필요에 부합할 수 있도록 현행의 행정편의적 수급요건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re are some critics who criticize that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hereinafter “the NBLSA”), which is parallel to the Social Security Act in USA, doesn’t guarantee the national minimum because of the strigent eligibility requirements of the NBLSA. This Article tried to review on the eligibility requirements of the NBLSA in view of four principles; Principle of guarantee of the national minimum, Principle of facilitation of independence, Principle of subsidiary and Principle of individualization. And it found that the eligibility requirements of the NBLSA has problems as follows: (i) In view of Principle of guarantee of the national minimum, It is a problem that determination of the minimum living cost is at sole discretion of the Administrative. Therefore, the method and principle of measurement of the minimum living cost should be prescribed by the law. (ii) In view of Principle of facilitation of independence, it is required to help independece of the beneficiaries who have a job. At first, aid program for the beneficiaries who have a job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beneficiaries who have jobs should have more deductions from earning in regard to earning estimation than those who have no job. (iii) In view of Principle of subsidiary, it is required to lighten obligation of support of parent and make the support requirement less strict. And conversion scheme of property into income should be amended in favor of income-making of property. (iv) In view of individualization, the benefits should be more individualized in regard to age, family size, region, and other living conditions and the minimum living cost should be more individualized in regard to level of income and outgo, family size and type, inflation rate and so on.

      • KCI등재후보

        장애아동가족의 단계별 생활욕구와 최저생계비

        정영숙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4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가족을 대상으로 생활욕구의 구조를 파악하고 장애아동의 치료교육비가 단계별 생활욕구를 기반으로 생계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특수교육 및 장애아동 복지의 이론적 논거를 마련하는 동시에 빈곤 장애아동가족을 위한 치료교육 및 복지프로그램의 대상자 선정기준을 객관화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가구는 비장애아동 247가구, 발달장애아동 282가구이며 이들 가구를 대상으로 심층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술통계 및 회귀분석을 적용한 결과 생활욕구와 최저생계비를 추정하는데 있어 아동의 장애 유무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이며 이들 장애아동가족은 최저생활을 비롯한 표준생활과 유복생활 등의 생활수준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자녀의 치료교육에 대한 욕구가 가장 우선하고, 그 다음 주거환경, 보건의료 체계에 대한 접근성 등에 대한 욕구로 이전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비장애아동가족에 비해 장애아동가족이 최저생활을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도 더 많이 들 뿐 아니라 편차도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장애아동가족의 경우 규모의 경제원리 보다 아동의 장애라는 가족적 특성이 최저생계비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족구성원 가운데 장애아동의 출현은 장애자녀의 양육 및 성장 발달을 위한 추가비용으로 인해 빈곤화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단순한 현금보조정책보다는 공공부조나 사회보험제도를 통해 장애자녀의 치료교육을 보조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동시에 이들 가족에게 지급되는 급여액도 현실적 차원에서 사회적 최소선의 생계보장이 되도록 조정해야 한다. 이러한 보장은 아동이 겪을 수 있는 중도․중복장애를 미연에 방지하여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인적 자원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고 국가기반을 조성하는 초석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vel of need and minimum cost of living for families with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in terms of comparing with families of non-disability children.In measuring level of need and the minimum cost of living, this study focuses on poverty with emotional and subjective issue and the cost of educational therapy. Data were collected from 282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problems and 247 families of children with no disability in February 2004. Regression analysis provides a measure of associ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e cost of educational therapy is consistently and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lower, moderate, as well as the higher level of need of the families with disability children, presenting their deep aspiration for their children's development and future. It also showed that given lower level of income, the minimum cost of living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was higher than families of children with no disability. Also, educational therapy costs for disabled children was important determinant of minimum cost of living, implying that children's developmental delay or outcome was a function of the initial economic state of the family.No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welfare policy formulations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therapy costs for disabled children. Since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are particularly at risk, public policy makers should be aware of planning for the needs of the those families who appear to be problem groups and who need to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welfare programs and priorities.

      • KCI등재

        최저임금법상 문제점과 해결방향

        이달휴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7 노동법논총 Vol.41 No.-

        It i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rticle 32 that the State shall endeavor to promote the employment of workers and to guarantee optimum wages through social and economic means and shall enforce a minimum wage system under the conditions as prescribed by Act. Based on this clause, All employees shall have the right to demand the state guarantee of the minimum wage, So the state enacts the minimum wage act for the employees. It is stipulated in the minimum wage act article 1 that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stabilize workers' life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labor force by guaranteeing them a minimum level of wage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ou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The purpose of constitution article 32 is well reflected in this stipulation. The right of the environment for work could be divided into the result and the process working conditions. This is a spacial and temporal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labor and that is the result calculated on the basis of process working conditions and the minimum wage is the reflection of the result work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right to work, the function of minimum wage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Those are the function for minimum limit of labor value, distributive function and minimum guaranteed function for employees’s life, function of labor inducement, foundation function of fair competition. I claimed tha the problems of scope of application in minimum wage act are persons employed for household work, handicapped workers, trainee workers and could be settled on labor value. In addition, I suppose that the cost of living for workers and their families should be the benchmark as the decision criterion of minimum wage and that minimum wage should be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regular wage for settlement of industrial disp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