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현대청소년소설과 『위저드 베이커리』

        김경애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4

        This study was written for finding the worth of the fiction 『Wizard Bakery』written by Gu Byung-Mo and settling the concept and the category of the Korean modern juvenile fiction. This fiction has the structure of the juvenile fiction but has special aspects. The first, the protagonist juvenile is different from the others in Korean modern juvenile fiction. He had not any families had anxious about himself. And the character of his parents is different from the others. They are not to be worry about their son but to feel heavy their problems. So the protagonist juvenile say he loses his fairy tales in this novel. If I view this context, this novel is showed the new point of view about Korean modern juvenile fiction and have been understood the problems juvenile have actually. But this novel have spoken ill by many investigators, because it was considered it has not the structure of a growth or the process of growth. But they are not suitable. So I wrote this paper for clearness as follows; this novel has not the structure of a growth but also the worth as a juvenile fiction. 이 글에서는 『위저드 베이커리』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청소년소설 내부에 나타난 미묘한 움직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소설은 성장의 플롯을 지닌 현대청소년소설로 볼 수 있다. ‘탈가를 통한 세상과의 봉합’으로 요약되는 스토리는, 이 소설이 기존의 성장 트랙을 따르지 않았음을 말해준다. 이 소설이 폄하되어온 맥락에는 성장의 플롯이 약하다는 인식이 강했다. 그러나 이 소설은 성장이 없는 소설이 아니라, 또 다른 성장을 이야기한 소설로 볼 수 있다. 유아성애라는 병을 앓고 있는 아버지에게서 벗어나 성장해야 하는 주인공에게 현실적 공간은 의미가 없었을 수 있다. 태생은 청소년이 어쩔 수가 없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 소설의 판타지 수용은 ‘단지 거기 있었을 뿐인’ 청소년을 위로하려는 의도가 강하다. 모델독자로 삼은 청소년이 잠시만이라도 위안 받을 수 있다면, 이 소설의 판타지는 그 몫을 다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이 소설은 가려진 청소년 문제를 현실적으로 이해한 소설이며, 기존 청소년소설이 은폐해온 불편한 진실을 날카롭게 파헤친 소설인 동시에, 청소년의 코드로 청소년을 이해하고 위로하고자 한 소설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 사회의 섬뜩한 진실을 보여주었을 뿐 아니라,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는 교훈을 주었다는 점에서 가치 있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생태주의적 상상력과 교육적 의미 연구

        김지혜(Kim, Ji-Hye) 문학과환경학회 2016 문학과 환경 Vol.15 No.4

        본 논문은 최근 약진하고 있는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생태주의적 상상력을 살펴보고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소년문학은 청소년의 경험을, 청소년의 관점에서, 청소년이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청소년을 독자로 상정하고 창작된 작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청소년소설은 2000년대 이후 여러 출판사에서 청소년문학상의 제정과 함께 그 저변을 넓히고 있으며, 당대 청소년들의 욕망과 갈등, 그리고 저항정신을 즉각적으로 반영하며 다양화되고 있다. 최근 여러 청소년소설에서는 정신적 위기를 맞이한 청소년 인물들의 갈등과 저항의식을 그려내고 있다. 소설 속 청소년 인물들은 근대의 성장제일주의, 약육강식의 질서 속에 진입하기를 강요당하며, 그 과정에서 세계와 불화를 겪고 있다. 『하이킹 걸즈』에서 학교 폭력의 가해자인 은성과 학교 폭력의 피해자인 보라는 모두 약육강식의 세계 속 피해자들이다. 그리고 『스프링벅』과 『목요일, 사이프러스에서』는 명문대 진학만을 강요하는 부모와 그에 대한 반발을 겪는 청소년들을 그리고 있다. 또한 『모두 깜언』에서는 언청이로 태어나 부모에게 버림받은 유정을 통해 결핍을 지닌 인물의 내면을 담아내고 있다. 즉 이들 소설에서는 근대의 적자생존, 약육강식의 논리가 얼마나 청소년들을 병들게 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들 소설에서는 이러한 인물들의 갈등과 방황의 해결책을 자연의 원리에서 찾고 있다. 이 소설들에 등장하는 자연은 단순한 비유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중요한 상징이 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인식론적 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는 인간과 자연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관계적’ 인식, 즉 유기적이며 총체적인 세계 인식이 담겨져 있다. 이는 모든 생물의 상호 의존성을 강조하는 생태학적 인식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이들 소설에는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상생적 연대를 그리고 있다. 이는 생태계의 다양한 유기적 생명체들이 조화롭게 살고 있듯이, 다양한 개인들로 구성되어 있는 인간 사회 역시 억압적인 위계질서가 아닌 호혜적인 연결 구조로 재편되어야 한다는 사회생태주의적 인식과 맞닿아 있다.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이러한 생태주의적 인식은 지나친 입시 경쟁, 생명 경시 풍조 등으로 정신적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긍정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리고 이러한 청소년소설은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문학교육적인 의의를 지닌다. 청소년소설은 청소년들의 실질적인 문제를 다룸으로써 교과서에 실린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이 주지 못하는 즐거움과 감동, 치유를 선사할 수 있다. 또한 생태주의적 관점을 담은 청소년소설은 청소년 독자들의 건강한 성장 및 공동체의식 함양을 도울 수 있으며, 생태주의적 인식의 전환을 통해 더 나은 사회를 건설할 수 있는 윤리적, 창조적 주체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ecological imagination and educational meaning in adolescent novels that recently have become popular. The adolescent literature can be defined as the work created for adolescent readers with forms that they can understand in their perspectives. Since 2000, many publishers have expanded the base of adolescent literature by establishing award for adolescent literature. Accordingly, recent adolescent novels instantly reflect contemporary adolescents" desires, conflicts and resistant spirit and diversify their themes. Recent adolescent novels contain actual problems that adolescents experience, and these problems are overcome through ecological imagination. Adolescent characters in the novels are forced to enter modern growth first belief and the law of jungle, and in the process, they are suffering from conflicts with the world. In the novel 『Hiking Girls』, both Eunseong, the inflictor of school violence, and Bora, the victim of school violence, are victims of the law of jungle. The novels 『Springbuck』 and 『Thursday, at Cyprus』 are describing parents who force their kids to enter prestigious colleges and their kids who defy parents. The novel 『All ggameon』 contains inner side of a human who doesn"t have enough through the character, Yoojeong who is abandoned because she was born as a harelip. These novels show how modern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e law of jungle deteriorate adolescents. In these novels, the solution of characters" conflicts and wandering is found in the principle of nature. The nature in these novels doesn"t function as simple comparison, but becomes an important symbol that provides clue to the problems. Furthermore, it makes epistemic transition of human and nature possible. There is "relational" perception that human and nature are connected, which is organic and holistic world perception. This is related to ecological perception that emphasizes interdependence of all creatures. The ecological perception in adolescent novels can convey positive messages to adolescents who are suffering from mental crisis with excessive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and disregard for lives. In addition, adolescent novels contain desires and conflicts that actual adolescents experience, and give them the vicarious experience of conflict resolution, so that they can be presented with impression and pleasure that literatures in school textbooks never present.

      • KCI등재후보

        청소년소설 침체 양상 연구 - 청소년소설가를 중심으로

        김학찬 ( Kim Hakcha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문교육 Vol.25 No.-

        2000년대 중후반 『완득이』를 기점으로 청소년소설에 대한 관심과 기대는 증가했다. 그러나 10여 년이 지난 지금, 청소년소설의 출판은 크게 줄어들고 있다. 또, 청소년소설의 성공적인 사례도 여전히 『완득이』에 머물고 있다. 청소년소설의 위축은 청소년소설가의 탄생 때부터 내재된 문제이다. 유력출판사들은 청소년소설의 확장을 위해 청소년문학상 공모전을 시작했다. 청소년소설가는 청소년문학상을 통해 만들어졌고, 2000년대 중후반 단행본이 있는 실재하는 ‘소설가’가 되었다. 그러나 김려령, 구병모, 정유정의 사례에서 청소년소설가가 일반소설로 이탈하는 경향이 발견된다. 청소년문학상을 받은 대표적인 초기 청소년소설가들이 일반소설에 더 집중하거나, 이들이 쓴 청소년소설이 청소년소설이 아닌 것처럼 출판되는 현상은 청소년소설 장르자체의 문제이다. 본고는 이 문제를 연구와 비평을 통해 우회적으로 살펴보았다. 청소년문학상이 제정되기 이전부터, 청소년소설은 정말 청소년이 읽을 문학적 가치가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받아왔다. 이 질문은 지금까지도 반복해서 청소년소설의 문학성 문제로 지적된다. 청소년소설이 문학성을 가져야 한다는 점은 자명하다. 그런데 이 문학성이 일반소설의 문학성과 동일한 것이라면, 문학성이 있는 소설일수록 일반소설로 발표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청소년소설은 일반소설의 하위 리그처럼 존재하고 있다. 청소년소설은 청소년을 독자로 전제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면 일반소설과 구별되는 정체성이 부재한 상태이다. 청소년소설이 침체되는 양상을 띠게 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소년소설은 일반소설과는 구별되는 ‘청소년소설됨’의 요건을 모색해야 하며 이는 추후 과제로 남겨둔다. In the mid to late 2000s, when the literary scene was punctuated by Wandeugi, the public’s interest and expectations for young adult novels increased. However, after more than a decade, the publication of young adult novels is now shrinking dramatically. In addition, after the success of Wandeugi, there have been no notable cases of success in terms of young adult novels. The stagnation of young adult novels is a problem inherent in the birth of young adult novel writers. Leading publishers launched young adult literature awards in order to expand the genre. The awards could spotlight new writers, and in the mid and late 2000s, these winners became actual “novelists” with published books.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tendency for young adult novel writers to turn their eye to writing general novels, as in the cases of Kim Ryeo-ryeong, Gu Byeong-mo, and Jung Yoo-jung. It is the problem of the genre itself that representative writers, who received the young adult literature awards, focus more on general novels, or that the novels written by them are not published as young adult novels. This study explores these issues through research and criticism. Even before the young adult literature awards were established, there had been questions as to whether they have actual literary value. And even now this is repeatedly pointed out as the literary problem of the genre. It is clear that young adult novels themselves should have literary value; however, if their value is the same as that of general novels, what is evident is it would be more advantageous for young adult novels with greater literary value to be published as general novels. Young adult novels are generally perceived as a sub-category of general novels. They have no particularly distinct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them from general novels, other than the fact that they target teenagers as readers. This is the reason why there has been stagnation in publication of young adult novel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genre should seek requirements for “the identity of young adult novels,” which will then differentiate them from general novels, and that is left as a future task.

      • KCI등재후보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폭력과 아버지상의 상관관계 연구

        이지현(Lee, Ji-Hyu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5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9

        본고는 2000년 이후 발표된 한국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폭력 양상과 폭력이 청소년 주인공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청소년소설에 등장하는 폭력의 시작이 가정, 즉 아버지에게서 시작될 경우 주인공의 자아정체성과 성장에 밀접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청소년소설에 등장하는 폭력 양상을 가정과 학교라는 배경으로 단순화시켜보았다면, 본고에서는 배경이 문제가 아니라 폭력의 출발점을 가정으로 보고 가정의 중심인 아버지 존재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음을 밝힌다. 또한 청소년소설에서 갈등의 주축으로 등장하는 ‘폭력’이 단순한 소재로서 사건을 극대화시키는 요소가 아니라, 청소년 독자에게 ‘긍정적인 성장’의 발판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2000년 이후 출간된 청소년문학상 수상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폭력과 아버지상의 상관관계를 통해 청소년소설의 궁극적 목적인 ‘성장’이란 주제를 작품들이 어떻게 구사하고 있으며 청소년 주인공들은 어떤 변화를 통해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지 고찰한다. 특히 작품 속에 등장하는 아버지의 양상을 분류하여 주인공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인 아버지상은 가정 폭력의 시작이 되는 존재로서 주로 물리적인 폭력의 주인공이 되는 경우이다. 둘째, 긍정적인 아버지상은 청소년 주인공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인물이다. 가정 내에 존재하는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로 나뉘는데 본고에서는 부재함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주인공에게 정신적인 지주가 되는 존재를 예로 삼았다. 셋째, 부정적 →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아버지상이다. 청소년소설에서 가장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아버지상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미성년의 주인공과 성인으로 대표되는 아버지가 함께 갈등을 풀어나가면서 성장한다. 청소년소설에서 요구하는 가장 바람직한 주제 표출 방식이라고 할 수 있겠다. 살펴본 대다수의 청소년소설에서 주인공 청소년이 폭력의 상처를 이겨내고 스스로 치유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폭력이란 부정적인 소재의 한계가 청소년소설에 있어서 지양해야 할 요소가 아니라 아버지란 존재와 청소년 주인공과의 관계를 조망하면서 청소년들에게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점을 환기한다. 또한 청소년소설에서 가정 폭력, 학교 폭력뿐만 아니라 다문화가정 폭력이나 장애인, 노인 폭력 등과 같은 사회적 폭력이 청소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밝힌다. This studied about an effect of violence and aspects on main character under age in Korea young-adult novels after published in 2000. When the beginning of violence in young-adult novels is a family, in other words, father, it was revealed that identity of main character and growth were deeply affected from him. ‘Violence’ which is a main conflict of young-adult novels is not a simply material to maximize, affair, but it could be a steppingstone of ‘positive growth’ to adolescent readers. Mainly discussing about pieces of the award-winning novelists in young People’s Literature published after 2000, it studies how novels describe the ultimate goal of young-adult novels, ‘growth’ in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and father and how adolescent characters build their identities. Especially effects of father on main character are as in the following after classifying aspects of fathers in the novels. First, negative father figure is the beginning of family violence and usually he usually uses physical violence. Second, positive father figure gives good effects on adolescent character. There are two cases that father is in the family or not, and this study gives an that father figure doesn’t exist but take a role of spiritual guide. Third, father figure changes from negative to positive. It is the most common in young-adult novels. In this case, adolescent character and father who represents adults have grown to solve conflicts. It is the most desirable way of representing theme in young-adult novels. Most young-adult novels describe the process adolescents characters try to overcome injuries of violence and heal by themselves. And it evokes that limitation of violence, negative material is not a fact to avoid but it takes a view of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adolescent character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growing to adolescence. And there is a necessity to examine effects of social violence on lives of adolescence such as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disabled and violence against the elderly in young-adult novels which are published after 2000.

      • KCI등재

        독일어권 현대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타자성과 다문화성

        장영은(Chang, Young-E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코기토 Vol.- No.71

        이 논문은 독일어권 현대 아동청소년문학 가운데 최근 80/90년대 이후의 청소년소설에 주목하여 장르적 특성과 대표작품들을 살펴보고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오스트리아 여성 아동청소년문학작가 레나테벨쉬의 『디다, 혹은 낯선 아이』를 선택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 현대 독일어권 청소년소설은 한편으론 18세기부터 서사문학의 전통에 자리하던 ‘고전적 내지 전통적인 청소년소설’의 서사적 전통과의 연관관계 속에서 세대 간의 갈등과 국가 사이의 다양한 문화적 갈등이 대두되고 있는 현대 사회의 청소년문화현상을 문학의 주제로 채택하여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집중시킨다. 급변하는 사회구조와 매체의 발달로 현실과 가상세계를 오가는 청소년들은 자아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동시에 개인의 자아와 외부세계 및 환경에 대한 인식사이에 두드러지는 ‘타자성’을 인지하는 시기에 자리한다. 아울러 급변하는 사회구조와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다문화성’의 사회적 환경속에서 다른 문화, 다른 사람 사이의 공감적 소통이 요구되는 현실 상황에서 청소년의 ‘사이의 문화’를 문학의 담론으로 채택하고 있는 청소년소설은 화해와 상생을 위한 대안모색에 중요한 인식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80년대와 90년대의 청소년소설은 새로운 청소년의 문제영역과 행동양식, 사회화과정과 가치인식 등을 형상화하며 한 명 내지 여러 명의 청소년 주인공을 중심으로 주로 청소년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소설의 내용이 전개된다. 그리고 ‘전통적 청소년소설’에서는 주로 남자주인공이 선보였지만, 현대 청소년소설에서는 소녀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면서 전통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자유로워지려는 해방적 소녀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리고 90년대의 청소년소설은 70년대와 80년대 초반의 청소년문화가 기성세대에 대항하는 저항적 성격을 강하게 표출하였던 것과는 달리, 90년대에 이르러선 환경, 자연, 가족 등을 둘러싼 일상문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작품들의 공통적인 특성은 작품의 청소년주인공들이 여러 나라와 글로벌시티로 이동하면서 겪는 이국적인 또는 낯선 문화들에 대한 체험들이 부각된다는 점이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청소년은 일종의 유목민처럼 다양한 국가경계를 넘나들고, 또는 광섬유로 연결된 네트워크와 사이버 공간을 오가며 낯선 사람들과 낯선 문화들을 만나고, 그들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자신 역시 낯선 문화의 낯선 사람일 수 있다는 인식에 도달하며, 현대사회의 ‘다문화성’과 ‘문화적 다수성’을 체험하는 것이다. 레나테 벨쉬는 『디다, 혹은 낯선 아이』를 통해서 ‘타자성’과 ‘다문화성’의 주제를 과거시대인 2차 세계대전 시기의 디다라는 소녀아이의 관점에서 풀어낸다. 그러나 그녀가 다루고 있는 다양한 이야기의 소재들은 현대의 청소년이 겪는 정체성의 위기와 문화적 갈등을 함의한 소재들과 유사하며, 특히 디다의 내적 독백은 현대 청소년독자를 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대인에 대한 오스트리아인들의 태도, 아버지의 재혼으로 인한 낯선 사람들로 구성된 기정, 전쟁을 피해 정든 고향을 떠나서 생활하게 되는 난민으로서의 생활, 미국과 러시아 점령군인과의 체험 등은 ‘그 여자아이’라는 의미의 ‘디다’로만 불리던 한 소녀가 스스로 우르젤이라는 자신의 이름을 찾아가는 내면여행에서 타자성과 다문화성을 인식하는 중요한 체험들이며 전체 소설은 열린 결말과 함께 끝을 맺고 있다. 벨쉬의 청소년문학 텍스트는 청소년의 사회화 괴정에서 청소년이 맞닥뜨리게 되는 현사회의 타자성과 다문화성을 선취하여, 독자인 청소년에게 과거와 현대를 이어주는 매개체로서 단절된 세대 사이의 소통의 장이 되며, 심리적 감정세계와 인지적 판단 사이에서 이타적으로 낯선, 다른 것을 바라보고 상호문화적 성찰과 공감적인 소통이 가능한, 기존의 가치판단에서 자유로운 미적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청소년문학의 연구 동향과 전망 고찰

        박경희(Park, Kyunghee)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4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5

        청소년문학은 독자대상에 따라 문학 장르가 규정되었기 때문에 청소년의 삶과 그들이 속해 있는 환경적 요소들이 들어있다. 청소년이 아동기와 성인기 사이에 있는 것처럼 청소년문학도 아동문학과 성인문학의 경계에 있는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근대초기에 새롭게 발견된 청소년에 대한 인식과정을 통해 청소년문학의 기원 지점을 파악한 후, 청소년문학 개념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을 고찰하여 청소년문학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1990년대 이후 크게 성장하고 있는 청소년문학 장(場)의 관련 논의를 살펴 청소년소설의 연구 전망을 찾고자 한다. 한국 근대 사회에서 청소년소설은 시대적 기표에 의한 싱징적인 주체인 ‘청년’이라는 말에서 ‘청소년’이 분화되었다. 이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일제기 ‘소년문예운동’ 측면에서 청소년소설의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청소년문학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 연구 분야는 그 개념과 특성에 관한 논의이다. 청소년문학은 청소년들의 현실적인 삶을 다루면서 창작주체 면에서는 성인작가 청소년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당대 청소년들이 향유한 문학이라면 청소년문학의 범주에 들어와야 한다. 반면, 청소년을 위한다는 기성세대의 교육적인 계몽담론에 의한 관점은 배제되어야 한다. 청소년 소설의 주제는 가족 · 학교 · 사회의 권위의식에 도전하거나 상처받은 청소년 인물의 등장에서 청소년소설의 갈등 양식이 청소년 주체와 기성세대 간의 대립과 외적 갈등에 편향되어 있다. 최근 청소년문학은 그 범주가 다양해지고 있다. 1990년대 후반 본격적인 청소년소설 등장 초기에는 성장소설에 속하는 청소년소설이 집중적으로 나타났지만 2000년대 들어서는 당대 청소년들의 현실적인 삶과 문제, 청소년문화를 담고 있는 작품들이 등장하였다. 1990년대 이후 청소년담론은 글로벌 자본주의 시스템 속에서 급변하는 환경과 교육제도 및 동시대 문화와 복합적인 관계를 맺으며 형성되었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서 청소년담론은 변화하고 있다. 이런 현상을 청소년소설은 담아야 한다. 청소년소설이 자기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타자인 성인의 시각에서 벗어나 문학 안에서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호명될 때 그들만의 문학적인 상상의 공동체가 가능해질 것이다. As the genre of juvenile literature is defined by its readers, the lives and the circumstantial factors of adolescents are inherent in its works. Juvenile literature borders between children literature and adult literature just like adolescents hang in the border of childhood and adultnes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where Korean juvenile literature originated from in the early modern era when people starting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adolescents, and then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juvenile literature investigating various perspectives on juvenile literature,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s to have a view of study prospects in young adult novels that have dramatically evolved since the 1990s, considering debates over the position of juvenile literature. The term "adolescent" diverged from the term "young adult" which was a symbolic subject representing signifier of the times. The origin of juvenile literature is found in "Juvenile Liberal Arts Movement"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It is the debates over its concept and traits that have been studies most lively in the area of juvenile literature. Juvenile literature is concerned with both the realistic lives of adolescents and adult authors as well as adolescents, as its creating subjects. Also the literature works which were enjoyed by adolescents at that time should be under the category of juvenile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the perspective that the older generation held in the light of enlightenment discourse should be excluded. The main topics of juvenile novels have a partiality for the explicit conflicts that adolescents went through in defiance to authorities, such as families, schools, and the old generation. The subcategories of juvenile literature have been diversified lately. In the late 1990s, the early days of juvenile literature that started to emerge in earnest, the novels were mostly focused on bildungsroman. In the 2000s, however, the works began to deal with the realistic matters and culture that adolescents had in the their days. Adolescent discourse formed since the 1990s has been shaped in the context of "complex relationships with the changes of the circumstances, educational systems and comtemporary culture." Adolescent discourse in this society, so to speak, is in a swirl of changes. Juvenile novels should take consideration of this phenomenon. The self-identification of juvenile literature can be possible when it designates its subject as adolescents themselves, not adults who are just the others, and then the literary communal society of their own can become a reality.

      • KCI등재

        청소년 소설의 장르적 특징과 문학교육

        김성진(Kim Sung-Jin)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39

        이 논문은 내포 독자를 청소년으로 상정하는 쪽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청소년 문학 장르 논의와 시각을 달리하여, 청소년 소설의 장르적 특징을 세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중심의 문학교육에서 청소년 문학이 가질 수 있는 의미를 명확히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청소년 문학’에서 수식어 청소년은 창작 주체, 독서 주체, 문학의 소재 차원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청소년 문학은 청소년이 쓰는 문학이다. 청소년들이 창작의 주체가 되어 내놓는 팬픽이나 판타지 문학은 작품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글쓰기를 통해 청소년들이 무엇을 욕망하는가를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 작품의 문학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둘째, 청소년 문학은 청소년이 읽는 문학이다. 독서 주체로서의 청소년을 강조한다면 SF나 공포물 같은 장르 문학에 문학교육은 더 큰 관심을 할애할 수 있다. 장르 문학은 문학에 즐겁게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청소년 소설은 청소년의 삶을 소재로 한 문학이다. 그런 이유로 청소년 소설은 성장 소설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많은 부분 경계를 공유한다. 청소년 소설은 성장의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고민을 형상화하기 때문이다. 청소년기가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시기라는 점에서 이들 작품의 문학교육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values of juvenile literature. Juvenile literature is quite meaningful for learner­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in that it intends juveniles as its implied readers. Different from previous discussions emphasizing juveniles as readers, this study divided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novels and analyzed them in details. It is because modifier ‘juvenile’ can be understood as the subject of writing, the subject of reading, and the material of literature. Fanfic or fantasy literature produced with having juveniles as the subjects of writing has the limitation of low artistry. However, these literary works are meaningful in that juveniles reveal what they desire through such writing activities. If juveniles as the subjects of reading are emphasized, literature education should pay attention to genres such as SF and horror. Literature of these genres opens a channel for juveniles to approach literature with pleasure. Moreover,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genre literature works with high artistry as well as valuable thematic consciousness. Juvenile novels are closely interconnected with initiation stories. They configure juveniles’ agonies in the process of growth. In that adolescence is the period for establishing self­identity, these literary works are educationally important.

      • KCI등재후보

        청소년소설의 성장 담론 연구 -또래 문화를 중심으로-

        박경희 ( Kyung Hee Park ),나상오 ( Sang Oh Na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4

        청소년소설은 청소년기라는 사회화 과정에서 청소년들에게 자아정체감 탐색의 일환으로 문학의 역할이 강조되는 장르이다. 2000년대 이후 청소년소설은 소재 다양성을 추구하면서 당대 청소년들의 행동특성과 가치관을 반영한 관심사들을 서사화하고 있다. 청소년들이 또래 집단과 맺는 상호작용은 청소년문화의 장(場)에서 하위문화로서 그들만의 또래 문화를 공유하며 성장한다.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 출간된 청소년 소설에 나타난 또래 문화를 중심으로 또래의 역할이라는 관계성에 주목하여 성장 담론을 고찰하였다. 먼저, 『주머니 속의 고래』와 『닌자 걸스』에서는 청소년 주체의 또래 관계가 긍정적인진로 선택의 조력자로 기능하는 또래 역할을 분석하였다. 청소년들의 연예인이라는 진로 선택은 ‘또래의 지지와 격려’라는 또래 문화의 감수성으로 나타난다. 청소년소설에서 부모와 진로 선택의 갈등을 겪을 때 또래 집단은 상호의존 하면서 진로 선택의 조력자로서 또래 문화를 형성하는 성장 담론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하이킹 걸즈』와 『내 이름은 망고』에서는 청소년 주체가 ‘한부모가족’의 상처를 극복하고 치유하는 데 또래가 정서적 지지자 역할을 하는 또래 문화를 분석하였다. 청소년들이 또래에게 위안을 받고 가족 갈등의 상처를 극복하고 치유한다는 점에서 또래의 역할이 건강한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사회적 자원으로서 기능하는 성장 담론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독한 장난』과 『주먹을 꼭 써야 할까?』에서는 학교 폭력이라는 부정적인 또래 문화를 분석하였다. 학교 폭력은 왜곡된 힘의 논리에 의한 가치 판단의 부조화를 드러내고 청소년기 이후의 삶에 상흔을 남긴다. 청소년소설에서 청소년들의 학교 폭력 경험은 영원한 가해자와 피해자, 방관자로 규정할 수 없는 폭력의 희생자들임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이 건강한 성인으로 자랄 수 있도록 『지독한 장난』에서는 또래 집단의 긍정적인 역할과 『꼭 주먹을 써야 할까?』에서는 또래의 조언과 교사의 개입이라는 사회구성원들의 적극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작품 분석 결과 청소년소설에서 또래 문화는 진로 선택과 가족 문제,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는 또래 집단의 양가적인 역할에 따라 자아 정체감을 형성해가는 청소년 주체의 성장 담론을 확인하였다. Adolescent literature is a genre which emphasizes a role of literature in teenagers forming self identity going through socialization process. Since the 2000s, adolescent literature has been trying to diversify subject matters and reflect the behavioral features and values of adolescents. Adolesc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create their own subculture within their peer groups while growing up. This study considers the relations of peer groups, focusing on the peer culture in adolescent literature published after 2000. Firstly, 『A Whale in the Pocket』 and 『Ninja Girls』 are analyzed as novels where peer relations serve as a positive helper in choosing careers. A teenager chooses to become an entainer and his or her peer group supports and encourages him or her to be, which shows peer culture sensibility. When there is a conflict between a teenager and parents making a choice of a career, peer group members become interdependent on each other and in the meanwhile they create peer culture. Secondly, 『Hiking Girls』 and 『My Name is Mango』 are analyzed as novels where peer group members help a teenager get over pains from a single-parent family. A peer group plays a positive role in giving a consolation and healing a peer member’s pains from family conflicts, and funtions as social resources in forming healthy self identity. Lastly, 『Horrible Mischief』 and 『Do we need to use fists?』 are analyzed focusing on school violence, a negative peer culture. School violence shows a wrong value judgement by distorted power-based logic and leaves scars in teenagers’ lives ever after. Adolescent literature proves that adolescents who have gone through school violence are victims of violence and they cannot be defined as an inflictor or a victim. 『Horrible Mischief』 presents how important a peer group’s role is to help a teenager grow into a healthy adult, and 『Do we need to use fists?』 suggests that peer group members’ heartful advice and teachers’ active intervention are need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ovels, peer culture is proved to help adolescents choose a career, get over family conflicts, solve school problems and eventually form self identity.

      • KCI등재

        청소년소설의 디아스포라 연구 - 『마음이 사는 집』, 『농담이 사는 집』, 『나는 브라질로 간다』를 중심으로-

        윤현진 ( Yun Hyeon-jin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0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출판된 청소년소설 『마음이 사는 집』, 『농담이 사는 집』, 『나는 브라질로 간다』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의식과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고뇌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인류학적으로 볼 때, 인류는 누구나 청소년기를 거쳐 가는 잠재적 디아스포라 의식을 가진 존재다.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은 복합적이고 모호하다. 청소년의 불완전한 ‘나’의 정체성은 어느 곳에도 속하지 못한 채 경계에 서 있는 디아스포라 의식과 일치된다. 세상에 내던져진 존재, ‘나는 누구인가.’란 질문을 끊임없이 되풀이하는 디아스포라의 혼란과 분열을 우리는 청소년기라는 진화의 과정 속에서 비슷하게나마 경험하게 된다. 이에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의식과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고뇌를 살펴보는 것은 인류의 경계인이자, 중간자인 청소년의 모호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다채로운 색깔을 가지고 있는 인간 본연의 존엄을 존중하고자 하는 인류애로 이어지는 확장의 의미를 갖는다.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은 ‘불완전’의 아름다움이다. 청소년소설에서 ‘불안’은 참된 자기, 본래의 자아를 찾을 수 있는 상황으로 만드는 성장의 장치로 작용한다. 청소년의 디아스포라적 경험은 불완전한 존재의 ‘나’를 아름다운 ‘나’로 성장시킨다. 역설적으로 청소년소설에서 디아스포라의 흔들림은 문학적 장치가 되어 아름다움으로 승화된다. 그것은 인종과 민족, 어떤 곳에도 소속되지 않고, 이념에 편향되지 않는 경계인이 가질 수 있는 인류애로 연결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존재는 ‘이중 경계인’으로서 고뇌를 안고 있다. 민족 정체성과 자아 정체성을 동시에 고민하게 되는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은 자기발견의 결과와 타협과 자아각성을 하며, 통과제의 즉 존재론적 위치의 변화를 겪게 됨과 동시에 이민자의 정체성을 통해 타자성에 대한 고뇌를 드러낸다.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존재와 고뇌를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한 개인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문화, 국가, 인종 등의 사회 문제로 확장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itual of Diaspora and the anguish of juvenile diaspora in the following novels published since the 2000s, 『A house where hearts live』, 『the house where jokes live』, 『I go to Brazil』. Anthropologically, mankind has a potential diasporan consciousness that goes through adolescence. The identity of the diaspora is complex and ambiguous. The incomplete 'I' identity of the juvenile is consistent with the diasporic ritual of standing at the border without belonging anywhere. In the growth within adolescence, we experience similar confusion and disruption of the diaspora, which is constantly repeating the question of who is thrown into the world, WhoamI? Tounderstand the diasporicritual sand the a gonies of the adolescent diasporas in juvenile novels is to understand the ambiguity of juvenile, the boundaries of mankind, and the meaning of expansion that leads to humanity in order to respect the dignity of human beings with colorful colors. The diasporic ritual in juvenile novels is the beauty of 'imperfection'. In an adolescent novel, 'anxiety' acts as a device of growth that makes it possible to find one’s true and original self. The diaspora experience of adolescence grows the 'I' of the imperfect existence into a beautiful 'I'. Paradoxically, the youthfulness of diaspora in the juvenile novels becomes a literary device and sublimes to beauty. It is linked to the humanity of race and race, the boundaries that do not belong anywhere, and which are not biased toward ideology. In reality, however, the existence of the juvenile diaspora is suffering as a 'double border'. The juvenile diaspora, who is troubled with both national identity and self-identity, is forced to experience self-discovery, compromise, and self-awakening. and pass the proposal to be born again as another person, Reveal the agony of otherness through the identity of the other. Under standing the existence and agony of the juvenile of diaspora can be extended beyond simply understanding one individual to include larger social issues such as culture, the nation, and race.

      • KCI등재후보

        청소년소설 읽기와 청소년의 감정 격동 치유

        선주원(Seon, Ju-Won) 한국아동문학학회 2021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0

        이 글은 학교 폭력이나 성폭력으로 인해 겪은 감정적 격동이 트라우마로 전이되어 고통과 우울을 겪는 청소년들의 트라우마를 치유할 수 있는 방법을 청소년소설 읽기에 초점을 두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삶과 감정적 격동, 트라우마의 원인을 청소년이 처한 현실과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그리고 청소년들이 겪는 트라우마 후 스트레스 장애를 논의하면서, 트라우마 후 스트레스 장애 극복을 위한 방법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청소년 인물의 트라우마와 감정적 격동의 양상을 학교폭력과 성폭력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러한 소설들을 읽는 것이 청소년의 트라우마 치유에 갖는 의의를 밝혔다. 아울러 트라우마 후 성장 모델에 초점을 두어 학교폭력이나 성폭력으로 인해 청소년들이 겪는 감정적 격동과 트라우마의 치유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focused on reading young adult novels on how emotional turbulence experienced by school violence or sexual violence can spread to trauma and heal the trauma of young adult’s suffering from pain and depression. for that the the reality of the youth life, emotional turbulence and trauma were discussed. And while discussing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xperienced by youth, this research has looked the ways to overcom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n, the trauma and emotional upheaval of youth characters in the youth novels were examined with a focus on the issues of schoo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the significance of reading such novels was revealed in the healing of youth trauma. In addition, by focusing on the post-traumatic growth model, specific methods for the healing of emotional turbulence and trauma experienced by youth due to school violence or sexual violence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