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대한 사용자 의향분석

        남기찬(Ki-Chan Nam),최장림(Jang-Rim Choi),유주영(Ju-Young Yoo),송용석(Song, Yong-Seok)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

        컨테이너 물동량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선박들의 규모도 이전의 증가세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규모는 커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함께 초대형선박에 대한 연구도 다양한 시각에서 활발하게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주로 선박의 설계, 운영 그리고 항만 하역시설 등 하드웨어적이고 개념적인 부문에 편중되어 있고, 실제 선박운항 측면에서 적정 선박 규모, 적정 기항 항만 수, 요구되는 하역 소요 시간 등 현실적인 연구는 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초대형선박의 운영자인 선사들과 사용자인 포워딩업체들을 대상으로 초대형선의 예상 최대규모, 선호도, 이용 시 문제점과 예상 하역시간 등을 조사 분석하고, 초대형선의 출현으로 나타날 될 항만기항지 변화에 대하여 예측한다. As container traffic in the world increases rapidly, size of containership is become bigger and bigger. With these trends, many studies have been done on such big ships by consultant, naval architects, port designers, ship operators, economists etc,. with different points of view and results. But previous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hardware and theoretical sid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response and intention of ship's user such as shipping companies and forwarding companies about prospects of mega-ship size, preference of Mega ship, problem and handling time of Mega ship.

      • KCI등재

        도선 관점에서 본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부산신항 내 안전대책 연구

        김정환,박영수,김대원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4 No.3

        With the removal of underwater obstacles in the Busan New Port, the water depth of the pier has been secured up to 17m, and the port authority is constantly responding to the trend of container vessels becoming larger. Also, in 2020, 24,000TEU class container ships are entering to the port, and it is planned to secure the depth in the port to 23 m later in line with this trend. Mega container ships must check in advance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at the time, and for this, it is judged that information sharing among stakeholders is necessary. In this pap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corresponding route because of the mega container ships, a transit safety evaluation was conducted based on statistical data on ship entry and departure and maneuver characteristics of corresponding ships. The result showed that the transit of the mega container ships has increased up to 8.4% comparing to the risk of 4,000TEU class container ships. Additionally, safety measures such as minimum safety depth and tug operation plans were presented by gathering opinions on operat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pilotage for safe transit in the Busan New Port area. Through this,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accidents when entering and leaving the Busan New Port. 최근 부산신항은 항계 내의 장해물 제거 공사와 함께 부두 부근 항내 수심을 17m까지 확보하여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지속해서 대응하고 있다. 한편, 2020년도에는 24,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입항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흐름에 맞추어 추후 항내 수심을 23m까지 확보하는 것을 계획 중이다. 이처럼 대형선박 입항 시 상황에 따라 주의하여야 할 요소에 대한 사전 점검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이해관계자 간의 정보 공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통항에 따른 해당 항로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박 입·출항 통계자료 및 선박 운항 성능 자료를 바탕으로 통항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4,000 TEU선박 통항시와 비교하여 최대 8.4%높은 위험도가 발생하였다. 또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부산신항 내 안전한 통항을 위한 도선 관점에서의 운항 특성 의견을 취합하여 최소안전수심과 예선 운용 방안 등의 안전대책을 함께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부산신항 입·출항시 사고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부산항 터미널별 선박 규모에 따른 선석 생산성 및 항만 효율성 비교분석

        김정훈,류원형,박신우,형식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2

        컨테이너를 이용한 해상운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컨테이너선의 크기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24,000TEU급 선박의 운항이 일반화되어 있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등장에 따른 효율성 및 생산성이 항만의 운영 관점에서 타당한지에 대 한 의문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2022년 제10회 부산국제항만컨퍼런스에서는 글로벌 주요 정기선사들의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발주 현 황을 분석하여 소강상태에 접어든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요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선박 대형화 요인은 TEU당 운송 비용을 낮추는 규모의 경제 실현이며 이는 단일선박으로 대량의 화물을 수송함으로써 단위당 운송비용의 절감과 운송의 효율증가에 비해 연료 소모량의 증가가 낮아 단위당 운송비용의 절감 수준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연 항만의 측면에서 이러한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추세가 항만 운영에 있어서 타당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형별 생산성 및 효율성을 비교·분석 하여 항만 운영에 있어 선박 대형화의 효과를 평가한다. As containerized maritime transport began in earnest, the size of container ships has steadily increased, and recently, the operation of 24,000 TEU-class vessels has become regular. However, concerns about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such mega container ships from a port operational perspective have continued to be raised. The 10th Busan International Port Conference requested an in-depth study on the trends of container ship enlargement by analyzing the order status of ultra-large container ships from major global liners. Generally, the factor that drives the upsizing of ships is the realization of economies of scale that lowers transportation costs per TEU, which leads to a higher level of cost reduction per unit transportation compared to the increase in fuel consumption due to transporting large amounts of cargo with a single ship.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is trend of container vessel enlargement is feasible for port oper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roductivity and efficeiency of different ship sizes to evaluate the effect of ship size on port operations.

      • KCI등재

        선박 대형화에 따른 선박 제원 예측에 관한 연구

        조성우 ( Sung Woo Cho ),원승환 ( Seung Hwan Won ),이주호 ( Joo Ho Lee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5 해운물류연구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대형화 요인 및 추세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허브항만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인 2만 5000TEU급 그리고 3만 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출현시기와 해당 선박들의 제원(선장, 선폭, 최대흘수)을 시나리오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출현한 선박의 규모 변화, 근래 10년간의 추세 그리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볼 때 선박의 대형화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타 연구결과와 비교한 결과 본 연구의 시나리오 3이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2만 TEU급은 2017년, 2만 5000TEU급은 2022년 그리고 3만 TEU급은 2026년 운항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더불어 선박 제원의 경우도 시나리오 3이 적절한 결과라고 판단되었으며, 2만 5000TEU급 컨테이너선의 경우 선장 474m, 선폭 61m, 최대흘수 18.3m가 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3만 TEU급 컨테이너선은 선장 517m, 선폭 65m, 최대흘수 19.4m에 이를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e early 2000’s, many maritime researchers had a negative opinion about this question “Is it possible to go beyond the 18kTEU barrier?” However, 18kTEU+ container vessels have been operated since the second half of 2013. The transportation of containers by sea began in the 1950s, 8kTEU+ container ships were sailed in 2003, 13kTEU+ container ships were deployed in 2006. In 2015, 21kTEU+ container vessels have been ordered and are going to be operated in the second half of 2017.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size of vessel dramatically increase in spite of a negative outlook and technical issues which are related to practical development. (1) the capital costs for the larger units are actually not increasing in a linear progression but slightly below that (2) the economies of scale of the voyage costs can be reduced to the single biggest cost driver: the propulsion consumption of the ships (3) it could be explained the increase of ocean route service demand and the extension of international trade (4) the liner service market becomes more competitive due to the gradual collapse of shipping conference. The mega shipping companies try to have the mega container vessels more and more in order to survive the intense competition. The main maritime routes are expected to redesigned with hub-ports as the center that are being secured depth and infrastructure fixes such as longer and stringer quays, container crane(quay crane). “Mega-ships have mega-dimensions, which pose challenges to ports and require adaptations.” Some main ports in republic of Korea should be prepared to maintain the position of hub-ports. Ports, that is oriented hub-ports all over the world, located in Singapore, Netherlands, and China just accelerate the expansion of port fac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concept container terminal system This study examines some determinants and trends with the growing container vessel siz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time of first appearance on 25kTEU and 30kTEU class container ship and analyze the expected vessel specifications above-mentioned container ship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we expect the trend of growing container vessel size to last due to changing in the scale of container ships from the past until now, trend over 10 years, and the opinion of a so-called ‘experts.’ Secondly, in case of the first service time on ultra large container ships, a scenario 3 of this study is a very high accuracy in comparison with other previous studies. Analysis shows that 20kTEU+ will begin to service in 2017, 25kTEU+ will provide service in 2022, and 30kTEU+ might start to operate in 2026. Thirdly, a scenario 3 of this study is considered appropriate result in the expected vessel specifications. The following are the estimated specifications in case of 25kTEU class (1) Length overall: 474m (2) Breadth: 61m (3) Scantling draft: 18.3m and in case of 30kTEU class, (1) Length overall: 517m (2) Breadth: 65m (3) Scantling draft: 19.4m.

      •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부산항을 중심으로-

        김정훈(Jong-Hoon Kim),류원형(Won-Hyeong Ryu),박신우(Shin-Woo Park),남형식(Hyung-Sik Nam)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1

        컨테이너를 이용한 해상운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컨테이너선의 크기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24,000TEU급 선박의운항이 일반화되어 있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등장에 따른 효율성 및 생산성이 항만의 운영 관점에서 타당한지에 대한 의문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2022년 제10회 부산국제항만컨퍼런스에서는 글로벌 주요 정기선사들의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발주 현황을 분석하여 소강상태에 접어든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요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선박 대형화 요인은 TEU당운송 비용을 낮추는 규모의 경제 실현이며 이는 단일선박으로 대량의 화물을 수송함으로써 단위당 운송비용의 절감과 운송의 효율증가에 비해연료 소모량의 증가가 낮아 단위당 운송비용의 절감 수준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연 항만의 측면에서 이러한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추세가 항만 운영에 있어서 타당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형별 생산성 및 효율성을 비교·분석하여 항만 운영에 있어 선박 대형화의 효과를 평가한다. As containerized maritime transport began in earnest, the size of container ships has steadily increased, and recently, the operation of 24,000 TEU-class vessels has become regular. However, concerns about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such mega container ships from a port operational perspective have continued to be raised. The 10th Busan International Port Conference requested an in-depth study on the trends of container ship enlargement by analyzing the order status of ultra-large container ships from major global liners. Generally, the factor that drives the upsizing of ships is the realization of economies of scale that lowers transportation costs per TEU, which leads to a higher level of cost reduction per unit transportation compared to the increase in fuel consumption due to transporting large amounts of cargo with a single ship.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is trend of container vessel enlargement is feasible for port oper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roductivity and efficeiency of different ship sizes to evaluate the effect of ship size on port operations.

      • 컨테이너 종합운송물류체인 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

        오효진(Hyo-Jin Oh),송용석(Yong-Seok Song),김태원(Tae-Won Kim),남기찬(Ki-Chan Na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 No.-

        Thanks to the theory of the economics of scale, container vessel has been getting bigger and bigger, leading to the launching of 8,000 TEU vessels recently and the getting 10,000 TEU vessels on drawing table. However, the economics of container transportation needs to be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 total transport chain including shipping, port, feeder and inland transport sector. This paper, therefore, tries to present the conceptual models for the evaluation of container transport chain including mega vessels over 10,000 TEU. 해상 구간에서의 선박 운항과 관련된 단위 비용이 선박 대형화에 비례하여 감소한다는 규모의 경제에 근거하여 최근 8,000 TEU급 선박이 운항을 개시하였고, 10,000 TEU급 이상 초대형선(mega ship)이 설계 단계에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 운송의 경제성은 해상 운송 뿐만 아니라 피더 및 내륙 운송 비용 등을 포함하는 총비용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은 기존 컨테이너 선박과 최근 운항을 개시한 8,000 TEU급 선박 그리고 설계 단계에 있는 10,000 TEU급 이상의 초대형 선박을 대상으로 경제성 및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개념적인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부산신항 진출입 항로 내 선박 통항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최봉권,박영수,김니은,김소라,박현구,신동수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물동량 증가로 인하여 부산신항에는 극초대형 컨테이너 선박들이 입항하고 있으며 서컨테이너 부두 건설 사업이 완료되면 부산신항 진출입 항로 내 다양한 조우 상황 발생으로 충돌 위험 상황을 초래할 수 있어 선박 통항 안전성 향상 방안 마련을 위하여 부산신항 내 항만 입출항 현황과 해상교통흐름을 살펴보았으며, AHP 기법을 활용하여 위험요소 및 안전대책 식별로 도출된 안전대책을 기반으로 환경 스트레스 모델을 활용하여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각 안전대책의 교통 위험도를 파악하였다. 설문조사 및 시나리오 평가 결과, 선박운항자는 일방통행을 위한 진입금지 해역 설정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이는 위험도 경감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연구는 부산신항을 입출항 하는 선박들의 통항 안전성 제고를 위한 안전대책 마련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부산신항 진출입 항로 내 선박 통항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최봉권,박영수,김니은,김소라,박현구,신동수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6 No.4

        Busan New Port manages the largest volume of traffic among Korean ports, and accounts for 68.5% of the total volume of the Busan port. Due to this increase in volume, ultra large container ships call at Busan New Port. When the additional south container terminal as well as ongoing construction project of the west container terminal are completed, various encounters may occur at the Busan New Port entrance, which may cause collision risk.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plan to improve the safety of vessel traffic, in the in/out bound fairway of Busan New Port. For this purpose, the status of arrivals and departures of vessels in Busan New Port, was examined through maritime traffic flow analysis. Additionally, risk factors and safety measures were identified, by AHP analysis with ship operators of the study area. Also, based on the derived safety measures, scenarios were set using the Environmental Stress model (ES model), and the traffic risk level of each safety measure was identified through simulation.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setting the no entry area for one-way traffic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itigating risks at the Busan New Port entrance.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preparing safety measures, to improve the navigation of vessels using Busan New Port. If safety measures are prepar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safety by using the traffic volume and flow changes according to the newly-opened berths. 부산항은 우리나라 항만 중 가장 많은 물동량을 처리하고 있으며, 부산신항은 부산항 전체의 물동량 중 68.5%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물동량 증가로 인하여 부산신항에는 극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입항하고, 최근에는 남컨테이너 부두 선석 추가 개장 및 현재 진행중인 서컨테이너 부두 건설 사업이 완료되면 부산신항 진출입 항로 내 다양한 조우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충돌 위험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신항 진출입 항로 내 선박 통항 안전성을 향상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신항 내 항만 입출항 현황, 해상교통흐름을 살펴보았으며, AHP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 수역 이용자들로부터 위험요소 및 안전대책을 식별하였다. 또한, 도출된 안전대책을 기반으로 환경 스트레스 모델(Environmental Stress model, ES model)을 활용하여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 실시하여 각 안전대책의 교통 위험도를 파악하였다. 설문조사 및 시나리오 평가 결과, 선박운항자는 일방통행을 위한 진입금지 해역 설정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이는 위험도 경감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신항을 입출항 하는 선박들의 통항 안전성 제고를 위한 안전대책 마련의 기반이 될 수 있으며, 추후 안전대책이 마련되면 부두 신설에 따라 변화된 교통량과 교통흐름을 활용하여 안전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 초대형 컨테이너선 시대의 등장과 전망

        김재승 국제무역학회 2002 국제무역연구 Vol.8 No.2

        새로운 21세기에 들어 와서 초대형 Container선의 시대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2002년 10월 현재 취항중인 최대형선은 8,000TEU선으로, 현재 10,000TEU급 초대형선 건조를 추진하고 있는 선주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앞으로는 12,500TEU선의 출현도 예고하고 있고, 18,154TEU선의 출현 가능성도 발표되어 초대형화 추세는 어디까지 갈 것인가가 국제해운업계에서는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으나 최근에는 이에 대한 반론과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Container선의 대형화는 규모의 경제성(scale merit)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나 물동량의 증가라는 관점 이외에도 초대형선의 입출항이 가능한 항만수와 하역작업능력의 향상을 비롯한 항만 인프라 개선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어 쉽사리 판단되는 문제는 아니다. 물론 초대형화 추세는 전 국제정기선항로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극동↔구주항로, 극동↔북태평양항로, 구주↔북미주항로에서만 가능한 문제이나, 최근에는 10,000TEU선 이상은 점차 부정적인 견해가 우세해 가고 있는^1) 실정이다. 본고는 초대형 Container선의 대형화 추세가 현재 8,000TEU선에서 어디까지 갈 것이며, 과연 18,000TEU선의 실용화가 가능할 것인가, 그리고 항만인프라가 개선된다고 하더라도 규모의 경제를 누릴 수가 있는 선형은 어디까지인지를 살펴보았다. The age of super large size container ship is coming up even though large size container ships, 8,000TEU class, are operating in the shipping market now. Furthermore, a theory on ultra large size container ship was also reported by Dr. Niko Wijnolst, Netherlands in 1999 and 2001 respectively. The competitive trend of super large size container ship was based on 'scale merit' among the international liner shipping business. But excessive competition regarding super large size container ship will be encroached upon their scale merit by numbers of calling port and other economical factors. This paper will be prospective how to be continued such super large size container ship's competition, and the writer is observing which ultra large size container ship as well new conception of Malaca-Max 18,000TEU class, is possible in economical viewpoints. However, 12,000TEU class of super large size container ship will be the maximum limitation of such competition, and then it is almost impossible to appear Malaca-Max class ultra large size container ship actually, due to economical factors as well as exorbitant building cost, numbers of calling 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