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단을 유보한 진행형인 知性의 공간–『문학과지성』과 호명된 최인훈

        이수경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0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trace book reviews on the 『Literature and Intelligence(文學과知性)』’s about Choi, IN-Hun(崔仁勳), who was one of the great figures of 60s’, which made category how to study of Choi, IN-Hun, on its way to seeking for its theoretical background of book reviews and for establishment of national literature. First book review was 「Escape of Intellect(知識人의 亡命)」 of Kim, Chi-Su, who focused on ex-realist style of Choi, IN-Hun, and educated person as a main character of him like the reason why 『Literature and Intelligence』 had called him at the first issue of the magazine. 「The Theory for Novel by Novelist(小說家의 小說論)」 of Kim, In-Whan also focused on same features of Choi, IN-Hun. Those two book reviews had been ahead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Choi, IN-Hun was published and had expressed empathy and paid their tributes of praise. After the period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Choi, IN-Hun, there were 「The Secret Room and The Square(密室과 廣場)」, by Chun, Iee-Doo, and 「The Conflict Awareness of World and Ego(自我와 世界의 對立的 認識)」, by Jung, Gua-Ree. Those are focused on details related with ex-realistic technique and educated person as a main character like earlier ones, but they also pointed out the limits of them. The returning to the secret room of main characters, like dream or memory, could not be the solutions to change the paradox of the world. After all, this study confirms that 『Literature and Intelligence』 and Choi, IN-Hun, coexisting in their space of thinking language, did their best to find out their way to establish the national literature and to enhance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paradox of time and society. But this same reason also made the stereo type of how to study of Choi, IN-Hun’s. In order to overcome this , even though this trial was already started, we should return to the first aphorism, the preface of 『Literature and Intelligence』, What is the literature? Also, we should return to the writings for anti-ideology, the text of Choi, IN-Hun again. 본고의 목적은 70년대 비판적 지성의 장인 『문학과지성』이 ‘비평적 글쓰기’를 통한 자기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모색 과정에서 60년대의 화두였던 ‘최인훈 호명’에 문제의식을 갖고 『문학과지성』이 60년대의 화두였던 최인훈을 다시 호명하게 되는 근거를 『문학과지성』 지면에 실린 최인훈 관련 비평을 토대로 살펴보면서, 『문학과지성』과 최인훈의 공통분모를 확인하는 동시에 『문학과지성』에 실린 일련의 최인훈 관련 비평이 결국에는 최인훈 연구의 한 유형을 제시하게 되어 최인훈 연구의 성과이자 한계를 형성했다는 것을 추적해 보는 것이다. 최인훈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문학과지성』 창간호에 수록하는 것을 시작으로,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는 최인훈 연구의 유형을 형상화하게 된다. 김치수의 「지식인의 망명」, 김인환의 「소설가의 소설론」은 『문학과지성』에서 최인훈전집이 출간되기 전 시기에 해당되는 글로서, ‘혁명과 실패’를 내면화했던 60년대 연대의식은 호명으로서, 최인훈을 『문학과지성』 자장 안에 소환함으로써, 『문학과지성』과 최인훈의 교집합인 비판적 현실인식 대한 무한한 긍정과 갈채를 보내며, 최인훈의 ‘지성적 주인공’과 ‘반사실적 기법’에 주목한다. 최인훈전집이 발행된 후엔 김인환의 「過去와 現在」, 천이두의 「밀실과 광장」, 정과리의 「자아와 세계의 대립적 인식」이 발표되는데, 이전의 공감과 긍정에서 진일보하여 최인훈 작품에 나타나는 ‘사변성 극복과 가능성’으로 비평의 초점이 이동하였다.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는 『문학과지성』은 최인훈 연구의 의미 있는 지시등 역할을 함과 동시에 걸림돌이 되었다. 『문학과지성』 글쓰기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은 ‘문학이 무엇인가’라는 초기의 물음과 함께 다시 반이데올로기 글쓰기, 최인훈 텍스트로의 귀환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최인훈『광장』의 불교 정서적 상징과 구성

        김상수 ( Sang Soo K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3

        문학작품은 작가의 또 다른 자아이며 독자는 그 자아에 공명하는 것이 책읽기라 할 수 있다. 최인훈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한국전쟁 당시 피난민으로 월남하여 남한에 정착한 작가이다. 한국현대사 자체가 그 삶의 현실이었다. 따라서 하나의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이 소설의 근간을 이루며, 『광장』은 그것을 대표하는 소설이다. 소설의 주 인공이 일제 때 북한에서 태어나 광복 후 남한으로 내려오고, 다시 월북 하여 북한 정치체제를 체험한 후 한국전쟁 때 인민군 포로로 잡혀 있다 가, 휴전 당시 중립국을 선택하여 인도로 가는 배안에서 사라지는 줄거리가 바로 그렇다. 표면적으로는 현대사의 비극과 이데올로기적 사변으로 점철되어 있으나, 한국사의 과정 속에서 살고 있는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추적하는 것이 소설의 관념적 얼개를 이룬다. 그 정체성의 한 뚜렷한 면모가 한국 인으로서는 결코 벗어날 수 없다고도 할 수 있는 불교적 정서에 있다. 윤회와 인연, 불교적 수행방식인 소승과 대승, 중론적 사유와 서방정토를 꿈꾸는 것, 결국 ``이 언덕``을 떠나 고해를 건너 ``저 언덕``에 도달하는 반야바라밀다, 즉 도피안의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소설의 내용 과 상징, 그 전개에서 이러한 불교적 정서를 감지할 수 있다면 그가 추 구하는 정체성의 일면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며, 다른 작품 속에서도 불교적 정서의 흐름을 추적해봄으로써 현대 한국소설의 대표적 전범으로 서 최인훈 소설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the literary piece contains another ego of the author, the reader inevitably resonates that speciality of the author. The novelist Choi, Inhoon is born in North Korea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1936) and fled for refuge to South Korea at the Korean War(1950). He experienced the Japanese imperialism, North Korean Communism and South Korean democratic and capitalistic republic. His younger life and career was built in the middle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So to speak, Korean contemporary historic era is to be a same real time of his life. His life and his novels always pursuit the kind of the identity as a Korean with the traditional values. We could figure out one of this identity, the buddhistic sentiments; samsara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transmigration, metempsychosis), nidana(chain of causation), hinayana(the lesser vehicle) and mahayana(the great vehicle), the Mulamadhyamakakarika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written by Nagarjuna), the Buddhist Elysium(the Western Paradise), Prajna-Paramita-Sutra, etc... When these buddhistic values or symbols reveal to us the literary world of Choi, Inhoon, it is possible to speak that the 『KwangJang(plaza)』 (the novel of Choi) is represented one of the important novel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 KCI등재

        최인훈 단편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세 영역 -최인훈과 라캉의 주체를 중심으로-

        김기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6 No.-

        This researcher focused on Choi In-hun’s short story which is being neglected. The researchers set the goal of studying the subjects shown in his short stories.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of subjectivity, I examined the discourse, main characters and author's recognition of the world of Choi In-hun short story. In addition, I examined a writer's thinking about novel and art is revealed as a subje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work, a reader, and a writer. First of all, I put 「Gray Club History」, 「Life of Raoul」, 「Su(囚)」 in the works corresponding to <subject of bondage>. The main content is the main subject caught by the desire of the imaginary system. Therefore, the first human type of Choi In-hun, DNA (Closed Stable), was inserted and analyzed. Of course, it is necessary to move away from the imaginary system in order to enter the symbolic world which is the world of language and symbol. The characters of 「Gray Club History」, 「Life of Raoul」, 「Su(囚)」 look inside the mirror and stay inside. They see society through ‘windows’ like mirrors. Judgments about the outside reality can not jump directly into reality through the window. Second, it is <the subject of conflict>. I put the 「House of Idols」, 「Laughter」 and 「Dalaria of the September」. The core contents are the subjects corresponding to Choi In-hun's DNA' (open instability) as a subject who is troubled to enter into the symbolic system. Though it is the subject who is active in the world of symbols, the longing to the imaginary world is still. In reality, She know that she can not go back to the imaginary world, so she assume the vain thing and return to the time of love as she imagined. Even if the love is vain, it is precious. It is another self, and it is someone who protects me. Therefore, the reality of the woman's laughter was her own. In other words, the vanity was the one she made. The third is <the subject of freedom>. 「The letter of the sea」 corresponds to the subject which deviates from the world of the symbol. It is the subject corresponding to DNA ∞ (open stability) among three types of human being. Choi In-hun breaks away from long silence after 『Topic』 and publishes a short novel 「Letters of the Sea」. The 60-volume 「Letter of the Sea」 is a short story with the same weight as 4000 pieces of novels, 『Topic』. The 「Letter of the sea」, which begins with the unfolding of the consciousness of the skeleton, the speaker, proceeds with the same structure as the principle of ‘the generation of involuntary memory’. 「Letter of the sea」 can be said to be the same epic as the one described in the memory of 『Topic』 converted into the consciousness of the skeleton. The speaker, skeleton, digs through deeper memories through involuntary memory and finds a true subject. The end is the subject of freedom, knowing me with no me. 최인훈 문학에 대한 논의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의 시각으로 이루어져 왔고, 의미 있는 연구 성과 또한 적지 않다. 하지만 그 대부분은 최인훈의 장편소설이나 희곡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최인훈의 단편소설들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제까지의 최인훈 문학에 대한 연구에서 단편소설은 상대적으로 외면당해온 것이다. 그러나 작가 스스로 밝힌 대로, 그의 단편소설은 『광장』 『화두』 등 최인훈의 대표적인 장편소설들의 원형질에 다름 아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바다의 편지」는 『화두』의 압축본이라 할 수 있는데, 작가 스스로 자신의 소설 전체를 3부작으로 읽히기를 바라고 있는 것도 여기서 연유한다. 이 글은 바로 이 점에 주목, 최인훈의 단편소설들이 내보이는 ‘주체’의 모습들을 분석하여 주체성의 변화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최인훈 단편의 담론과 작중인물, 그리고 작가의 세계인식, 나아가 최인훈 소설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최인훈은 그의 「인간의 Metabolism의 3형식」에서 인간을 세 가지 차원의 주체성을 지닌 생명으로 보고 있다. ‘생명주체’ ‘문명주체’ ‘환상주체’가 그것인데, 이를 라캉의 주체 개념을 원용하여 규정해보면 ‘속박의 주체’ ‘갈등의 주체’ ‘자유의 주체’로 바꿔 정의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라캉의 주체 개념을 원용하여 최인훈의 단편소설을 세 가지 주체로 나눠 살펴보았다. 기호와 이데올로기에 속박되어 체념하는 작중인물들의 주체, 즉 ‘속박의 주체’(「그레이 구락부 전말기」 「라울전」 「수(囚)」), 사회와의 연계를 자신의 실존과 결부하여 갈등하는 주체, 즉 ‘갈등의 주체’(「웃음소리」 「우상의 집」 「구월의 다알리아」), 그러한 갈등을 처절하게 겪어내고 해방되어 진정한 자유인이 되는 주체, 즉 ‘자유의 주체’(「바다의 편지」)로 분류하고,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로부터 「바다의 편지」에 이르는 주체성의 변이 과정을 통해 최인훈 단편의 주체가 사회 상황에 어떻게 대체하고 극복해 나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중심 내용을 얻을 수 있었다. 의 ‘속박의 주체’는 상상계로 회귀하려는 욕망에 갇혀 있는 주체이며, 최인훈이 말한 ‘DNA(닫힌 안정)’ 층위에 속하는 주체이다. 의 ‘갈등의 주체’는 상징계 진입에 고뇌하는 주체로서, DNA'(열린 불안정) 층위에 위치하는 주체이며, 의 ‘자유의 주체’는 기호 세계를 벗어난 주체, DNA∞(열린 안정) 층위의 주체이다. 다시 말하여, 최인훈 단편소설의 주체성은 ‘속박’에서 ‘갈등’을 거쳐 ‘자유’의 주체로, ‘닫힌 안정’에서 ‘열린 불안정’을 거쳐 ‘열린 안정’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주체성의 변화 양상은 그의 장편소설들에 원형적 인자로 기능하고 있다.

      • KCI등재

        최인훈 소설의 정치적 지향과 그 기원으로서의 서구 근대사상

        배지연(Bae, Ji-Yeo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closely examine the political orientation in Choe In-hun"s literature through it while tracing the Kantian reason that is shown in Choe In-hun"s literature. Choe In-hun ever mentioned that it is a writer"s political orientation with naming the modernly political sense in Europe as "political utopian." Based on it, this study is considering the political nature in Choe In-hun"s literature through the modern reason in the Western Europe. Choe In-hun emphasized a literary role by reviving phenomena of realistic world in novels as for a political system and an ideological matter that suppress an individual. This conceptualizes rationality and leads to the modern planning by Kant who had pursued a problem of individual"s political freedom as its practice. What reads out "Kant" in Choe In-hun"s literature can be said to function as a key that investigates a characteristic in Choe In-hun"s literature that is both ideological and political.

      • KCI등재

        최인훈 문학의 특징과 세계인식 고찰

        배경열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9 시민인문학 Vol.17 No.-

        최인훈의 문학 세계는 분단과 관련한 환멸의 체험이 전제됨으로써, 인식론적 차원에서의 비판적 계몽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 체험에 매개되지 않은 계몽은 사변적(思辨的) 경향을 노출했고, 이는 소설적 긴장을 상실함으로써 그 긍정적 기능을 잃어버리고 만다. 관념성을 특성으로 하는 최인훈의 소설 세계도 결과적으로 체험이라고 하는 구체성의 영역에 의거하고 있으며, 작품의 성과 또한 그것에 어느 정도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세계에 대한 태도로서의 환멸과 계몽이 부정과 비판의 정신에 근거한 것이라고 할 때, 그가 시도한 문학 형식 또한 형상적 재현에 기반을 둔 전통 문학 개념에 대한 도전과 저항의 성격을 갖는다. 최인훈이 문학에서 추구하고 있는 내용과 형식은 그런 의미에서 상동 관계에 있다. 그는 제한된 문학 공간에서 복잡다기한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난삽하고 파편화 된 현상을 ‘구상’적으로 재현한다는 것은 불가능할 뿐더러 무의미하다고 본다. 최인훈이 문학을 통해 도달하고자 한 것은 전체에 대한 통찰이다. 그는 자신의 눈앞에서 전개되는 당대적 삶의 전체 상을 파악하기 위해 인류의 정신이 만들어 낸 지식의 체계를 소설 공간으로 끌어들인다. 이를 통해 최인훈이 추구하는 것은 ‘상황 판단에 필요한 정보량을 충분히 구사해서 종합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힘’ 이며, 그러한 ‘문명 감각’은 소설 속에서 ‘구상’에 의해서가 아니라 ‘추상’의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인훈은 객관적 지식에 근거한 추상의 방법을 의도함으로써 모더니즘 일반의 주관주의와는 차별성을 갖는다. 요컨대 최인훈 문학 세계의 진정한 성과는, 세계와의 대립적 긴장을 유지할 수 있었던 열린 사유와, 그것을 담아 낼 유효한 소설적 방법에 대한 탐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인훈 문학은, 문학의 ‘거증(擧證) 책임’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자 했을 때 가장 큰 성과를 담보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그는 문학의 ‘거증 책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형식과 내용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고, 세계에 대한 비판적 거리를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거증 책임’의 구현에서 파생된 최인훈 문학의 관념성은, 진정한 의미의 근대적 지식인이 되고자 했던 인물의 존재 방식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In-Hoon Choi's novels and the parodies in his works. And he is regarded as an avant garde novelist in Korean Literature. From his novel Plaza : Kwang-jang through his play in 1970s, he challenged and destructed the established values and suggested the co-existence of the new values. He re-treated and re-created the Korean classics, tales and legends with his desire for novelty which is his literary characteristic. Parodies were used as the method of his re-creating. Parody is the composition in prose or verse in which the characteristic turns of thought and phrase in an author or class of authors ; an imitation of a work more or less closely modelled on the original, but so turned as to produce a purposed effect. In this study, Choi's parodies are divided into role-replacement or vulgarization and apostrophes through the amplifier and the ways of re-creating classics are dealt with. The role-replacement or vulgarization is applied to Yulha Diary : Yulha Ilgi, Nolbu' Story : Nolbu-Deon, When can we meet again and what will we become ; Odiso muosi doe-o dasi manarya and Moon,moon,bright moon ; Dara balgun dara. Choi realized and mediocritized the magnificent and divine dream by using of parody. The apophrades through the amplifier is applied to The Dram like Nine Clouds ; Gu-un Mong, Kumo Legend ; Kumo-Shinhwa, Chun-Hyang's Story ; Chun-Hyang Deon, A Day of Novelist Kubo ; Sosulga Kubosiui Ilgi Doong doong Nak-rang Doong, Wha-i, Wha-i, a Long Time Age ; Yennal Yetsoge Wha-i, Wha-i. In these works, Choi have characters of classics re-incarnated in the real world through the parody called the amplifier. Choi is said that he failed to make the most the life of classics and reduced the value of them. But, he deserves to be highly evaluated because his revival of classics does not mean the delay and regress but show the possibility of creation.

      • KCI등재

        1960~70년대 문학장과 최인훈 - 1970년 전후 『사상계』 문학 비평을 중심으로

        배지연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6

        With considering that a literary text is closely related to diverse contexts in a paragraph with its production,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controversial point over Choi In-hun's novel, which had been continuously made in the literary field of the 1960s~1970s, and to a correlation between Choi In-hun's novel and review. Especially, the contemporary critical discourse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April 19 anniversary discussion of Sasanggye(思想界) in 1970 that gave an impetus to the argument over realism in the 1970s. Choi In-hun's novels and plays, which are produced in accordance with it, were inquired in the aspect of a literary response. Sasanggye(思想界) before and after the year in 1970 was arranged the space that settles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and inspects possibility of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1970s. Choi In-hun and his literature are being called at a major point. Choi In-hun is evaluated as a writer in middle generation who positively embraced an aesthetic ground and a social function in literature, and as an author who showed probability of Korean literature, by critics in the April 19 generation that had given advantage to the writers in the 1960s with a generational strategy. Among others, Choi In-hun's novel is comprehended dually amidst a controversy surrounding a concept and a scope of realism in those days, thereby functioning as the cover that will weigh up a critical terrain at that time. Choi In-hun is actively coping with this contemporary criticism through own literary text. In terms of what a critical issue is presented for the destruction in the novel form, Choi In-hun experimented the threshold value of the novel form through exclusively possessing the play form, through utilizing several media such as newspaper or through traversing a fiction and a fact. These series of tracks are giving circumstantial evidence to what Choi In-hun's literature continued to kick against a method of novelistic re-creation, which is represented as realism in the contemporary literary world, or against the fixed literary custom with a specific method. 본 논문은 문학텍스트는 그것이 생산되는 문학장의 다양한 맥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1960~70년대 문학장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던 최인훈 소설에 대한 논쟁적 지점과 최인훈의 소설 및 비평 사이의 상관성에 주목했다. 특히 1970년대 리얼리즘 논쟁을 추동한 1970년 『사상계』 4.19 기념 좌담과 관련된 당대 비평담론들을 살펴보고, 그에 대응하여 생산되는 최인훈 소설 및 희곡들을 문학적 반응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1970년을 전후로 한 『사상계』 문학특집란은 1960년대 한국문학을 결산하고 1970년대 한국문학의 가능성을 점검하는 계기로 마련되었는데, 이러한 비평의 맥락에서 최인훈과 그의 문학은 주요한 지점에서 호명되고 있다. 세대론적 전략으로 1960년대 작가를 우위에 두었던 4.19세대 비평가들에 의해 최인훈은 문학의 미학적 근거와 사회적 기능을 적극적으로 포섭한 중간세대 작가이자 한국문학의 가능성을 보여준 작가로 평가된다. 무엇보다도 최인훈 소설은 당시 리얼리즘 개념과 범위를 둘러싼 논쟁 속에서 중층적으로 독해됨으로써 당대 비평적 지형을 가늠할 표지로서 기능한다. 소설양식파괴에 대한 비판적 문제 제기에 대해서 최인훈은 희곡 양식을 전유하거나, 신문 등 각종 매체를 활용하는 한편, 허구와 사실을 횡단함으로써 소설양식의 한계치를 실험하는 등 자신의 문학텍스트를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궤적들은 최인훈 문학이 리얼리즘으로 대표되는 소설적 재현의 방식이나 특정방식으로 고착화된 문학 관습에 대해 끊임없이 저항했음을 방증하는 바, 당대 문학장과 최인훈 문학 사이의 관련성을 보다 미세하고 다양한 지점에서 논구함으로써 ‘최인훈과 그의 시대’를 조망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 KCI등재

        최인훈 소설의 연구사 연구

        최윤경(Choi, Yoon-gyeong)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7

        최인훈은 현대사를 집요하게 다루어온 작가이며 그의 작품은 소설에서 에세이에 이르기까지 여러 장르에 걸쳐 있다. 본고는 지금까지 최인훈의 소설 연구에 주목하여 그 성과와 남은 과제를 짚어본다. 최인훈의 1990년대 이전의 연구들은 작가의 반사실주의적인 경향을 둘러싼 논쟁이 주요하다. 그 중심에 『광장』이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광장』, 『회색인』, 『서유기』, 「크리스마스캐럴」 연작,「총독의 소리」, 『태풍』의 소설들이 분석되고 있다. 이는 최인훈 소설의 ‘근대성’과 ‘식민성’에 대한 탐구의 결과이다. 최근에는 『화두』를 중심으로 한 최인훈 문학의 의의에 대한 구명이 시도되고 있다. 최인훈이 ‘말할 수 없는 상황에서 말하면 큰일날 말’을 하기 위해 ‘검열자의 초점을 흐리기 위해 계산된 진술’을 그의 소설 〔문학〕으로 실험한 작가이다. 그리고 그러한 실험은 작가의 희곡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시도되고 문학이론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에 최인훈 문학의 의의 구명에 있어서 소설과 희곡, 그리고 문학이론을 망라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Choi In Hun is author who has persistently treated the modern history and His works have ranged from novel to essay acrossing multiple genres. This study, paying attention to research of the Choi In-hun’s novel till this day, try to point out the novel’s achievement and remaining tasks. The previous studies of Choi In-hun in the 1990s are primary debates about the criticism and advocacy for the writer’s tendency of anti-realism. The Circl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ose debates. In the 2000s, In viewpoint of leaving colonialism, The repeated writing of Circle, Grey people, Journey to the West, Christmas carol and The novel of Governor’s voice, Typhoon are analyzed. These are outcome of research for novel of Choi In-hun ‘modernity’ and ‘Coloniality’. Recently, centering on Big story, The overall prospects of Choi In-hun’s literature have been tried. In Big story, The novels of Choi In-hun have been referred to self reflection, there is much attention toward the deconstructive writing and the style of later life. The author, Choi In-hun, who has experiment the statement dissipate the focus of the corrector in his novels 〔Literature〕, trying to say the wards if he say these in the situation that can not be said, which will make big problem. and these experiments have been more aggressively attempted at writer’s play. Hereupon, in the field of literature of Choi In-hun, The study to be needed covering the overall prospects including his novel and plays.

      • KCI등재

        최인훈 소설과의 관계를 통해 본 희곡 「한스와 그레텔」

        정우숙(Chung, Woosuk)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본고는 최인훈 희곡 「한스와 그레텔」을 그의 소설과의 관계 중심으로 살핀다. 그의 다른 희곡들과 공유하는 바가 없어 예외적 희곡으로 간주돼온 이 작품은, 오히려 최인훈의 소설들과 공통점을 지니는 부분이 있다. 2장에서는, 『광장』을 비롯한 최인훈 소설의 전반적 특징과 이 희곡이 공유하는 면을 살폈다. 그것은 곤경에 처한 지식인이 사변적 언설을 펼치며 현실과는 다른 차원의 사랑을 추구하는 것이다. 3장에서는 특히 소설 『태풍』을 중심 대상으로 하고 『총독의 소리』를 보조적으로 참고하여, 이 희곡의 제국주의적 균열 양상을 살폈다. 경계에 놓인 제국주의자는 자신의 정치적 과오에 대해 반성하기도 하지만, 개인의 자유와 새로운 출발을 위해 변명의 여지를 남긴다. 본 연구는, 최인훈 희곡 연구에서 가장 빈약한 관심 대상인 「한스와 그레텔」에 대한 논의의 장을 넓히고, 나아가 희곡과 소설을 아우르는 최인훈 문학 전반의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mainly the relationship between Choi Inhoon "s play 「Hans and Gretel」 and his novels. This work which has nothing to be shared by his other plays,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exceptional play. But it has a common part with his novels. In Chapter 2, we look into the common aspect shared by this play and the overall features of Choi"s novels including 「Square」. It is for intellectual, being in trouble, to unfold speculative opinions and search for love which is entirely different from reality. Chapter 3, focusing particularly on novel 「Typhoon」, checks imperialistic cracking aspects of this play. An imperialist, who is on the boundaries, not only reflects on his political mistakes, but also leaves room for excuse for individual freedom and a new start. This study attempts to broaden the place for debate on 「Hans and Gretel」 which has been the object of poorest academic interest among studies on Choi"s plays. And, by extension, this will contribute to the discussions on Choi"s literature in general which embrace his plays and novels.

      • KCI등재

        연극과의 동행, `최인훈 희곡`의 형성

        송아름(Song A Rum)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서강인문논총 Vol.0 No.40

        최인훈의 희곡들은 한국적 특수성과 세계적 보편성을 성공적으로 결합한, 전에 없던 시극(詩劇)으로 평가받아왔다. 그러나 최인훈 희곡에 대한 평가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것, 그리고 고평받기 시작한 것은 그의 첫 희곡 작품이 아닌 도미 후 발표한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부터라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최인훈의 첫 희곡 작품이라 할 수 있는 <온달>, 그리고 바로 다음 발표한 <열반의 배>까지는 소설과의 연관성이 더욱 강했으며, 이 작품을 수정한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역시 현재 언급되는 최인훈 희곡의 특성과는 거리가 있었다. 최인훈은 희곡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의 초연 후에야 해당 작품의 개작은 물론, 신비로운 분위기와 몽환적 이미지를 살린 작품을 적극적으로 발표하게 된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하여 최인훈이 처음 희곡을 발표하고,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라>가 초연되었던 그때로 되돌아가 최인훈의 희곡이 완성되는 경로를 고찰하고자 한다. 패러디 소설의 끝자락에 위치해 있던 <온달>은 당시 자유극장의 김정옥을 통해 무대화된다. 이 작품에서는 당시 연극계가 요구하던 ‘창작극’과 ‘전통의 현대화’를 동시에 실현시킬 수 있는, 그리고 새로운 무대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발견되었던 것이다. 이에 대한 기대는 작가 자신이 초연 대본을 확정하고, 이후 개작하는 양상 속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지금까지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는 <열반의 배>가 완전히 삭제된 <온달>의 수정본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본고에서 처음 언급하는 초연 대본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에는 <온달>과 <열반의 배>가 모두 실려 있으며, 소설의 ‘디테일’을 살린 무리한 수정의 흔적이 남아 있다. 초연 이후 최인훈은 당시 좋지 못한 평을 받았던 <열반의 배>부분을 완전히 삭제하면서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의 현재 판본을 확정지었고, 이렇게 형성된 최인훈의 희곡은 이후에도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독특한 모습을 이어간다. 즉, 현재 최인훈의 희곡이 가지는 특성은 당시 연극적 경험을 통한 ‘가외의 힘’과 이를 받아들인 작가의 기대 속에서 탄생했다고 할 수 있다. Choi In-hun’s plays have been appraised for having successfully incorporated distinct and standard dialects into never-before-seen poetic drama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t was not his first play that gained him recognition and high acclaim, but “Shoo-oo Shoo Once Upon A Time,” which he released after having gone to America. What can be considered as Choi In-hun’s very first play, “Ondal”, and his very next one, “Yeolban-ui Bae”, followed extremely closely to the novels, and even the original “Where Shall We Meet Again” is very different from the distinctive styles that the playwright is known for today. However, the playwright continued making adaptations to the original “Where Shall We Meet Again,” eventually releasing a version with a more mystical and dreamy image.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is paper aims to go back to when the original “Where Shall We Meet Again” premiered and examine and study the process in which Choi In-hun completed the play. One of the most famous parody novels at the time, “Ondal” was brought to the stage by Kim Jung-ok at Theatre-Libr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piece was able to fulfill the theatrical demands at the time for something “original” that “modernized traditions”. The play had the potential to create something new. This is clearly evident in the alterations made to the original script. Until now, it has been thought that “Where Shall We Meet Again” was adapted from solely from “Ondal” with “Yeolban-ui Bae” completely deleted. However, this paper brings to light an original script of “Where Shall We Meet Again” that incorporates both “Ondal” and “Yeolban-ui Bae”Y, but evidence of revisions for more dramatic effects. After the premier, Choi In-hun was able to finalize “Where Shall We Meet Again” to what it is today and completely erase the parts from “Yeolban-ui Bae”, which received abysmal reviews at the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power of extra steps” through theatrical experience played an important part in developing the distinctive styles of Choi In-hun’s plays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