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인왕과 정치의 리더십

        서영식 ( Suh Young-sik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2

        주지하듯이 『국가』(Politeia)는 서구지성사에서도 손꼽히는 고전 중의 고전에 속하며, 21세기에 들어선 오늘날에도 이 작품의 가치는 지속적으로 검증되고 있다. 『국가』의 핵심적인 논의들 가운데 한 가지로 이른바 `철인왕` 담론을 들 수 있다. 이 작품의 저술동기이자 궁극적 지향점인, 인간의 공동체를 정의가 살아 숨쉬는 “이상적인 나라(kallipolis)”로 만드는 것은 바로 철인왕의 과업이자 존재이유이기 때문이다. 이 글의 주제는 플라톤이 구상한 철인왕은 누구이며, 그에게는 어떤 역할이 주어졌는지 가능한 범위 안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플라톤의 철인왕에 관해 다시 논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가 주목하고자 하는 바는, 이 철인왕 담론 속에는 2017년 현재 우리 한국사회에서 무엇보다 절실히 요청되고 있지만 동시에 가장 희귀한 가치개념 중 하나인 `정치적 리더십`의 의미와 역할이 현대인의 시각에서도 꽤 흥미로운 방식으로 그리고 무엇보다 상당히 설득력 있게 소개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국가 운영의 자격을 갖춘 철학자는 어떤 존재인가? 첫 번째, 철학자는 “지혜(sophia)”를 추구하고 “진리(aletheia)”를 관조하기 좋아하며 이를 위해서는 어떤 유형의 학습과 배움도 흔쾌히 받아들이는 성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두 번째, 철학자는 내면의 불필요한 욕망을 억제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절제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세 번째, 통치에 참여하는 철학자는 국정의 책임자로서 현실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고도의 전문성을 보여주어야 하는 동시에, 시민들의 지도자로서 사익보다는 공익을 앞세우고 정의로운 사회를 지향함으로써 구성원 누구에게나 인정받는 최상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철인왕은 내적으로는 지성과 절제의 능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욕망을 거의 완벽하게 컨트롤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이기는 사람”이다. 또한 외적으로 철인왕은 국가운영에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정의감과 용기를 바탕으로 자신의 능력을 사익보다는 공익을 위해 사용함으로써 나라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고, 나아가 구성원 각자가 자신의 고유한 능력을 깨닫고 이를 제대로 발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국가조직의 잠재력을 최고치로 끌어올리는 지도력을 갖춘 사람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우리 한국사회는 한편으로 지난 20세기 중반 이후 지구상에서 거의 유일하게 경제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달성했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21세기에 접어든 오늘날 경제 양극화, 지역·세대 간 갈등, 북핵과 통일문제 등 사회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수많은 난제들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채 이른바 `헬조선`으로 전락할 위기에 처해 있다. 또한 우리 역사에서 오늘날처럼 리더와 리더십의 부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던 때도 일찍이 없었던 것 같다. 플라톤의 시각에서 볼 때 그 원인은, 우리 사회 각 계각층의 지도급 인사들이 사실상 철인왕 리더의 모습과는 정반대의 길을 선택함으로써, 정의와 평등 같은 공공선의 추구를 통해 공동체에 새로운 가치와 비전을 제시하려는 노력이나 공인으로서 자신의 생각과 말과 행동에 대해 책임지는 자세는 망각한 채, 오직 사적인 이익과 허명 같은 개인의 영달만을 좇는 삶에 만족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철인왕으로 지칭된 국가의 리더는 누구이며 어떤 능력과 자격을 갖추어야 하는지(존재론적·인식론적 차원의 자격), 그리고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할때 올바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지(도덕·윤리적 차원의 자격), 『국가』의 서술내용을 중심으로 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플라톤은 철인왕이 이상적인 나라를 구상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어떻게 국정의 밑그림을 그려야 하며, 또한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응하는 판단원칙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였는지(실천적·정책적 차원의 자격), 『국가』편의 다양한 논의 맥락들 속에서 단편적으로 제시된 그의 정책적 단상들을 매개로 음미해보고자 한다. The Republic, one of the most famous and influential classic works in the world, focuses on the way of happy life of the ideal polis state(kallipolis). The main subject of this work is, as we all know, justice(dikaiosyne). In the meanwhile, one of the main themes of this very important book is the so called “philosopher king”. Philosopher kings are the rulers of Plato`s ideal polis state. According to Plato, if the ideal state is to ever come into being, philosophers must become kings, or those now called kings must genuinely and adequately philosophize. Plato defined the philosopher as an wisdom(sophia)-lover. Philosopher is the only person who has access to Ideas and loves true knowledge(episteme). He can also have virtues(arete) which Plato emphasizes as very important moral elements of the ideal state. In this thesis we will discuss the following questions. 1) Who is the real leader of the ideal state and which qualification is needed for it? 2) What is the real condition of leadership in the ideal state? 3) What is the principle of the rule by philosopher king? 4) How can philosopher kings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in the rule of the ideal state?

      • KCI등재

        플라톤의 『국가』와 철인왕의 패러독스

        박성우(Sung-woo Park) 한국정치사상학회 2004 정치사상연구 Vol.10 No.2

        본 논문은 플라톤의 『국가』에 나타난 철인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다. 플라톤의 철인왕에 대한 해석은 종종 도식적으로 이해되거나, 그것이 논의되는 시공적 컨텍스트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음으로써, 플라톤이 『국가』라는 텍스트를 통해서 전달하고자 했던 의도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철인왕에 대한 해석은 플라톤의 정치사상이 꽤나 왜곡되는 데 일조를 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철저하게 텍스트적 맥락에서 플라톤이 전달하고자 했던 철인왕의 의미를 추적했다. 먼저 철인왕에 대한 주장이 담고 있는 패러독스적 요소를 밝혔고(2장)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학계의 논의들과 그 한계점들을 지적히였다(3장). 두 번째로, 플라톤은 왜 이런 패러독스적인 구조 속에서만이 철인왕에 대한 주장을 펼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서 논했다(4장). 이러한 검토를 통해 본 논문은 정치와 철학의 갈등, 비철학자와 철학자 간의 갈등, 로고폴리스와 칼리 폴리스의 내재적 차이 등을 부각시켰다 결론적으로, 철인왕에 대한 플라톤의 주장은 현실적으로 그러한 정체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그것의 완화된 형태로서 철학자의 정치참여를 암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플라톤은 정치와 철학의 갈등, 비철학자들과 철학자간의 갈등이 완벽하게 해결될 수 없음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양자 간의 조화가능성을 여전히 열어 두고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a new 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er-king,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Plato's Republic. The concept has been subject to distortion and misrepresentation, due to the historical context that has mistaken Plato's philosopher-kings as authoritarian leaders, the most abominable public enemies. The result is unfortunate to the student of Plato, because such an (mis)interpretation has dislocated Plato's intension in the ingenious text, the Republic. The paper thus returns to the text, which, I argue, is the best place where we can chase Plato's intension. The paper starts with analysing paradoxial elements in Plato's argumentation of philosopher-kings. Second, it reveals why Plato "has to" put philosopher-kings in the paradoxical structure, while it examines the efficacy and the truthfulness in Plato's argumentative persuasion of philosopher-kings. The paper argues that Plato employs rhetorical device in order to mitigate the tension between politics and philosophy. One can explain Plato's paradoxical language such as "forcing philosophers to rule" only in the Plato's rhetorical position, which demands the balance between philosophers and non-philosophers. The paper concludes that Plato succeeds in hitting and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the two through this rhetorical device. In so doing, the paper argues, Plato opens the possibility of reconciling politics with philosophy. To put it bluntly, Plato does not affirm emergence of philosopher-kings in practice. However, he expects (and persuades) potential philosophers to participate in politics in different ways. Are philosophers to be persuaded by Plato? Before answering this question, one has to ask oneself what one is: a philosopher or a non-philosopher?

      • 플라톤의 철인왕과 평화의 리더십

        서영식(Suh, Young-Sik) 평화나눔연구소 2022 인간과 평화 Vol.3 No.1

        기원전 5세기경 그리스 아테네에서 활동했던 철학자 플라톤(Platon, BC 428/7-348/7)의 『국가』(Politeia)는 서구지성사에서도 손꼽히는 고전 중의 고전에 속하며, 이 작품의 가치는 21세기에 들어선 오늘날에도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주지하듯이 이 작품의 표면상의 주제는 ‘정의(dikaiosynê)란 무엇이며, 정의로운 생각을 하고 이를 실천하는 사람에게는 행복(eudaimonia)한 삶이 보장되는가?’이며, 구체적인 논의 전개과정에서는 인간이 추구해야 할 훌륭하고 가치 있는 삶에 관한 고찰이 다양한 분과 학문적 토론을 바탕으로 폭넓게 전개된다. 그런데 『국가』에 등장하는 수많은 논의들의 방향은 사실상 이른바 ‘철인왕’ 담론으로 향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저술동기이자 궁극적 지향점인, 인간의 공동체를 정의가 살아 숨쉬는 “이상적인 나라”(kallipolis)로 만드는 것은 철인왕의 과업이자 존재이유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플라톤의 철인왕에 관해 다시 논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가 주목하고자 하는 바는, 이 철인왕 담론 속에는 2022년 현재 우리 한국사회에서 무엇보다 절실히 요청되고 있지만 동시에 가장 희귀한 가치개념 중 하나인 ‘정치적 리더십’의 의미와 역할이 현대인의 시각에서도 꽤 흥미로운 방식으로 그리고 무엇보다 상당히 설득력 있게 소개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 리더십 용어를 차용하여 표현하면, 『국가』편은 ‘修己’(self-leadership)와 ‘獻身’(servant leadership)의 자세를 확립하고, ‘정당한 권위’(charisma leadership)를 바탕으로 국민(follower) 각자가 자신의 ‘소질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이끄는 능력’(empowering leadership)을 갖춘 ‘전인적 지도자’(authentic leader) 양성에 관한 인문학 차원의 ‘야전교범’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철인왕으로 지칭된 국가의 리더는 누구이며 어떤 능력과 자격을 갖추어야 하는지(존재론적·인식론적 차원의 자격), 그리고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할 때 올바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지(도덕·윤리적 차원의 자격), 『국가』의 서술내용을 중심으로 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플라톤은 철인왕이 이상적인 나라를 구상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어떻게 국정의 밑그림을 그려야 하며, 또한 현실적인 문제에 대응하는 판단원칙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였는지(실천적·정책적 차원의 자격), 『국가』편의 다양한 논의 맥락 속에서 단편적으로 제시된 그의 정책적 단상들을 매개로 살펴볼 것이다. The Republic, one of the most famous and influential classic works in the world, focuses on the way of happy life of the ideal polis state(kallipolis). The main subject of this work is, as we all know, justice(dikaiosynê). In the meanwhile, one of the main themes of this very important book is the so called “philosopher king”. Philosopher kings are the rulers of Plato’s ideal polis state. According to Plato, if the ideal state is to ever come into being, philosophers must become kings, or those now called kings must genuinely and adequately philosophize. Plato defined the philosopher as an wisdom(sophia)-lover. Philosopher is the only person who has access to Ideas and loves true knowledge(epistemê). He can also have virtues(aretē) which Plato emphasizes as very important moral elements of the ideal state. In this thesis we will discuss the following questions. 1) Who is the real leader of the ideal state and which qualification is needed for it? 2) What is the real condition of leadership in the ideal state? 3) What is the principle of the rule by philosopher king? 4) How can philosopher kings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in the rule of the ideal state?

      • KCI등재후보

        플라톤의 인치와 법치

        장준호(Jun-Ho Chang)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0 OUGHTOPIA Vol.25 No.1

        인치와 법치 둘 다 정치에 반영시키는 방법은 무엇일까? 이 글의 목적은 인치와 법치를 둘 다 고민했던 플라톤(Platon: B.C. 427-347)의 사유를 재구성하면서 인치와 법치의 본래적 의미를 살펴보고, 인치와 법치를 결합하는 방법을 고찰하는 데 있다. 플라톤은 『정체(政體: Politeia)』에서 정의에 입각한 폴리스의 모델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철인왕의 통치(哲人統治: philosopher kings)라는 인치를 설파하지만, 『법률(法律: Nomoi)』에서는 철인의 통치에 대한 보완 전략으로 효율적인 법률시스템에 의한 법치를 제시한다. 표면적으로 『정체』와 『법률』은 각각 인치와 법치라는 통치의 기본 모델을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법률』은 인치와 법치를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인치를 법치화하면서 인치를 더욱 더 발전시킨 형태라는 것이 이 글의 핵심적 주장이라고 볼 수 있다. 철인통치의 법치화란 인치와 법치를 결합하는 것으로, 철인이 법의 강제를 통해 정치인이 되게 하는 수단이자 철인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이다. 나아가 인치와 법치를 결합시키는 끈은 교육이다. 뛰어난 자들의 통치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양질의 교육이며, 이를 보완하는 것은 법치이다. 서론(I)에 이어 본문에 해당하는 II장은 법치와 인치에 관련된 플라톤의 사유를 살펴보고 있지만, 『정체』와 『법률』은 물론 그 사이에 집필된『정치가』와 7번째 편지의 내용도 분석하고 있다. 『정치가』에서는 정치체제를 분류하는데 법치라는 기준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며, 7번째 편지는 현실정치에서 플라톤의 좌절과 그에 따른 입장의 변화를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 III장은 『정체』에서 제시된 철인의 통치가 『법률』에서 어떻게 “법치화된 인치”로 변모하게 되는지를 고찰한다. 그 분석은 세 가지 패러독스 중에서 “철인왕의 통치”에 집중된다. 플라톤은 『정체』에서와는 다르게『법률』에서 법치화된 철인통치를 설파한다. What is the best way that facilitates rule of person and rule of law in politics? This article will pick out not only the original meaning of rule of person and rule of law but also the way to combine the different two ruling methods, by reconstructing Plato' thoughts who studied deeply the problem of ruling. Plato shows us rule of person which is the ruling by philosopher's Kings in the Repulic in oder to realize the justice in city, but he provides rule of law als substitute of rule of person in the Laws. The Republic and the Laws seem to show two different models of ruling which are divieded each other. The main argument of this article lies in which Plato did not divied two models - rule of person and rule of las, but integrated these two models in the Laws by institutionalising rule of person through rule of law. The most effectivest tool which would combine rule of person and rule of law within a political system is the good education that improves our ethical virtue.

      • KCI등재

        플라톤의 철인왕 통치

        김윤동 대한철학회 2011 哲學硏究 Vol.117 No.-

        Plato's political thought is developed in <Republic>, <Statesman> and <Laws>. He hopes 'justifiable state' that all citizens can get happiness. He suggests the plan of the ideal state. And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is ideal state is philosopher-king. His metaphysics, psychology and education theory are melted in philosopher-king. But in actual, the appearance of this ideal ruler is impossible. Therefore he finds the second best state in <Laws>. Then does Plato gives up his dream of the ideal state or approaches to that closely? And ruler stands against laws or relates with partnership? This article deals with these problems. As last, we will compare Plato's ideal state and philosopher-king to God's kingdom and Jesus in the Bible. 플라톤의 정치사상은 <국가>, <정치가>, <법률>이라는 세 대화편에서 전개된다. 당시의 혼란스런 정치적 상황에서, 그는 모든 시민이 행복할 수 있는 ‘정의로운 나라’를 염원하면서 <국가>에서 이상국가의 설계도를 제시한다. 그런데 이상적인 나라의 핵심요소는 철인왕이다. 플라톤은 철학적 이성과 통치 권력이 결합되지 않는 한, ‘아름다운 나라’가 건설될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국가>에서 보여준 그의 형이상학, 영혼론, 교육론 등은 모두 이 철인왕 통치를 위해서 동원된 수단들이다. 다시 말해 철인왕 안에서 그의 모든 철학적 이론들이 용해되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이상적 통치자의 등장이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정치가>의 과도기를 거쳐 <법률>에서 법률로 다스려지는 차선의 국가를 모색하게 된다. 그렇다면 플라톤은 이상국가의 꿈을 완전히 저버렸는가, 아니면 완전한 실현은 아닐지라도 법을 통해 이에 근접하고자 했는가? 또한 통치자와 법은 상호대립의 관계에 있는가, 아니면 상호 보완의 관계에 있는가? 이러한 문제들을 본 논문에서 고찰하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플라톤의 이상국가와 철인왕을 성경의 저자들이 증거 하는 하나님나라 및 예수와 비교하고자 한다.

      • KCI등재

        플라톤의 이상국가론과 민주주의 비판의 현대적 함의

        소병철(So Byung chul)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1

        플라톤의 이상국가론은 국가의 안정적 질서와 통합을 보장하기 위해 현실적 통치권력과 지혜에 대한 추구가 결합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거시적 차원의 규범적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그 이론에서는 소피스트적 ‘권력정치’와 철학적 ‘이성정치’의 대결이 ‘이성의 권력’에 대한 사변적 숙고 안에서 지양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플라톤의 철인왕 개념이 그의 과격한 민주주의 비판과 맞물리는 와중에 이성능력과 그것의 사용을 하나의 계급적 특권에 다름 아닌 것으로 만들어 버린 것처럼 보인다는 데 있다. 그에게 민주주의란 이성능력을 결여한 어중이떠중이가 제각기 ‘멋대로 할 수 있는 자유’를 방만히 누리며 설쳐대는 중우정치(衆愚政治)에 다름 아닌 것이었다. 이러한 연유로 그는 한 사람의 이성적 철학자가 여타의 비이성적 다수에 대하여 절대적 지배권을 행사하는 정체에서만 국가의 정의가 완성될 수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플라톤의 엘리트주의적 민주주의 비판에 내포된 긍정적 측면에도 충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데, 여기에서 우리가 주목할 문제는 플라톤의 분노와 혐오를 유발했던 당대 아테네 민주정의 전개양상과 현대 민주주의의 전개양상 사이에 다소 불편한 유사성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오늘날의 민주주의는 만인이 각자의 ‘멋대로 할 수 있는 자유’를 극대화하고자 만인을 상대로 이전투구의 생존경쟁을 벌이는 일종의 홉스적 자연상태에 빠져든 듯하다. 플라톤이 철인왕에게 부여한 권위주의적 통치권력은 권력을 위한 권력으로서의 절대권력이 아니라 그처럼 방임된 자유의 역리를 교정할 공적 조화의 윤리적 구심으로서 구상된 것이다. 이처럼 플라톤의 이상국가론과 민주주의 비판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부정적 시사점과 긍정적 시사점을 동시에 던져 주고 있다. 철인왕 개념을 요체로 한 그의 이상국가론은 보편주의적 인권사상으로 여과된 현대인의 정의감에 부합되기 어려운 엘리트주의적 편향성을 갖지만, 당대의 민주주의에 대한 그의 신랄한 비판은 민주주의가 경쟁적 욕망들의 대의체제로 형해화된 현대문명의 성찰적 자기비판으로 들릴만큼 여전한 시의성을 갖는다. 필자는 이 글에서 플라톤의 국가론에 내포된 그러한 부정적ㆍ긍정적 시사점을 분석함으로써 그것들이 현대 민주주의의 전개방향과 관련하여 지니는 정치철학적 함의를 적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것은 현대의 대의민주주의적 권력정치를 플라톤의 문제의식으로 걸러내어 단순한 다수결보다 우월한 의사소 통적 참여민주주의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작업으로 전개될 것이다. Plato’s theory of the ideal state reflects the normative demand in broad perspective that the real political authority and the love of wisdom must be combined in order to secure the public order and unification of a polis. So in that theory the confrontation of sophistical ‘power politics’ and philosophical ‘reason politics’ is sublated by the speculative deliberation on ‘power of reason.’ But Plato’s idea of philosopher king in connection with his radical critique of democracy transmutes the use of human reason into a class privilege. For him democracy is nothing but the mobocracy in which the reasonless rabble rages to enjoy the ‘freedom to do whatever is desired’(exousia) recklessly. For this reason he argues that the justice of a polis could be completed only in the political system in which a reasonable philosopher exercises an absolute supremacy over the other unreasonable majority. But we need to pay sufficient attention also to the positive aspect of Plato’s elitist critique of democracy, which leads us to notice an embarrassed similarity between the ancient Greek democracy that caused Plato’s hatred and the present-day democracy. The latter seems to have fallen into a Hobbesian state of nature in which everybody is engaged in the extreme struggle for existence with everyone in order to maximize his own ‘freedom to do whatever is desired.’ The authoritarian political power which he allows his philosopher king is not an absolute power as power for power, but functions as an ethical central axis of public harmony to correct the unreasonableness of such neglected freedoms. Like this, Plato’s theory of the ideal state and critique of democracy drop a negative and positive hint for us at once. The former has an elitist bias which is incompatible with our sense of justice filtered through an universalistic idea of human rights, but the latter has an unchanged timeliness enough to be heard as an introspective self-criticism of modern civilization that has reduced democracy to the formal system sorting and representing the competitive desires. In this essay I tried to analyze such a negative and positive hint, and then, indicate its political-philosophical implications for the present-day democracy. This will include filtering the present-day representative democracy through Plato’s critical mind and sounding out possibilities for the communicative participatory democracy superior to the mere decision by majority.

      • KCI등재

        역사속의 철인왕

        송유례(Song, Eu-R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1 No.-

        이 글의 목적은 율리아누스 황제의 신플라톤주의 정치철학을 그의 인간애 사상을 중심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율리아누스는 역사속에서 철인왕의 이상을 실현하려고 했던 로마제국 최후의 이교황제로 일명 ‘배교자’라고 불린다. 그의 철인왕의 이상을 이해하기 위해, 우선 율리아누스의 배교의 철학적 동기 및 그가 귀의한 철학인 신플라톤주의와 이교주의의 관계를 밝힌다. 그런데, 신플라톤주의는 통상적으로 윤리학과 정치철학이 빠진 플라톤주의로서 지극히 피안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신비주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철학에는 율리아누스가 표방한 ‘인간애’의 정치가 들어 설 공간이 없어 보인다. 필자는 이러한 통론에 반대하여, 율리아누스의 ‘인간애’ 사상을 신플라톤주의 내부에 엄연히 존재하는 정치철학적 시각에서 설명하기를 시도한다. 특히, 신플라톤주의 정치철학의 기반인 섭리론에 입각하여 율리아누스의 철인군주론을 논구하고, 섭리론이 내포하는 돌봄의 개념을 인간애의 개념과 연결시킨다. 나아가 율리아누스의 인간애의 사상적 연원을 신플라톤주의의 한계를 넘어 헬레니즘 전통 안에서 추적한다. 끝으로 율리아누스의 인간애의 정치를 정책면에서 살펴봄으로써 그의 헬레니즘적 인간애의 이념이 기독교적 사랑의 이념과 경쟁관계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Emperor Julian’s political philosophy with particular emphasis on his conception of philanthropy. Julian was the last pagan Roman emperor, who is dishonorably called ‘the Apostate.’ To approach his ideal of the philosopherking, I first draw attention to Julian’s apostasy from Christianity, which turns out to be a “conversion to philosophy.” I then briefly sketch the relationship between Neoplatonism, which Julian professes, and paganism. Neoplatonism is, however, generally known as an extremely otherworldly and individualist mystical philosophy, lacking an ethical and political dimension. In such a philosophy, there would be no place for the practice of philanthropy advocated by Julian. Against this received opinion, I attempt to explain Julian’s conception of philanthropy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philosophy in Neoplatonism, based on the metaphysical theory of Providence, while linking the concept of providential care to the concept of philanthropic politics. Further, I trace the conceptual origin of philanthropy beyond Neoplatonism back to the tradition of Hellenism, whereby it is shown that Julian’s Hellenic philanthropia stands in competition with Christian agape. I close this article with some reflection 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f Julian, a philosopher?king in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플라톤의 『국가』에 나타나는 소크라테스의 정의관(正義觀)과 그 한계점

        이명곤 ( Myung Gon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5 No.-

        소크라테스는 당시 그리스 사회에 통용하고 있던 다양한 정의개념을 논박하면서 자신의 정의관을 말하고 있다. 그가 비판하고 있는 정의 개념들은 정직함과 빌린 것을 제때에 갚는 것이라는 ‘형식적 정의개념’, 친구에게는 좋은 것을 주고 적에게는 나쁜 것을 준다는 ‘이기적 정의개념’, 착한 사람에게는 좋은 것을 주고 나쁜 사람에게는 나쁜 것을 준다는 ‘복수법의 정의개념’ 그리고 보다 강한 자들의 자기이익을 추구하는 것이라는 ‘정글의 정의개념’ 등이다. 소크라테스가 제시하는 정의 개념은 한 개인의 사회적 자기 동일성에 적합한 ‘탁월한 내적인 상태(arete)’를 갖추는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개인적 정의’ 혹은 ‘존재론적인 정의’ 개념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개인적 정의 개념은 ‘행위는 존재를 따른다’는 형이상학적 원리에 따라서 모든 행위에 있어서 정의로운 행위를 할 필요조건처럼 고려된다. 하지만 복잡한 상황윤리와 수많은 사회적 갈등상황이 발생하는 거대국가에서 이러한 존재론적인 정의만으로는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소크라테스는 대안 책으로 법률에 대한 철저한 준수와 철인왕 정치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 역시 ‘존재론적인 정의’개념에 기초한 것이다. 하지만 철인왕 정치가 오늘날의 현대사회에서 가능하지 않다는 것은 누구나 수긍할 수 있고, 또한 ‘철저하게 합법적인 행위’가 사회적 정의를 보장해주지는 않는다는 것도 경험적으로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소크라테스의 존재론적인 정의 개념은 오늘날 여전히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것은 최선책이 없을 때, 차선책을 구한다는 것이며, 사회 구성원들과 정치지도자가 스스로 정의롭게 된다는 것이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가장 근원적이고 빠른 길이기 때문이다. Socrates shows his conception of justice by analyzing and refuting the other designs that circulate Greek society in his time. First it analyzes and clarifies that the concepts of justice in his time did not conform to that of true justice. He did so formal justice which means ``frankness and repay a loan``, selfish justice which means ``giving good for a friend and evil to the enemy``, justice of the law of revenge which means ``giving the right for the good man and evil for the evil man``, and the justice of the law of jungle meaning that righteousness is the advantage of the strong man etc. Then, Socrates presents the ontological concept of justice which means excellent condition inside(arete) of a man consistent with his social identity. This conception of ontological or personal justice is very efficient for a small company like a city of Greece(Police). But in a modern society where are many complex ethical and social conflict situations limit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through only these ontological justice. Therefore, Socrates present the thorough observance of the law and the politics of philosopher king as an alternative. Il is also based on the concept of ``ontological justice``. But the politics of philosopher king is not possible in today`s modern society, everyone can agree, can also be seen that ``thorough legal action`` will not guarantee the social justice. Nevertheless, Socrates`` concept of ontological justice is still largely suggested today. Because the second best plan is the best when there is not the best, and members of our society and social leaders comes to justice is the fundamental and fastest way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 KCI등재

        마크로니즘과 리쾨르의 철학

        김태희(Taehee KIM) 프랑스학회 2024 프랑스학연구 Vol.- No.104

        1. 서론 2. 폴 리쾨르와 에마뉘엘 마크롱 3. 마크로니즘 : 리쾨르의 철학에서 마크롱의 정치로 4. 포스트 마크로니즘 5. 결론 참고문헌 인문학은 지나치게 현실과 괴리 되는 위기의 순간마다 자체적인 경고음을 울려왔다. 플라톤을 비롯한 많은 철학자들 역시 이러한 여건 속에서 철학을 정치 현실에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고민한 바 있다. 비교적 최근인 2017년 프랑스 대선에서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현대 철학자 중 하나인 폴리쾨르의 곁에서 철학을 익혔던 마크롱이 당시 가장 유력한 대통령 후보로 부상하였고 선거기간 내내 공공연히 리쾨르를 정치적 후견인으로 내세웠으며, 이에 대다수 언론은 그를 ‘철인왕’에 견주며 주목하였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좌파와 우파라는 이분법적 이데올로기를 거부한 에마뉘엘 마크롱의 정치 이념과 그에게 영향을 끼친 폴 리쾨르의 철학 간의 관계를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폴 리쾨르가 정치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 주목하면서 그의 철학이 에마뉘엘 마크롱의 정치에, 예를 들어 이민과 ‘노란조끼’ 운동, 그라고 ‘라이시테’에 대한 정책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주로 종교와 문학 분야에서 주로 논의되던 리쾨르의 철학적 입장이 마크롱의 정치에서 어떠한 현실적 가능성과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지를 거시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