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 STEAM 교육 적용을 위한 예비 초등특수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박외곤,차국일,심광보,문경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의 STEAM 교육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D시의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초등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예비 초등교사 85명과 예비 초등특수교사 88명이며, 설문 결과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요소의 빈도, 백분율,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예비초등교사와 예비 초등특수교사의 인식차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첫째, STEAM 교육에 대한 정보의 인식은 예비 초등교사가 더 높은 인식을 지녔으며, 두 집단 모두 STEA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였으며, 창의적 사고력, 학업성취도, 학습기회에 대해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두 집단 모두 STEAM 교육의 교과 중 Arts, Science를 중요하게 인식하며, 장애영역 중 학습장애 학생에게 제일 긍정적인 교수법으로 인식하였다. 특히 예비 초등특수교사는 특수아동, 예비 초등교사는 일반아동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두 집단 모두 STEAM 교육에 대한 전문성은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예비 초등특수교사는 Engineering, Arts, 예비 초등교사는 Science, Engineering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넷째, STEAM 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교수관련 수업 자료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실 있는 적용을 위해서는 또 다른 업무가 되지 않도록 교육환경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예비교사의 음식윤리에 대한 인지도 및 인식 조사

        이경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1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음식윤리에 대한 인지도, 중요성 인식, 실천 태도 및 의지, 그리고 초등 식생활교육에서의 음식윤리 교육 필요성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교육대학교 초등예비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예비교사의 음식윤리 인지도는 남녀 차이 없이 3.09점 정도로 보통이었으나 식생활 관심도 상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복지와 권리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낮았다. 초등예비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음식윤리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고, 남자보다는 여자 초등예비교사가, 식생활 관심도 하집단보다 상집단이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초등예비교사의 음식윤리 실천 태도 및 의지는 3.39~3.58점으로 높지 않았고, 특히 친환경농산물이나 동물복지 인증제품, Non-GMO 제품 선택과 식물성 식품위 주의 식생활에서 실천 의지가 낮았다. 초등 식생활교육에서의 음식윤리 교육 필요성 인식은 3.93~4.19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특히 식품 소비와 폐기 관련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이었다. 음식윤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실천 태도 및 의지(r=0.511), 그리고 교육 필요 성 인식(r=0.607)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예비교사들은 음식윤리에 대한 인지도는 그리 높지 않았으나 식생활에서 음식윤리는 중요하며 초등 식생활교육에서 음식윤리 교육 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음식윤리를 중요하게 여길수록 실천 태도 및 의지가 높았고, 교육 필요성도 더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식생활 관심도가 높은 집단이 음식윤리 인지도, 중요성 인식, 실천 태토 및 의지가 더 높았다. 따라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음식윤리에 대한 관심과 실천 의지, 교 육 필요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식생활 관심도를 높이고 음식윤리 중요성을 더 크게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perception of importance, attitude and will to practice, and the need fo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ietary life education of food ethic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20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t B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ir food ethics awareness was average at 3.09 points without gender differences, but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per group than in the lower group of dietary interest. The awareness of welfare and rights was the lowest. They regarded food ethics as important. Female elementary school pre-teachers regarded as more importantly than male, and the upper group regarded as more importantly than the lower group. The attitude and will of elementary pre-teachers to practice food ethics were not as high as 3.39~3.58 points, and in particular, they had low willingness to practice in the selec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imal welfare certified products, Non-GMO products, and diet based plant foods.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food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ietary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with 3.93~4.19 points, and in particular,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related to food consumption and disposal was high.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food ethics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attitude and will to practice(r=0.511)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r=0.607). Therefore, in order to raise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terest in food ethics, the will to practice,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etary life interest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ood ethics.

      • KCI등재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예비교사 및 초등교사 대상으로-

        정진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3

        This study shows that it is important how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for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alizing the importance of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and understanding and having an interest on it with new persp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programs for brain-based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convergence education and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in D-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D' city, and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separately for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5 hours in 5 rounds (3 hours in 1 round). Sensibility examination was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compare and evaluate the degree of change of examination, and made suggestions for training and evaluating satisfaction and fitness after the program was appl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Pre-service teach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positive sensibility change in many assessments (e.g., pleasant.) and elementary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positive sensibility change in all assessments. This shows that the program affects their sensibility more positively. Regarding the results of satisfaction and fitness, pre-service teachers appreciate the program very appropriate for pre-service teacher and elementary teacher. For improvement plans, after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training, pre-service teachers suggest more time to plan ideas and elementary teachers like activities oriented education and suggests more material to be used in the program. 예비교사 및 초등교사가 공학기술-디자인의 중요성을 자각하도록 하며 공학기술-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스스로 이해하고 흥미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예비교사 및 초등교사에게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비교사 및 초등교사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하고 있는 D교육대학의 예비교사,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예비교사 및 초등교사 대상에 맞추어 구성해서 개발하였다. 예비교사 및 초등교사에게 1회에 3차시씩 5회에 걸쳐 총 15차시를 실시하였으며, 감성 검사지로 사전ㆍ사후 검사하여 그 변화의 정도를 평가ㆍ비교하고, 또한 적용 한 후의 만족도 및 적합도를 평가와 연수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경우에 ‘유쾌한’ 등의 많은 평가항목이 유의한 차이로 긍정적인 감정 변화를 나타내고 있고, 초등교사의 경우는 ‘유쾌한’ 등의 모든 평가항목이 유의한 차이로 긍정적인 감정 변화를 나타내고 있어,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예비교사 및 초등교사의 감성을 더욱 긍정적인 상태로 변화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은 만족도 및 적합도에 관한 결과를 보면, 둘째,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예비교사 및 초등교사에게 상당히 만족스럽고 적합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연수의 개선 방안에 대해 예비교사의 경우는 아이디어를 설계할 시간이 더 필요하고, 초등교사의 경우는 활동 중심 수업이 좋았으며,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하다 등의 개선 의견을 제시해 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실과 생명과학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정남용,김영은,이건남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toward the life science area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based on the 2011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in-service and the pre-service teachers’ level of necessity and level of awareness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data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Hershkowitz Threshold Fun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os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ir level of awareness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s ‘above the average.’ Secondly, thos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ir level of necessity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s 3.89 and 3.70 respectively, which means they perceived high enough on the level of necessity on the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ird,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determined based on calculating the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Hershkowitz Threshold Function in the study, was in the followings : ‘producing, utilizing, and environment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experiencing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live stock products’, ‘methods and process of cultivating plants’ and so on, while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was in the followings : ‘sorts and utilizing the plants’, ‘producing, utilizing, and environment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experiencing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live stock products’ and so on. 이 연구는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생명과학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농업생명 내용별 필요수준, 현재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리치(Borich) 공식과 허쉬코비츠(Hershkowitz)의 임계 함수를 활용하여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 모두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농업생명 영역의 내용에 대한 현재 자신 수준은 보통(3점) 수준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 모두에서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이 가장 낮았는데 이는 실습 자체가 곤란하다 점과 교사 자신의 생명과학 영역에 대한 경험이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둘째,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농업생명 영역의 내용에 대한 향후 필요 정도에 대해 초등교사는 3.89로, 예비 초등교사는 3.70으로 높음(4점) 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는 ‘식물’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능력 신장을, 예비 초등교사는 ‘식물, 체험’ 등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능력 신장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리치 공식을 통한 교육요구도와 허쉬코비츠의 임계 함수를 통한 우선순위 선정 결과를 종합하면, 초등교사는 ‘농축산물의 생산, 이용과 환경’, ‘친환경 농축산물 체험’, ‘식물을 가꾸는 방법과 과정’, ‘애완동물 돌보기’,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을, 예비 초등교사는 ‘식물의 종류와 이용’, ‘농축산물의 생산, 이용과 환경’, ‘친환경 농축산물 체험’, ‘식물을 가꾸는 방법과 과정’,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 등이 우선적으로 신장될 필요가 있다.

      • 4학년 예비 초등교사들의 1학년 담임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 탐구

        이진우,김창복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5

        본 연구는 유치원-초등학교 연계 교육의 이해 교과목 수강 전후, 1학년 담임교사의 역할 알아가기에 대한 교육대학교 4학년 초등 예비교사 3인의 이해도에 대해 탐구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는데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 3인은 1학년 담임교사의 역할, 1학년 교수․학습 방법, 1학년 아동 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및 1학년 담임교사 역할 수행에 대한 자신감이 생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는 1) 초등학교에 맞는 아동이 아닌, 아동에 맞는 초등학교 만들기, 2) 놀이를 통해 운영하는 수업의 효과, 3) 1학년 아동의 발달에 맞는 교육 방법 모색 등 1학년 교육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으며, 1학년 담임교사 역할에 대한 막연함과 두려움을 해소하며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대학교의 유·초등 연계 교육의 이해 강의는 예비 초등교사들의 1학년 담임교사 역할 수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소양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1학년 담임교사에 대한 막연함과 두려움을 해소하여, 예비 초등교사들의 1학년 담임교사 역할 수행 의욕을 고취시킨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 교원 양성과정에서 유·초등 연계 관련 교육과정을 유지하고, 보다 효과적인 교육대학교 유·초등 연계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등교사와 초등예비교사의 초등실과 AI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이승원(Seung-Won L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실과에서 AI 융합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와 초등예비교사의 중요도 인식,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 개발방향을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초등교사는 D광역시 소속 초등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예비교사는 K교육대학교와 J교육대학교 재학중인 대학생 164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0년 12월 1주부터 12월 2주까지 2주간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최근 5년 이내 실과교과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가 69.1%로 약 70% 정도 분포하였는데도 조사대상자인 초등교사 중 90명(81.8%)이 AI 융합교육의 지도 경험이 없었으며, AI 융합교육 연수를 받은 경험도 32명(29.1%)에 불과했다. 둘째, AI 융합교육을 이해하고 있는 정도는 초등교사가 M=2.55(SD=1.06), 예비교사가 M=2.54(SD=0.70)으로 평균점수 3점보다 낮았으며 두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와 예비교사 두 집단 모두 모든 AI 융합교육 학습요소에 대하여 최소 평균 3.59 이상의 점수를 보여 모두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초등교사와 예비교사 두 집단 모두 AI 융합교육 학습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보다 자신의 지도능력은 낮게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AI 융합교육 학습요소 중에서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교육요구가 가장 높은 것은 티처블 머신이나 머신러닝 포 키즈 등의 플랫폼을 활용한 인공지능 체험과 파이썬(Python)등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인공지능 체험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와 연구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일부 지역의 초등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전국의 초등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과교육과정과 AI 간 융합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AI 소양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절실하다. 셋째, 현재 SW교육이 실과교육과정에 17시간 이상 도입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실과교육과정에 AI 융합교육이 들어오기 위해서는 실과 과목 시수가 확대 편성되어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2022 개정 교육과정과 더불어 AI 융합교육 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on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reas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rveyed 1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and preservice teachers surveyed 164 college students attending K and J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week 1 to 2in December 2020.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although 69.1% of the teachers, which is about 70%,with practical teaching experience within the last 5 years were distributed, 90 people(81.8%) of the survey subjects had no experience in teaching AI convergence education. Only 32 people (29.1%) received training in AI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AI convergence education was M=2.55 (SD=1.06)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M=2.54 (SD=0.70) for preservice teachers,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score of 3 poi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both groups of the elementary and pre-service teachers showed at least an average of 3.59 or higher for all learning elemen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indicating that all are recognized as important. Fourth, it can be seen that bo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judge their teaching ability lower than their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learning elements. Fifth, among the learning elemen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elementary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have the highest demand for educa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iences using platforms such as teachable machines and machine learning for kids, and using textual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Python.

      • KCI등재후보

        누리과정 및 초등교육과정의 연계교육과정에 관한 인식: 유치원교사, 예비유치원교사, 초등교사, 예비초등교사

        장기덕(Kee-Duck Jang),최성열(Sung-Yeol Choi)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2 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유치원교사, 예비 초등교사, 현직 유치원교사, 초등교사의 누리과정 및 초등교육과정 연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과 재학생 3, 4학년 각각 2명, 교육대학교 재학생 3, 4학년 각각 2명, 유치원교사 3명, 초등교사 3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심층면담, 전화면담, 이메일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연계의 필요성을 모두 다 인정을 하였으나 실제로 유초 연계에 대해 예비 유치원교사, 초등교사, 현직 유치원교사, 초등교사 모두 제대로 알지 못하였다. 또한 대학의 과정이나 보수 교육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유초연계를 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과정과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pre-kindergarten teachers, pre-primary school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Nuri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curriculum-linked curriculum To this end, 2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3rd and 4th grade students, 2 respectively, 3rd and 4th grade students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3 kindergarten teachers, and 3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nts in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telephone interviews, and e-mail were mainly used as data collection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of the necessity of connec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as acknowledged, but in fact, pre-kindergarten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cumbent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d not fully know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e university courses and refresher education were not properly conducted. Accordingly, it was suggested as a plan that a practical curriculum and educa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early childhood can be achieved.

      • 초등 무용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무용 지도 능력 향상 방안

        배진경 한국스포츠리서치 2008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9 No.2

        현재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현장 교사들의 전문성 부족 및 이에 따른 자신감의 결여로 무용 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데 있다. 이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 된 무용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점들을 문헌 연구를 통해 보다 심층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초등 무용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교육자들은 예비교사들 스스로가 자신을 ‘비 무용인’이 아니라 ‘초보 무용수’라는 인식을 갖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교육자들은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무용 교육의 필요성 및 그 교육적 효과, 무용과 체육활동의 차이점 등에 대해 잘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셋째,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교육자들은 교육대학생들의 실기 능력 배양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자신의 실기 능력 배양을 위해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은 움직임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를 다양한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창의적으로 구성하여 표현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무용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교육자들은 초등학교 무용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수업 지식 예를 들면, 다양한 수업 모형이나 지도 방법 등에 대해 정통(精通)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초보 무용수로서의 입문, 무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 움직임의 구조와 원리에 입각한 실기 능력의 배양, 실습을 통한 효과적인 무용 수업 지식의 획득 등에 주안점을 둔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무용 강의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무용 수업에 대한 자신의 철학, 이론, 실기, 수업 지식 등을 견고히 함으로써 초등 무용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국의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사례 연구

        방정숙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5 No.3

        최근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관심의 증가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교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에 대한 실천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연구는 교사교육자 스스로의 반성이나 다른 동료교수의 수업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교수법 강좌를 참여관찰의 방법으로 탐색한 결과를 자세히 기술하고 이로부터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강좌는 예비초등교사의 수학과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전형적인 교사교육과는 다른 방법으로 수업을 구현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사교육자에게 대안적인 수학교수법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이론과 실제를 접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새 세대 예비 초등교사의 초·중·고 컴퓨터 경험과 관련 특성과의 관계

        최형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교육과학연구 Vol.41 No.2

        21세기 세계화 및 정보화 시대를 선도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0년간 국가적으로 정보통신기술(ICT) 교육 활성화 정책을 실행해 왔다. 이 시기에 초·중·고 교육을 받은 새 세대 예비 초등교사들은 기존 세대 교사들과는 달리 새로운 국가적 정보교육 정책 하에 교육을 받은 수혜자이다. 새 세대 예비 초등교사들의 경험은 과거 세대의 경험과는 다를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본 연구는 새 세대 예비 초등교사들의 초·중·고 컴퓨터 경험과 그들이 가진 특성(컴퓨터 활용 능력, 실제 활용 빈도,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태도, 향후 컴퓨터 활용 의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와 향후 컴퓨터 활용 의향을 예측하는 변인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한 교육대학교 2010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N=163). 연구 결과, 새 세대 예비 초등교사들의 과거 컴퓨터 경험은 다소 부정적인 것(M=2.71, SD=.69)으로 나타났고,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갈수록 나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새 세대 예비 초등교사들의 향후 컴퓨터 활용 의향은 비교적 높은 것(M=3.82, SD=.62)으로 나타났고, 이를 예측하는 독립변인은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태도, 구성주의적 신념, 컴퓨터 활용능력으로 분석되었다(F(3,149)=72.07, p<.01).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examined first-year student teachers' past ICT experiences, personal computer use, constructivist beliefs, computer ability, attitudes toward computer in education, and prospective computer use.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several ICT policies in schools during the past decade, and the new generation of student teachers are directly affected by such policy initiatives. Hence, the researcher speculates that first-year pre-service teachers were exposed to new experiences in terms of integrating computers in the classroom as students. Participants include student teachers in the first year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Korea (N=163). Survey findings indicate that participants had fairly negative or neutral ICT experiences in primary schools, while their experiences were better in secondary and post-secondary schools. Past ICT experienc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omputer ability, attitude toward using computers in education, and prospective use of computers. In addition, a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mbination of variables that best predicts prospective computer u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actor combination of attitude toward using computers in education, constructivist beliefs, and computer ability best predicted prospective computer use (F(3,149)=72.07, p<.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