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부의 [표해록]을 통해 본 15세기 朝鮮과 明朝 문화 교류의 현장

        김정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7 고전과 해석 Vol.3 No.-

        최부(崔溥, 1454~1504)의 표해록(漂海錄)ꡕ은 성종 19년(1488) 윤정월 초삼일 제주에서 폭풍을 만나 표류한 최부 일행이 중국 해안에 표착한 이후 조사를 받고 항주-북경-요동을 거쳐 같은 해 6월 4일 조선으로 송환되기까지의 여정을 적은 일기체 기행문이다. 고국으로 돌아오기까지의 고되면서도 기나긴 여정길에서 최부는 자신이 본 중국의 정치․사회 제도, 자연 경관, 사람 사는 모습 등을 생생하게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조선전기 중국과의 외교 관계 및 문화 교류의 일단을 살필 만한 자료가 영성한 상황에서 최부 표해록의 가치는 매우 높다고 하겠다. 조선인으로서는 드물게 중원의 강남과 강북을 두루 살펴본 최부는 표해록에서 많은 이야기를 들려 주고 있다. 표류민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최부는 일행의 호송 임무를 맡고 있는 官人들, 異國에 대한 호기심으로 최부를 방문한 明代 지식인들과 역사 문화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있으며, 이동 중 자연스레 마주치는 이국의 풍경과 그곳의 생활 풍속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중국의 역사와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있다. 아울러 문헌을 통해서만 축적했던 지식과 정보를 직접 현장에서 확인함으로써 時․空間을 초월한 역사, 인물과의 만남도 이뤄지고 있다. 표해록은 일종의 15세기 朝鮮과 明朝 문화 교류서라고 말할 수 있다. 당시 두 나라 간의 교류가 자유롭지 못한 상황 속에서 최부는 중국에 대해, 중국인은 최부를 통해 조선에 대한 정보와 문화를 탐색한다. 그러나 이 시기 중국인들의 조선에 대한 정보는 매우 피상적인 반면 최부는 중국의 역사, 문화, 제도, 문학 등에 대한 정보가 풍부한 상태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부의 정보 탐문의 수준은 심층적이면서도 실용적이다. 한편 최부는 明에 대한 事大의 예를 지키고 있지만 조선의 國治 이념이나 儒者로서의 신념에 위배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강하게 대응하는 등 주체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최부는 세계의 중심 무대인 중국에서 그들과 당당히 문학과 우정과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표해록은 그 견문한 바가 실로 광범위하다. 6천여 리에 달하는 기나긴 여정 동안 최부는 중국의 자연 풍광과 역사 고적은 물론이고 강남과 강북의 인심과 풍속에 이르기까지 두루 보고 듣지 않은 것이 없다. 이후 동시대에 창작된 동월(董越, 1431~1502)의 조선부(朝鮮賦)와의 비교를 통해 15세기 조선과 명조의 문화 교류가 좀더 입체적으로 조망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Pyohaerok written by Choi Bu (1454~1504) is a narrative journal of Choi Bu and his company, which describes a variety of their experiences in China including inspection and journey via Hangzhou, Beijing and Liao-dong after they were overtaken by a storm in the sea off Jeju Island, were on the drift and finally, were cast away on the Chinese coast on the 3rd day of the first intercalary month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in the 19th year of the King Seongjong's reign (1488), till they were sent home on the 4th of June in the year. Choi Bu describe vividly what he saw while on the tough and long journey, such as the contemporary Chinese political and social regimes, natural scenery and life style. In the light that the literature addressing the diplomatic relationship and cultural interchange with Chin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is rare, Choi Bu's Pyohaerok is highly invaluable. In his Pyohaerok, Choi Bu tells many stories after having traveled various places in the southern (called Gangnam) and northern regions (called Gangbuk) of the river in Jung Kwon, China, and it is a rare book written by as a person belonging to the Joseon Dynasty. Despite the fact that he was no more than a castaway, Choi discussed many things about the history and cultures of the Ming Dynasty with the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charged with escorting his party and with intelligent people who visited him to inquire about the conditions of other countries. He records in detail the scenery and the lifestyle of the country he was passing through and expands the horizon of his understanding about the history and cultures of China. Moreover, he communicates with the history and figures existing beyond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while personally confirming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he has accumulated. Pyohaerok may be called a book about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in the 15th century. In that time when exchanges were not freely conducted between the two countries, information and cultures were sweetly shared and communicated between them through Choi. However, the information Chinese people had at this time was merely superficial in comparison with Choi, who freely developed dialogues using his abundant information on the history, cultures, systems, literature, etc. of China. Choi’s information is very deep and practical. Choi keeps toadyish etiquettes towards the Ming Dynasty, but maintains his autonomy since he demonstrates strong responses when what people say and act are against the principles of the Joseon Dynasty or the beliefs of a Confucian. Choi openly exchanges friendship and information on literature in China which was the central stage in the world at that time.Pyohaerok covers a really vast range of what Choi has learned and observed. While making such a long journey of 2,400 km, Choi learns and understands almost every thing about the natural scenery, history, historical remains, mindset of people, and public morals of the Gangnam and Gangbuk regions in China. The present author hopes that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in the 15th century will be investigated more thoroughly by means of comparing Pyohaerok with Joseonbu written by Dong Wol in the same age.

      • KCI등재

        『표해록(漂海錄)』과 『승차록(乘蹉錄)』에 나타난 산동(山東) 인식의 비교

        손지수 ( Ji Si Su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4 No.-

        본고에서는 崔溥의 .漂海錄.과 崔斗燦의 .乘.錄.에 나타나는 두 저자의 산동 인식을 각각의 시대 별로 살펴보았다. 중국 당나라와 원나라는 국제화 정책을 시행하여 많은 유학생을 수 용했다, 그러나 명나라 건국 이후에는 쇄국정책을 실시하여 유학생 수 용을 금지했다. 이로 인해 조선의 선비들은 중국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 가 줄었고, 대체로 책을 통해서 중국을 체험하게 되었다. 명.청 시기, 조선에서 공식적으로 파견한 사신들은 중국에 관한 기록을 남겼으나, 사신의 신분으로는 북경 이남 지역의 경험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북경 이외의 지역에 대한 기록은 찾아보기 어렵다. 한편, 비공식적인 漂流人 의 경우 북경 이남 지역을 경험하고 기록을 남기기도 했는데, 그 가운데 崔溥와 崔斗燦의 저작이 가장 대표적이다. 崔溥와 崔斗燦은 표류인의 자격으로 북경 이외의 지역을 경험했으며 이러한 경험이 담겨 있는 .漂海錄.과 .乘.錄.은 연구 자료로서 중요성을 띤다. 성종 연간에 관인 崔溥 일행은 제주도 앞바다에서 태풍을 만나 표류 하게 되었다. 그리고 순조 연간, 장인인 제주 대정현감 金仁澤의 요청으로 제주도로 떠난 崔斗燦은 1년 후 귀향길에서 큰 풍랑을 만나 표류하 게 되었다. 성종 17년(1486) 중국에 표류한 崔溥를 이어, 崔斗燦은 300여년 후인 순조 18년(1818) 중국에 표류했다. 두 시기 모두 조선 왕조는 이어지고 있었지만, 중국은 왕조가 바뀐 완전히 다른 시대였다. 같은 지역이라 하더라도 다른 시대 배경 아래서 겪는 체험과 감상은 다를 수밖에 없었다. 두 시대의 국가 경제와 국민 생활의 차이 등 다양 한 면에서 동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한편으로 崔溥는 조선 시대의 관인 으로서 어명을 받아 .漂海錄.을 작성한 것에 반해, 崔斗燦은 자신의 취미대로 .乘.錄.을 기록했다. 이러한 점 역시 두 텍스트의 차이를 야기했다. 崔溥는 매우 상세하고도 다양한 범위의 내용을 기록했으나, 집필의 의무가 없었던 崔斗燦의 텍스트에는 감정의 표출의 기록과 詩 歌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This study analyzed two authors`` experience in Shandong, represented by their works『漂海錄』 by 崔溥 and『乘蹉錄』by 崔斗燦, according to the era they lived in. The Tang and Yuan dynasties of China had open international policies and accepted many students studying abroad from foreign regions. The establishment of Ming dynasty and adoption of isolationist policy, however, led to abolishment of foreign students. Thus, scholars of Chosun had few opportunities to have experience in China, and resorted to learning about the country through books. In Ming/Qin dynasties, official ambassadors sent from Chosun left records of China, but their access as ambassadors prohibited travel south of Beijing. Therefore, records describing regions outside Beijing are sparse. Yet, unofficial 漂流人 were able to access regions south of Beijing and make records, the most representative of which are works by 崔溥 and 崔斗燦. These authors were able to experience regions outside Beijing as drifters, and 『漂海錄』and 『乘 蹉錄』, which depict their experiences, have significance as important primary sources for research. 崔溥, an official from Seong-Jong``s rule, encountered a typhoon in the seas near Jeju and became a drifter. 崔斗燦, who left for Jeju bythe request of his father in law 金仁澤 - a governor of DaeJung in Jeju, also encountered a big typhoon on his return journey and became a drifter. 崔溥 grounded on Chinese shore in 1486, 17th yearofSeong-Jong``srule,and崔斗燦 grounded 300 years later on 1818, 18th year of Sun-Jo``s rule. While Chosun dynasty had endured through both periods, China had experienced a transition into a completely different dynasty. Thus the experience of living in a different era and rule, even though the physical geography remained the same, had to be changed significantly. With the works,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an be found between the two eras in a range of topics such as national economy and civilian living standards. While崔溥, as an official from Chosun, received royal command to record his experience in 『漂海錄』, 崔斗燦 recorded 『乘 蹉錄』at his own leisure. This contextual difference of the two records contributed to differences in their content: 『漂海錄』covers a wide range of topics in meticulous detail, but 『乘蹉錄』, in which the author had no obligations, often contains records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詩歌.

      • KCI등재

        최부(崔溥)의 중국표해(中國漂海)와 유학사상(儒學思想)

        김봉곤 ( Bong Gon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2 韓國思想史學 Vol.0 No.40

        본고는 금남(錦南) 최부(崔溥)(1454년~1504년)의 『표해록(漂海錄)』을 통해 중국에 표류한 최부 일행이 어떻게 살아 돌아왔으며, 중국에서 그의 사림의식과 유교적 경세론이 어떻게 펼쳐졌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최부는 나주출신으로서 처가를 따라 해남으로 이거하였다. 상경하여 김종직(金宗直)이나 김굉필(金宏弼) 등 사림파 지식인들과 교유하였고, 과거에 급제한 이후에는 성균관이나 사헌부, 홍문관 등 학문과 언론 기관에서 봉직하였다. 그는 성종 18년 9월 제주도의 추쇄경차관(推刷敬差官)으로 파견되어 업무를 수행하였는데, 부친상을 당해 성종 19년 1월 3일 나주로 돌아오던 중 바다에서 태풍을 만나 중국 절강성(浙江省)에 표착하였다. 14일 동안의 사투 속에서도 배가 크고 튼튼하였고, 선원들의 항해 능력이 뛰어났으며, 최부의 지리에 대한 지식과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 뛰어나 생존할 수 있었다. 그는 절강성의 도저소(都渚所)와 소흥부(紹興府), 항주부(杭州府)를 거치면서 3차례에 걸친 조사를 받았다. 왜구가 아니라 표류민이며, 조선의 관인임을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이 과정에서 호송관을 비롯한 많은 지식인들과 접촉하여 자신의 유학사상과 경세론을 전개하여 깊은 감동을 주었으며, 북경(北京)을 거쳐 귀국하였다. 최부는 성균관에서 수학한 이후 김종직과 그의 문인들과의 교유를 통해 사림으로서의 의식과 유교적 정통론을 확립하였다. 그는 『소학(小學)』의 실천을 중시하고 음사(淫祀)를 배격하였으며, 『동국통감(東國通鑑)』의 사론(史論)을 통해 군신간의 의리를 주장하였다. 그리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개찬에 참여함으로서 박학의 기풍을 함께 갖추었다. 최부의 의리에 바탕을 둔 실천적 학풍은 표해와 송환과정에서도 그대로 표출되었다. 그는 유교적 예속을 중시하여 송환과정 내내 상복을 입었으며, 일행들에게 상하존비(上下尊卑)의 읍양진퇴(揖讓進退)하는 예절을 갖추게 하였고, 사장보다는 경학을 중시하였다. 중국인들에게도 조선은 기자조선 이후 유교이념에 따라 통치되고 있으며, 향교를 세워 백성들을 교화하고 있고, 일상생활도 주자가례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곳곳에서 이단관을 표출하여 중국인들이 숭배하는 불교와 도교, 민간신앙에 대해 비판을 가하였다. 이는 성종 대 사림으로서의 최부의 유학사상을 잘 드러내 주는 것이었다. 또한 최부는 표해와 송환과정에서 유교적 경세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표해에 대한 대비책으로서 선박 제조기술을 개선하고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신표를 발급해야 하며, 외국인과 대화가 가능하도록 통사(通事)를 설치하자고 건의하였다. 그리고 강남지방의 풍속의 순후함은 경제적 번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아, 상업 활동이나 부의 축적을 긍정하는 사고를 보였다. 그는 특히 중국의 대운하 운행과 수차 이용에 감탄하였는데, 당시 조선이 논이 많아지고 있는 사실을 고려하여 수차 제작기술을 적극적으로 익혔다. 그리고 정치적으로는 국왕은 경연에 힘써 학문과 덕행에 힘쓰고 널리 여론을 청취해야 하며, 환관이나 권신의 정치 참여를 배제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백성의 교화를 위해서는 향촌사회의 안정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사림의 견지에서 훈구 세력의 권력남용을 비판하는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 이처럼 『표해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사림으로서의 의식을 갖고 있었던 최부는 연산군 대에 이르러 훈구세력이나 외척, 환관 등의 권력남용과 폐해를 적극적으로 비판하였다. 그리고 『표해록』은 호남 지역의 학풍에도 끼친 영향이 적지 않아서 중종 이후 호남지역 사림들이 절의와 유교적 경세론을 동시에 추구하는 경향을 갖게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by examining Geum-Nam Choi Bu`s 『Pyohaerok (Record of a Cast Away)』, how Choi Bu and his entourage survived and was brought back after being cast away on the coast of China. In addition, a closer look will be taken at how his Confucian ideas and theories of governing fared in China. Choi Bu, a native of Naju, would later follow his in-laws to Haenam. After moving to the seat of the government, he would form close ties with intellectuals of the Sarim faction such as Kim Jong Jik and Kim Goeng Pil. When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he would be appointed to academic, or public relations departments like Seonggyungwan, Saheonbu, and Hongmungwan. In the 18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while Choi was dispatched to Jejudo as an administrator he tries to make his way back to Naju, on January third in the 19th year of King Seongjong, on account of his father`s death. However, he was met with a fierce storm out at sea which caused him to be washed ashore on the coast of Zhejiang Province of China. He was able to survive the fourteen day ordeal battling the storm in that the ship proved to be strong enough with competent crew on board together with Choi`s geographical knowledge and his ability to improvise. In Zhejiang he was handed over to three different jurisdictions, Taizhou, Shaoxing Fu, and Hangzhou Fu, during which he was interrogated three times. The object of these inquiries were to confirm his status as an official of Joseon who had been cast away and that he is not in any way associated with Japanese pirates. During these proceedings Choi came in contact with many Chinese intellectuals including his escort. Choi conveyed his Confuician ideas and his theories of governing to those who came before him which, effectively made a lasting impression. He would later return home via Beijing. Choi Bu was associated with Kim Jong Jik, and he shared Sarim`s ideas. He was all for putting principles of 『Sohak』 into practice while denouncing Eumsa and promoted the sense of honor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citing historical treaties such as 『DongGukTongGam』. He would also participate in reissuing 『DongGukYeoJiSeungRam』 further demonstrating the range of his erudition. Choi`s insistance on practicality of academic tradition based on sense of honor is displayed to the full in his repatriation proceedings. His regard for Confucian proprieties were such that he would wear the sackcloth and ashes all through the repatriation proceedings while instructing his entourage to observe courtesy of the highest standards. Moreover, he was wholly favourable to studying the Confucian classics than pursuing literary activities. Choi would have the Chinese believe that Joseon was governed based on Confucianism since the time of the Gija Joseon and that it was edifying the masses through setting up HyangGyos while everyday life was governed under the auspices of JuJaGaRye. Furthermore, at various quarters, he would criticize China`s tendency of worshipping not only Buddhism but Taoism and folk beliefs. Such incidents reveal Choi`s Confucianist disposition as Sarim during the King Seongjong`s reign. Also Choi Bu would relate his views on Confucian theory of Governing during repatriation proceedings. He would argue that initiatives concerning castaways were needed. In particular, he stressed that enhancement of shipbuilding skills was called for and that personal identification should be issued. He also suggested that interpretation services should be established to enable communications with foreigners. Additionally, Choi recognized that generosity of the Gangnam region had a lot to do with economic prosperity of the place, thus taking note of the commercial activities and accumulation of wealth in positive terms. Notably, he marvelled at China`s use of canals and waterwheels. As he was well aware of the fact that the rice paddies in Joseon at the time were starting to expand, he was committed to learning how to construct waterwheels. On the subject of politics he stated that the sovereign should be dedicated to furthering academics and civic virtues while keeping his ear to the ground. He further stressed that eunuchs and powerful courtiers should be banned from setting their foot in politics. He insisted that for the edification of the masses to take place, stability of country districts was a prerequisite. These thoughts directly reflected Sarim`s standpoint of criticizing Hungu coalition`s abuse of power. As we can surmise from 『Pyohaerok』, Choi Bu, who shared Sarim`s temperament, would condemn the abuse of power and its consequences brought on by the likes of Hungu faction, maternal relatives of the King, and eunuchs. 『Pyohaerok』 also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academic traditions in the Honam region. Thus, after the King Jungjong`s reign, Sarims of the Honnam region would put emphasis on fidelity to one`s principle while aspiring to become more erudite.

      • KCI등재

        금남 최부의 정치 활동과 인재관 –성종 17년 重試 책문과 최부의 대책문을 중심으로-

        안소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논총 Vol.49 No.-

        Choi-Bu(崔溥) was one of Sarim faction(士林) in King Seoung-Jong’s reign. His grandfather was a pupil of Gil-Jae(吉再) who Loyalis of the late Goryeo Dynasty, so Choi-Bu(崔溥) grown up Confucian scholar’s family. He was disciple of JeomPilJea(佔畢齋) Kim-JongJik(金宗直). He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of books, like 『DongGookTongGam(東國通鑑)』, 『DongGook- YeoJiSuengRam(東國輿地勝覽)』. And Choi-Bu(崔溥) spread Kim-JongJik(金宗直)’s academic traditions in Youngnam(嶺南) and Honam(湖南) Regions. Choi-Bu(崔溥) took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科擧) twice, 13th reigns and 17th reign in King Seong-Jong. From among these,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科擧) of 17th reigns in King Seong-Jong is worthy of notice. Because King Seong-Jong make up questions of engagement of talented himself and Choi-bu was proxime accessit that examination. So I think question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科擧) in the 17th year of Seong-Jong and Choi-Bu’s answer of examination(對策) are important source of understanding ideal talented model in King Seong-Jong’s reign. The content of a question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科擧) in 17th reigns in King Seong-Jong shows that Sarim faction(士林) in King Seoung-Jong’s reign pursued the reign of peace Emperor Yao and Shun(堯舜) in ancient China and critical of the after Han dynasty and Tang dynasty. Meanwhile, King and sarim factions wanted to build an objective ideal telented model by comparing the two era and asking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examination. At last, the most ideal talented model is wise vassal in the reign of peace Emperor Yao and Shun(堯舜), like Gao-Yao(皐陶) and kui(虁) and asks how these talented people come from Joseon. Choi-bu argued in his answer that king couldn’t reign by himself but could do good politics only with the help of his wise vassal. Then He analysed the reign of peace Emperor Yao and Shun(堯舜) in ancient China and attributed it to the support of vassals. Contrastively, the after Han dynasty and Tang dynasty didn’t emulate Emperor Yao and Shun(堯舜). So he analysed in the after Han dynasty and Tang dynasty, the era of peace has not formed. Based on the former discussion, Choi-Bu emphasized that the king Seong-Jong must embrace and reign with the wise vassal in order for Jo-Seon dynasty to achieve its peaceful era and stressed role of prime minister(宰相) for this. At last, Choi-Bu also set great store by the king's perception of selecting talented people. He warned If the king does not studying hard himself, the judgment of identifying talented people will disappear. And He said Only when the king strengthens the discipline himself can the true scholar(眞儒) be promoted, and the wise minister(賢相) takes the stand. 최부는 성종대에 활약한 사림이다. 여말선초 길재의 문인으로 건국 초에 은거한 주자성리학자 집안에서 성장하였으며, 점필재 김종직(1431~1492)의 문인으로 『동국통감』, 『동국여지승람』 등의 편찬에 참여하면서 성종대 문물제도 정비에 기여하였다. 또한 김굉필과 함께 김종직의 학풍을 영호남 지역에 전파하여, 영호남 사림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최부는 성종대에 두 차례 과거 시험을 치렀는데 그 중 성종 17년 重試의 경우 그 책문을 성종이 직접 지었고 내용 또한 인재 등용에 대한 것이었으며, 최부가 이 시험에 亞元으로 합격한 대책문이 전하고 있다. 따라서 성종 17년 책문과 대책문은 최부와 같은 성종대 사림이 추구한 이상적인 인재관을 알 수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성종 17년 重試 책문을 통해 요순시대를 이상세계로 추구하고 있으며, 한당 시대는 반면교사의 대상으로 언급되고 있다. 그러면서도 요순과 한당에서 각각 장단점은 없는지 또한 물어보면서 보다 객관적이고 확실한 인재관을 구축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가장 이상적인 인재상은 요순시대의 고요와 기 같은 인물이며, 당시 조선에 이러한 인물이 나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최부의 대책문에 드러난 인재관은 다음과 같다. 우선 왕 혼자서 천하를 다스릴 수 없으며 현인의 도움을 받아야 좋은 정치가 이룩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중국 고대의 聖君으로 불리는 堯舜 또한 신하들의 보좌를 받아서 태평성대를 이룩한 것이며 漢唐 시대에는 그러지 못했기 때문에 태평성대가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평하고 있다. 그리고 이 앞서 논한 것을 바탕으로 현재 조선이 태평성대를 이루기 위해서는 임금(성종)이 현자들을 포용하여 이들과 함께 다스려야 하며, 이를 위한 재상의 역할을 매우 강조하였다. 또한 인재를 선발하는 임금의 안목을 굉장히 강조하고 있다. 임금이 스스로를 잘 닦지 않으면 인재를 분별하는 안목이 사라지게 된다고 경고하고 있으며, 나아가 임금이 기강을 세워야 眞儒가 등용되고, 賢相도 등단하게 된다는 것이다.

      • KCI등재

        15세기 말 중국(明)을 견문한 조선 지식인의 환관 인식 : 최부의 『표해록』을 중심으로

        손민환 ( Son Min-hw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7

        본고에서는 15세기 말 중국(明)을 견문한 崔溥(1454~1504)의 시점을 차용하여, 당시 조선 지식인이 명 환관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최부의 명 견문록인 『漂海錄』을 통해 조선 지식인의 눈에 비친 환관에 대해 검토하였다. 우선 명 견문 이전 최부의 환관 인식을 검토한 후, 최부가 명을 견문한 시기에 단행되고 있었던 弘治新政 하에서의 환관 정책을 살피기 위해 홍치 이전과 홍치 원년(1488)으로 구분지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최부가 명을 견문하며 목도한 명 환관의 片貌와 그에 대한 최부의 인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최부는 명 견문 이전 이미 중국 왕조의 환관에 관해 인지하고 있었다. 그는 중국의 환관이 前 왕조들을 폐망으로 이끌었다고 언급하며, 환관으로 인한 災禍가 참혹하다고 평가하였다. 그는 송환 과정에서 弘治期의 새로운 정치 체계, 즉 홍치신정을 명확히 포착하였다. 먼저 홍치 이전의 환관 정책을 살펴보면, 명 초기 洪武帝는 환관 억제책을 실시하고자 노력하였다. 하지만 후대로 갈수록 환관의 권한은 점차 강화되었다. 弘治帝는 기본적으로 환관 억제책을 실시하였으나, 다른 황제와 마찬가지로 환관의 필요성을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었고 환관을 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홍치제는 成化帝 때 폐단을 일삼던 환관을 축출하고, 국법을 위반한 환관을 좌천시키는 등 엄격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전대의 폐단을 경계하려 하였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최부가 명을 견문하며 목도한 명 환관의 片貌와 그에 대한 최부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는 鎭守浙江太監 張慶, 蘇杭督織太監 羅政, 劉 太監, 鎭守遼東太監 韋朗과 대면하였는데, 이들은 조선의 환관과는 다르게 각 지방에 파견되어 고유의 임무를 수행하였고, 그 권위가 막강하였다. 이러한 모습들은 최부에게 있어 낯설게 느껴졌을 것이라 추정된다. 더욱이 서책에서 보아오던 환관의 횡포를 직접 목격한 것은 환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화시켰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unuchs of Ming dynasty in the late 15th century on Choi-bu's View, and focuses on his diary(PYOHAE-ROK) with three point. They are as follow: Choi-bu had got a negative understanding on eunuch before he visited the Ming dynasty. He thought that eunuchs brought about country's destruction, so they should not involve with politics. Relating the policy of eunuchs, The Hongwu-emperor knew negative effects of them, so he controlled functions of them. But their function and status was enhanced as the time goes by. Choi-bu appointed that the Hungchih-emperor tried to stop their side-effects, but he also appointed eunuchs. As stated above, Choi-bu met four eunuchs; Jang-gyoung, Na-jung, Yu, and Wi-lang. Previous officials of Joseon could meet eunuchs only limited the royal palace. But Choi-bu met them out of the royal palace as well, and they performed their duties. He saw negative effects of eunuch, and his negative realization got worse.

      • KCI등재

        일반논문 : 영호남사림(嶺湖南士林)과 금남최부(錦南崔溥)

        최한선 한국고시가문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7

        崔溥(1454-1504)는 耽津人으로 자는 淵淵호는 錦南인데 進士澤의 아들이다. 나면서부터 異質하여 剛毅精敏했다고 한다. 금남은 점필재의 문하로서 戊午士禍(1498) 시 그의 집안에 점필재집이 있다는 이유로 訊問을 받고 杖刑을 받은 뒤 端川에 유배되었다가 甲子士禍(1504) 때 處刑되었다. 금남은 호남인으로서 占畢齋의 학문을 직접 받아들여 이 고장 士林의 발흥에 크게 기여한 첫 번째 세대로 평가받고 있다. 그 당시 점필재와 어깨를 나란히 한 호남 선비로는 竹林曺秀文인데 그는 담양 竹林書院에서 배향되고 있거니와 그의 아들 雲穀曺浩는 점필재의 문하로서 汝忠, 汝諶등 문학으로 훌륭한 후손을 많이 배출했다. 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로 이어지는 학맥은 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金宏弼로 이어지는 학맥과 함께 호남 사림의 깊이와 폭을 더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최부는 후생의 敎導에 미미不倦하였는데 해남의 邑을 밑아 있을 때 그 곳은 바다 모퉁이에 치우쳐 있어 文學이란 게 없고 禮儀또한 荒陋했는데 금남은 正論으로써 陋俗을 변화시켰다고 한다. 이때 漁樵隱尹孝貞과 林遇利그리고 柳桂隣등을 부지런히 가르쳤는바 이들을 보고 온 고을 사람들이 翕然하여 마침내 文獻之邦이 되게 했다고 한다. 호남의 사림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눠 말 할 수 있겠다. 먼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王朝交替期(1392)와 世祖의 王位簒奪事件(1455) 때 입향 또는 낙향해 온 세력과 다음으로는 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로 이어지는 이른바 영남을 통하여 호남에 뿌리를 내린 계열을 들 수 있겠다. 호남 사림은 대체로 金宏弼, 崔溥, 宋欽, 樸祥, 李恒, 金安國계열 등으로 나누는데 이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樸祥을 제외한 모두가 金宗直淵源임을 알 수 있다. 宋欽도 김굉필을 私淑했으니 송흠을 연원한 박상도 어떤 면에서는 같은 뿌리라고 말해도 무방하겠다. 최부 계열은 주로 海南과 羅州에서 활약한 인물들이다. 금남 학맥은 尹孝貞, 林遇利, 柳桂隣, 羅질, 尹衢, 尹巷, 尹行, 尹復, 柳成春, 柳希春, 李仲虎, 鄭介淸, 羅士침(錦南의 外孫子), 羅德明등 6 兄弟, 羅緯素(羅德埈의 子) 등으로 이어진다. 최부의 호남학맥은 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1454-1504)로 이어지는 사림의 正脈이었다.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사림들은 韓國儒學史上 또는 韓國文學史上과 韓國義兵史등에서 뚜렷한 足跡을 남긴 인물들이 다수 배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의 문하들이 이룬 호남학에서의 문학적 성과는 浪漫的情緖라는 風流性과는 다른 차원의 세계를 열어보였다는 데서, 곧 溪山風流를 표방한 부류와는 시 세계를 달리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부여할 수 있겠다. 그의 史學, 文學, 經學등 학문적 영향은 해남과 나주를 중심으로 湖南學의 정립에 큰 기여를 하였는데 특히 文學에서는 17세기 중반까지(羅緯素: 1582-1666) 약 2세기 동안 그 전통이 활발히 이어져 나왔고, 그 이후에도 羅景煥(性菴家藏), 鄭錫珍(蘭坡遺稿), 羅允煦(錦坡集), 羅燾圭등으로 20세기까지 계승되면서 근현대 문학으로 移行되었다. 崔溥(1454-1504) 字淵淵,號錦南,明朝朝鮮全羅道耽津(卽今韓國康津郡),進士澤的兒子。崔溥是占畢齋(金宗直)門下,不幸戊午士禍(1498)時因家裏被發現占畢齋文集,他受杖刑後流放到偏僻端川,然後甲子士禍(1504)時被處刑。錦南崔溥被評爲韓國湖南士林人脈的第一個世代。連接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的一些人的學脈근連接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金宏弼的學脈對韓國湖南士林的形成和發展起了흔大的影響。韓國湖南士林分爲兩大類。朝鮮王朝交替期(1392)和世祖的簒奪王位事件(1455)時入鄕或被露鄕的勢力。前者是光州出身錦城範氏範世東、羅州出身河東鄭氏鄭地、天安全氏全新民、在鄕下隱居的沃川趙氏趙瑜、光山金氏金子進、金麟厚祖先蔚山金氏金穩、光州卓氏卓光武等。後者世祖的찬奪王位事件時在鄕下隱居的是順天金氏的金宗瑞、流放到長興的晉州鄭氏鄭분、在靈巖隱居的南平文氏文孟和、在光山隱居的樸祥的父親忠州樸氏樸智興、在務安隱居的務安樸氏樸益卿、在長興隱居的忠州金氏金麟、在高興隱居的礪山宋氏宋侃、在淳昌隱居的高靈申氏申末舟、在羅州隱居的慶州李氏李碩、在海南隱居的原州李氏、在潭陽隱居的洪州宋氏、在鹹平隱居的陽城李氏、在靈巖隱居的鹹平魯氏魯宗周等。其次是嶺南系的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學脈。湖南士林分爲金宏弼、崔溥、宋欽、樸祥、李恒、金安國系, 細看湖南士林的分類分析, 除了樸祥以外都是其淵源在金宗直。崔溥系主要是在海南和羅州活動的人物。崔溥學脈是尹孝貞、林遇利、柳桂隣、羅질、尹衢、尹巷、尹行、尹復、柳成春、柳希春、李仲虎、鄭介淸、羅士침(錦南的外孫子)、羅德明等6兄弟、羅緯素(羅德埈的兒子)等人。住在海南蓮洞的尹孝貞是孤山尹善道的高祖父, 以근海南鄭氏家婚姻爲跳板復興名門貴族。尹孝貞的三個兒子橘亭尹衢、尹行、杏堂尹復是公認的詩書門弟。尹衢的兒子曆任左參贊, 他的兒子尹惟幾曆任江原道觀察使。他抱養了尹善道繼承下來了海南尹氏家的榮譽。孤山尹善道寫瞭『孤山遺稿』『漁父四時詞』40首等75首詩歌。孤山尹善道與長歌松江一同稱爲韓國文學界的皇帝。此外尹氏家在壬辰倭亂和丁酉再亂中培養出了許多的義兵將,在救國運動中立了大功。尹衢的女서履素齋李仲虎是在光州初次實行鄕約, 以鄕校爲中心振作了儒學。他曆任全羅監査和大提學,有四子汲、潑、潔、직。杏堂尹復曆任全羅道使、忠淸道觀察使,寫出了『杏堂先生遺稿』及許多漢詩。杏堂的甥姪楓菴文緯世在退溪門下學了「八陳圖」,硏究了性理學。壬辰倭亂和丁酉再亂中근5個兒子、奴僕、弟子一起擧行了義軍蜂起,特別是在自籌軍糧米中做出了흔大貢獻。.柳桂隣有兩個出衆的兒子懶齋柳成春和眉巖柳希春。柳成春同尹衢、崔山斗被稱誦爲湖南三傑,又曆任了吏曹銓郞,但因己卯士禍時被流放到邊疆幷夭折的緣故沒留下特別的業績。柳希春寫出了有名的『眉巖日記』。『眉巖日記』是從宣祖卽位年(1567)起十年時間裏的公私內容的日記,在當時曆史硏究上흔有硏究價値。他校訂『朱子大典』,編纂『國朝儒先錄』,寫出『眉巖集』,還刊行外祖父崔溥的『漂海錄』。流放到鏡城的羅德明在流配地遇到壬辰倭亂,在戰亂中討伐鞠景仁等的叛亂留以功績。也有文學方面的知識流傳『嘯浦遺稿』。他兒子羅緯素是短歌『江湖九歌』的作者。他的詩歌作品和孤山尹善道的『漁父四時詞』相提幷論,又被評爲江湖詩歌潮流的繼承。羅德憲從流配地被釋放後壬辰倭亂和李適之亂(1624)時立下了功勳,而且善於外交的他訪問了三次瀋陽,被國王稱爲忠烈諡號。林遇利是善山人,其父秀的四個兒子元、亨、利、貞中排老三。林亨有五個兒子千齡、萬齡、億齡、百齡、九齡都是賢達。林千齡被追贈領議政,寫出了『遯庵先生文集』。林九齡曆任光州牧使以善政被稱爲淸官的稱誦。林百齡被追贈右議政,乙巳士禍時受禍了。林億齡(號石川)是韓國湖南歌詞的詞宗,被退溪、栗穀、聽松、玉峰、高峰、河西、龜峰等盛贊叫大詩人。同霽峰高敬命、松江鄭澈、棲霞堂金成遠等一起有時以朋友交流,有時以師弟關系交遊,開展了不拘一格,又不失氣稟和格調的講學與詩的創作活動。從上述來看崔溥的湖南學脈是連接安裕-權溥-李穀-鄭夢周-吉再-金淑滋-金宗直-崔溥(1454-1504)的韓國士林正脈。從崔溥門下輩出的人在韓國儒學史上、韓國文學史上、韓國義兵史上都有흔多影響。他門下一些人的文學方面的成就因근以前浪漫情緖的不一樣,근標榜溪山風流的當時詩歌派的不一樣,有著更深的意義,他們創作了新詩歌世界。他的史學、文學、經學等學問的影響對以海南和羅州爲中心成立的湖南學有흔大貢獻。特別是在文學方面直到17世紀中期(羅緯素1582-1666)還活潑地流傳了下去。此後以羅景煥(性菴家藏)、鄭錫珍(蘭坡遺稿)、羅允煦(錦坡集)、羅燾圭等形式繼承到20世紀的文學,現在移行到了近現代文學。

      • KCI등재

        새 자료 서강대 소장, 최부(崔溥)의 『금남표해록』 한글본 연구

        유춘동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3 No.-

        이 글은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서강대학교 로욜라도서관 소장, 최부(崔溥, 1404 -1504)의 『금남표해록(錦南漂海錄)』 한글본을 검토하고, 이 자료의 특성과 가치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그동안 최부의 『금남표해록』은 국내외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았고, 그 결과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국내에서는 역사학자들의 연구와 문학연구자들의 연구가 있었고, 동아시아 학자들 또한 이 자료에 관심을 갖고 많은 연구를 진행했다. 그러나 이 책을 한글로 번역한 한글본 『금남표해록』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논의가 없는 상황이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진 한글본은 19세기에 필사된 국립중앙도서관본 한 종뿐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최부의 『금남표해록』은 한문(漢文)을 자유자재로 읽을 수 있었던 양반사대부 계층을 제외하고, 국내에서 널리 읽히지 못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정설(定說)처럼 되어 있다. 그러나 이번에 새로 발굴한 서강대본 『금남표해록』을 보면 이러한 기존의 주장을 재고(再考)할 수 있다. 서강대본은 기존에 알려진 19세기 한글 번역본보다 한 세기 앞선 18세기에 무렵에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서강대본은 원전인 한문본 『금남표해록』과 대조해보면 축약번역본임이 확인된다. 중요한 점은 이때 필사자가 직접 번역했던 것이 아니라 선행했던 한글본을 가져다가 재필사한 본이란 사실이다. 이는 『금남표해록』은 한글본이 다양한 형태로 일찍부터 존재했었고, 여러 사람들에게 필사되어 읽혔던 정황을 보여준다. 새로 발굴한 서강대본의 특색은 원전 대부분의 내용을 생략하고 특정 부분만 번역했다는 점이다. 자세히 번역한 것은 아버지의 부음을 듣고 제주도를 떠난 뒤, 풍랑을 만나 표류하고 해적을 만나는 등의 모진 고생에 대한 이야기와 태주부(台州府) 임해현(臨海縣) 우두(牛頭) 앞 바다에 도착하기까지이다. 그밖에 강남과 강북에 대한 세밀한 풍광의 묘사, 경유한 지역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지리와 문화정보, 중국 각 지역에서 만났던 관원(官員)과 문사(文士)들의 대화 등은 모두 생략했다. 이러한 면들을 보면 한글본으로 최부의 『금남표해록』을 읽었던 사람들의 관심은 최부의 극적인 구조와 무사히 조선으로 귀국하는데 있었고, 그 밖의 중국의 역사, 지리, 문화에 대한 것들에는 관심을 덜 가졌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는 한문으로 원문을 읽을 수 있었던 독자와 그렇지 않은 독자들을 구분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으며, 당대 한글로 번역해서 읽었던 독자들의 관심과 수준을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서강대본의 특성, 내용들을 다루고 서술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Korean version of ‘Geumnampyoaerok’ of Choi-Bu, which has not been introduced to academia and is kept in Loyola Library of Sogang University, and find out its characteristics and value. ‘Geumnampyohaerok’ of Choi-Bu has been received lots of attention from domestic and overseas scholars and it led to various studies. In Korea, there have been studies of historians and of literature researchers, and East Asian scholars have also been interested in this material and have studied it. However, there have been no discussions on th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Geumnampyohaerok’. The reason is that there has been only one version that was known to academia, the transcribed version of the 19th century, kept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is led to the widespread belief that ‘Geumnampyohaerok’ of Choi-Bu was read only by the nobility that could read Chinese letters, not by the general public. By reviewing ‘Geumnampyohaerok’ of Sogang University, however, we can reconsider the existing belief. First of all, the Sogang University version was transcribed in the 18th century, a century earlier than the existing Korean version of the 19th century. Also, when compared to the original Chinese version of ‘Geumnampyohaerok’, it can be found that the Sogang University version is an abbreviated translation. It can also be found that the person who transcribed it did not translate it himself, but used an already-translated version and re-transcirbed it. Based on this fact, it can be seen that, contrary to existing belief, there were various types of Korean versions which were read by many people. The unique feature of the Sogang University version is that it left many parts out and translated only specific parts. What was translated in detail was about the hardship that the character went through when leaving Jeju Island, being caught in storm, and meeting pirates, and the part leading to his arrival to the Wudu Sea. Other than that, it skipped other parts such as the description of the landscape of Gangnam and Gangbuk, specific geographic and cultural information about the travel stops, and conversations with the officials and literary men whom he met in China. Based on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those who read the Korean version of ‘Geumnampyohaerok’ by Choi-Bu were interested in the dramatic structure of his travel and his safe return to Joseon, not so much in the history, geography, and culture of China. This can be the basis that will distinguish the readers of original Chinese version from other readers, and it serves as an important indication that shows the interest and level of the readers who read translated Korean version. Those are what were discussed and described in this paper.

      • KCI등재

        여행 경험 서사를 활용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 최부의 <표해록>을 중심으로

        윤인선 ( Yoon In-sun ) 한국기호학회 2021 기호학연구 Vol.66 No.-

        본고는 최부의 <표해록>을 문화 콘텐츠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최부의 <표해록>을 중심으로 재구성된 스토리텔링 콘텐츠인 < 명대의 운하길을 걷다-항주에서 북경 2500Km 최부의 ‘표해록’ 답사기 >와 < EBS 세계테마기행 중국 명대 운하길을 가다 >에 주목한다. 이 두 텍스트는 최부의 <표해록>에 나타나는 장소에 대한 인식과 행위, 감정 등을 창작자가 여행을 바라보는 틀로 삼아, 그것을 재매개하는 매체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형성한다. 이때 <명대의 운하길을 걷다>는 문자 매체를 통해 여행 경험을 재매개하는 과정에서 최부의 <표해록>을 매개로 재구성되는 역사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양상을 보인다. 이에 반해, <명대의 운하길을 가다>는 영상 매체를 통해 여행 경험을 재매개하며 최부의 <표해록>을 관광에 기반한 스토리텔링으로 확장한다. 본고에서 살펴본 세 텍스트는 각각 최부가 작성한 명대의 운하길 여행기, 명대 운하길에 대한 역사 스토리텔링, 명대 운하길에서 나타나는 관광 스토리텔링이라는 독립적인 가치를 지닌다. 하지만 동시에 이 세 텍스트는 최부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명대 운하길에 대한 과거의 역사, 현재의 관광이라는 맥락에서 거대한 이야기 세계를 형성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고에서 살펴본 세 텍스트의 상호 관련성 양상은 추후 문학을 활용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콘텐츠 기획을 위한 하나의 가능성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trans-media storytelling that appears in the process of retelling Choi-Bue’s Pyohae-rok to storytelling contents. To this end, we pay attention to Walking along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and Going along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retelled around Pyohaerok. These two texts use the perception of the place, actions, and emotions that appear in Choi-Bue’s Pyohae-rok as a framework for the creator’s perception of the travel. And it forms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medium that remediates it. Walking along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remediates the travel experience through letter media, and retells Choi-Bue’s Pyohae-rok into a storytelling based on history. And Going along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remediates the travel experience through video media, and retells Choi-Bue’s Pyohae-rok into a storytelling based on tourism. Each of the three texts has an independent value: the travelogue on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the historical storytelling on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and the tourism storytelling appearing on t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se three texts can be said to be trans-media storytelling that forms a huge story-world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the past and tourism of the Waterway of the Ming Dynasty centered on the Choi-Bue’s Pyohae-rok.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texts can function as a possibility for planning trans-media storytelling contents using literature.

      • KCI등재

        『漂海錄』를 통해본 崔溥의 한국 고대사 인식

        임상선(LIM, Sang-Sun) 한국사학사학회 2013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8

        The contents about ancient history of Korea recorded in the book 『Pyohaerok(漂海錄)』was reviewed around Choi Bu's discourse and his historic discussion appeared in his book 『Don-Guk Tong-Gam(東國通鑑)』. In the book 『Pyohaerok(漂海錄)』, many contents about Joseon's history and its chronicle were described. Choi Bu recognized ancient history of Korea was led from Dangun Age, Gija Joseon Dynasty, and Wiman Joseon Dynasty to the Three Hans and then the Three Kingdoms in order. In his book 『Don-Guk Tong-Gam(東國通鑑)』, Choi Bu insisted that the key secrete enabling the two kingdoms of Baekjae and Goguryeo existed for several hundreds and a thousand for Shilla, respectively was because of the three nations' founders soundly established the foundations of their nations, and summarized and evaluated the national chronicles of Baekjae, Shilla and Goguryeo by each king in each nation. Officials and scholars in Chinese Ming Dynasty wondered how Goguryeo repelled Chinese Tang Dynasty's military attacks. Choi Bu explained the success secrets were Goguryeo soldiers' faithfulness and the leaders and the soldiers' mutual trust and belief, but the ruling class including Joseon Kings at the time when he lived considered because Goguryeo had defended its castles well with relying on its mountain fortresses, it could had defeated the Tang's invasion attack. 『漂海錄』에 나타난 한국 고대사와 관련된 내용을 崔溥의 대화 내용과 그가 집필한 『東國通鑑』의 史論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표해록』에는 朝鮮의 歷史, 沿革에 대한 내용이 많이 기술되어 있다. 최부는 우리의 고대사가 檀君, 箕子, 衛滿에 이어 三韓, 그리고 三國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조선 연혁의 시작이 중국의 堯 시대와 같은 단군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명나라 사람들에게 분명히 말하였다. 三國 중에서 처음 나라를 세운 것은 新羅이고, 이어서 高句麗ㆍ百濟가 일어나 조선의 땅이 세 부분으로 나뉘게 되었다고 보았다. 삼국에 대한 최부의 인식을 그가 작성한 『東國通鑑』의 史論을 통해 살펴본 바, 최부는 삼국이 각각 몇 백년, 천년을 이어간 것은 각국의 始祖들이 여러 어려움 속에서 나라의 기틀을 튼튼히 한 것이라 기술하고, 백제, 신라, 고구려의 연혁을 각국의 왕별로 정리, 평가하였다. 신라의 경우, 敬順王이 목숨을 바칠 생각은 하지 않고 하루 아침에 항복하여 나라가 망하였다며 애석해 하였는데, 이것은 『三國史記』의 저자 金富軾이 경순왕의 高麗 귀순을 높이 평가한 것과는 대조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양자의 경순왕에 대한 평가 차이는 각자가 처한 시대적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明나라 인사들이 조선 역사에서 가장 관심을 가진 것은 高句麗였다. 중국 역사에서 최고 전성기의 하나였던 唐나라의 공격을 고구려가 어떻게 막아낼 수 있었는지를 다수의 명나라 사람들이 질문하였다. 최부는 고구려의 군사들이 도리가 있고, 상하간에 신의와 믿음이 있었기 때문에 공격을 막을 수 있었으나, 淵蓋蘇文이 죄가 있기 때문에 당 太宗의 토벌은 정당한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최부의 답변은 당시 조선의 위정자들이 갖고 있던 생각과는 차이가 난다. 즉, 조선의 왕을 비롯한 지배층은 고구려가 山城에 의지하여 성을 잘 지키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고, 심지어 당 太宗의 安市城 공격을 잘 막았기 때문에 고구려가 망하지 않았다고 여기고 있었다. 이와 같이, 고구려가 唐을 물리친 원인을 당시 조선의 위정자들은 산성 축조와 이를 근거로 한 방어술이라는 실제적인 현상에서 찾고 있는 반면, 최부는 君臣간의 협력이라는 性理學的 입장에서 그 해답을 찾고 있다. 또한 최부와 명나라 인사들은 遼東 지역이 옛 고구려의 땅이고, 옛날의 고구려를 계승한 것이 지금의 朝鮮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明代 浙江지역의 海防體制와 조선 官人 崔溥의 漂着

        서인범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8

        The founder of the Ming Dynasty, Hongwu Emperor, conducted the maritime proscription policy to prevent his people from sailing in the ocean without governmental permission. Fortresses and defensive posts were built along the coast line from Shandong to Guangdong Provinces to complete the defensive system against the waegu pirates. At the end of 14thcentury, sixty to seventy percent of the whole waegu pirates attack was focused upon Chinese coastal area. It was right before so called ‘the latter waegu attack’ had begun when an official from Joseon named Choi Bu arrived in Taizhou County of Zhejiang Province after drifting across the sea for two weeks. During the two weeks, Choi Bu and his company encountered bandits twice and they were put under threat of death. They finally extricated themselves from the difficult situation. But since the county people mistook them for the waegu pirates, they were sent to the local military post for an interrogation. When the Chinese military officers belatedly found out that a group of unidentified people were drifted ashore, they took them for pirates. However, after an inquest, it was revealed that Choi Bu’s company was not waegu and they were actually from Joseon. But there is something significant in Choi Bu’s interrogation report. The officers who questioned him at first tried to find a way to omit the fact that Choi’s company encountered bandits. This suggests that those bandits could have been a unit of coastal guard and there was a critical problem on their maritime defense system. They did not notice that an unidentified ship was drifted ashore without being captured by their patrol boats until the county people reported. So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ose officers tried to fabricate the report to conceal the fatal defects of the defense system. 일찍이 명조를 건국한 홍무제는 海禁정책을 시행하여 한 조각의 널빤지도 허가 없이는 바다로 나갈 수 없도록 조치하였다. 홍무제는 山東부터 廣東에 이르는 연안지역에 성을 쌓고 위소를 설치하여 왜구를 엄히 방어하는 정책을 수립하였다. 왜구의 구성 중 6/10~7/10이 중국이었다는 이른바 ‘後期倭寇’가 발호하기 직전 조선의 관인 최부는 2주간의 표류 끝에 절강성 태주부에 표착하게 된다. 최부일행은 표류하던 중에 浙江지역의 바다에서 두 차례 도적에게 물품을 탈취당하고 신변의 위협을 당하게 된다. 비를 무릅쓰고 탈출을 감행하여 목숨을 건지게 된다. 마을 사람들에게 몰려 연안방비를 책임지고 있던 衛所(군대의 편성단위)로 호송당해 심문을 받게 된다. 늦게 신원을 알 수 없는 최부의 배가 연안에 표착하였다는사실을 察知한 장교들은 최부일행을 왜구라고 오인하였다. 심문 과정을 통해 최부일행이 왜구가 아니라 조선인이라는 점이 명확히 드러났다. 그런데 문제는 최부의 공술서였다. 최부를 처음 심문하던 위소의 장교나 항주의 태감 등은 최부가 도적을 만났다는 사실을 극력 저지하려고 노심초사하였다. 그 이유는 두 가지를 상정할 수 있다. 첫째는 도적의 정체가 연안방비를 담당해야 할 군인들이 가능성에 대한 우려였다. 둘째, 군사적인 실기이다. 불명의 선척이 연안방비선을 뚫고 해안에 정박한 후 민간 마을로 들어올 때까지도 인식하지 못했다는 치명적이 약점을 덮으려고 했던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공술서를 적극적으로 분식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