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실기종목 선호도에 따른 직무교육 활성화 개선방안

        서재복,신원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3

        본 연구는 예비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기종목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 교사들의 직무교육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및 교사직무교육 지원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의 00교육대학교예비 초등교사 2학년 9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빈도와 백분율의 기술 통계분석과 리커트 5점 척도 기준으로 긍정과 부정, 중립의 3 단계를 거쳐 정리하여 결과를 도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초등 교사들의 실기 선호종목에 따라 초등교사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둘째, 초등 교사 직무연수는 실기 선호종목의 전문 전공지도자에의한 연수 프로그램 학습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예비초등 교사들의 실기 선호종목에 따라 다양한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변화가 이루어지고 하나의 실기전공과목이 필요하다. 넷째, 예비초등 교사들의 신체운동 행동교육이 반드시 우선시 선행되어야하고 교사들의 실기 선호종목 향상을 위해 자기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전국 초등 교육대학교 예비 초등교사에 대한 연구를 통해 결과를 도출 한다면 초등교육발전에 많은 도움과 기초자료를 제공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초등 체육교육에 관한각 시ㆍ도교육청은 예비초등 교사들의 실기 선호종목과 관련지어 체계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교사 직무연수 과정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운영해야 된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derived a method to revitalize job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ferences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for practical training courses.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and teachers’ job train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7 second-yea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udying at 00 Education University in Gangwon-do Province in which descriptive analysis and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to organize the 3 levels of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to derive the result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should be changes in elementary teacher job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 practical training preferences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Secondly, job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st be conducted through a training program conducted by a professional instructor in the preferred practical subject. Third, changes should be made to the curriculum of various education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practical subjects by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nd one practical major subject should be required. Fourth, physical exercise behavior education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must be given priority and self-development skills must be conducted to improve teachers’ preferred practical skills. In future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derived through research on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udying at elementary education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will provide much help and basic data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each city/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establish and operate systematic and diverse types of teacher job training course programs related to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 regards to the preferred practical skills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적용 방안 연구

        남정권,이수영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특별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pplicability of Team-Based Learning(TBL) model to improve creativity in the elementa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artifacts of implemented TBL lessons and interviews wit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lessons. TBL model found to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mprove crea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as well as pre-service teachers. We applied a formative research method that employs iterative processes of the development – implementation – evaluation - revision cycle as follow. First, we selected the existing TBL model. Second, we designed a case in point related to the theory, and implemented the case. Third, we revised the case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formative data. As a result, we found the total course period (5 weeks) was too short to make visible changes in creativity. However, TBL showed a potential to be an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n elementary education which is more learner-centered and provides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BL in elementary classrooms, teachers should be an expert on the TBL model as well as the contents. Also, it is critical to chose appropriate topics for TBL. In addition, teachers should be aware of elementary students’ work-load before and during TBL lesson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육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Team Based Learning)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팀 기반 학습에 관한 연구는 협력학습에 기반을 둔프로젝트학습이나 상호작용에 관련된 연구이거나, 웹 기반학습 환경 또는 컴퓨터 활용 교육의 수업방법이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경우, 초등 학생이나 공업계고등학교 사례에 관련된 수업이었으며, 대학생의 경우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예비초등교사 교육과 관련된 팀 기반학습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창의력 조기 발굴을 위해 초등교육에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초등학교 예비교사인 교육대학교 학생들을대상으로 초등교육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 적용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6년 11월 교육대학교 초등학교 현장실습을 경험한 2~3학년 예비교사 20 명을 대상으로 교육공학 수업시간에 매주 2시간씩 5주간 팀 기반 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사용된 팀 기반 학습 모형은 사전 계획 단계, 선행 학습 단계, 준비도 확인 단계, 개념적용 문제해결단계인 4단계를 단계별로 구체화하여 수업시간에 적용하였으며, 역진행 수업(Flipped learning)과는차별화된 개인과 팀별 사전 점검 및 개념적용 문제해결 과정을 통한 심층적 접근을 통해 학습자의 창의력 향상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팀 기반 학습의 실천적 학습 지향 연구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교육 방법과 수업 모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동료의 수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예비초등교사간 다양한 아이디어와 발산적 사고를 자극하여 창의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초등교육과 연계한 유아교과교육학의 교육내용 탐색

        임명희 한국보육학회 2010 한국보육학회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on what the pedagogical content need to cover,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rtions of standard childcare and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on the pedagogical content was based on documentary record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health & physical activity educ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were well connected to the physical exercise course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social stud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well connected to the ethics and social studies, and a practical course contents,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music &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well connected to the mu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xercise course contents,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visual a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well connected to the arts education course contents,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language arts &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well connected to the Korean language course contents,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well connected to the science and a practical course contents, and the pedagogical content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well connected to the mathematics course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현행 초등교육의 교과영역별 교육내용을 유아교육과 연계하여 유아교과교육학의 교육내용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 문헌분석방법을 사용하였고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제는 어떤 관련성이 있으며, 특히 유아교육양성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유아교육영역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초등교육과 연계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설정해야 할 유아교과교육학의 성격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교육과 연계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선정해야 할 유아교과교육학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등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유아교과영역 중 유아건강 및 신체교육은 초등의 체육교과와, 유아사회교육은 초등의 사회교과․도덕교과․실과교과와, 유아음악 및 동작교육은 초등의 음악교과․체육교과와, 유아미술교육은 초등의 미술교과와, 유아언어 및 문학교육은 초등의 국어교과와, 유아과학교육은 초등의 과학교과․실과교과와, 유아수학교육은 초등의 수학교과와 연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교육과 연계한 유아교과교육학의 교육내용은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교육내용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고, 교육체제에서도 근본적인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동일선상에서 동등하게 선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 가정교육 영역에서의 진로교육방안

        정미경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실과 가정교육영역에서의 진로교육의 방안을 마련해 봄으로써 초등학교 실과 가정과교육영역에서의 진로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초등진로교육과 초등실과 가정교육영역에서의 진로교육에 관련된 문헌과 연구논문 등을 고찰하여 초등실과 가정교육영역에서의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실과교과는 초등학교에서 진로교육을 담당하는 핵심교과로서, 다수의 선행연구가 개진되어왔으나, 연구의 대상을 살펴본 결과 가정교육, 기술교육, 농업교육, 환경교육 등의 실과교과 내 영역별 진로교육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초등실과 가정과 영역은 사회의 다양한 직업과 관련된 ‘일’을 대상으로 하며, 일의 경험을 통해 자기이해와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등 진로와 관련된 내용을 효과적 높일 수 있는 교육적 의미와 가치가 있는 교육영역이라고 할 수 있어 앞으로 많은 연구의 수행이 요구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 번째로는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과 초등실과 가정과 영역에서의 진로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제시된 초등실과 가정과영역에서의 진로교육 방안은 첫째. 진로교육내용의 교과 간 통합적 접근, 둘째, 단원별 지도안에 진로내용의 적용, 셋째, 교과서에 진로교육내용 요소 반영, 넷째, 진로교육의 연계 운영 강화, 다섯째, 흥미 있고 다양한 활동중심의 교수학습의 적용, 여섯째, 다양한 진로교육 자료의 개발 및 공유 활성화로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directions of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Literatures were reviewed.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ractical arts education is a core subject that has responsibility for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espite of numbers investigations in this area, there is a nothing study on the sub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especially in home economics area; 2) The subject of home economics area in practical arts education is a 'work' related with various kind of occupations in society, and it is a educational area which has a educational means and values to enhance a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occupation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work; 3) The directions of career eduction in the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rough the review literatures on elementary career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area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re suggested as 6 directions. The 6 directions were sa follows: (1) Integrated approach for career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subjects centered on practical arts education. (2) Career educational application to the teaching plan of each unit in practical arts education. (3) Inclusion of career education in textbook on pratical arts education. (4) Buildup the linking to career education in other activities. (5) application of Interesting and various kind of activities 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6)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the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

        초등 역사교육에서 역량 논의 진전을 위한 방향 모색

        이하나 효원사학회 2023 역사와 세계 Vol.- No.63

        우리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위기감이 교육의 근본적인 변혁을 촉구하는 가운데, ‘역량’은 그러한 사회 변화와 삶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으로서 재규명되고 있다.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차원에서 역사교육 또한 이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나, 특히 초등 역사교육에서는 역량 논의가 사실상 부재했다. 따라서 향후 초등 역사교육에서 역량 논의가 진전되기 위한 기반과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초등 교육에서 역량 논의의 내력과 한계를 점검하고, 역량의 재해석을 제기하였다. 학교 교육에 역량이 도입된 이래 누적된 역량 담론의 틀에서 형성된 현재 우리나라 역량 개념은 본질적 문제의식을 담았던 초기의 연구에 비추어 외부적 논리에 입각한 교육 목표의 설정, 역량과의 관계에서 지식의 소외, 삶 자체에 관한 근본적 고민의 배제 측면에서 맹점을 지닌다. 초등 교육에서 역량 논의 역시 대체로 역량에 관한 이해나 이론적 질문이 배제된 채 방법론적 관심에 치우쳐 전개되었다. 다만, 최근에는 국제 사회의 교육 담론이나 초등학생이 겪는 문제를 인식한 연구가 등장하고 있어 ‘역량’이 재정립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삶과 유리된 논의는 교육적 의미를 갖기 어렵고, 역량은 총체성에 따라 범주화된 개별 목표가 아닌 ‘과정적 현상’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며, 교과교육에서 역량이 실질적 역할을 발휘해야 함을 고려하여 초등 맥락에서 역량의 재해석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초등 역사교육에서 역량을 별도로 논하는 일은 역사가 초등학생의 삶과 자기 형성에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가의 지점에서 초등 역사교육의 고유한 상(像)을 모색한다는 의의가 있다. 그 기반으로서 초등 역사교육을 이루는 두 축인 초등 사회과와 역사과의 역량 논의 검토를 통해 각각 ‘사회적 삶 및 삶과 관련된 사회문제에 대한 역사적 방식의 문제해결’, ‘역사 지식과 삶의 연결을 위한 역량의 자원으로서 교과 내용의 고민’이라는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초등 역사교육에서 ‘역량’은 ‘학생들의 구체적 현재의 삶과 역사를 연결하여 자신이 가진 역사적 자원(지식,기능,가치·태도 등)을 역동적이고 유기적으로 활용하며 다양한 질문들에 대한 역사적 답을 생성해보는 과정의 실현이라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역량을 기른다는 것은 장기적 관점에서 질적으로 전이 및 변화해가는 양상을 통해 이해해야 하며, 역사교육은 삶 속에서 만나는 사회적·역사적 현상과 문제에 관한 역사적 접근, 역사적 자원의 형성, 역량 발휘의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더 나아가 역량 발휘의 동력으로서 정서의 측면과 인간 자체에 주목하는 존재(being)의 문제까지 고민한다면, 현재를 깊고 넓게 이해하고 삶의 문제에 응답하는 총체적인 힘으로서 역량을 논할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정철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관련 정책 및 활동이 확대되 고 있는 현 상황에서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패러다임과 현재의 초등학교 진로교육 실태를 고찰하여 초등학교 진로교육이 가진 문제점과 과제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과제는 첫째, 초등학교 진로교육에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학생들의 진로발달에 도움이 되는지 충분히 분석하는 노력이 필요 하다. 둘째, 진로교육 전담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양성 및 훈련이 필요하다. 체험과 실천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정확하고 신뢰로운 진로정보를 생성 및 보급해야 한다. 다섯째, 양질의 진로교육 운영을 위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여섯 째, 기관간 수평적․수직적 연계 체제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법적·제도적 지원체 제를 정비해야 한다. 여덟째, 진로교육을 다양한 교과를 통해서도 가능하도록 하기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새로운 초등학교 진로교육 패러다임 상황에서 이러한 과제들을 해결하기위해서는 초 등학교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진로교육의 거시적인 체제 정비와 함께 단위 학교에서의 적극적인 노력과 혁신이 전개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paradigm on the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eight future tasks for career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ere derived from the study. First,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reflect the actu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contents of it have to be analyzed properly to be determined if the contents are helpful and effective. Second, education and training for career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provided. Third, the curriculum of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need to be experience-and-action-oriented. Forth, accurate and reliable career information should be created and provided. Fifth, the criteria for planning and carrying out elementary career education need to be established. Sixth, the institutions for elementary career education should be connected horizontally as well as vertically in a whole system. Seventh,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ing system for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need to be modified. Lastly, car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have to be carried out through various curriculum subjects. To perform these tasks successfully in the world of new paradigm, it is important zto aware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career education. Also, both improvement of macroscopic system for elementary career education and individual elementary schools' efforts to carry out and renovate career education are needed.

      • KCI등재

        교육대학교 ‘초등무용교육’ 강의의 교육적 의미 탐색

        이강순(Lee Kang soon),김정희(Kim Jeong hee)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무용교육’ 강의의 실천 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참여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수업 경험을 토 대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는 교육대학교 무용 관련 강의의 활성화와 프로그램의 다양화 측면에서 도 움을 줄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에게는 즐거운 무용 수업이, 학생들에게는 신나는 무용 수업이 될 것이 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했다. ‘초등무용교육’ 강의 사례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 방법으 로 수업 과정 분석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우선, 수업 과정 분석을 통해 ‘초등무용교육’ 의 강의 과정을 계획, 준 비, 실천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무용교육’ 강의에 참여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심 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무용교육’ 강의의 교육적 의미는 크게 네 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첫째, 무용 수 업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인식; 둘째, 무용 창작을 위한 소통 능력 신장; 셋째, 모니터링을 통한 적극적 감상 태도 증진; 넷째, 저널쓰기를 통한 자기 자기반성적 시각 견지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lected the subject of da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terms of activating education college classes and diversifying programs for pre-service teacher. Specifically, the practice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 lecture is presented,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s proposed by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lecture of education university.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divided the course of da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nto planning, preparation and practice and explored its features. As a result, the da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lecture features four main categories. First, creation, second, monitoring, third, communication, fourth, journal. Finally, through the da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ourse, which is one of the classes for physical education and advanced courses at the education college, the pre-service school teachers feel the importance of dance education, their ability to create, appreciate and communicate has changed and grown, and they have provided a platform for applying and implementing it at the elementary school site.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체육과 교사교육

        김명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핵심역량 기반 교육체제에서 초등예비교사가 체육교과를 잘 가르치기 위한 역량은 무엇이며, 그러한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어떤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교육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교 체육과 예비교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실태분석에서 드러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초등체육교육의 관점 재조명으로써 첫째, 초등교육이 발달단계를 고려한 순차적인 교육으로써 중요하듯이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 또한 ‘순차적인 교육’으로써 초등체육교육이 되어야 하며, 둘째, 교사교육의 지배적 관점인 ‘기술적 합리성’의 비판적 접근으로써 ‘실천적 지식 습득’으로의 초등체육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한편, 새로운 관점에 따라 초등체육교과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의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첫째, 실천적 지식 습득을 위한 교사교육이 되어야 하고, 둘째,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교육이 필요하며, 셋째, 핵심적인 내용으로의교육과정 구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takes an in-depth look at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capable of teaching physical education and at the curriculum that fosters such capabilities. For this, current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for pre-service teachers at education colleges were investigated. The study includes a reflection on methods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hat could solve the structural problems which were revealed by the analysis. Firstly, the development stage is significantly considered for elementary education. Also,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needs to implement sequenti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Secondly,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should implement as a critical approach practical knowledge acquisition with technical rationality, which is a dominant perspective in teacher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Firstly, teacher education should aim to acquire practical knowledge. Secondly, teacher education should embrace teachers as curriculum developers. Thirdl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composed of core contents.

      • KCI등재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대한 국제 학술 논의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이동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rticles discuss primary school teachers’ geography subject knowledge (GSK). This study examined 34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rticles on primary school teachers’ GSK that were published between 1999 and 2018 in Journal of Geography,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The detailed and contextual meanings of the sentences, phrases, and passages that discussed primary school teachers’ GSK were analyzed using van Manen phenomenology. As a result, the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four themes to explain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primary school teachers’ GSK. First,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basic GSK that tended to be fragmented and factual rather than highly conceptualized and procedural because of the problems with prim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imary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al policy. Second, primary school teachers’ accurate and in-depth GSK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efficacy of primary school geography teaching, the cultivation of a child’s geographical thinking and perspective, and integrated citizenship education. Third, primary school teachers should have accurate and relevant knowledge of geography concepts and procedures, knowledge of geography-specific logic and skills, and an understanding regarding the core concepts of geography. Fourth, effective, concrete, and geography-oriented primary school teacher education methods to cultivate teachers’ GSK and understanding of the core concepts and logic of geography, such as geography fieldwork, strongly requi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teacher education methods to improve primary school teachers’ GSK and the direction of primary school geography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대한 국제적인 학술 논의의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위해서 Journal of Geography,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에 1999-2018년간 게재된,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관한 내용을 다룬 34편의 논문들을 연구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연구대상 논문들에 수록된 논문들이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대해서 논의한 구절, 문장, 문단 등을 van Manen 현상학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대한 학문적 논의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는 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지리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기본적으로 인식하였고 기초적인 지식도 어느 정도 갖추고 있기도 하였으나, 지리 교사교육이나 초등학교의 교육환경, 교육정책 등과 관련된 문제로 인하여 효과적인 지리 수업에 요청되는 심층적인 지리 개념이나 절차적 지식 등을 충분하게 갖추고 있지 못한 경우도 적지 않다고 지적되었다(주제 1). 둘째, 초등교사의 정확하고 깊이있는 지리 교과 지식은 지리 수업의 효과와 성취도, 아동의 지리적 사고력과 안목 형성은물론, 통합교육 및 시민성교육과 관련해서도 중요성이 높다고 알려졌다(주제 2). 셋째, 초등교사는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지리 개념 및 절차적 지식, 지리학 고유의 지식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지식, 지리학의 핵심개념에 대한 지식등을 충실하게 갖출 필요가 있다는 논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주제 3). 넷째, 초등교사들에게 효과적인 초등지리수업의 계획 및 실천에 필요한 지리 교과 지식을 길러주기 위한 교사교육 방안이 모색·실천될 필요가 있으며, 답사 지리 고유의 지식 구조나 논리 체계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교육활동은 이와 관련하여 특히 많은 의의와 가능성을 가진다고 논의되었다(주제 4).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초등지리교육의 개선 및 발전에 요청되는 초등교사 양성및 교육 방안의 모색, 초등지리교육 및 사회과교육 학술연구의 방향성 탐색 등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있으리라고 기대된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초등체육의 미래와 전문가 양성 방안

        전세명(Semyung Joe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초등체육의 미래모습과 초등체육 전문가 양성 방안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미래 교육에 대한 다양한 문헌분석과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고 전문가 협의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체육의 미래 모습을 교육환경과 교육내용, 교육방법, 정과 외 체육활동에서 살펴볼 수 있었고, 전문가 양성 방안에서는 현장교사와 예비교사 교육으로 구분하여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등체육은 교육환경 측면에서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확대와 학교 공간의 혁신이 예상되며, 사물인터넷과의 연동 가능성도 제안하였다. 교육방법 측면에서는 교육과정의 자율화와 함께 놀이 교육의 확장과 1-2학년의 체육시간 확대를 제안하였다. 교육방법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상시학습,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 활용과 스마트 교육의 실시를 예측하였고, 정과 외 체육활동으로 학교운동부와 스포츠클럽은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운영을 제안하였다. 전문가 양성 방안으로 현직교사의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초등체육전담교사에 대한 중장기적인 전문연수과정이 필요하며,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와 초등체육 전문가의 등용을 제안하였다. 예비교사 교육에서는 현장성 강화와 실제 지도할 내용에 대한 실기교육 참여경험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초등체육은 평생 체육의 밑바탕으로 미래 사회로의 변화에 맞춰 초등체육이 활성화되고 안정화되기 위해서는 교육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체육의 가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기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초등교사의 역량 강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uture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directions and plan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ocument analysis and delphi survey were undertaken to collect data. In terms of the future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ee domains emerged: i) employing virtual reality based physical education will be expanded, ii) curriculum redesign, digital textbooks, expanding play education and establishing physical education in year 1 and 2 were discussed, iii) the importance of online-based learning plans for school-community conn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pedagogies school sport teams and sport clubs were explained. Regar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veloping specialized training courses, using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and expanding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a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initial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lans making students understand education field and participate in a range of s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