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을 통한 ‘이음세대’ 청소년 선교사역 연구: 힙합 가수 비와이(BewhY) 사례를 중심으로

        홍승만 한국선교신학회 2023 선교신학 Vol.71 No.-

        청소년 시기는 급격한 변화를 겪는 시기이지만 동시에 잠재력과 역동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청소년 세대를 보다 능동적이고 상호의존적인 방식으로 신앙을 갖게 하고, 음악을 통해 복음을 표현하게 하며, 다른 친구들에게나 이어지는 세대에게 복음을 전하는 선교적 제자로 세우는 것은 중요한 청소년 선교사역이다. 그래 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세대를 다음 세대로 보는 것을 넘어서 ‘이음세대’로 세울 뿐 아니라, 수동적인 세대가 아닌 선교적 제자도를 갖춘 세대로 세울 수 있음을 논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선교적 의미를 얻게 되었다. 첫째, 청소년 세대를 이음세대 로 세움으로써 그들이 앞뒤 세대를 이어줄 수 있고, 교회로 세워지며, 하나님의 선교사역에 함께 참여하는 세대가 되게 하며 선교적 제자로 세울 수 있다. 둘째, 음악이라는 구술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청소년세대와 복음으로 소통할 수 있는 좋은 선교적 도구이다. 특히 여러 음악 장르 중 힙합을 통해 복음의 메시지를 표현하는 가수 비와이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힙합이 청소년 세대에게 매력적일 뿐 아니라 스스로 자신의 신앙을 표현하고 다른 이들과도 소통할 수 있는 중요한 선교적 도구이다. The youth period is not only a period of rapid change, but also of potential and dynamism. This study argues that youth generation can be established as “Linkage Generations” but also as generation with missionary discipleship. Therefore, this study maintains firstly, the youth generation can have a important role to connect the front and rear generations as “a church and missionary disciples.” Secondly, the music is a good means of communicating the gospel with the youth generation. Especially, the singer BewhY is one of the most favorite Hip-hop musicians to the youth generation. He expresses the message of the gospel through Hip-hop very fluently. Hip-hop is not only an attractive genre to the youth generation, but also an important missionary tool to express one’s faith and communicate with others.

      • KCI등재

        세대 간 소통을 위한 <구술생애담 공유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노년 세대와 청소년 세대를 중심으로 -

        박현숙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0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4 No.2

        이 글은 세대 간 구술생애담 공유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이다. 세대 간 구술생애담 공유 프로그램은 노인 세대의 구술생애담을 통해 세대 간에 역사·문화적 경험을 공유하게 하고 고독한 노인 세대와 주변에 무관심한 청소년 세대가 정서적 울림을 주고받는 공명을 통하여 두 세대 간의 바람직한 소통과 관계 회복에 기여하고자 개발하였다. 세대 간 구술생애담 공유 프로그램은 노년 세대가 한평생 살아온 인생 이야기를 청소년 세대가 경청하고 기록·정리하여 책으로 제작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계별 활동은 준비-조사-정리-책 제작 4단계로 구성하였고,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청소년 참가자들이 주도해 나가도록 구성하였다. 1단계 준비단계는 청소년 참가자가 구술생애담 이해의 기초, 조사 방법, 질문 기술 학습과 채록 장비를 다루는 기술을 익히는 단계이다. 2단계 조사단계는 사전조사-본조사-보강조사 3단계로 세분화된다. 사전조사는 그룹별 노년 세대 제보자와 청소년 세대 청소년 참가자의 첫 만남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본조사는 제보자 중심으로 진행되는 단계로 제보자 스스로가 정리한 생애담을 구체적으로 구술하고, 청소년 참가자는 제보자의 구술 내용과 이야기판 현장을 꼼꼼하고 생생하게 기록하는 단계이다. 보강조사는 제보자가 소장한 사진을 활용하여 구술 내용을 보강해 나가는 단계이다. 3단계 정리단계는 청소년 참가자가 전사 매뉴얼에 따라 윤색 없이 제보자 구술 내용 그대로 기록하고 검수를 거쳐 수정 보완하는 단계이다. 4단계는 책 제작단계이다. 참가자들이 책 출판의 전 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정리단계에서 전사한 자료를 본문 원고로 삼고, 제보자 소개글 작성, 본문 삽화 그리기, 속표지(title page) 삽화 그리기, 참가자 캐리커처(자화상) 그리기, 활동 후기 작성 활동을 수행한다. 세대 간 구술생애담 공유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정서적 측면, 사회적 측면, 교육적 측면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정서적 측면에서 청소년 세대는 노년 세대의 구술생애담 공유 프로그램의 전 과정 참가를 통해 세대 간 활발한 정서적 교감과 소통을 이루었고, 마을공동체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노년 세대는 청소년 세대와의 소통으로 삶의 활력소를 얻었다고 평가하였고, 자기 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청소년 세대의 노인 세대에 관한 편견과 인식 개선의 변화가 나타났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청소년 세대가 사실적 역사교육은 물론 책에서는 배울 수 없는 이전 세대가 전하는 삶의 지혜를 내면화하는 인성교육, 그리고 기록연구사(archivist), 출판 관련, 미디어 관련 직업교육까지 체득하는 여러 방면의 교육적 성과도 이루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 역시 여느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이 끝난 이후 지속적인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일회성에 그치고 마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세대 간의 소통을 위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후속 활동의 고민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a program sharing oral life stories between generations. The program allows youth to share in historical and cultural experiences by listening to the elderly generation’s oral life stories. Moreover, this program is intended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enerations through the emotional resonance of the lonely elderly and the youth indifferent to the world around them. The program requires the youth to produce a book after listening, recording, and organizing the elderly’s life stories. The activities consist of four stages: preparation, investigation, organization, and book making. The entire program is led by youth participants. In the first stage, the youth participants learn about the basics of oral life stories, investigation methods, questioning techniques, and dealing with recording equipment. The second, investigation stage, is divided into three phases: preliminary investigation, main investigation, and supplementary investigatio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is where the first meeting of the elderly informants and the youth participants occurs. The main investigation centers on the informants, with them telling their life stories. The youth participants meticulously and vividly record this oral content. Supplementary investigation is the reinforcement of the oral life stories through photos. Stage 3 of the organization involves the youth participants recording the oral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py manual, having it inspected, and revising and supplementing it. Stage 4 is the book making part, formed to ensure that youth participants can experience the entire process of book publishing. The youth participants produce a manuscript of the main text using copied data in the organization stage, and they perform activities such as writing an introduction about the informants, drawing illustrations, making a title page, and participants’ caricature, and giving a review of the activity. As a result of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able to achieve the desired emotional, social, and educational goals. Regarding the emotional aspect, the youth achieved active emotional connections and communication with the elderly, which led to their interest in the village community. The elderly generation evaluated that they gained vitality in their live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youth, and their self-esteem also improved. From a social perspective, it improved the youths’ prejudices and perceptions about the elderly generation. In terms of education, not only were the youth able to acquire factual history, but they also acquired personality education that internalizes the wisdom of life conveyed by previous generations that cannot be learned in books, and vocational education related to archivists, publishing, and media. The limitation of the program is thst no continuous follow-up activities were conducted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It is worth considering follow-up activities for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 KCI등재후보

        부양의식의 세대차이와 결정변인에 관한 연구

        김윤정,함정현,이창식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value differences related with caregiving awareness, and to investigate variables affecting caregiving awareness of adolescent-parent generation. Participants were 285 adolescents including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nd 285 parents(average age=45 years) in Choong-nam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revealed that adolescents were higher in caregiving awareness than their parents. Second, parents showed higher score in paternal familism than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 adolescents had higher score in companionate familism than their parents. Third, in filial piety, adolescents were higher than their parents. Fourth, adolescents' caregiving awareness was affected by their parents'. Lastly, adolescents' caregiving awareness positively affected parents'. Accordingly, it was revealed that caregiving values, behaviors, and view of being supported by offsprings differs adolescents from their parents. But adolescents interact their parents with caregiving values, behaviors, view of being supported. As a result, the study showed that the family is dynamical. 본 연구는 현재의 청소년들과 그들의 부모세대를 대상으로 하여 부양과 관련된 여러 가지 영역의 가치관의 세대차이를 조사하고, 청소년과 그 부모의 부양의식을 결정짓는 변수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중·고·대학생 285명과 그들의 부모 285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부양의식이 부모세대의 부양의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주의 가치관의 세대차이에서 가부장적 가치관은 부모세대가 높고, 우애주의적 가치관은 청소년세대가 높았다. 셋째, 효의식에서 청소년의 효의식이 부모세대의 효의식보다 높았다. 넷째, 청소년의 부양의식에 부모의 부양의식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부양의식이 부모의 부양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양관련 가치관과 부양행동, 노후피부양관에서 세대 간 유사성 보다는 차이점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의 부양가치관과 부양행동, 노후피부양관은 각 세대가 다른 세대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족관계 안에서의 역동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주의와 세대 신화

        원용진(Yong-Jin Won),이동연(Dong-Yeon Lee),노명우(Myung-Woo Nho)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6 No.-

        청소년과 관련된 연구들은 ‘청소년주의’라는 덫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 집단을 단일한 특성을 지닌 연령 집단으로 보는 가정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그 집착은 청소년을 성인세대와 대당으로 놓는 경향으로 연장된다. 이어 세대 논쟁으로 옮겨가기도 한다. 물론 이같은 분류 혹은 대당은 전혀 근거가 없지는 않다. 대중매체의 성장으로 인해 청소년 세대의 문화가 획일화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일면 정당성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청소년들이 학교라는 공동체를 통해 동일 정체성을 가질 가능성도 과거에 비해 높아졌다. 하지만 청소년집단이 성인기에 진입한 후 동맹집단으로 존재하지 않고 있음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청소년 집단을 세대 집단으로만 한정짓기에는 청소년을 내부로부터 구별지어주는 명백한 변인들이 존재하고 있다. 부모의 계급이나 청소년들의 성별 등에 주목하지 않고서는 청소년 집단의 내부적 차이, 그들의 ‘구별 짓기’ 등을 설명해낼 수가 없다. 청소년주의라는 덫은 연구자가 오류를 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소외시키는 신화적 효력을 내게 된다. 'Youthism' is pushing the youth research field into a trap of binarism fallacy. It tends to divide the whole population into the young and the old, and further gives an acceleration toward moving the division into the discursive realm of generation gap. The discursive transference is not taking place without any reasonable grounds. The series of discourse is based on two significant phenomena: changes in media background and longer schooling than ever before. Media environment overriding youth culture binds the young in a group and makes them enjoy homogeneous cultural genres. And schooling also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youth to have same cultural menus regardless of region, social strata, cultural background. But we need to recognize that after getting into the adulthood, they are not existing in the form of alliance. The youth are not in a homogeneous group. Neither are their culture. The youth are consisted of a variety of groups along such variables as gender, class of their parents. They tend to make distinction not only from the older generation but from the other peer groups. Unless avoiding the trap of youthism, we are blamed for closing eyes to the youth's desire to be distinctive among themselves. Youthism seems to be an active myth even in our academic society.

      • KCI등재후보

        SF 웹툰에서의 ‘비인간’ 청소년 연구 -<하우스키퍼>, <나노리스트>, <캉타우>, <숲속의 담>을 중심으로-

        최배은 ( Choi Bae-eun ) 방정환연구소 2022 방정환연구 Vol.8 No.-

        이 논문은 최근 아동ㆍ청소년 독자가 자발적으로 향유하는 이야기인 네이버 웹툰 <하우스키퍼>, <나노리스트>, <캉타우>, <숲속의 담>을 중심으로 SF 웹툰에서의 비인간 청소년 인물의 성격과 역할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한 연구이다. 인물의 성격은 웹툰에서 효과적으로 재현되는 외모에 주의를 기울이며 그들의 신분, 심리, 기능적 특질을 분석하였다. 특히 중심사건의 갈등에 주목하여 비인간 청소년 인물의 욕망 및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 상징 및 사회문화적 의미에 대해 해석하였다. <하우스키퍼>와 <나노리스트>에서 주인공 AI는 여성 청소년의 신체로 다른 AI들 및 신세대 인간들과 연대하여 부도덕하고 병적인 욕망에 집착한 기성세대 인간들과 대결하며 그들로부터 생명의 위협을 받는 가족(남성 아동ㆍ청소년 인간)을 보호한다. <캉타우>에서 남성 청소년인 주인공 강현은 젊은 세대들이 이끄는 오크타의 선택을 받아 외계 사이보그로 존재 변이를 일으킨다. 강현은 외계 전사가 되어서 압도적인 강인함을 획득한 후, 기성세대들이 이끄는 스펠타의 침략에 맞서 지구를 보호한다. <숲속의 담>에선 신적 능력을 지닌 청소년 주인공 담이 사람들로부터 고립된 삶을 살다가 어른들에게 버림받은 청소년들과 새로운 가족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기성세대 적대자를 제거하고 자기 운명을 받아들여 지구를 살리는 존재로 거듭난다. SF 웹툰에서 비인간 청소년은 영웅으로 성장하여 인간 기성세대들의 부당한 폭력에 맞서서 오히려 사람의 생명을 소중히 하고 세상을 구하는 모순을 보인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청소년에게 가해진 기성세대의 억압을 상징하고, 과학기술 특히 AI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기대를 반영하며, 기성세대가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청소년 세대가 해결하기 바라는 희망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 작품들은 새로운 것을 지향하고 긍정하면서도 휴머니즘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면이 강하다는 한계가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non-human youth characters in SF webtoons and interpreted their meanings, focusing on Naver webtoons, < HouseKeeper > < Nanolist >, < Kantau > and < Dam in the Forest >, which are stories enjoyed voluntarily by children and juvenile readers.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the appearance effectively reproduced in webtoons to analyze their identity, psych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nflict of the central event, the desires and roles of juvenile characters were analyzed in depth, and the symbols and their socio-cultural meanings were interpreted. In “HouseKeeper” and “Nanolist”, the main character AI has a female body. It confronts older human generations obsessed with immoral and pathological desires in solidarity with other AIs and new human generations to protect families (young boys and youths) whose life is threatened by them. In “Kangtau”, Kang Hyun, the main character, is a teenage boy, and he is mutated into an alien cyborg as a result of the choice of Okta, the younger generation group. After becoming an alien warrior and gaining overwhelming strength, Kang Hyun protects the Earth against the invasion of Spelta, the older generation group. In “Dam in the Forest”, Dam, the main character, is a youth with divine ability, lives an isolated life from people and forms a new family community with teenagers abandoned by adults, eliminating the enemies of the older generation and accepting his fate to save the planet. In SF webtoons, it is ironical that non-human juveniles grow up to be heroes and value human lives and save the world by confronting unfair violence by the older generation. This symbolizes the oppression of the older generation on the younger generation in our society, reflects positive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AI, and represents the hope that the younger generation will solve problems that the older generation has not solved. However, though these works aim for new things and affirm them, they have the llimit of being both anthropocentric and androcentric.

      • KCI등재

        민족에서 세대로 보는 선교: 성령론적 선교신학을 통한 청소년 선교

        이승병 한국선교신학회 2019 선교신학 Vol.55 No.-

        연구자는 현대 청소년 사역이 현재 다양하게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는 청소년들이 교회를 계속해서 이탈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를 파악하였다. 이것은 그간의 기독교 교육학적이며 기독론 중심의 청소년 사역의 한계이다. 그러므로 이제는 교육학적이며 기독론적인 사역에서 벗어나 선교학적이며 성령론적인 청소년사역으로 청소년사역의 틀을 전환을 해야 하는 시기에 와있다. 이렇게 청소년 사역을 선교로 전환하며 성령론적으로 나아가기 위해 각각의 모델을 제시하였는데 바로 남정우의 “미전도세대(Unreached Generation) 선교”1)와 바로 아모스 용(Amos Yong)의 성령론적 선교신학이다. 결국 이러한 용의 성령론적 선교신학을 통한 청소년 사역은 복음선포와 선한 사역 그리고 영적인 방법으로의 전도와 양육이 이루어져서 새로운 청소년 선교에 시대를 가져올 것이다. It is true that there are a number of youth ministries in Korea like seminars, organizations, and camp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a number of youth left their church and faith. This study confirms that Christian educational and Christological youth ministry is the reason for the problem of youth ministry today. Now is the time to shift away from Christian educational and Christological youth ministry towards a youth mission driven by the Holy Spirit. More importantly, the founder of mission is the Holy Spirit. The church needs to continue its pneumatological and missional prerogative. This paper aims to illustrate that a model of Youth Mission through the pneumatological missiology of Amos Yong is significantly relevant today.

      • KCI등재

        구비설화를 활용한 청소년 세대 갈등의 문학치료학적 접근

        김혜미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78 No.-

        In the study, From the point of view of lliterarytherapeutics, concerned about the problem of generational conflict. Youth response to the narrative was confirmed to confirm the problem of generation conflict. Reactions of the folktales. And as a teenager, identified the problem of generational conflict. Through the narrative response, find the cause of the generation conflict. As a result, generational conflict has been defined as a clash of rules between generations. Next, a folktales was selected for the design of a literarytherapy program. The selection of the folktale proceeded on two criteria. First, conflicts between parents and youth should emerge. Second, parents' and children's laws should appear. The stories chosen by these standards are <Punished Dragon’s son>, <Father-in-law to make a nobleman> and <Father of the Great Yama and the Son of the King> 본 연구에서는 문학치료학의 관점에서 세대 갈등 문제를 고민하였다. 문학치료학은 우리 삶에서 인간관계를 맺는 주체들이 어떻게 집단을 형성하며, 형성된 집단 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사태들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학문이다. 문학치료학은 무엇보다 사람들이 맺는 인간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세대 갈등이야말로 인간관계를 통한 집단 안에서 나타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문학치료학적 시각을 통해 세대 갈등을 이해하고 해결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2장에서는 설화 <지붕에 소 올리라는 아버지>와 <내 복에 산다>에 대한 청소년의 반응, 그리고 <내 복에 산다>의 재창작 양상을 살펴보았다. 청소년의 반응을 통해 확인해 보았을 때 세대 갈등은 자기 세대 안에서는 공공성과 보편성을 띄고 있는 법칙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상대방의 세대에는 공공성과 보편성을 띄지 못하는 법칙인 것이었다. 이전 세대와 이후 세대의 법칙 간의 갈등이 일어나는 것이고, 모두 정당한 법칙을 가지고 있기에 그 간극이 줄어들기 어려운 것이다. 문학치료학적으로 세대 갈등을 정의해 보자면 ‘서로 다른 두 세대 간의 법칙 대결’이라고 할 수 있다. 문학치료학의 개념을 통해 세대 갈등의 의미를 탐색한 것을 기준으로 3장에서는 문학치료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설화를 선정하였다. 설화는 크게 두 가지 기준을 두고 선정되었다. 첫 번째, 두 세대 간의 대결이 나타나야 한다는 기준이다. 세대갈등은 문학작품의 경우 주로 가족 내, 특히 부자(父子) 간의 갈등으로 현현되어 나타기에 본 연구에서도 부자 간의 갈등이 나타나는 작품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두 번째 선정 기준은 두 세대에 각각 정당한 법칙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설화에서 상대성으로 인해 두 세대가 서로를 이해하지는 못하더라도 설화 안에서 각 세대의 명확한 법칙을 제시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준으로 선정된 설화는 세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 아버지 세대인 기존의 법칙이 드러나는 부분, 두 번째 단계, 새로운 법칙, 즉 자녀 세대의 법칙이 드러나는 부분, 세 번째 단계, 기존의 법칙과 새로운 법칙의 충돌결과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이로 인해 선정된 설화는 <가뭄에 비 내리고 벌받은 용자>, <상놈 시아버지 양반 만든 정승 딸>, <염라대왕이 된 아버지와 왕이 된 막내아들>이다. 이후 연구에서는 선정된 설화 뿐만 아니라 이후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 설화 작품군의 추가 탐색을 통해 청소년 대상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할 것이다. 세대 갈등 문제는 청소년들에게 가장 직접적으로 해결해야만 하고, 가장 당면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후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선정된 설화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본 연구의 과제라고 하겠다.

      • 한국의 N세대와 인터넷 문화

        김현미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2 사회발전연구 Vol.- No.8

        N세대는 디지털 기술 혁명을 일상적으로 '체험'한 첫 세대이다. 이들의 삶의 조건은 디지털이라는 매체와 복잡하게 얽혀져 있으며, 인터넷이나 핸드폰이 단순히 기능적인 차원에서의 도구가 아닌 이들의 감정과 정서를 구성하는 주요한 매체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N세대에 대한 대중적인 담론에도 불하고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들의 어떻게 인터넷 매체를 다각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어떻게 경험하고 활용하며 의미를 부여하는가를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청소년'과 인터넷의 관련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가 주로 청소년의 인터넷 활용 실태에 관한 통계적 조사이거나 인터넷의 부정적 효과로서 게임중독이나 성인물에의 노출도 등에 관심을 가졌다면,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정체성을 확보해 가는 과정과 그들의 주관적 해석에 주목한다. 청소년들은 인터넷 게임의 생산자와 소비자로서, 또한 의사 소통의 확장된 채널로서, 그리고 일터로서, '시민사회'적 커뮤니티의 질서를 실험해 보는 장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인터넷과 접속되고 있다. 청소년들의 다양한 인터넷 활용 양상을 분석한 본 연구는 교육, 소비, 일, 오락, 비즈니스 등 전반적인 부분에서 디지털 기술과 일상 문화가 결합하는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N세대로서 청소년들이 만들어 가고 있는 사이버 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KCI등재

        청소년 안녕감에 대한 어머니 안녕감의 세대간 전이: 대화시간 및 양육태도를 고려한 다수준 분석

        류지아,김주현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9

        Using a multi-level analysis and the third wave data from the KCYPS 2018,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others’ subjective well-being on that of their adolescent children’s based on the family systems theory.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fluence of mothers' SWB in relation to the interactional factors that are prerequisites for the wholeness of family systems, including parent-child conversation time and parenting attitude. Our results reveal that a mother's SWB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SWB. An addi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parent-child conversation time differs significantly among adolescents based on their mothers' SWB levels. Parent-child conversations only influence adolescents whose mothers have a lower level of SWB. Further, the impact of parenting attitude does not differ significantly. We propose that mother-centered policies are required to increase adolescents’ well-being.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패널(2018년)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해 가족체계이론을 바탕으로 청소년 보호요인으로써 어머니 안녕감의 청소년 자녀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가족체계의 위계구조 안에서 안녕감이 세대간 전이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어머니 안녕감의 세대간 전이 효과를 분석함에 있어 가족체계 전체성의 전제가 되는 구성원간 상호작용 요인인 부모와의 대화 시간과 부모의 양육 태도를 활용해 가족체계 안에서 어머니 안녕감의 영향을 추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어머니 안녕감은 청소년 자녀들의 안녕감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청소년의 안녕감에 대한 부모 자녀 대화 효과는 안녕감이 낮은 어머니의 청소년 자녀에게서만 유의미하였고, 안녕감이 높은 어머니의 청소년 자녀들은 대화 시간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모든 집단의 청소년에게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청소년의 안녕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안녕감이 높은 어머니의 청소년 자녀들이 같은 수준의 부모 양육태도를 갖는 안녕감이 낮은 어머니의 청소년 자녀들에 비해 높은 수준의 안녕감을 보였다.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 가족을 체계의 관점으로 접근하여 어머니에 대한 정책적 지원에도 관심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안한다.

      • KCI등재

        N세대가 지각한 남북한 청소년의 의식구조 차이에 관한 연구

        이창식 ( Chang Seek Lee ),김윤정 ( Yun Jeong Kim ) 한국청소년학회 2002 청소년학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남북한청소년의 의식구조의 차이에 대한 정확한 규명이 없이는 통일 이전 남북청소년간 교류방안이나 통일 이후 청소년들의 사회적응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이나 정책수립이 어렵다는 전제하에, N세대인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688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지각하는 남한청소년의 의식구조와 북한청소년의 의식구조, 남북한 청소년의 의식구조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서 통일 후 사회문화적 통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첫째, 남한청소년이 지각하는 남한청소년의 의식구조와 북한청소년의 의식구조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한청소년들의 성, 학교급, 지역에 따라 북한청소년에 대한 의식구조의 차이를 지각하는 점도에 차이가 났다. 구체적으로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북한청소년들을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학교급에 따라서는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지역에 따라서는 중소도시에 사는 청소년에 비해 대도시나 농촌에 사는 청소년들이 북한청소년에 대한 의식구조의 차이(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모두)룰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일의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현재의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북한청소년과의 의식구조의 차이를 해소시키고, 동일전후 남북한 사회문화적 통합을 위한 교육적 · 정책적 프로그램 및 남북한 교류방안들은 남한청소년의 특성(성, 학교급, 지역)에 따라 차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좀 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의식구조의 차이 해소 방안들과 정책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In the absence of the exact examination of the perception of South Koreas youth regarding the youth of North Korea and the analysis on the heterogeneity of impression of South Korean youth on North Korean youth, it is very hard to establish the interchange plan betwee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youths, develop a concrete program for youths to enable them to adapt to a new society after national reunification, and formulate related policies for the Korean youth. Based on this assumption,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ocial integration after the reunification by studying the way of thinking of both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youths and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m. A total of 688 students from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called the N-generati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ay of thinking of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youths as perceived by the South Korean youth. Likewise, there was considerable difference of views among South Korean youth regarding North Korean youth depending on sex, academic level, and region. In particular, female students regarded North Korean youth more negatively compared with male students. In terms of academic leve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perceived North Korean youth more negatively compared with middle school students. Similarly, the youth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claimed to feel differently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about North Korean youth compared with the youth living in rural areas or large cities.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a differentiated educational and social program for the so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and exchange plans betwee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youths based on sex, academic level, and region. Likewise,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 youths in North and South Korean youth should be resolved, since they will play the leading role in national reunification and consequent social integr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more practical and concrete plan to solve the heterogeneity between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you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