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고찰한 한국 초중등학교의 데이터베이스 교육에 관한 연구

        김형용,이혁수,김종성 대한공업교육학회 2007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databas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The authors compared the curriculum for databas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in Korea with that of Arcola schools in the state of Illinois, US. The database industries of both countries were also compared to suggest the significance of database education in Korea. We have shown that it is urgent to include database education in IT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considering importance of database itself as well as the magnitude and growth rate of database industries in 21st century. Contrary to our research results, however, it is shown the IT curriculum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is hardly adequate to provide systematic database education required in information society.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IT curriculums should be revised to accommodate systematic database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초중등학교에서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경상북도 초중등학교의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을 데이터베이스 관련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미국 일리노이 주 Arcola Schools(초중등과정)의 해당분야 교육과정과 비교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사회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 및 21세기 데이터베이스 산업의 규모와 성장속도 등을 감안할 때 한국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련 교육은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현재 한국의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과정은 정보 사회가 요구하는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교육을 제공하기에는 대단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한국의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이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교육이 가능한 방향으로 시급히 개편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농어촌지역 소규모학교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이형빈(Lee Hyoungbi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0 기전문화연구 Vol.41 No.2

        급격한 학생수 감소에 따라 소규모학교가 증가하고 있다. 그 동안 정부에서는 이른바 ‘학교규모 적정화’ 논리에 따라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을 진행해 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학생수 감소를 ‘위기’라기보다는 ‘공교육을새로운 관점에서 재구조화할 수 있는 기회’로 보고, 소규모학교 교육과정의강점을 공교육의 보편적 원리로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일부농어촌지역 소규모학교에서는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 유출이라는위기 상황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이러한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의 궁극적 목적은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은 농어촌지역 소규모학교 뿐만 아니라 모든 학교에보편화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의 비전을 공유하고, 초중등 연합 교원학습공동체를 운영해야 한다. 또한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의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Small schools are increasing due to a rapid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The the government has been integrating small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so-called “school-size adequacy” logic. However, this study looked at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s an “opportunity to restructure public education from a new perspective” rather than a “crisis”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strengths of the small school curriculum as a universal principle of public education. Some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are responding to the crisis of student outflow through the elementary-secondary articulated curriculum.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curriculum is to continuously support the holistic growth of students. Therefore, the elementary-secondary articulated curriculum needs to be universalized not only in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but also in all schools. To do this, we should share the vision of the elementary-secondary articulated curriculum and operate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uni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various policy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expand the elementary-secondary articulated curriculum

      • KCI등재후보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고찰: 총론을 중심으로

        이덕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9 시각장애연구 Vol.25 No.3

        This research thesis studies the accessibility of the 2008 amended education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to that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focusing on the general guideline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to strengthen the accessibility to educational curriculum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do this, the background for the direction of domestic and foreign special schooling and for the emphasis on the accessibility to general school curriculum was examined; and based on the generalities, the accessibility of amended edu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to that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was analyz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thesis on the basis of the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The particular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on subject curriculum was limited to the level of comparing the general guidelines and particularities, and the research content was studied for through literary research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looking at the tendency of domestic special curriculum, in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general curriculum was the standard since the beginning of special curriculum, and differentiated the period of establishment and revision from general curriculum. With the dualistic system, there have been continuous efforts to reflect the particularity of special education in curriculum, and finally with the seventh revision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fter numerous trial and error did the effort to promote accessibility to general curriculum begin. The tendency of foreign special curriculum shows that many countries are recently making continuous efforts for special education to have access to general education. Also, the background to placing emphasis on the accessibility of special curriculum to general curriculum can be found in the change in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 for special education. Domestically, the broadening of inclusive education promoted the aim of improving the quality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preparing for 'constant revision' system adopted in the 2008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operated as the major factor. Internationally, it is rooted in the search for the accessibility to general curriculum and the connec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of all, after looking at the major revisions of generality and particularity, which is the subject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major revisions were reflected intactly in the revision of generalities of special curriculum, and even in particularities of subject curriculum. Particularities, however, exclude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High School Specialized Vocational Subjects Curriculum . Moreover, after analyzing the accessibility to general curriculum based on the background and fundamental direction of 2008 revisions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the constituting contents of general guidelines, it was concluded that in the case of the general guidelines of revised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special curriculum, other than the fact that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s included in the special curriculum, and that the organization, formation, and time (unit) allotment are added to the basic curriculum and the specialized vocational subjects of the elective curriculum, the overall organization and contents were common between the two.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질적 제고 및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총론을 중심으로 하여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동향 및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강조의 배경을 알아보고, 총론을 중심으로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시사점을 토대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각론인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분석은 총론과 개략적으로 비교하는 수준으로 제한되었으며,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 내용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동향을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에는 교육과정 제정 초기부터 일반학교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학교 교육과정과 제개정 시기를 달리하며 이원적 체제를 가지고 특수교육의 특수성을 교육과정에 반영하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시도하여 왔으며, 많은 시행착오 끝에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을 향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국외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동향을 보면, 최근 많은 나라에서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일반교육과정에 접근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리고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강조의 배경은 국내외적인 특수교육 환경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국내적으로는 최근 폭넓게 변화되는 통합교육의 확대로 인한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질적 제고와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부터 도입된 ‘수시 개정’ 체제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국제적으로는 많은 국가에서 일반교육과정으로의 접근 및 일반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측면을 상당 부분 모색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 둘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인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을 살펴본 결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은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총론의 경우 그대로 반영되었고, 각론인 교과 교육과정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다만, 여기서 각론의 경우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기본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전문직업 교과 교육과정은 제외된다. 그리고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기본 방향 및 총론의 구성 내용을 중심으로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과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총론에 있어서 두 교육과정 간에는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유치원 교육과정이 포함되고, 기본 교육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전문직업 교과의 구성 및 편제와 시간(단위) 배당 기준이 추가된 것 외에는 전체 구성 체제 및 내용이 대부분 공통적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공지능 융합교육을 위한 초중등학교 연계형 인공지능 교육 내용체계 개발

        전수진,이주강,최희원,이석,김민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AI) education content system for K-12 to support systematic AI convergenc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educational area and content elements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were extracted by analyzing the trends of content systems related to AI education at home and abroad. Then, 11 experts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draft AI content system was verifi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draft AI content system through Delphi over two rounds and FGI.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I education content system was presented in four stages: 1st to 4th grads in elementary school, 5th to 6th grads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addition, this content system consists of 4 major areas: ‘Understanding AI’, ‘AI Ethics’, ‘Using AI’, and ‘AI Convergence’and it was developed to be linked by school level in all areas by presenting a total of 95 content elements. In addition, based on this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ntent system, exam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linked to various subjects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eachers systematically realize AI convergence education by being able to more clearly identify the area and level of AI suitable for the school level when designing AI convergenc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인 인공지능 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초중등학교 연계형 인공지능 교육 내용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인공지능 교육 관련 내용 체계 동향을 분석하여 초중등 학교급별 교육영역 및 내용요소를 추출하였다. 인공지능 내용체계 초안에 대해 11명의 전문가에게 2차에 걸친 델파이 및 FGI를 통해 수정 보완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공지능 교육 내용체계는 초등학교 1~4학년과 5~6학년, 중학교, 고등학교의 4단계로 제시되었다. 또한, 이 내용체계는 ‘AI 이해’, ‘AI 윤리’, ‘AI 활용’, ‘AI 융합’의 4개 대영역과 총 9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95개의 내용요소를 제시함으로써 모든 영역에서 학교급별로 연계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인공지능 교육 내용체계를 바탕으로 여러 교과와 연계한 인공지능 융합 교육 사례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가 AI 융합 교육 설계 시, 학교급에 맞는 AI의 영역과 수준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체계적으로 AI 융합 교육을 실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초중등 통합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계획된, 실행된, 경험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현희,설혜진,김종훈,엄수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023 교육과정연구 Vol.41 No.2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discussion about the integrated K-12 curriculum as an alternative curriculum for future schools in response to the decreasing student population. With careful attention to the nation’s school system, this study sought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by investigating a single case of an K-12 integrated school. In particular, for an organic understanding of curriculum policy and implement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realities of K-12 integrated curriculum in three dimensions that are planned (in a school-level curriculum document), implemented (by teachers), and experienced (by student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purpos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was consistently reflected in the planned, implemented, and experienced curriculum, but that the various advantages and possibilitie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were not widely realized in the three dimensions of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ere was a gap between the planned, implemented, and experienced curriculum in the actual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strategie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K-12 curricula and discussed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최근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는 미래학교의 대안적 교육과정으로서 초중등 통합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가 확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운영학교의 실제 사례를 통해 초중등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학교 구성원 들의 인식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정책과 실행에 대한 유기적인 관점 을 토대로 학교 교육과정 문서상에 계획된, 교사에 의해 실행된, 학생들에 의해 경험된 교육과정의 세 차원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사례연구를 활용하였으며, 초중등 통합운영학교 1개교를 선정하여 학교 교 육과정 문서와 면담 및 관찰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양한 연령의 학생들에게 함께 배우는 즐거 움을 선사한다는 초중등 통합 교육과정의 목적이 계획된, 실행된, 경험된 교육과정에 일관되게 나타났으나, 그밖에 초중등 통합 교육과정이 지닌 다양한 장점과 가능성이 세 차원의 교육과정에 폭넓게 구현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중등 통합 교육과정을 실제 운영하는 과정에서 계획된, 실행된, 경험된 교육과정 사 이에 이격이 드러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통합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하고, 초중등 통합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의미와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해외 정규교육기관을 통한 한국어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원장 대상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김선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plan to revitalize Korean language adoption of oversea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fter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with directors of Korean Education Center overseas on how to activ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abroad.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long been centered on adult education through no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is continuously expand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hich are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anks to developing and executing strategic projects centered on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the past 20 years. In order to continue this atmosphere and to expand the interest in the adoption of Korean as a subjec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more countries, systematic and strategic support at the Korean government level is needed. The Korean language support progra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hich is being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a timely move to take a leap forward considering the local situation where the interest in Korean culture has recently increased due to the Korean Wave. In order to activate the Korean language ado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local universities must first be activated and then expand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Korean government's suppor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Korean Education Center overseas. In addition, it will focus on the location of Korean companies and the formation of overseas Korean communities, build infrastructur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astly, Korean language adoption programs have to be executed as well as policy suppor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addition, management of schools that have already adopted Korean language as a subject is necessary. To this end, ac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level and organic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required.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교육원장들을 대상으로 해외 한국어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이를 바탕으로 해외 정규교육기관의 한국어 채택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오랫동안 비정규교육기관을 통한 성인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져 오던 한국어교육이 지난 20년 동안 정부에서전략적인 사업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정규교육기관에서의 한국어교육이 지속적으로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보다 많은 국가의 초중등학교에서 한국어를 교과목으로 채택하는일에 대한 관심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국 정부 차원의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교육부가추진하고 있는 초중등학교에서의 한국어 채택 지원 사업은 최근 한류 등으로 인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있는 해외 현지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지금이 도약을 꾀할 수 있는 적시라고 할 수 있다. 초중등학교의 한국어 채택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현지 대학을 먼저 활성화한 후 초중등학교로 확대해야 한다. 또한 초중등학교 한국어교육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원을 확대하고, 한국교육원의 설치 확대 및 운영을 활성화해야한다. 이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 진출 소재지 및 한인사회 형성지역을 집중 공략하고, 한국어교육을 위한 인프라를구축하면서 한국어교육의 질을 제고해야 한다. 끝으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함께 한국어 채택 지원사업을 추진함과 아울러 한국어를 이미 채택한 학교의 관리에 힘써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 차원의적극적인 지원과 해외 한국어교육 관련 기관 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중국 초중등학교 인문교육의 특징과 실천

        鄭鎔敎(Chung, Yongkyo),陸潭晟(Lu, Tansheng)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0 No.-

        이 연구는 중국현장 학교교육 여건에서 인문정신은 무엇이며, 또 이의 실현을 위한 인문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데 중요한 목적을 둔다. 인격형성과 인격완성에 인문교육이 어떤 영향을 미치고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 그에 덧붙여 인문교육이 지향하는 바의 현장특징을 동파초중학교의 사례를 통해 밝히려 한다. 강소성 의흥시에 소재한 동파초등학교와 동파중학교에 비추어 인문교육이 실천되는 사례를 교과교육적 측면과 비교과교육적 측면에서 나누어 논의한다. 교과영역 차원에서 동파초중학교 교육은 한국과 같은 교과위주의 교육에 큰 비중을 두지 않았으며, 또 체육활동과 동아리활동을 소홀하게 취급하지 않았다. 이는 교과교육과 비교과교육 간의 적절한 균형이 보장된 주간 시간표운영에서 잘 드러났고, 교과영역과 비교과영역 간의 균형을 통해 학과공부에 지나치게 치우침으로 초래될 수 있는 학습 부담감에서 벗어나 전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학교와 동일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도 동파학교는 동파정신의 재조명에 건학이념을 두었고, 학교운영의 곳곳에서 동파정신을 구현하려는 다양한 실천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는 중국식 인문교육의 좋은 실천사례로서 상급의 명문학교 입학을 위해 총력전을 펼치는 한국의 학교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았다. 비교과교육 측면에서 동파학교는 다양한 비교과교육의 활성화를 통해 학생들의 인문적 소양능력 육성에 주력하고 있었다. 동파학교의 이름에 걸맞게 동파 시와 문학으로 대표되는 동파정신을 학교교육의 곳곳에서 되살리려는 다각적인 교육활동을 다하였다. 이런 동파정신의 재조명에서 동파서원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학교에서는 동파서원의 풍부한 인적, 물적자원을 활용하여 학생교육에 접목시켰고, 또 그런 교육적 노력에 교사와 학생, 심지어 학부형들도 적극적으로 응답하였다. 동파정신의 재조명을 위한 다양한 노력은 동파관련 동아리활동의 활성화로 이어졌고, 그런 동아리활동의 결과는 동파관련 문예작품의 창작으로 나타났다. 동파학교에서 동파정신은 건학이념이자 학교교육이 추구해야 할 교육목표로서 학생들의 정신세계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학교에서는 이런 동파정신의 실현을 통해 학생들의 정서와 행동을 순화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학교교육의 구심점으로 삼고자 하였다. 학교의 모든 구성원은 ‘동파처럼 살 필요가 있다’라는 슬로건에서 동파교육의 핵심이념을 볼 수 있었고, 그것은 인문교육의 대표적 실천사례라 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humanities’ spirit is in the Chinese education field and what kind of humanities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promote the spirit of humanities in the fields. In doing so, we studied the roles and influences of an education program of humanities as a personality training program by investigating the cases of Dongpo Elementary & Middle School located in Yixing City, Jiangsu Province. The school curriculum show the character of Dongpo Elementary & Middle School that do not solely emphasize on the subject education unlike the education in Korea. Also, they do not neglect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ies and club activities. The time schedule of the schools reflects the philosophy of Dongpo Education well that aims at the balance of regular cours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t could give many implications to schools in Korea that only focus on the entrance of good universities. The schools also emphasize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humanities spirit and abilities by encouraging vari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especially poem and literature, for students. In doing so, Dongpo lecture hal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preading Dongpo educational philosophy. The schools’ endeavors were well supported by students, teachers, and school parents that result in the highly qualified literary work created by students. The Dongpo educational philosophy affects the students in Dongpo schools a lot. Given that the philosophy of Dongpo and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 the Dongpo case is an excellent case of the practice of education of humanities studies in school fields.

      • KCI등재

        초ㆍ중등 교육경제학 연구의 주요 쟁점과 연구과제

        이광현(Lee, Kwanghyu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2

        이 논문은 초중등교육에서의 교육경제학 연구의 주요 쟁점에 대해서 해외와 한국의 연구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현재 초중등교육에서 교육경제학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이슈는 교육과 경제성장간의 관계, 교육투입요소의 효과, 학교선택권의 효과로 볼 수 있다. 교육과 경제성장의 경우 일정정도 교육이 미치는 영향이 인정되고 있으나 교육투입요소의 경우 현재까지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미시적인 접근과 이론적 연구성과들이 나오고 있는데 교사들의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이 동반되어야 학급규모 감축의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학교선택권의 경우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가 일관되지 않다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한국의 경우 교육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대표적인 국가로 거론되고 있으나 정작 국내에서의 연구는 백일우 외 (2007)의 연구 외에는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교육투입요소의 효과 연구는 종단자료가 활발히 구축되고 있어서 연구가 간헐적이지만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의 연구성과를 보면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순한 학생 1인당 총 교육비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교선택권의 경우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외국과 비교하면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향후 사교육비의 경제성장에 대한 효과 분석, 정보공시제도의 도입으로 인한 학교책무성제도의 효과 등의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provides analytical review on the issues and products of economics of education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of abroad and Korea. Currently, the most critical issues are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 and economic growth, effects of school inputs, and school choice effect. Scholars agree that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however whether school inputs have positive effects on achievement is still being discussed. Studies of effects of school choice policy on student achievement does not show consistent results. In Korea, study on the relation of education and economic growth do not appear recently except for Baek, et al.,(1997). Studies of school input effects continue recently because of availability of education panel data in Korea. It appears that per pupil expenditure does not affect student achievem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recent studies. Studies of school choice effects are very few compared to abroad. In the future, studies on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on economic growth and the effect of school accountability policy of information opening system would be needed in Korea.

      • KCI등재후보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과 과제: 영국의 사례를 통한 시사점

        최보연 ( Bo Yun Choe ),김병주 ( Byoung Joo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본 연구는 영국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시스템 및 현황과 이를 둘러싼 정책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학교문화예술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기반 및 조건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영국의 문화예술교육 지형은 신노동당 정권 시기 (1997-2010) 정부의 전략적인 지원에 힘입어 급속도로 성장한 바 있다. 그러나 2010년 정권교체 직후, 정부의 정치적 이해관계를 비롯한 사회경제적 환경의 제반변화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의 지형, 특히 학교문화예술교육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영국의 사례는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하지 않고 정부의 공적지원에 과도하게 의존할 경우 그 위상이 지속적으로 불안정할 수 밖에 없음을 시사한다. 국내 역시 지난 10여 년간 정부의 전략적 지원에 의해 문화예술교육이 급성장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영국의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고 정책변화에 따라 어떻게 문화예술교육지형이 성장 혹은 위축되고 있는지를 세밀히 분석하는 것은, 향후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더 궁극적으로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확장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국 사례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정부의 정책방향성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제도권 교육 내에서 학교문화예술교육이 처한 현실적 조건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왜 학교 “내”에서 필요한지에 대한 명확한 사회적 합의가 충족되어져야 함을 지적하고, 향후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presents a critical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policy trends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t schools in England and discuss their practical implications.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visions, especially within the school system, in England were remarkably expanded and strengthened due to the New Labour government`s strategic policy support (1997-2010). However, since the change of government in 2010, arts and cultural education has become drastically marginalized with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rts education provisions in Korea have also been markedly expanded with the government support for the past ten years . a parallel to the English case. Analyses of the English case not only provide evidence that the status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hich is largely reliant upon public support, can hardly become stabilized as government policy is subject to constant fluctuation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and political spheres; they also provide some critica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ounterpart: the dependence of the current arts education provisons on government support with no public consensus can only be evanescent. The study argues that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a social and public consensus on the raison d`etre of arts education "with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discuss why it serves as an instrumental cornerstone for further development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초중등 학교에서의 사회적 경제 교육 방식에 대한 연구

        김혜원(Kim Hye Won) 한국사회경제학회 2015 사회경제평론 Vol.28 No.2

        본 연구는 초중등 학교에서의 사회적 경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사회적 경제교육이 어떤 방식으로 가능한지를 연구하였다. 현행 국가 교육과정에 사회적 경제 교육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교사가 교과 수업에서 사회적경제 내용을 가르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학교 활동의 다양화 추세로 인해학교에서 교과 수업 이외의 창의적 체험활동, 방과후 학교 등을 통해 사회적경제 교육이 가능하며, 교육 내용 측면에서도 범교과 학습 주제의 확대로 민주시민교육, 진로교육, 지속가능교육, 경제교육 등과 결합하여 사회적 경제교육이 가능하다. 사례 조사와 분석을 통해 이러한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특히 학교와 외부 사회적 경제 교육기관의 협력의 다양한 형태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향후 협력의 방향을 제시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why social economy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s necessary and how that education can be delivered in school environment. Sinc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do not include the contents of social economy, it is very difficult for teachers to teach it in regular subject lessons. However the importance and share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has increased in school activities and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has expanded over the past decades. These changes help the educators of social economy to mix the school teaching and social economy in spite of non existence of social economy in Korean national curriculum.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social ecnonmy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case studies an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external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